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046A -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 Google Patents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046A
KR20120119046A KR1020110036780A KR20110036780A KR20120119046A KR 20120119046 A KR20120119046 A KR 20120119046A KR 1020110036780 A KR1020110036780 A KR 1020110036780A KR 20110036780 A KR20110036780 A KR 20110036780A KR 20120119046 A KR20120119046 A KR 20120119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concrete
formwork
hollow
core
concre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1702B1 (ko
Inventor
정갑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 패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 패널 filed Critical (주)에이스 패널
Priority to KR1020110036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7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5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from mixtures containing fibres, e.g. asbestos cement
    • B28B1/52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from mixtures containing fibres, e.g. asbestos cement for produc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4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forcing cores into filled moulds for forming hollow articles
    • B28B1/445Hollow punche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81Embedding aggregates to obtain particular properties
    • B28B23/0087Lightweight aggregates for making lightweigh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9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interlocking means, e.g. grooves and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재료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건물의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로 사용되는 중공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으로 제조된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 콘크리트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통상의 경량콘크리트패널과 동일하게 양 측변에는 섬유보강 시멘트보드(1)가 있고, 두 매의 섬유보강 시멘트보드(1) 사이에는 경량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시킨 경량콘크리트층(2)이 형성되는데, 경량콘크리트층(2)에는 다수개의 중공(3)이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거푸집제작단계, 코어설치단계, 콘크리트주입단계, 코어제거단계, 그리고 거푸집해체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의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더울 줄여 한층더 경량화되고, 벽면에 전기스위치, 콘센트 등의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Weight Hollowed Concrete Panel for Building Wall and a Light Weight Hollowed Concrete Panel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건축재료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건물의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로 사용되는 중공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으로 제조된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 콘크리트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로는 벽돌 또는 시멘트 블록을 쌓아 벽을 형성하는 조적벽, 평판인 석고보드를 여러 겹 겹쳐서 제작한 석고보드로 벽을 형성하는 석고보드 벽, 큰크리트를 압출하여 평판 형태로 성형한 다음 이를 경화시켜 제조한 압출성형 콘크리트 판으로 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압출성형 벽,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두 장의 섬유보강 콘크리트판 사이에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켜 제조한 경량콘크리트 패널로 벽을 형성하는 경량콘크리트패널 벽 등이 있다.
상기 벽체 중 조적 벽은 자재 조달이 용이하고 공사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중량이 많이 나가 건물 구조체에 하중부담을 많이 주고, 작업 속도가 느리고, 숙련공이 아니면 시공이 어렵고, 동절기에는 시공이 불가능하고, 그리고 벽체 내부에 전선관 등을 매설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석고보드 벽은 자재 조달이 용이하고 자재가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건물 구조체에 하중부담을 적게 주고 시공이 용이하고 현장 작업속도가 빠르고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한 등의 장점이 있으나, 강도가 약하고 파손이 잘 일어나고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하여 큰 구조전달음(Structure Borne Noise)이 발생하고, 물기나 습기에 취약하여 파손이 잘 일어나고 재료가 연약하여 못박기 등이 불가능하고 내부에 전선관 등을 매설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콘크리트압출성형 벽은 시공이 용이하고 겨울철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물과 습기에 강한 등의 장점이 있으나, 무게가 무거워 건물구조체에 하중부담을 많이 주고 취급이 어렵고 틈새 처리가 어렵고 내부에 전선관 등을 매설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각종 벽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 건물의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로 경량콘크리트패널 벽이 많이 시공되고 있다. 경량콘크리트패널 벽은 콘크리트압출성형 벽에 비하여 가벼워서 건물 구조체에 하중부담을 적게 주고, 물기나 습기에 강하고, 현장 시공이 용이하고, 경량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전선관을 미리 패널의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전선관 등을 벽체의 내부에 매설하는 것이 용이하고, 겨울철에도 시공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 국가 공업규격인 KS F 4738은 경량콘크리트 벽판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벽판의 양 표면에는 섬유보강 시멘트 보드를 두고 그 사이에 시멘트혼합물을 타설하여 경화시킨 것이다. 여기에 사용하는 시멘트 혼합물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EPS 폴을 분쇄한 것과 시멘트를 혼합한 후 AE재 등 기포를 형성하는 재료를 첨가하고 물과 함께 혼합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든 것이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패널은 상기 KS F 4738에 규정된 경량콘크리트 벽판과 동일하다.
경량콘크리트패널 벽이 상기와 같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석고보드 벽에 비하여 중량이 많이 나가고, 전선관을 매설하려면 합성수지로 제작된 전선관을 매설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고, 건물의 각 부위에 소요되는 전기 전화선 등의 위치를 사전에 일일이 파악하여 패널을 제작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남아있다.
또한 벽을 시공한 후에 벽체의 내부 깊은 곳에 매설되어 있는 전선관을 찾아 전선 등을 인출하여 전기스위치, 콘센트 등의 기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경량콘크리트패널 벽에 넓은 홈을 파야하고(이를 "할석"이라고 함.), 또한 기구를 고정한 이후에는 우레탄이 또는 시멘트 몰탈 등을 이용하여 기구 주변의 홈을 메워 주어야 한다. 이렇게 메운 면에 도배나 도장을 하기 위해서는 수지 미장을 해야 하는 등 여러 차례의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표면이 거칠어지고 미관이 나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경량콘크리트패널 벽은 여타 벽체 구조에 비하여 많은 장점이 있으나, 여전히 중량이 상당하고 또한 전기스위치, 콘센트 등의 기구를 설치하는 데 따르는 문제점들이 남아 있다. 이와 같은 경량콘크리트패널 벽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경량콘크리트패널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큰 공간인 중공(이하 이를 "중공"이라 칭하고, 이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경량콘크리트패널을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이라 칭한다.)을 형성하면 되는데, 비교적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긴 경량콘크리트패널에 중공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않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이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건물의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로서 많은 장점이 있는 경량콘크리트패널 벽을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경량콘크리트패널에 중공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통상의 경량콘크리트패널과 동일하게 양 측변에는 섬유보강 시멘트보드(1)가 있고, 두 매의 섬유보강 시멘트보드(1) 사이에는 경량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시킨 경량콘크리트층(2)이 형성된다. 경량콘크리트층(2)에는 다수개의 중공(3)이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 중공(3)의 크기는 지름 또는 한 변의 길이가 경량콘크리트층(2) 두께의 1/2 이상이 되도록 충분히 크다.
상기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을 제조하는 작업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1단계 : 바닥판(21) 위에 전면블록(22)과 후면블록(23)을 설치하고, 전면블록(22)과 후면블록(23)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드홈(222, 232)에 각각 시멘트보드(1)를 끼우고, 그리고 두 개의 측면판(24)을 시멘트보드(1)에 밀착시켜 세운 후 바닥판(21), 전면블록(22), 후면블록(23), 그리고 두 측면판(24)을 서로 결속하여 거푸집(20)을 제작하는 거푸집제작단계;
제2단계 : 상기와 같이 제작된 거푸집(20)의 상단 개구부로 코어결합체(30)를 삽입하여, 거푸집(20) 내부에 코어결합체(30)를 장착하는 코어설치단계;
제3단계 : 상기와 같이 코어결합체(30)가 설치된 거푸집(20)에 경량콘크리트 슬러리를 주입하는 콘크리트주입단계;
제4단계 : 상기와 같이 거푸집에 경량콘크리트 슬러리를 주입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경량콘크리트가 중결단계에 이르면, 코어결합체(30)를 수직 상방으로 끌어올려 하여 제거하는 코어제거단계;
제5단계 : 상기와 같이 코어결합체(30)를 제거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경량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면 거푸집(20)을 해체하는 거푸집해체단계;
본 발명의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더울 줄여 한층더 경량화하였고, 중공의 내부로 전선, 전화선, TV 안테나선 등 각종 선들이 통과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설계된 중공의 위치에 따라 외부에서 중공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고, 또한 중공과 벽 외면 사이의 두께가 얇아 할석이 용이하므로 경량콘크리트패널 벽면에 전기스위치, 콘센트 등의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과도하게 할석된 곳의 메우기, 수지미장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고 또한 벽면이 미려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형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과 코어결합체가 결합된 형상이다.
도 3은 거푸집의 바닥판 형상이다.
도 4는 코어결합체의 형상이다.
도 5는 양생 중인 콘크리트의 온도변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형상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데, 통상의 경량콘크리트패널과 동일하게 양 측변에는 섬유보강 시멘트보드(1)가 있고, 두 장의 섬유보강 시멘트보드(1) 사이에는 경량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시킨 경량콘크리트층(2)이 형성되는데, 이는 KS F 4738에 규정된 경량콘크리트 벽판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상기와 같은 통상의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경량콘크리트층(2)에 단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한 개 또는 2개 이상 다수개의 중공(3)이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 중공(3)의 크기는 경량콘크리트층(2) 두께의 1/2 이상으로 충분히 크게 한다. 중공(3)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사각형 등으로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경량콘크리트층(2)의 전면에는 결합돌기(4)가 돌출되어 있고(이하 이 결합돌기가 돌출된 쪽을 전면이라 한다.), 후면에는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타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결합돌기(4)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멘트보드(1)와 경량콘크리트층(2)이 만나는 4 모서리에는 패널고정홈(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은 본 발명의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거푸집(20)과 코어결합체(30)를 먼저 준비해야 하는데, 거푸집(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1), 전면블록(22), 후면블록(23), 그리고 두 개의 측면판(24)로 구성된다.
거푸집(20)의 바닥판(21)은 상면이 평면인 평단이면 되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블록(22), 후면블록(23), 그리고 두 개의 측면판(24)이 각각 4 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에 바닥홈(211)을 형성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의 (a)와 같이 바닥홈(211)에 코어결합체(30)의 코어가 자리할 수 있는 코어홈(212)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3의 (b)와 같이, 코어홈(212) 대신에 코어가이드(21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코어홈(212) 또는 코어가이드(213)는 바닥홈(211)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데, 제작하고자 하는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중공(3)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중공(3)의 개수만큼 구비한다.
거푸집(20)의 전면블록(22)은 중앙에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결합돌기(4)가 형성될 수 있게 하는 돌기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양 가장자리에는 시멘트보드(1)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거푸집(20)의 후면블록(23)은 중앙에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결합홈(5)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홈형성돌기(231)가 형성되어 있고 양 가장자리에는 시멘트보드(1)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보드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판(24)은 전면블록(22)과 후면블록(23)의 양 측면과 접하여 시멘트보드(1)를 바쳐주는 것으로서, 평판이면 족하다. 두 측면판(24) 중 어느 하나에는 온도계(241)를 삽입할 수 있는 온도계구멍(24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면블록(22), 후면블록(23), 그리고 두 개의 측면판(24)은 하단이 상기 바닥판(21) 위에 놓이거나 바닥판(21)에 형성된 바닥홈(211)에 삽입되고 서로 결속되어 거푸집(20)을 형성한다.
코어결합체(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봉(31)과 결속구조물(32)로 구성되는데, 코어봉(31)은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중공(3)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크기와 단면형상은 형성하고자 하는 중공의 크기와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하고, 길이는 제작하고자 하는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길이보다 길게 하여 거푸집(20)의 상단 개구부로 경량콘크리트 슬러리를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코어봉(31)은 속이 찬 금속봉 또는 합성수지봉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무게를 가볍게 하고 또한 거푸집(20)의 바닥판(21)에 코어가이드(213)를 구비한 경우 내부로 코어가이드(2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속이 빈 파이프로 제작하되, 다수 회 사용시 마모를 고려하여 금속재 파이프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코어봉(31)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도록 테이퍼를 주면 나중에 코어봉(31)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코어결합체(30)는 단순히 코어봉(31)을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중공(3)의 개수만큼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코어봉(31)을 그 상단을 결속구조물(32)로 결속하여, 한꺼번에 거푸집(20)에 장착하거나 제거하면 제조작업이 훨씬 능률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푸집(20)과 코어결합체(30)를 이용하여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을 제조하는 작업 단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한다.
제1단계 : 바닥판(21) 위에 전면블록(22)과 후면블록(23)을 설치하고, 전면블록(22)과 후면블록(23)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드홈(222, 232)에 각각 시멘트보드(1)를 끼우고, 그리고 두 개의 측면판(24)을 시멘트보드(1)에 밀착시켜 세운 후 바닥판(21), 전면블록(22), 후면블록(23), 그리고 두 측면판(24)을 서로 결속하여 거푸집(20)을 제작하는 거푸집제작단계;
제2단계 : 상기와 같이 제작된 거푸집(20)의 상단 개구부로 코어결합체(30)를 삽입하여, 거푸집(20) 내부에 코어결합체(30)를 장착하는 코어설치단계;
제3단계 : 상기와 같이 코어결합체(30)가 설치된 거푸집(20)에 경량콘크리트 슬러리를 주입하는 콘크리트주입단계;
제4단계 : 상기와 같이 거푸집에 경량콘크리트 슬러리를 주입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경량콘크리트가 중결단계에 이르면, 코어결합체(30)를 수직 상방으로 끌어올려 하여 제거하는 코어제거단계;
제5단계 : 상기와 같이 코어결합체(30)를 제거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경량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면 거푸집(20)을 해체하는 거푸집해체단계;
상기와 같은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을 제조하는 작업 단계 중 제4단계의 코어제거단계를 행하는 시점이 대단히 중요한데, 코어결합체(30)는 반드시 경량콘크리트가 적절한 정도로 경화된 중결단계에서 제거해야한다. 경량콘크리트가 미처 경화되기 전인 초결단계에서 코어결합체(30)를 제거하면 고어를 제거하는 과정 또는 코어를 제거한 후에 경량콘크리트가 코어봉(31)이 있던 공간으로 무너져 내릴 위험이 있다.
그리고 경량콘크리트가 과도하게 경화된 후인 종결단계에서 코어결합체(30)를 제거하려고 하면, 코어봉(31)과 경량콘크리트가 결착되어 코어결합체(30)에 무리한 힘을 가해야만 코어결합체(30)가 제거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직 경화 중에 있는 경량콘크리트가 파손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코어결합체(30)를 양생중인 경량콘크리트의 중결단계에서 제거해야 하는데, 콘크리트 관련분야에 일정한 지식이나 경험을 가진 자라면 사용하는 시멘트, 외기 온도, 물/시멘트비, 제품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
시멘트 슬러리가 양생될 때는 물이 시멘트와 수화반응을 하면서 열이 발생하면서 경화가 진행된다. 콘크리트가 양생될 동안 온도 변화는 대략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데, 양생중인 콘크리트는 최초 시멘트 슬러리의 온도(Ti)에서 시작하여 수화반응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온도상승률이 점점 증가하면서 온도가 상승하다가, 어느 시점(도 5의 a점)에 이르면 수화반응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온도상승률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온도가 선형적으로 상승하고, 더욱 시간이 경과하면(도 5의 b점) 수화반응이 느려지면서 온도상승률이 점점 감소하면서 온도가 상승하다가, 어느 시점(도 5의 c점)에서 수화반응이 종료되어 온도가 최고온도(Tmax)에 이른다. 그 후 콘크리트의 온도는 급격히 낮아지고 종국적으로 대기온도(To)와 같아진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양생 단계에서, 콘크리트의 온도상승률이 점점 증가하는 구간을 초결단계, 온도상승률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간을 중결단계, 그리고 온도상승률이 점점 감소하는 구간을 종결단계로 구분한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양생될 동안 온도변화를 계속 모니터링하면 중결구간인 온도상승률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간을 찾아낼 수 있고, 이때 코어결합체(30)를 거푸집(20)에서 제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양생중인 콘크리트의 온도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거푸집(20)의 측면판(24)에 온도계구멍(242)을 형성하고 여기에 온도계(241)의 온도감지부위를 삽입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계로는 열전대(Thermo-Couple)을 사용하면 온도변화를 모니터링하기에 편리하다.
거푸집(20)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을 제조하는 것이 콘크리트 슬러리를 거푸집에 충진하는 것이 용이한데, 이 경우 코어결합체(30)는 수직으로 상승시키면서 제거한다. 코어결합체(3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코어봉(31)이 경량콘크리트층(2)에 과도한 힘을 가하면 아직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경량콘크리트층(2)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수직상승운동을 하는 기계를 이용하여 코어결합체(30)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거푸집(20)의 바닥판(21)에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가이드(213)가 설치되어 있고, 코어결합체(30)의 코어봉(31)이 파이프로 제작되어 코어가이드(213)가 코어봉(31)에 삽입되는 구조일 경우, 코어결합체(3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코어봉(31)이 경량콘크리트층(2)을 손상시킬 위험도가 낮아진다.
1 : 시멘트보드, 2 : 경량콘크리트층, 3 : 중공,
4 : 결합돌기, 5 : 결합홈, 6 :패널고정홈
20 : 거푸집, 21 : 바닥판, 22 : 전면블록, 23 : 후면블록, 24 : 측면판,
211 : 바닥홈, 212 : 코어홈, 213 : 코어가이드,
221 : 돌기홈, 222 : 보드홈, 231 : 홈형성돌기, 232 : 보드홈,
241 : 온도계, 242 : 온도계구멍,
30 : 코어결합체, 31 : 코어봉 32 :결속구조물.

Claims (6)

  1. 상면이 평면인 바닥판(21), 중앙에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게 하는 돌기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양 가장자리에는 시멘트보드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블록(22), 중앙에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홈형성돌기(231)가 형성되어 있고 양 가장자리에는 시멘트보드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보드홈(232)이 형성되어 있는 후면블록(23), 그리고 평판인 2개의 측면판(24)으로 구성되는 거푸집(20)과,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장착되어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중공(3)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크기와 단면형상은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에 형성하고자 하는 중공의 크기와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하고, 길이는 제작하고자 하는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길이보다 길게 하여 거푸집(20)의 상단 개구부로 돌출되는 코어봉(31)을 구비한 코어결합체(30)를 이용하여,
    제1단계 : 상기 거푸집(20)의 바닥판(21) 위에 전면블록(22)과 후면블록(23)을 설치하고, 전면블록(22)과 후면블록(23)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드홈(222, 232))에 각각 시멘트보드(1)를 끼우고, 그리고 두 개의 측면판(24)을 시멘트보드(1)에 밀착시켜 세운 후 바닥판(21), 전면블록(22), 후면블록(23), 그리고 두 측면판(24)을 서로 결속하여 거푸집(20)을 제작하는 거푸집제작단계;
    제2단계 : 상기와 같이 제작된 거푸집(20)의 상단 개구부로 상기 코어결합체(30)를 삽입하여, 거푸집(20) 내부에 코어결합체(30)를 장착하는 코어설치단계;
    제3단계 : 상기와 같이 코어결합체(30)가 설치된 거푸집(20)에 경량콘크리트 슬러리를 주입하는 콘크리트주입단계;
    제4단계 : 상기와 같이 거푸집에 경량콘크리트 슬러리를 주입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경량콘크리트가 일정 정도로 경화된 후 코어결합체(30)를 수직 상방으로 끌어올려 제거하는 코어제거단계; 그리고,
    제5단계 : 상기와 같이 코어결합체(30)를 제거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경량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면 거푸집(20)을 해체하는 거푸집해체단계;
    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을 제조하는,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코어제거단계는,
    경량콘크리트의 코어결합체(30)를 거푸집(20)에 주입되어 양생되는 경량 콘크리트의 온도상승률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중결단계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0)의 바닥판(21)은 전면블록(22), 후면블록(23), 그리고 두 개의 측면판(24)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닥홈(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홈(211)에는 코어결합체(30)의 코어봉(31)이 자리할 수 있는 코어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0)의 바닥판(21)은 전면블록(22), 후면블록(23), 그리고 두 개의 측면판(24)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닥홈(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홈(211)에는 코어가이드(213)를 구비되어 있고,
    상기 코어결합체(30)의 코어봉(31)은 상기 코어가이드(213)가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로 제작한 것으로서,
    코어결합체(30)를 거푸집(20)에 장착했을 때 상기 코어가이드(213)가 코어봉(3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양면에는 섬유보강 시멘트보드(1)가 구비되고, 상기 두 매의 섬유보강 시멘트보드(1) 사이에는 경량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시킨 경량콘크리트층(2)이 형성되고, 상기 경량콘크리트층(2)에 단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한 개 또는 2개 이상 다수개의 중공(3)이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은,
    경량콘크리트층(2)의 전면에는 결합돌기(4)가 돌출되어 있고, 경량콘크리트층(2)의 후면에는 상기 결합돌기(4)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KR1020110036780A 2011-04-20 2011-04-20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KR10121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780A KR101211702B1 (ko) 2011-04-20 2011-04-20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780A KR101211702B1 (ko) 2011-04-20 2011-04-20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046A true KR20120119046A (ko) 2012-10-30
KR101211702B1 KR101211702B1 (ko) 2012-12-12

Family

ID=4728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780A KR101211702B1 (ko) 2011-04-20 2011-04-20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702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66B1 (ko) * 2013-04-10 2014-03-07 신종무 벽체용 중공형 마그네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공형 마그네슘 패널
KR101482692B1 (ko) * 2014-03-17 2015-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친환경 비정질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20180080392A (ko) * 2017-01-02 2018-07-12 주식회사 한국건우엔지니어링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0389A (ko) * 2017-01-02 2018-07-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18385A (ko) * 2017-04-21 2018-10-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31354B1 (ko) * 2018-09-28 2019-03-13 제일기포이엔지 주식회사 모듈화 된 중공형 경량벽체
KR20190068866A (ko) * 2017-12-11 2019-06-19 박구현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CN110528805A (zh) * 2019-09-06 2019-12-03 唐山市罗尼奥新材料科技有限公司 装饰用轻质墙板及其生产工艺
KR20200124073A (ko) 2019-04-23 2020-11-02 유병훈 수평으로 조립 설치되는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90807A (ko) * 2020-01-13 2021-07-21 오유상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단열블럭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단열블럭
KR102292484B1 (ko) * 2021-01-05 2021-08-2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강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KR102292485B1 (ko) * 2021-01-05 2021-08-2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KR102293649B1 (ko) * 2021-01-05 2021-08-27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중공 슬래브 성형 장치
KR102293652B1 (ko) * 2021-01-05 2021-08-27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다중 진동 장치를 이용한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KR102293650B1 (ko) * 2021-01-05 2021-08-27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KR102312289B1 (ko) * 2021-01-05 2021-10-1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몰드 적층 양생을 이용한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KR102312288B1 (ko) * 2021-01-05 2021-10-1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중공 슬래브 성형용 중공 파이프
CN114012874A (zh) * 2021-12-02 2022-02-0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配电箱混凝土过梁钢模、组装结构及施工方法
AU2021201069B2 (en) * 2019-11-08 2022-04-07 Norman Gordon Pask A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4687484A (zh) * 2020-12-28 2022-07-01 赵训 一种免拆模板现浇石膏空心墙体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59B1 (ko) * 2001-10-12 2004-03-18 김헌수 건축용 경량 요철 마감블럭
KR200394269Y1 (ko) 2005-03-25 2005-08-31 장재식 중공 파이프가 내장된 콘크리트 패널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66B1 (ko) * 2013-04-10 2014-03-07 신종무 벽체용 중공형 마그네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공형 마그네슘 패널
KR101482692B1 (ko) * 2014-03-17 2015-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친환경 비정질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20180080392A (ko) * 2017-01-02 2018-07-12 주식회사 한국건우엔지니어링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0389A (ko) * 2017-01-02 2018-07-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18385A (ko) * 2017-04-21 2018-10-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68866A (ko) * 2017-12-11 2019-06-19 박구현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KR101931354B1 (ko) * 2018-09-28 2019-03-13 제일기포이엔지 주식회사 모듈화 된 중공형 경량벽체
KR20200124073A (ko) 2019-04-23 2020-11-02 유병훈 수평으로 조립 설치되는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0528805A (zh) * 2019-09-06 2019-12-03 唐山市罗尼奥新材料科技有限公司 装饰用轻质墙板及其生产工艺
AU2021201069B2 (en) * 2019-11-08 2022-04-07 Norman Gordon Pask A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210090807A (ko) * 2020-01-13 2021-07-21 오유상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단열블럭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단열블럭
CN114687484A (zh) * 2020-12-28 2022-07-01 赵训 一种免拆模板现浇石膏空心墙体及其施工方法
KR102292484B1 (ko) * 2021-01-05 2021-08-2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강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KR102293652B1 (ko) * 2021-01-05 2021-08-27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다중 진동 장치를 이용한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KR102293650B1 (ko) * 2021-01-05 2021-08-27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KR102312289B1 (ko) * 2021-01-05 2021-10-1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몰드 적층 양생을 이용한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KR102312288B1 (ko) * 2021-01-05 2021-10-1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중공 슬래브 성형용 중공 파이프
KR102293649B1 (ko) * 2021-01-05 2021-08-27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중공 슬래브 성형 장치
KR102292485B1 (ko) * 2021-01-05 2021-08-25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CN114012874A (zh) * 2021-12-02 2022-02-0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配电箱混凝土过梁钢模、组装结构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702B1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702B1 (ko) 건물 벽체용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중공 경량콘크리트패널
US9187915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made of dried soil and temporary frame used in same
KR101986990B1 (ko)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US10422133B2 (en) Precast concrete composite wall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9980035620A (ko) 조립식 철골조(steel house)와 이를 이용한 건축공법
CN205024949U (zh) 带保温层的钢筋桁架石膏板、新型免拆模板
CN105113706A (zh) 带保温层的钢筋桁架石膏板、新型免拆模板及施工方法
CN101864820A (zh)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及施工方法
CN102400513B (zh) 一种防火现浇空腹楼盖
KR100500913B1 (ko) Grp 맨홀구조 및 grp 맨홀의 본체와 연결관의제조공정
KR101339030B1 (ko) 지관을 이용한 중공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203795650U (zh) 一体化建筑内外墙体结构
KR101590180B1 (ko) 헤드 확장형 리브와 경량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작 방법
CN108661206B (zh) 二次结构砌筑墙体自隔声保温构造及其施工方法
CN204311649U (zh) 预制装配盒式带肋加筋外墙板及外墙
RU126730U1 (ru) Теплофасадная панель
KR100751045B1 (ko) 조적용 벽돌
CN209924189U (zh) 一种砖胎膜构造柱
CN112324009A (zh) 一种预制混凝土空心保温墙体结构及施工工艺
CN210947337U (zh) 预制楼板加固结构
ITVE20090027A1 (it) Pannello in materiale polimerico a bassa densità autoportante per la realizzazione di pareti e relativo procedimento.
CN214144234U (zh) 预制混凝土空心保温墙体结构
WO2015140482A1 (en) Insulating concrete formwork and a method of building using such
CN103469952A (zh)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