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364B1 -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364B1
KR101071364B1 KR1020090000981A KR20090000981A KR101071364B1 KR 101071364 B1 KR101071364 B1 KR 101071364B1 KR 1020090000981 A KR1020090000981 A KR 1020090000981A KR 20090000981 A KR20090000981 A KR 20090000981A KR 101071364 B1 KR101071364 B1 KR 10107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ed
wall
fram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651A (ko
Inventor
고현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3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에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도록 사각 판체의 몸체 결합돌기에 결합홈이 결합되면서 조적되는 다수의 블록과;
상기 다수의 블록이 조적되어 형성한 벽체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블록이 조적되어 형성한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과 조적된 블록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일반 콘크리트블록보다 무게가 가벼워 시공에 따른 운반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블록의 결합돌기에 결합홈을 상호 맞물림에 의해 조립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시공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건축, 조립, 블록

Description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building block}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의 상부와 일측부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타측부와 하부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호 맞물림에 의해 블록을 조적할 수 있는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 시공에 이용되는 블록은 모래, 시멘트 및 첨가제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후, 일정한 틀에 넣었다가 빼내어 경화시킨 후, 건축용으로 주로 이용되며, 칸막이 공사 등의 간이 공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록은 모르타르로서 인접하는 블록을 접합시키면서 쌓아올리는 과정을 통해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건축용 블록으로는, 콘크리트블록과 적벽돌 등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은 무게가 무거우므로 많은 양을 한번에 옮기지 못하고, 여러 횟수에 걸쳐 옮김으로 이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건축용 블록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할 경우, 작업자가 하나 하나의 블록을 들어서 쌓아야 하므로 벽체를 설치하는 작업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없으면서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블록을 조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는,
벽체을 형성하는 블록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에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도록 사각 판체 몸체의 상부와 일측면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사각판체 몸체의 하부와 타측면에 요입된 결합홈에 결합되면서 조적되는 다수의 블록과;
상기 다수의 블록이 조적되어 형성한 벽체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블록이 조적되어 형성한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과 조적된 블록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일반 콘크리트블록보다 무게가 가벼워 시공에 따른 운반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블록의 결합돌기에 결합홈을 상호 맞물림에 의해 조립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시공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는,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200)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바닥프레임(100)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도록 사각 판체 몸체(210)의 상브와 일측면에 돌출된 결합돌기(220)가 사각판체 몸체(210)의 하부와 타측면에 요입된 결합홈(230)에 결합되면서 조적되는 다수의 블록(200)이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블록(200)이 조적되어 형성한 벽체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00)(300')이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블록(200)이 조적되어 형성한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400)이 구성되며, 상기 각 프레임(100)(300)(300')(400)과 조적된 블록(200)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닥프레임(100)의 몸체(110) 내부에 블록(200)의 결합홈(230)에 결합되는 고정돌기(120)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00) 내부에 장착되는 좌측보강부재(31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벽체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00') 내부에 장착되는 우측보강부재(32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우측보강부재(320)에 블록(200)의 결합돌기(220)를 수용하는 수용홈(3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400) 내부에 장착되는 상부보강부재(41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보강부재(410)에 블록(200)의 결합돌기(220)를 수용하는 수용홈(4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프레임(100)(300)(300')(400)에 고정부재(500)를 수용하는 수용홈(5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을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바닥프레임(10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닥프레임(100)의 몸체(110)에 블록(200)의 사각 판체의 몸체(21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블록(200)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홈(230)이 바닥프레임(100)의 고 정돌기(120)에 결합되면서 유동을 방지하고, 또 다른 블록(200)을 바닥프레임(100)의 고정돌기(120)에 결합하는데, 상기 다른 블록(200)의 타측부에 구비된 결합홈(230)은 블록(200)의 일측부에 구비된 결합돌기(220)에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바닥프레임(100)에 다수의 블록(20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100)에 다수의 블록(200)이 결합되면, 상기 바닥프레임(100)의 고정돌기(120)와 블록(200)의 결합홈(230)을 고정부재(500)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바닥프레임(100)에 결합된 블록(200)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돌기(220)에 또 다른 블록의 결합홈(230)을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소정높이의 벽체을 형성하고, 상기 벽체을 소정높이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벽체의 일측단부에 좌측보강부재(310)를 밀착시키고, 지지프레임(300)으로 벽체의 일측단부를 수용하도록 한 후, 상기 지지프레임(300)과 다수의 블록(200)을 고정부재(500)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벽체의 타측단부에 우측보강부재(320)를 밀착시키는데, 상기 우측보강부재(320)에 형성된 수용홈(321)이 블록(200)의 고정돌기(220)를 수용하면서 몸체(210)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210)에 밀착된 우측보강부재(320)와 벽체의 타측단부를 지지프레임(300')으로 수용하도록 한 후, 상기 지지프레임(300')과 다수의 블록(200)을 고정부재(500)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300')과 우측보강부재(320) 및 블록(200)을 고정부재(500)로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정으로 결합된 지지프레임(300)(300')의 하단부까지 다수의 블록(200)을 결합하여 벽체을 완성하고, 완성된 벽체의 상단부에 상부보강부재(410)를 밀착시키는데, 상기 상부보강부재(410)에 형성된 수용홈(411)이 블록(200)의 고정돌기(220)를 수용하면서 몸체(210)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210)에 밀착된 상부보강부재(410)와 벽체의 상단부를 상부프레임(400)으로 수용하도록 한 후, 상기 상부프레임(400)과 다수의 블록(200)을 고정부재(500)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400)과 상측보강부재(410) 및 블록(200)을 고정부재(500)로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500)는 리벳이나 핀 등 다양하게 종류가 많으나 볼트/너트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0)가 각 프레임(100)(300)(300')(400)에 돌출되지 않도록 각 프레임(100)(300)(300')(400)에 대향하게 수용홈(50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500')에 결합되는 볼트 머리부에 형성된 렌치홀에 렌치(wrench)를 이용하여 착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바닥프레임 120: 고정돌기
200: 블록 210: 몸체
220: 결합돌기 230: 결합홈
300,300': 지지프레임 310: 좌측보강부재
320: 우측보강부재 400: 상부프레임
410: 상부보강부재 500: 고정부재

Claims (8)

  1.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200)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바닥프레임(100)과;
    상기 바닥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도록 사각 판체 몸체(210)의 상부와 일측면에 돌출된 결합돌기(220)가 사각판체 몸체(210)의 하부와 타측면에 요입된 결합홈(230)에 결합되면서 조적되는 다수의 블록(200)과;
    상기 다수의 블록(200)이 조적되어 형성한 벽체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00)(300')과;
    상기 다수의 블록(200)이 조적되어 형성한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400)과;
    상기 각 프레임(100)(300)(300')(400)과 조적된 블록(200)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500)와;
    상기 벽체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00) 내부에 장착되는 좌,우측보강부재(310)(3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100)의 몸체(110) 내부에 블록(200)의 결합홈(230)에 결합되는 고정돌기(120)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우측보강부재(320)에 블록(200)의 결합돌기(220)를 수용하는 수용홈(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400) 내부에 장착되는 상부보강부재(41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부재(410)에 블록(200)의 결합돌기(220)를 수용하는 수용홈(4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100)(300)(300')(400)에 고정부재(500)를 수용하는 수용홈(5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KR1020090000981A 2009-01-07 2009-01-07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KR10107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981A KR101071364B1 (ko) 2009-01-07 2009-01-07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981A KR101071364B1 (ko) 2009-01-07 2009-01-07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651A KR20100081651A (ko) 2010-07-15
KR101071364B1 true KR101071364B1 (ko) 2011-10-11

Family

ID=4264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981A KR101071364B1 (ko) 2009-01-07 2009-01-07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3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837B1 (ko) * 2017-12-29 2018-05-28 박재홍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을 이용한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210122068A (ko) 2020-03-30 2021-10-08 박재홍 다면 결합 조적 블록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849A (ko) * 2016-02-19 2017-08-29 김범태 조적벽체 시공 공법
KR102495592B1 (ko) * 2016-11-23 2023-02-07 한국전력공사 조립형 내진보강장치
KR20180079810A (ko) * 2017-01-02 2018-07-11 배병익 가옥벽체
KR200496485Y1 (ko) * 2022-06-16 2023-02-09 김동석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1648A (ja) * 2003-12-12 2005-06-30 Daiei Densetsu Kk 組合せブロック及びコーナーブロック
KR100646609B1 (ko) * 2006-08-02 2006-11-2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실 벽체 조적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1648A (ja) * 2003-12-12 2005-06-30 Daiei Densetsu Kk 組合せブロック及びコーナーブロック
KR100646609B1 (ko) * 2006-08-02 2006-11-2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실 벽체 조적 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837B1 (ko) * 2017-12-29 2018-05-28 박재홍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을 이용한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WO2019132264A1 (ko) 2017-12-29 2019-07-04 박재홍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을 이용한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CN111315943A (zh) * 2017-12-29 2020-06-19 朴宰弘 利用形成有楔形结合部的砌块和框架的墙体结构及利用其的墙体施工方法
US10822792B2 (en) 2017-12-29 2020-11-03 Jea Hong Park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JP2021502501A (ja) * 2017-12-29 2021-01-28 セン ブロ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くさび型結合部が形成されたブロックとフレームを用いた壁体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壁体の施工方法
CN111315943B (zh) * 2017-12-29 2021-07-30 朴宰弘 利用形成有楔形结合部的砌块和框架的墙体结构及利用其的墙体施工方法
KR20210122068A (ko) 2020-03-30 2021-10-08 박재홍 다면 결합 조적 블록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651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364B1 (ko)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KR102197689B1 (ko) 수평으로 조립 설치되는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11043A (ko)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JPS62502129A (ja) 建造物組立用モジュラ−プレカ−スト建築要素
KR20200076117A (ko)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31749B1 (ko)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KR101493939B1 (ko) 벽돌 조립용 사각형 연결구
KR101204036B1 (ko)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550183B1 (ko) 건축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속력을 가지는 건축물 벽체 시공 방법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CN107938861B (zh) 墙体系统
KR101083403B1 (ko) 벽면 타설용 폼블록 고정용 브릿지
KR200442723Y1 (ko) 키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2337880B1 (ko) 각관을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6030053A3 (es) Conjunto de elementos de construcción de edificios
JP3199083U (ja) 土木建築用組みブロックの中間ユニットブロック体
CN109352793A (zh) 一种多阶段预制轨道板的制造方法
CN102251611B (zh)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及施工方法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200015105A (ko) 건식 외단열 벽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0263513U (zh) 一种高层建筑墙体砖构件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