KR20190068866A -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 Google Patents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866A
KR20190068866A KR1020170169075A KR20170169075A KR20190068866A KR 20190068866 A KR20190068866 A KR 20190068866A KR 1020170169075 A KR1020170169075 A KR 1020170169075A KR 20170169075 A KR20170169075 A KR 20170169075A KR 20190068866 A KR20190068866 A KR 20190068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ber
concrete
fram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227B1 (ko
Inventor
박구현
박용수
Original Assignee
박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구현 filed Critical 박구현
Priority to KR102017016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2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1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one or more layers of a layered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주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주택은 편평한 바닥을 갖는 기초부재 상에 서로 조립되어 지지되는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일면에 결합되고, 서로 조립가능한 마감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셀룰로오스 섬유, 시멘트, 규사 및 물을 주성분으로 혼합하여 판재 형태로 성형한 제1 섬유강화보드, 셀룰로오스 섬유, 시멘트, 규사 및 물을 주성분으로 혼합하여 판재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섬유강화보드, 및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에 충진되어 양생되는 충진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콘크리트층은 결속섬유사가 포함되어 양생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PREFABRICATED HOUSE HAVING CONCRETE PANEL AND FINISHING PANEL FOR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주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화성, 단열성 및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볍고 시공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패널 및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은 터파기를 시작하여 기초 공사 후 골조 공정을 시공 후 내부 마감을 시공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나 조적조로 건축된다.
그런데, 이러한 철근콘크리트구조나 조적조의 주택은 그 건축비용이 평당 수백만원 이상이 소요되며, 주택을 짓는데 이러한 건축공법으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이에, 최근 들어 주택의 건축비용 및 공사기간을 최대한 절감하고자 하는 제안들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조립식 주택이 그것이다.
조립식 주택은 임시주거를 위한 가건물로서 주거용으로 개량된 콘테이너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립식 건물은 형강이나 H빔(I빔) 또는 파이프 등의 철강구조물로 축조된다.
그러나, 기존의 조립식 주택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패널은 샌드위치 패널과 같이 화재에 취약한 경량 다공질 재료를 알루미늄, 스테일레스와 같은 박판 사이에 끼운 패널을 사용하여, 벽체로서 견고하지 못하고 내화성 및 단열성, 차음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내부 마감의 경우 목재로 된 패널을 사용하거나, 마감을 하지 않음으로써 콘크리트 패널에 의해서만 단열 및 차음이 되어 단열 및 차음이 부족한 문제점이 발생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08144호 “조립식 주택용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주택의 조립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택의 건축비용 및 공사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내지 생활환경을 고려한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화성, 단열성 및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볍고 시공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패널 및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주택은 편평한 바닥을 갖는 기초부재 상에 서로 조립되어 지지되는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일면에 결합되고, 서로 조립가능한 마감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셀룰로오스 섬유, 시멘트, 규사 및 물을 주성분으로 혼합하여 판재 형태로 성형한 제1 섬유강화보드, 셀룰로오스 섬유, 시멘트, 규사 및 물을 주성분으로 혼합하여 판재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섬유강화보드, 및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에 충진되어 양생되는 충진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콘크리트층은 결속섬유사가 포함되어 양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상기 충진콘크리트층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재, 및 상기 충진콘크리트층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단열기능의 향상과 하중 저감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진콘크리트층에 내부에 배치되는 발포수지 알갱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속섬유사는 유리섬유사로 구성되되, 상기 유리섬유사는 상기 충진콘크리트층의 두께와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갖는 단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에 배치되고 열기를 방출하는 온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발열선, 상기 발열선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 또는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충진콘크리트층과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결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경량화와 건축용 매입라인의 인입을 위해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중공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공구조체는, 복수의 삽입실이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된 구조체몸체, 및 상기 구조체몸체의 외면에 돌출되어 충진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감 패널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 단부에 형성되고, 내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절곡되어 돌출되는 결합돌기, 타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가능한 결합홈을 형성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타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결합부재가 수용가능한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부를 연결하며 길게 형성되는 커버면을 포함하고, 일 패널의 수용홈부에 결합부재가 수용된 후, 타 패널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된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면에 의해 덮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1면은 상기 커버면을 포함하는 평면이고, 제2면은 상기 결합홈부의 하부면이 포함하는 평면이며, 제3면은 상기 수용홈부의 하부면이 포함하는 평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면은 상기 제2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감 패널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커버면 사이에 개재되어 단열 능력, 흡음 능력 또는 단열 및 흡음 능력을 높이는 중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중간부재 수용공간이 형성하도록, 상기 커버면,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커버면 하부로 3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을 양 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양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 측면은,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부재가 수용되는 경우, 고정된 결합부재의 상단이 상기 제2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감 패널은, 상기 수용홈부와 인접한 단부는,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부재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부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편 단부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3면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휨억제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홈부는 하부면, 절곡면 및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부에 상기 결합부재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커버면이 휘어지는 것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하부면 및 상부면은 서로 대향하며, 상기 상부면과 상기 커버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결합되어 바닥 패널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각각 연직으로 연결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지지하는 컬럼프레임, 상기 컬럼프레임의 상단과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천장 패널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상단프레임과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프레임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루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프레임은, 상기 루프프레임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 배치되고, 상기 상단프레임의 일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상단프레임과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택의 건축비용 및 공사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주택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크리트 패널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조립식 주택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두께가 얇은 마감 패널에 의하여 넓은 내부공간을 확보 가능하며, 화재 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조립식 주택을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의 종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마감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마감 패널이 콘크리트 패널에 고정되고, 조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2에 도시된 마감 패널이 콘크리트 패널에 결합되고, 조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0에 도시된 마감 패널에 고정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흡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주택의 루프프레임과 상단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식 주택(1000)은 편평한 바닥을 갖는 기초부재 상에 서로 조립되어 지지되는 콘크리트 패널(100), 및 콘크리트 패널(100)의 내부면에 서로 조립되어 시공되는 마감 패널(2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식 주택(1000)은 베이스프레임(10), 컬럼프레임(30) 및 상단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부재는 베이스프레임(10)일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바닥 패널(15)을 지지하며 사각형의 테두리 베이스프레임(10)과 각각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10)이 바닥 패널(15)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촘촘한 베이스프레임(10)의 구조를 통해 기초부재의 강성이 상승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은 일반 고정식 주택의 기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건축용 빔(H빔, I빔, C형강 또는 파이프)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은 현장에서 설치 시 지면을 정지하여 평활작업이 된 상태에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그(12)(Leg)가 형성될 수 있다. 레그(12)는 조립식 주택(1000) 내부로 지면의 한기나 열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하며, 우선시 물이 조립식 주택(100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레그(12)는 철재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0)의 상단에 지지되거나, 베이스프레임(10)에 조립되어 바닥 패널(15)이 배치될 수 있다. 바닥 패널(15)은 베이스프레임(10)에 서로 끼움되거나, 베이스프레임(10) 상단에 배치되어 결합재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베이스프레임(10)과 결합된다. 바닥 패널(15)은 상대적으로 콘크리트 패널(100)보다 하중을 많이 받으므로 후술할 콘크리트 패널(100)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나, 베이스프레임(10)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바닥 패널(15)은 콘크리트 패널(1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것과 달리 베이스프레임(10)는 프레임과 바닥 패널(15)로 구성된 것이 아닌,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터파기,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 등의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컬럼프레임(30)은 베이스프레임(10)이 연결된 모서리 위치 각각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하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컬럼프레임(30)의 상단은 후술할 상단프레임(50)과 연결되어 조립식 주택(1000)의 기둥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컬럼프레임(30)은 조립식 주택(1000)의 바닥 면적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0)의 네 모서리의 위치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 패널(100)은 컬럼프레임(30)에 지지 및 조립되어, 조립식 주택(1000)의 벽체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패널(100)은 컬럼프레임(30) 사이에서 일면은 컬럼프레임(30)에 지지되고, 타면은 콘크리트 패널(100)끼리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콘크리트 패널(100)의 구체적읜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마감 패널(200)은 조립식 주택(1000)의 내부 및/또는 외부 마감을 위하여 콘크리트 패널(100)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마감 패널(200)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내부를 덮도록 콘크리트 패널(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다. 다만, 도시된 것과 달리, 설계 상의 이유에 따라 콘크리트 패널(100)의 일부만 덮거나, 콘크리트 패널(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마감 패널(200)이 콘크리트 패널(100)에 결합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마감 패널(200)의 일단은 콘크리트 패널(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다른 마감 패널(200)에 끼움 조립 됨으로써 콘크리트 패널(100)의 내벽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마감 패널(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단프레임(50)은 베이스프레임(10)이 형성하는 사각형에 대응되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서로 연결된다. 상단프레임(50)은 컬럼프레임(30)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단프레임(50)은 컬럼프레임(30) 상부에서 조립식 주택(1000)의 천장의 골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조의 강성 등의 이유로 상단프레임(50)의 사각형을 이루는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보조프레임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천장 패널(55)은 천장프레임의 상단에 지지되거나, 천장프레임에 조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천장 패널(55)은 상단프레임(50)에 서로 끼움되거나, 상단프레임(50) 상단에 배치되어 결합재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천장 패널(55)은 전술한 보조프레임에도 결합될 수 있다.
천장 패널(55)은 상대적으로 콘크리트 패널(100)보다 하중을 덜 받으므로 후술할 콘크리트 패널(100)보다 두께가 얇은 샌드위치 패널(Sandwitch panel)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조립식 주택(1000)의 너비가 넓은 경우 하중을 많이 받을 수 있으므로, 천장 패널(55)은 콘크리트 패널(1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설계상의 이유로 천장 패널(55)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단프레임(50)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루프프레임(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루프프레임(70)은 대략의 삼각형을 이루는 트러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루프프레임(70)의 상단에는 지붕 패널(75)이 고정되어 조립식 주택(1000)의 지붕을 형성할 수 있다.
지붕 패널(75)은 하중을 비교적 적게 받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과 같이 비교적 가벼운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 패널(1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루프프레임(70)은 상단프레임(50)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프레임(70)은 너비 방향으로 상단프레임(5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루프프레임(70)이 상단프레임(5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경우, 루프프레임(70)의 너비 방향의 단부가 상단프레임(50)보다 더 길게 빠져나와 루프프레임(70)의 단부분은 처마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양단에 배치된 루프프레임(7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지붕 패널(75)은 루프프레임(70) 및 연결프레임에 결합재를 이용하여 체결되거나, 용접등에 의해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조립식 주택(1000)의 지붕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루프프레임(70)은 하부쪽에는 루프프레임(70)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프레임(7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73)의 상단은 루프프레임(70)과 결합되며, 결합프레임(73)의 하단은 상단프레임(5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구조는 도 1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 패널(15), 콘크리트 패널(100), 천장 패널(55) 및 지붕 패널(75)은 각 패널이 각각 배치되는 곳에 위치한 프레임들 사이에 조립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100)은 6개의 컬럼프레임(30) 사이에 조립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출입문(101)을 기준으로 양측의 컬럼프레임(30) 사이에는 4개의 콘크리트 패널(100)이 서로 조립되어 배치된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3개나, 5개 이상의 콘크리트 패널(100)이 서로 조립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은 각 패널 및 프레임들이 서로 조립을 통하여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각 패널 및 프레임들을 조립되기 전에 운반하여 조립식 주택이 놓여질 위치에서 조립 가능하므로, 조립식 주택을 조립한 후에 운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한 차량(운송수단)에 보다 많은 양의 패널 및 프레임들을 적재할 수 있어 운반비용을 절감하는데 보다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은 지면 위에 베이스프레임(10), 컬럼프레임(30) 및 상단프레임(50)을 서로 조립하고, 각 프레임에 바닥 패널(15), 콘크리트 패널(100), 천장 패널(55) 및 지붕 패널(75)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패널(100) 내부 또는 외부에 마감 패널(200)을 설치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은 건축비용 및 공사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1000)은 베이스프레임(10), 컬럼프레임(30), 상단프레임(50) 및 루프프레임(70)을 각각 분해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목적하는 위치에서 조립하여 조립식 주택(1000)을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축조된 조립식 주택(1000)을 트레일러 등에 싣고 운반하여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조립 및 설치의 시공 난이를 줄이고 보다 빠르게 조립식 주택(1000)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의 종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100)은 제1 섬유강화보드(111), 제2 섬유강화보드(112), 제1 섬유강화보드(111)와 제2 섬유강화보드(112) 사이에 충진, 양생되는 충진콘크리트층(113)이 하나의 조립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섬유강화보드(111)는 대략 사각의 고밀도 판재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코코넛 줄기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1111,1121), 시멘트, 규사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첨가제 및 물을 혼합하고 형틀(미도시)에 투입하여 고압으로 가압한 후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양생과정을 거치고 형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
제2 섬유강화보드(112) 또한 상기한 제1 섬유강화보드(111)와 동일한 소재에 의해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작한 고밀도 판재로서, 제1 섬유강화보드(11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술한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의 사이즈는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으로 높이(세로) 3,050mm, 폭(가로) 600mm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의 이격거리 또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대표적으로 50mm, 75mm, 100mm, 150mm 정도로 규격화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콘크리트층(113)은 제1 섬유강화보드(111)와 제2 섬유강화보드(112) 사이에 충진되어 양생되는 층으로서, 포틀랜드시멘트에 물을 가하여 혼합하고 충진한 후, 양생하여 형성하되, 결속강도의 향상을 위해 결속섬유사(1131)가 더 투입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결속섬유사(1131)는 내구성과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경량인 섬유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볍고 단열성, 차음성이 우수하고 대표적 내화성 소재로 검증된 유리섬유사(글라스 와이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리섬유사는 충진콘크리트층(113)의 두께와 같거나 짧은 단섬유로 절단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유리섬유사를 충진콘크리트층(113)의 두께와 같거나 짧은 길이의 단섬유로 가공하여 적용하게 되면 유리섬유사의 길이가 너무 길 경우 포틀랜드시멘트와의 혼합시에 엉켜서 뭉침 현상이 발생되거나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서 강도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은 건축물의 시공시 벽체나 슬라브 등으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인접하는 패널이 서로 기밀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상단 및 하단과, 일측단 및 타측단에 서로 마주보게 결속돌부(113a)와 결속홈(113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형틀(미도시)의 내부에 제1 섬유강화보드(11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2)를 이격, 배치하고,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단섬유로 구성된 유리섬유사(113, 결속섬유사)가 고르게 혼합된 포틀랜드시멘트몰탈을 주입하고, 고압으로 가압한 후 오토클레이브 양생과정을 거치고 형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100)은 시멘트몰탈에 셀룰로오스 섬유(1111,1121)가 고밀도로 포함되어 단열성 및 온도편차에 따른 변형이 작고 내화성이 우수한 제1 섬유강화보드(11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2)가 외부 벽체로서 안정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충진콘크리트층(113)에 유리섬유사(1131)가 단섬유 형태로 포함되어 서로 얽어져 함께 양생됨에 따라 결속력이 증가되어 충격력과 같은 외력에 대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진의 발생시 인가되는 진동을 흡수 및 완충할 수 있으며, 서로 간의 결속력 강화로 크랙의 발생이나 파단현상이 유발되지 않으므로 건축물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100)은 제1 섬유강화보드(111), 제2 섬유강화보드(112), 제1 섬유강화보드(111)와 제2 섬유강화보드(112) 사이에 충진, 양생되는 충진콘크리트층(113)이 하나의 조립성형체로 구성되되, 충진콘크리트층(113)에 분포되는 결속섬유사(1131)와 함께 패널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재(114)가 더 구성되어 있다.
보강재(114)는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충진콘크리트층(113) 내부에 일체로 고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재(114)는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맞게 절단된 복수의 철근을 교차되게 배근하여 배치한다.
또한, 보강재(114)는 적절한 보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상기한 철근 외에도 다양한 소재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재는 강선을 서로 엮어서 형성한 와이어 매쉬(Wire Mash,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충진콘크리층(113)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진콘크리층(113)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철근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과 마찬가지로 셀룰로오스 섬유(1111,1121)가 고밀도로 포함된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가 구비되어 단열성 및 온도편차에 따른 변형이 작고 내화성이 우수하며, 충진콘크리트층(113)에 포함된 유리섬유사는 서로 간에 결속력을 증가시켜 내충격성 및 내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구성된 보강재(114)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므로 고 하중이나 큰 충격에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 등으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100)은 제1 섬유강화보드(111), 제2 섬유강화보드(112), 제1 섬유강화보드와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에 충진, 양생되는 충진콘크리트층(113)이 하나의 조립성형체로 구성되되, 충진콘크리트층(113)에 분포되는 결속섬유사(1131)와 함께 단열기능의 향상과 하중 저감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부재(115)가 더 구성되어 있다.
단열부재(115)는 가벼워서 콘크리트 패널의 전체 하중을 저감할 수 있고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충진콘크리트층(113)에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부재(115)는 콘크리트몰탈과의 혼합성,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발포수지 알갱이를 대표적으로 적용한다.
그리고, 발포수지 알갱이는 대표적으로 폴리스티렌 수지에 탄화수소가스 등을 주입하여 증기로 부풀린 알갱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발포수지 알갱이는 수지가 2% 내외이고 체적의 98%가 공기이므로 비중이 매우 작아서 콘크리트 패널의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대부분이 공기층이므로 단열 및 보온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발포수지 알갱이는 폐기물로 버려져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발포수지 알갱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은 충진콘크리트층(113)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삽입구(116)가 더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선삽입구(116)는 호스나 파이프 등과 같이 내부에 유동공이 형성된 소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전선삽입구(116)가 충진콘크리트층(113)에 배치되어 있으면 건축물의 시공시에 전력선이나 통신선 등을 인입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콘크리트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로서, 각 구성요소를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에 조립하고 이격 배치한 후 시멘트몰탈을 주입하여 충진콘크리트층(113)을 양생한 것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양생한 콘크리트 패널을 인위적으로 분리할 경우 나타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은 제1 섬유강화보드(111), 제2 섬유강화보드(112), 제1 섬유강화보드(111)와 제2 섬유강화보드(112) 사이에 충진, 양생되는 충진콘크리트층(113)이 하나의 조립성형체로 구성되되, 열기를 방출하는 온열수단(117)이 더 구성되어 있다.
온열수단(117)은 제1 섬유강화보드(111)와 제2 섬유강화보드(112) 사이에 보일러(미도시)로부터 온수가 공급, 순환되는 온수관(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서로 간에 연결이 용이한 발열선(117a)이 설치되어 있다.
발열선(117a)은 전원의 공급시에 가열되는 통상의 열선 중에서 선택하여 설치하되, 도시되지 않은 전원공급선(미도시)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100)은 발열선(117a)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부재(118)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부재(118)는 발열선(117a)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섬유강화보드(111)에 손쉽게 설치하여 발열선(117a)을 걸어 맬 수 있도록 나사부(118a)와 머리부(118b)로 구성된 스크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은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와 충진콘크리트층(113)과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결속부재(119)가 구비되어 있다.
결속부재(119)는 충진콘크리트층(113)에 내장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와의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형태, 구조 및 소재에 특별한 제한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를 엮어 망형태로 형성한 결속망(119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망(119a)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에 설치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선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11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부재(118)에 걸어 매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에 결속망(119a)이 결속된 상태에서 포틀랜드시멘트 몰탈을 주입하여 양생시키게 되면 다수의 섬유조직으로 형성된 결속망이 시멘트몰탈과 엉켜 경화되면서 충진콘크리트층(113)과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속망(119a) 형태의 결속부재(119)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면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와 충진콘크리트층(113)과의 결속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크랙의 발생이나 박리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충진콘크리트층(113)에 포함된 유리섬유사(1131, 결속섬유사)와 함께 결속망(119a)이 서로 얽어져 결속됨에 따라 내충격성과 진동의 흡수 및 완충작용이 배가되므로 건축물의 내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양생한 콘크리트 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은 제1 섬유강화보드(111), 제2 섬유강화보드(112), 제1 섬유강화보드(111)와 제2 섬유강화보드(112) 사이에 결속섬유사(1131)를 포함하여 충진, 양생된 충진콘크리트층(113)이 하나의 조립성형체로 구성되되, 제1 섬유강화보드(111)와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112) 사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중공구조체(102)가 더 구성되어 있다.
중공구조체(102)는 콘크리트 패널의 중량감소를 위한 첫 번째 목적과, 다양한 건축용 매입라인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통신케이블, 전원공급선, 온수관 등의 건축용 매입라인(미도시)의 인입을 위해 복수의 삽입실(1211)이 격벽(1212)에 의해 구획, 형성된 구조체몸체(121)와, 이 구조체몸체(121)의 외면에 돌출되어 충진콘크리트층(113)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돌기(122)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체몸체(121)는 횡단면 상에서 나타나는 형상이 직사각 형상인 중공몸체가 2개의 격벽(1212)에 의해 3개의 삽입실(1211)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실(1211)의 형성 수량은 3개 외에도 2개나 4개 이상의 수량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삽입실(1211)의 단면 형상 또한 사각형 외에도 원형, 타원형, 삼각형, 5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돌기(122)는 삽입실(1211)의 양쪽 외면에 해당되는 구조체몸체(121)에 돌출된 것으로, 구조체몸체(121)를 충진콘크리트층(113)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단부가 제1 섬유강화보드(111)의 내면과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112)의 내면에 근접하도록 돌출됨으로써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과 충진콘크리트층(113)이 하나의 견고한 양생체가 되도록 하는 결속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패널은 콘크리트몰탈이 채워지지 않는 중공구조의 중공구조체(102)가 내장되어 콘크리트 패널의 중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경량화에 따른 시공성의 향상과, 운반, 취급 등이 편리한 상승작용이 발휘된다.
그리고, 중공구조체(102)는 복수의 삽입실(121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원공급선 뿐만 아니라 통신케이블, 온수관 등의 건축에 필요한 다양한 매입라인(미도시)을 인입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 시 외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건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은 결속돌기(122)에 의해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111,112)과 충진콘크리트층(113)이 하나의 견고한 양생체가 되는 콘크리트 패널(100)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성이 우수해 지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패널의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마감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마감 패널(200)의 커버면(240) 하부에 중간부재(290)가 결합된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패널(200)은 결합돌기(210), 결합홈부(220), 수용홈부(230) 및 커버면(240)을 포함한다. 마감 패널(200)은 콘크리트 패널(100)의 내부 또는 외부 마감으로 사용되는 마감 패널(200)로서, 어느 하나의 마감 패널(200)의 결합돌기(210)가 선 시공된 타 패널의 결합홈부(220)에 끼움 결합되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복수의 마감 패널(200)들은 서로 결합되며 콘크리트 패널(100)을 이격없이 덮는 내부 또는 외부 마감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돌기(210)는 마감 패널(200)의 일 단부에 마감 패널(20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210)는 마감 패널(200)의 내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절곡되어 마감 패널(2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결합돌기(210)는 후술할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결합홈부(220)에 끼움되어 선 시공된 패널과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결합돌기(210)는 제1상부면(211), 제1절곡부(212) 및 제1하부면(213)을 포함한다. 결합돌기(210)는 제1상부면(211)에서 제1절곡부(212)로 연장되고, 제1절곡부(212)에서 제1하부면(213)으로 계속해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210)는 마감 패널(200)의 외측을 향해 닫혀있고, 마감 패널(200)의 내측을 향해 개방된다. 결합돌기(210)는 후술할 커버면(240), 결합돌기(210) 및 결합홈부(220)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부재 수용공간(260)을 향해 개방된다. 한편, 제1절곡부(212)는 제1상부면(211)과 제1하부면(213)이 서로 대향되도록 약 180도 벤딩될 수 있다.
결합홈부(220)는 마감 패널(200)의 타 단부에서 일정 부분 이격되어 배치되고 마감 패널(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결합홈부(220)는 마감 패널(200)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절곡되어 결합돌기(210)가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결합홈부(220)에는 타 마감 패널(200)의 결합돌기(210)가 끼움 결합되어 서로 조립된다.
결합홈부(220)는 제2상부면(221), 제2절곡부(222) 및 제2하부면(223)을 포함한다. 결합홈부(220)는 제2상부면(221)에서 제2절곡부(222)로 연장되고, 제2절곡부(222)에서 제2하부면(223)으로 연장된다. 이때, 결합홈부(220)는 마감 패널(200)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마감 패널(200)의 내측을 향해 닫힌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결합홈부(220)는 상술한 중간부재 수용공간(260)을 향해 막힌 구조를 갖는다.
결합홈부(220)의 제2절곡부(222)는 제2상부면(221)과 제2하부면(223)이 서로 대향되게 약 180도 벤딩되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의 결합돌기(210)의 제1절곡부(212)도 약 180도 벤딩되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선 시공된 타 패널의 결합홈부(220)에 결합 시, 타 패널의 결합홈부(220)에 전면(全面) 접촉되어 결합돌기(210)와 결합홈부(22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결합돌기(210)가 결합홈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수용홈부(230)는 결합홈부(220)와 마감 패널(200)의 타 단부(250) 사이에 배치된다. 수용홈부(230)에는 마감 패널(200)을 콘크리트 패널(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가 수용가능한 수용홈(234)이 형성된다.
수용홈부(230)는 양 측면(231,232) 및 수용홈부 하부면(233)을 포함한다. 제1측면(231)은 수용홈부 하부면(233)과 결합홈부(220) 사이에 배치되고 제2측면(232)은 마감 패널(200)의 타 단부(250)와 수용홈부 하부면(233) 사이에 배치된다. 제1측면(231)과 제2측면(232)은 서로 대향하며 수용홈부 하부면(233)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한편, 제1측면(231)과 제2측면(232)의 높이(h)는 결합홈부(220)의 제2하부면(223)과 수용홈부 하부면(233)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이때, 제1측면(231)과 제2측면(232)의 높이(h)는 수용홈부(230)에 수용되는 결합부재의 헤드부분의 높이보다 높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측면(231)과 제2측면(232)의 높이(h)가 5mm라면, 수용홈(234)에 수용될 결합부재의 헤드부분의 높이는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용홈부(230)에 수용된 결합부재의 헤드 부분이 수용홈부(230)의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결합돌기(210)가 결합홈부(2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부재(특히, 결합부재의 헤드)에 의해 간섭받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여기서, 결합부재는 타커핀(Tacker Pin)이나 스크류, 볼트와 같이 마감 패널(200)을 관통하고, 콘크리트 패널(100)에 고정되어 마감 패널(200)과 콘크리트 패널(100)을 서로 결합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결합부재의 종류는 일정 길이의 헤드를 구비하는 스크류나 볼트 이외에, 헤드의 길이가 매우 짧은 타커핀 등도 사용가능하다.
커버면(240)은 결합돌기(210)와 결합홈부(220)를 서로 연결하며 마감 패널(200)의 너비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된다. 커버면(240)은 콘크리트 패널(100)에 마감 패널(200)을 시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이다. 즉, 커버면(240)은 콘크리트 패널(100)에 마감 패널(200)을 시공 시 시공된 콘크리트 패널(100)을 덮는다.
또한, 일 마감 패널(200)의 수용홈부(230)에 결합부재가 수용된 후, 타 마감 패널(200)의 결합돌기(210)가 결합되는 경우 수용홈부(230)에 수용된 결합부재는 커버면(240)에 의해 덮힌다. 이를 통해, 마감 패널(200)은 결합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시공 과정에서 우수한 안전성을 가지며, 커버면(240)만 노출됨으로써 우수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커버면(240)은 결합돌기(210)와 결합홈부(220)를 연결하며 마감 패널(200)의 너비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된다. 커버면(240)의 길이는 콘크리트 패널(100) 마감의 길이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널의 길이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된 마감 패널(200)을 절단하여 마감 패널(200)의 길이를 원하는대로 조절 가능하다.
커버면(240)은 양단에 배치된 제3절곡부(241), 제4 절곡부(242)를 포함한다. 제3절곡부(241)는 커버면(240)과 결합돌기(210)의 제1상부면(211)을 연결하고, 제4절곡부(242)는 커버면(240)과 결합홈부(220)의 제2상부면(221)을 연결한다.
제3절곡부(241)는 약 90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일 패널의 결합돌기(210)가 타 패널의 결합홈부(220)에 결합된 후에 일 패널의 커버면(240)과 타 패널의 커버면(240) 사이의 간극을 줄일 수 있다.
제4절곡부(242)는 약 180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부(220)의 제2상부면(221)은 커버면(240)과 제4절곡부(242)로 연결되며, 커버면(240)의 일부와 서로 대향된다. 구체적으로, 결합홈부(220)의 제2상부면(221)은 커버면(240)의 좌측단부와 제1영역(A1)에서 서로 대향된다. 즉, 커버면(240)의 일부와 제2 상부면(221)은 제1영역(A1)에서 서로 중첩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홈부(220)의 제2상부면(221) 및 제2하부면(223)은 서로 대향하므로, 제1영역(A1)에서 제2상부면(221)과 커버면(240)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고, 제2상부면(221)과 제2하부면(223)이 서로 대향된다. 이러한 구조는, 수용홈부(230)에 결합부재가 올바른 위치에 수용되지 않아 마감 패널(200)에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마감 패널(200)의 결합돌기(210)에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면(240)의 상부 외측에는 다양한 재질의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감 패널(200)의 외관이나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석재를 포함하는 필름이나, 단열이나 소음저감을 위한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커버면(240) 뿐만 아니라, 마감 패널(200)의 일면의 전체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마감 패널(200)의 내부에는 중간부재 수용공간(2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중간부재 수용공간(260)은 커버면(240)의 하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중간부재 수용공간(260)은 커버면(240)과 결합홈부(220) 및 결합돌기(210)가 이루는 전체적으로 디귿자(ㄷ) 형상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재 수용공간(260)에는 중간부재(29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중간부재(290)는 커버면(240)의 하부에 커버면과 접착되어 배치된다. 중간부재(290)는 마감 패널(200)의 단열 능력 및/또는 흡음 능력 상승시키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중간부재(290)는 마감 패널(200)이 콘크리트 패널(100)에 시공 시, 콘크리트 패널(100)과와 커버면(240) 사이에 개재되어 마감 패널(200)의 단열 능력 및/또는 흡음 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부재(290)는 단열 성능이 뛰어난 단열재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중간부재(290)는 충진재로 이루어져 중간부재 수용공간(260)에 충진될 수도 있다.
한편, 마감 패널(200)의 일부 면들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세 평면 상에 배치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세 평면은 제1면(L1), 제2면(L2) 및 제3면(L3)을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세 평면은 설명을 돕기 위하여 표시된 것이며, 마감 패널(200)에 실제 형성된 면은 아니다.
제1면(L1)은 커버면(240)을 포함하는 평면이고, 제2면(L2)은 결합홈부(220)의 하부면(233)을 포함하는 평면이며, 제3면(L3)은 수용홈부 하부면(233)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이때, 제2면(L2)은 제1면(L1)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제3면(L3)은 제2면(L2)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상부에서부터 제1면(L1), 제2면(L2) 및 제3면(L3)의 순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마감 패널(200)의 커버면(240)과, 결합홈부(220)의 하부면(233) 및 수용홈부 하부면(233)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게 배치된다. 결합홈부(220)의 하부면(233)과 수용홈부 하부면(233)의 높이 차에 의해, 수용홈부(230)에 결합부재가 수용되는 경우 결합부재의 헤드 부분이 결합홈부(220)의 하부면(233)보다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일 마감 패널(200)의 결합돌기(210)가 결합홈부(220)에 결합될 때, 결합돌기(210)가 수용홈부(230)에 수용된 결합부재에 걸림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버면(240)과 결합홈부(220) 사이의 높이 차 및 제2절곡부(222), 제3절곡부(241)의 절곡에 의해, 수용홈부(230)에 결합부재가 수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휨모멘트가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전술한 마감 패널(200), 중간부재(290) 및 마감 패널(200)에 부착되는 필름(미도시)은 모두 불연소재 또는 난연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감 패널(200)은 스테일레스 스틸을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중간부재(290)는 불연소재 또는 난연소재로 이루어진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름 또한 석재 등을 포함하는 불연소재 또는 난연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중간부재(290)가 부착된 마감 패널(200)을 콘크리트 패널(100)에 시공하여도 불연성 성능이 우수하여 건물 내부의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2은 도 10에 도시된 마감 패널이 콘크리트 패널(100)에 고정되고, 조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2에 도시된 마감 패널이 콘크리트 패널(100)에 결합되어 조립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마감 패널(2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2 및 도 13a를 참조하면, 복수의 패널이 콘크리트 패널(100)의 일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패널(200a) 및 제2패널(200b)이 콘크리트 패널(100)에 배치된다. 도 12 및 도 13a에는 패널의 길이 방향이 콘크리트 패널(100)의 높이 부분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패널이 배치되었으나, 콘크리트 패널(100)의 크기나 내부 마감의 설계, 미감 등의 이유로 제1패널(200a) 및 제2패널(200b)은 콘크리트 패널(100)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2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패널(200a)의 수용홈부(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다. 이때, 결합부재(20)는 수용홈부 하부면(233)의 중앙 부분(X1)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홈부 하부면(233)의 편평한 부분과 콘크리트 패널(100)가 서로 접촉되어, 결합부재(20)가 수용홈부 하부면(233) 및 콘크리트 패널(100)를 관통하여 시공된 후에도 마감 패널(200)에 휨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3b를 참조하면, 결합부재(20)가 수용홈부 하부면(233)을 관통하고, 결합부재(20)의 단부가 콘크리트 패널(100)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패널(100)와 제1패널(200a)을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재(20)의 헤드부분의 높이(h1)는 수용홈부(230)의 측면의 높이(h)보다 작으므로, 결합부재(20)의 상측 단부가 제2면(L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즉, 수용홈부(230)에 수용된 결합부재(20)의 상측 단부가 결합돌기(220)의 제2하부면(22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210)가 제1패널(200a)의 결합홈부(220)에 결합될 때,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210)가 결합부재(20)에 의해 걸림되지 않는다.
도 13c를 참조하면,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210)가 제1패널(200a)의 결합홈부(220)에 결합된다. 이때, 제2 패널(200b)의 제1절곡부(212)의 벤딩되는 각도는 제1패널(200a)의 제2절곡부(222)의 벤딩되는 각도보다 작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210)가 제1패널(200a)의 결합홈부(220)에 결합 시 이격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전면(全面)에서 접촉될 수 있다. 즉, 제1패널(200a)의 결합홈부(220)의 내측면과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210)의 외측면이 전면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패널(200a) 및 제2패널(200b)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각 패널(200a, 200b)과 콘크리트 패널(100) 사이에는 공기층(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면(240)과 콘크리트 패널(100) 사이에는 단열성능 및 흡음성능을 가지는 중간부재(290)가 개재되고, 중간부재(290)와 콘크리트 패널(100) 사이에는 공기층(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면(240)과 콘크리트 패널(100) 사이에는 중간부재(290) 및 공기층(A) 2개의 층이 형성되어, 실내의 단열 성능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20)의 양 측면(231, 232)은, 수용홈부(230)에 결합부재(20)가 고정되는 경우, 고정된 결합부재(20)의 상단이 제2면(L2)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210)가 제1패널(200a)의 결합홈부(220)에 결합될 때,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210)는 결합부재(20)에 의해 걸림되지 않음으로써 마감 패널(200)간의 결합이나 시공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0에 도시된 마감 패널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흡수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4a를 참조하면, 제2패널(200b)은 제1패널(200a)의 결합홈부(220)에 제2패널(200b)의 결합 돌기(210)가 결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2패널(200b)을 콘크리트 패널(1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2패널(200b)의 수용홈부(230)의 상단에 결합부재(20)가 배치된다. 이때, 작업자의 오류나 시공상의 오차 등으로 인하여 결합부재(20)는 수용홈부(230)의 중앙 부분(X1)에서 외측으로 벗어나는 부분(X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수용홈부(230)의 중앙 부분(X1)에서 벗어나는 부분(X2)에 시공된 결합부재(20)는 수용홈부(230)의 제2측면(232)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패널(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때 발생한 휨모멘트에 의해 수용홈부(230)의 일부 및 결합홈부(220)의 제2하부면(223)을 포함한 면이 휘어지게 된다.
수용홈부(230)의 일부 및 결합홈부(220)의 제2하부면(223)을 포함한 면이 휘어지게 되면, 수용홈부(230)에 고정된 결합부재(20)에서 발생한 휨모멘트가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홈부(230)에서 발생된 휨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210)가 제1패널(200a)의 결합홈부(22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제1패널(200a) 및 제2패널(200b)간의 조립의 안정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홈부(220)의 제2상부면(221), 제2하부면(223)과 커버면(240)이 서로 중첩되는 제1영역(A1) 및/또는 결합홈부(220)의 제2하부면(222) 중 제2영역(A2)이 휘어짐으로써, 수용홈부(230)에 중앙 부분(X1)에서 벗어난 부위에 결합부재(20)가 결합됨으로써 발생한 휨모멘트가 마감 패널(200)의 결합돌기(210)에서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의 휨모멘트가 저감되므로, 제2패널(200b)의 결합돌기가 제1패널(200a)의 결합홈부로부터 이탈되는 힘이 줄어듦으로, 패널 간 조립의 견고함이 우수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4b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영역(A1)의 제2절곡부(222) 및/또는 제4절곡부(242)의 절곡된 각도가 변하며 커버면(240) 및 결합돌기(210)에 발생하는 휨모멘트가 저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절곡부(222) 및/또는 제4절곡부(242)의 절곡된 각도가 변하며 휨모멘트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도 14b에서는 결합부재(20)가 수용홈부(230)의 중앙 부분(X1)에서 외측으로 벗어나는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부재(20)가 수용홈부(230)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벗어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된 휨모멘트가 커버면(240) 및 결합돌기(210)에 전달되는 휨모멘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은 두께가 얇은 마감 패널에 의하여 넓은 내부공간을 확보 가능하고, 바닥 패널 및 천장 패널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패널 및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마감 패널도 화재에 강한 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재 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조립식 주택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내장 마감 패널(200')은 도 11a에 도시된 마감 패널(100)과 비교하였을 때, 결합돌기(210')의 형상 및 휨억제절곡부(251)가 부가된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감 패널(200')의 결합돌기(210')의 제1절곡부(212')는 135도 이상 180도 이하로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210')는 제1상부면(211'), 제1절곡부(212') 및 제1하부면(213')를 포함한다. 이때, 제1상부면(211')와 제1하부면(213')를 연결하는 제1절곡부(212')가 휘어진 각도는 약 135도 이상 18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돌기(210')의 제1상부면(211')와 제1하부면(213')가 이루는 각도는 결합홈부(220)의 제2절곡부(222)의 절곡된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을 참조하면, 결합돌기(210')의 제1상부면(211')와 제1하부면(213')가 이루는 각도(Θ)는 30도이다. 그리고, 결합홈부(220)의 제2절곡부(222)의 절곡된 각도는 180도이므로, 결합홈부(220)의 제2상부면(221)과 제2하부면(223)은 서로 평행하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210')를 결합홈부(220)에 끼움결합 시, 결합돌기(210')의 벌어졌던 제1상부면(211')와 제1하부면(213') 사이의 각도가 줄어들면서 제1상부면(211')와 제1하부면(213')가 다시 벌어지려는 복원력에 의해 결합돌기(210')는 타 패널의 결합홈부(220)에 강한 마찰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패널의 결합돌기(210')와 타 패널의 결합홈부(22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상부면(211')와 제1하부면(213')이 이루는 각도(Θ)가 45도보다 큰 경우, 제1상부면(211')와 제1하부면(213')이 이루는 각도(Θ)가 줄어들기 위한 힘이 커지므로, 일 마감 패널(200')의 결합돌기(210')가 타 패널의 결합홈부(220)에 끼움 삽입될 때 끼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210')가 타 패널의 결합홈부(220)에 끼움 결합 되기 전에 다른 물체에 걸림되어 제1상부면(211')와 제1하부면(213')가 이루는 각도(Θ)가 더 벌어지는 위험성도 있다.
또한, 제1절곡부(212')가 절곡된 각도가 180도 이상인 경우, 일 패널의 결합돌기(210')가 타 패널의 결합홈부(220)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결합돌기(210')의 외면과 결합홈부의 내면이 전면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부분이 발생하여 접촉에 의한 결합력이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상부면(211')와 제1하부면(213')가 이루는 각도(Θ)는 약 0도 이상 45도 이하, 더욱이 0도 이상 3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장 마감 패널(200')은 수용홈부(230)와 인접한 단부에 제3면(L3)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휨억제절곡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휨억제절곡부(251)는 도 14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수용홈부(230)에 결합부재가 오 시공됨에 따라 발생하는 휨모멘트에 의해, 수용홈부(230)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편 단부인 결합돌기(210')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휨억제절곡부(251)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 단부에 위치된다. 휨억제절곡부(251)는 수용홈부(230)의 제2 측면(23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3면(L3)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된다. 즉, 제3면(L3)에 위치하는 수용홈부 하부면(233)에서 제2측면(232)은 제2면(L2)을 향해 연장되고, 휨억제절곡부(251)는 제2측면(232)로부터 다시 제3면(L3)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결합부재가 수용홈부 하부면(233)의 중앙 부분(X1)에 시공되지 않은 경우, 특히 결합부재가 수용홈부 하부면(233)의 중앙 부분(X1)에서 마감 패널(200')의 단부측으로 어긋나서 시공되는 경우 휨억제절곡부(251)가 휘어져 콘크리트 패널(100)에 지지됨으로써, 휨모멘트가 크게 발생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주택의 루프프레임과 상단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루프프레임 및 상단프레임만 도시하였다.
도 16을 참조하면, 복수의 결합프레임(73)은 서로 경사지게 결합되며 배치되는 두 루프프레임(70)의 끝부분에 가깝게 각각 배치된다. 결합프레임(73)은 루프프레임(70)과 경사를 이루며, 지면과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루프프레임(70)이 상단프레임(50)을 덮으면, 상단프레임(50)은 서로 이격된 두 결합프레임(7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결합프레임(73) 및 상단프레임(50)에 각각 구비된 홀을 통해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118)가 삽입되어 결합프레임(73)과 상단프레임(5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단프레임(50)에는 고정부재(118)가 볼트인 경우에 이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프레임(73)과 상단프레임(50)이 보다 용이하고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의 루프프레임(70)은 하단에 상단프레임(50)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프레임(73)을 구비함으로써, 루프프레임(70)과 상단프레임(50)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주택이 필요한 곳에 루프프레임(70)을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반 후, 용이하게 루프프레임(70)과 상단프레임(5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루프프레임(70)을 조립하지 않고 이동이 용이하므로 운반하는 교통수단에 보다 많은 부재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루프프레임(70)을 결합하지 않으므로 운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도로교통 상황에 따른 높이에 대한 제한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베이스프레임 12:레그
15:바닥 패널 20:결합부재
30:컬럼프레임 50:상단프레임
55:천장 패널 70:루프프레임
100:건축용 패널 75:지붕 패널
101:출입문 102:창문
111:제1 섬유강화보드 112:제2 섬유강화보드
113:충진콘크리트층 1131:결속섬유사
114:보강재 115:단열부재
116:전선삽입구 117:온열수단
117a:발열선 118:고정부재
119:결속부재 102:중공구조체
200, 200':패널, 마감 패널 210, 210':결합돌기
211, 211':제1상부면 212, 212':제1절곡부
213, 213':제1하부면 220:결합홈부
221:제2상부면 222:제2절곡부
223:제2하부면 230:수용홈부
231:제1측면 232:제2측면
233:수용홈부 하부면 234:수용홈
240:커버면 241:제3절곡부
242:제4절곡부 290:중간부재
251:휨억제절곡부 1000:조립식 주택
A1:제1영역 A2:제2영역
h:수용홈부 측면의 높이 L1:제1면
L2:제2면 L3:제3면

Claims (11)

  1. 편평한 바닥을 갖는 기초부재 상에 서로 조립되어 지지되는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일면에 결합되고, 서로 조립가능한 마감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셀룰로오스 섬유, 시멘트, 규사 및 물을 주성분으로 혼합하여 판재 형태로 성형한 제1 섬유강화보드;
    셀룰로오스 섬유, 시멘트, 규사 및 물을 주성분으로 혼합하여 판재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섬유강화보드; 및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에 충진되어 양생되는 충진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콘크리트층은 결속섬유사가 포함되어 양생되는, 조립식 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단열기능의 향상과 하중 저감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진콘크리트층에 내부에 배치되는 발포수지 알갱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섬유사는 유리섬유사로 구성되되, 상기 유리섬유사는 상기 충진콘크리트층의 두께와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갖는 단섬유인, 조립식 주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발열선;
    상기 발열선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 또는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충진콘크리트층과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결속망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경량화와 건축용 매입라인의 인입을 위해 상기 제1 섬유강화보드와 상기 제2 섬유강화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중공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공구조체는,
    복수의 삽입실이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된 구조체몸체; 및
    상기 구조체몸체의 외면에 돌출되어 충진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돌기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6.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되어 바닥 패널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각각 연직으로 연결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지지하는 컬럼프레임;
    상기 컬럼프레임의 상단과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천장 패널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상단프레임과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프레임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루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프레임은,
    상기 루프프레임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 배치되고, 상기 상단프레임의 일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상단프레임과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패널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 단부에 형성되고, 내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절곡되어 돌출되는 결합돌기;
    타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가능한 결합홈을 형성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타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결합부재가 수용가능한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부를 연결하며 길게 형성되는 커버면을 포함하고,
    일 패널의 수용홈부에 결합부재가 수용된 후, 타 패널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된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면에 의해 덮히는, 조립식 주택.
  8. 제7항에 있어서,
    제1면은 상기 커버면을 포함하는 평면이고, 제2면은 상기 결합홈부의 하부면이 포함하는 평면이며, 제3면은 상기 수용홈부의 하부면이 포함하는 평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면은 상기 제2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조립식 주택.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패널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커버면 사이에 개재되어 단열 능력, 흡음 능력 또는 단열 및 흡음 능력을 높이는 중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중간부재 수용공간이 형성하도록, 상기 커버면,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커버면 하부로 3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조립식 주택.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을 양 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양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 측면은,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부재가 수용되는 경우, 고정된 결합부재의 상단이 상기 제2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는, 조립식 주택.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패널은,
    상기 수용홈부와 인접한 단부는,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부재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부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편 단부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3면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휨억제절곡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KR1020170169075A 2017-12-11 2017-12-11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KR10220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075A KR102203227B1 (ko) 2017-12-11 2017-12-11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075A KR102203227B1 (ko) 2017-12-11 2017-12-11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866A true KR20190068866A (ko) 2019-06-19
KR102203227B1 KR102203227B1 (ko) 2021-01-14

Family

ID=6710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075A KR102203227B1 (ko) 2017-12-11 2017-12-11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2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994B1 (ko) * 2019-08-08 2020-05-12 김성길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49999B1 (ko) 2020-09-29 2021-05-11 (주)대승엔지니어링 모듈러 교실용 바닥조인트
KR102276732B1 (ko) 2020-09-29 2021-07-13 (주)대승엔지니어링 모듈러 교실 지붕용 트러스 지지조인트
WO2021261717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모콘에스티 조립식 마감 패널
KR20220041279A (ko) * 2020-09-24 2022-04-01 주식회사 해광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86Y1 (ko) * 2002-08-08 2002-10-30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건물벽면용 장식패널의 이음장치
KR200394267Y1 (ko) * 2005-03-25 2005-08-31 장재식 마감재가 부착되고 중공파이프가 내장된 콘크리트 패널
KR100887460B1 (ko) * 2000-10-10 2009-03-10 제임스 하디 인터내셔널 파이낸스 비.브이. 복합 건축 재료
KR20090072338A (ko) * 2007-12-28 2009-07-02 청우산업 주식회사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19046A (ko) * 2011-04-20 2012-10-30 (주)에이스 패널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KR20140008144A (ko) 2012-07-11 2014-01-21 김정영 조립식 주택용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주택의 조립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60B1 (ko) * 2000-10-10 2009-03-10 제임스 하디 인터내셔널 파이낸스 비.브이. 복합 건축 재료
KR200293486Y1 (ko) * 2002-08-08 2002-10-30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건물벽면용 장식패널의 이음장치
KR200394267Y1 (ko) * 2005-03-25 2005-08-31 장재식 마감재가 부착되고 중공파이프가 내장된 콘크리트 패널
KR20090072338A (ko) * 2007-12-28 2009-07-02 청우산업 주식회사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19046A (ko) * 2011-04-20 2012-10-30 (주)에이스 패널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KR20140008144A (ko) 2012-07-11 2014-01-21 김정영 조립식 주택용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주택의 조립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994B1 (ko) * 2019-08-08 2020-05-12 김성길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21261717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모콘에스티 조립식 마감 패널
KR20220041279A (ko) * 2020-09-24 2022-04-01 주식회사 해광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KR102249999B1 (ko) 2020-09-29 2021-05-11 (주)대승엔지니어링 모듈러 교실용 바닥조인트
KR102276732B1 (ko) 2020-09-29 2021-07-13 (주)대승엔지니어링 모듈러 교실 지붕용 트러스 지지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227B1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8866A (ko)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JP4586136B2 (ja) 繊維補強圧縮セメント板とコンクリート補強構造用の穴を有する金属間柱を含む発泡プラスチック一体固定式枠型パネルシステム
KR102136753B1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WO2014106367A1 (zh) 一种预制板及其固定安装结构
HU220484B1 (hu) Építőpanel, panelgyártási eljárás, épületszerkezeti alapozáspanel, épületalapozás, eljárás burkolóelem utószilárduló anyagú felületre történő rögzítésére, épületszerkezet, többszintes épület, valamint háromdimenziós szerkezet
US20130086850A1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ing light weight panels
RU73889U1 (ru) Стена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JP2023538247A (ja) ルースフィル断熱建築物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98239A (ko)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KR101642294B1 (ko) 단열 패널을 이용한 양면 고단열 벽체 시공 구조
KR101173688B1 (ko)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사용한 모듈러 유닛 시스템
KR101375028B1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JP5378265B2 (ja) 木造建築物の断熱構造
KR102197479B1 (ko) 건축용 패널
CN110761445A (zh) 一种刚性拼接结构及装配式墙体和制备安装方法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RU2380492C2 (ru) Каркасно-панельное здание
RU76357U1 (ru) Каркасно-панельное здание
KR102173559B1 (ko)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 건축용 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147840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프리패브 바닥 시스템
KR102551776B1 (ko) 각관들을 바탕으로 내진설계가 가능한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 방법
CN218091600U (zh) 轻钢结构复合有肋轻质墙板
KR20090006198U (ko) 경량 격벽
KR200493607Y1 (ko) 건축용 복합 유로폼
KR200465954Y1 (ko) 욕실용 천장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