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658B1 -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 Google Patents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2658B1 KR100742658B1 KR1020070004382A KR20070004382A KR100742658B1 KR 100742658 B1 KR100742658 B1 KR 100742658B1 KR 1020070004382 A KR1020070004382 A KR 1020070004382A KR 20070004382 A KR20070004382 A KR 20070004382A KR 100742658 B1 KR100742658 B1 KR 1007426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all block
- vegetation retaining
- vegetation
- support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지벽을 중심으로 좌우 구획된 식생공간을 갖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축조시 외부로 드러나는 전면체를 포함하는 식생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면체는 상기 지지본체보다 높게 돌출되고; 상기 지지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맞물림홈과, 이 맞물림홈에 맞물려 삽입되는 맞물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이 상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에 돌출되는 배면돌출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면돌출체의 상면 중심에는 일정깊이로 절개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 중심에는 상기 안착홈과 연통하면서 상기 배면돌출체의 높이보다 높게 절개 형성되며 바닥에 고정구멍이 형성된 인입홈을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으로 축조된 축조구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바에 따라 결합된 식생옹벽블록의 고정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의 다른 축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100" ; 식생옹벽블록 110, 110' ; 지지본체
111 ; 식생공간 112 ; 지지벽
112a ; 절개홈 113 ; 배수홈
114 ; 맞물림홈 115a, 115b ; 홈
116 ; 맞물림돌기 117 ; 인입홈
118 ; 고정구멍 120 ; 전면체
130 ; 배면돌출체 131 ; 안착홈
132 ; 끼움구멍 140 ; 스틸바
141 ; 끼움돌부 142 ; 걸림돌부
143 ; 걸림부 150 ; 앵커
151 ; 안착라인 160 ; 결속빔
161, 161' ; 끼움돌기 170 ; 고정쇠
171 ; 연결대 172 ; 걸림턱
173 ; 스크류 174, 175 ; 걸림대
176 ; 너트
본 발명은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침하의 위험이 있는 각종 절개지나 사면 등에는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옹벽블록이 축조된다.
이러한 옹벽블록은 하중을 충분히 갖추어서, 절개지나 사면 등의 토압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는 옹벽블록이 토압을 이겨내기 위해 충분한 하중을 갖추어야 했고, 이러한 하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크기가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옹 벽블록의 크기를 단순히 증가시키는 것은 옹벽블록의 제작시 그 크기에만 치중하게 하여 외관을 단조롭고 투박하게 하는 문제가 되었다. 물론, 이러한 모습은 옹벽블록이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었다.
따라서, 토압을 이겨내기 위한 수단을 하중에만 의존하기보다 옹벽블록들 간의 상호 결속을 증대시키고 부차적인 지지수단을 개발함으로서, 옹벽블록의 외관이 획일적이지 않은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고,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한 단순한 목적을 벗어나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갖는 옹벽블록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옹벽블록의 하중에만 의존하지 않고 옹벽블록들 간의 상호 결속을 견고하면서 강력하게 하여 절개지 또는 사면의 토사를 효과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다양한 기능을 갖추면서 그 외관 또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벽을 중심으로 좌우 구획된 식생공간을 갖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축조시 외부로 드러나는 전면체를 포함하는 식생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면체는 상기 지지본체보다 높게 돌출되고;
상기 지지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맞물림홈과, 이 맞물림홈에 맞물려 삽입되 는 맞물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이 상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에 돌출되는 배면돌출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면돌출체의 상면 중심에는 일정깊이로 절개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 중심에는 상기 안착홈과 연통하면서 상기 배면돌출체의 높이보다 높게 절개 형성되며 바닥에 고정구멍이 형성된 인입홈을 갖는 식생옹벽블록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식생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면체의 중심이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식생공간의 전후 폭이 상기 지지벽 쪽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전면체에 인접한 상기 지지벽의 상단이 절개되면서 절개홈을 이루어, 상기 식생공간으로의 토사 충진 시 상기 지지벽의 상면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식생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홈은 상기 지지본체의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돌기는 타측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의 상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블록.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벽을 중심으로 좌우 구획된 식생공간을 갖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축조시 외부로 드러나는 전면체를 포함하는 식생옹벽블록이, 엇쌓기로 축조되면서 이루는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식생옹벽블록은 이웃하는 다른 식생옹벽블록과, 상기 지지본체의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맞물림홈과 타측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홈과 맞물리는 맞물림돌기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의 상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의 상기 홈을 각각 관통하고 일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걸림턱과 타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된 바아형상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 각각 관통되어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와 맞물리는 너트의 조임으로 이웃하는 상기 식생옹벽블록이 서로 밀착하도록 미는 한 쌍의 걸림대로 이루어진 고정쇠를 매개로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이 서로 고정되고;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이 상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에 돌출되는 배면돌출체의 상면 중심에는 일정깊이로 절개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 중심에는 상기 안착홈과 연통하면서 상기 배면돌출체의 높이보다 높게 절개 형성되며 바닥에 고정구멍이 형성된 인입홈이 형성되어서, 일단이 'T' 형상으로 된 스틸바의 상기 일단이 상기 인입홈으로 삽입되되, 상기 스틸바의 일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돌부는 상기 고정구멍에 삽입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돌부는 상기 인입홈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틸바의 타단은 상기 식생옹벽블록이 후방에 매설 고정되는 앵커에 연결되고;
다수의 끼움돌기를 나란하게 갖춘 결속빔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식생옹벽블록의 상기 배면돌출체에 안착되면서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되고 고정되고,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결속빔에 걸려 지지되면서;
다수의 식생옹벽블록이 일렬로 연결 고정되어 이루어진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식생옹벽블록의 저면 중심에는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의 서로 맞닿는 측벽들을 감싸도록, 식생옹벽블록의 저면 중심에는 서로 맞닿는 상기 측벽들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한 쌍의 조임돌기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전면체는 상기 지지본체보다 높게 돌출되고, 상층의 식생옹벽블록은 하 층의 식생옹벽블록보다 상기 전면체의 뒤쪽으로 후퇴 축조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100)은 종래 널리 출원된 식생옹벽블록과 마찬가지로 식생공간(111)을 갖는 지지본체(110)와, 상기 지지본체(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축조구조물의 외관을 이루는 전면체(120)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100)은 배면 하단에 배면돌출체(130)를 갖추고,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100) 간의 상호 결속을 굳건히 하기 위해 맞물림홈(114)과, 상기 맞물림홈(114)에 맞물리는 맞물림돌기(116)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식생옹벽블록(100)은 복층으로 축조되는데, 상층의 식생옹벽블록이 하층의 식생옹벽블록의 상면에 조적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공간(111)을 구획하면서 상층의 식생옹벽블록의 저면이 맞닿는 지지벽(112)을 더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으로 축조된 축조구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100)은 다수의 식생옹벽블록(100, 100', 100")이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되면서 중심부가 돌출형성된 전면체(120, 120')의 형상적인 특징으로 식생공간(111)이 외부로 공개된다. 이때, 상층의 식생 옹벽블록(100')은 하층의 식생옹벽블록(100)에 비해 후퇴축조되며, 그 후퇴거리를 일괄적으로 제한하고 상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이 전방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체(120, 120')는 지지본체(110) 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체(120)가 상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의 저면과 맞닿아 이를 지지하는 하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의 지지본체(110) 보다 돌출되면서, 상기 상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의 전면체(120') 하부가 하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의 돌출된 전면체(120)의 상부와 맞물리는 것이다. 따라서, 상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은 하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의 상면에 조적되면서 상기 전면체(120)의 두께만큼 후퇴축조되고, 돌출된 상기 전면체(120)로 인해 전방으로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식생공간(111)을 형성하는 지지본체(110)는 상기 식생공간(111)과 외부와의 통기 및 통수를 원활히 하기 위한 배수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홈(1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식생옹벽블록(100, 100', 100")이 축조된 상태에서도 상기 식생공간(111)이 밀폐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라면 상기 배수홈(113)의 형성위치로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 지지벽(112)의 상단에는 절개홈(112a)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엇쌓기 및 후퇴방식으로 축조된 식생옹벽블록(100, 100', 100")에서 하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의 식생공간(111)은 외부로 공개된다. 이렇게 공개되는 식생공간(111)으로는 식재를 할 수 있는 토사가 충진되는데, 상기 절개홈(112a)이 지지 벽(112)에서 외부로 공개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충진된 토사가 상기 지지벽(112)을 덮어 매꿀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외부에서 보면 지지벽(112)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깔끔하고 자연스러운 외관미를 갖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100)의 양측면에는 맞물림홈(114)과 맞물림돌기(11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맞물림홈(114)은 측면에서 세로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돌기(116)는 일지점에만 돌출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쇠(170 ; 도 5 참조)를 적용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한다.
상기 배면돌출체(130)는 사면에 조적된 식생옹벽블록(10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하고, 식생옹벽블록(100, 100', 10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조구조물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스틸바(140 ; 도 3 참조) 및 결속빔(150 ; 도 3 참조)이 연결되는 곳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바에 따라 결합된 식생옹벽블록의 고정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100)은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과 측방으로 맞물려 연결된다. 이때,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의 상호 배치는 맞물림홈(114)과 맞물림돌기(116)를 통해 안내되어 이루어지고, 토압에 대한 지지는 스틸바(140)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스틸바(140)와 식생옹벽블록(100) 간의 긴밀한 결속과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100) 간의 상호 연결은 결속빔(160)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스틸바(140)는 일단이 상기 식생옹벽블록(100)의 저면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토사에 단단히 매설된 앵커(150)에 연결 고정되어서, 상기 식생옹벽블록(100)이 전방으로 무너져 내리는 것을 잡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틸바(140)의 일단에는 'T' 형상으로 상하 돌출되는 걸림돌부(142) 및 끼움돌부(141)가 형성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걸림부(143)를 이룬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식생용옹벽블록(100)의 배면에는 상기 스틸바(14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인입홈(117)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117)의 바닥에는 상기 끼움돌부(141)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고정구멍(11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면돌출체(130)에는 상기 인입홈(117)에 대응하여 연통하는 안착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31)은 일단이 상기 인입홈(117)으로 삽입된 스틸바(140)가 끼워지는데, 상기 인입홈(117)은 상기 스틸바(140) 전체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갖는다.
계속해서, 상기 배면돌출체(130)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13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구멍(132)은 상기 결속빔(160)의 끼움돌기(161, 161')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돌기(161, 161')는 충분히 긴 결속빔(160)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고, 측방으로 나란하게 맞물려 조적되는 식생옹벽블록(100)의 배면돌출체(130)를 따라 상기 끼움돌기(161, 161')가 끼움구멍(132, 132')에 순차로 삽입되면서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스틸바(140)와 결속빔(160)이 위 아래로 교차되게 위치하고, 상기 스틸바(140)는 안착홈(131)에 삽입되므로 상기 스틸바(140)와 결속빔(160)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스틸바(14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부(142)는 상기 끼움돌부(141)와 대향하게 형성되어서, 교차되게 위치하는 결속빔(160)에 걸린다. 즉, 상기 스틸바(140)의 일단은 끼움돌부(141)와 고정구멍(118) 간의 결합력으로만 식생옹벽블록(100)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결속빔(160)의 끼움돌기(161, 161')와 끼움구멍(132, 132') 간의 결합력은 물론 더 나아가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의 고정력까지 제공받아 당해 식생옹벽블록(100)을 지지한다. 이는 상기 결속빔(160)이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을 따라 이어지면서 식생옹벽블록 하나가 받게 되는 토압을 분담하기 때문이다.
상기 스틸바(140)의 타단에는 걸림부(143)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143)는 앵커(150)에 걸려 고정된다. 한편, 상기 앵커(150)와 스틸바(14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고 상호 이탈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스틸바(140)의 타단부는 앵커(150)에 형성된 안착라인(151)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틸바(140)는 앵커(150)와 흔들림없이 단단히 연결된다.
도 5는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100)은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 간의 결속을 위해 고정쇠(170)이 이용된다. 상기 고정쇠(170)는 일단에 걸림턱(172)과 타단에 스크류(173)를 갖는 바아형상의 연결대(171)와, 상기 연결대(171)에 끼워지는 걸림대(174, 175)와, 상기 걸림대(175)가 분리되지 않도록 잡는 너트(176)로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식생옹벽블록(100)의 양측면에는 각각 동일한 높이에 홈(115a, 115b)이 형성된다. 상기 홈(115a, 115b)은 상기 측면이 갖는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얇게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대(171)로 뚫어 관통시키기 용이하도록 된다. 즉, 식생옹벽블록(100)의 축조현장에서 상기 홈(115a, 115b)에 관통구멍(a, b)을 형성시켜 연결대(171)를 끼우고, 이렇게 관통한 연결대(171)가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100)을 연결하면서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식생옹벽블록(100)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쇠(170)의 연결구조를 보면, 상기 홈(115a)에 형성된 관통구멍(a)에 맞춰 상기 걸림대(174)가 식생공간(111) 내에 위치하고, 연결대(171)는 상기 걸림대(174)와 관통구멍(a)을 관통한다. 이때, 상기 연결대(171)의 일단은 직경이 확장된 걸림턱(172)이 존재하므로, 상기 연결대(171)가 걸림대(174)와 관통구멍(a)을 일정길이 이상 관통하면 상기 걸림턱(172)에 걸림대(174)가 걸려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연결대(171)의 타단은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의 관통구멍(b)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멍(b)에 맞춰 다른 걸림대(175)가 식생공간 내에 위치하므로, 상기 연결대(171)의 타단은 상기 관통구멍(b)은 물론 걸림대(175)를 관통하게 된다.
이렇게 끼워지는 연결대(171)의 타단 외주면에는 스크류(173)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173)로 너트(176)가 끼워지면서, 상기 너트(176)는 상기 걸림턱(172)과 마찬가지로 걸림대(175)를 고정하게 된다. 결국, 연결대(171)의 양단이 각각 걸림턱(172)과 너트(176)로 마감되고, 상기 걸림대(174, 175)는 상기 걸림턱(172) 및 너트(176)에 고정되며, 상기 걸림대(174, 175)는 스크류(173) 및 너트(176) 간의 조임력으로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100)을 밀착시켜 상호가 단단히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의 다른 축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100)은 맞물림홈(114) 및 맞물림돌기(116)가 서로 맞물리면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100) 간의 배치위치가 잡힌 후, 상기 고정쇠(170)를 매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은 식생옹벽블록들(100, 100') 간의 상호 결속을 극대화하여 보다 견고하고 단단한 구조를 이루게 되고, 이를 위해 상기 식생옹벽블록들(100, 100')이 엇쌓기로 조적될 때 상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이 서로 이웃하는 하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을 고정하면서, 상기 스틸바(140), 결속빔(160) 및 고정쇠(170)의 고정수단과 더불어 식생옹벽블록(100')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조임돌기(119, 119')는 상하좌우로 접하는 식생옹벽블록들(100, 100') 간의 상호 결속을 극대화한다.
상기 조임돌기(119, 119')는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100)의 측벽(11, 12)의 외측면을 긴밀하게 감쌀 수 있는 거리로 이격되며, 식생옹벽블록(100')의 저면 중심에 형성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하층의 식생옹벽블록(100)들의 중심에 조적되는 상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의 조임돌기(119, 119')는 상기 측벽(11, 12)을 감싸듯 끼워져서 이웃하는 하층의 식생옹벽블록(100)을 보다 견고히 한다.
한편, 상기 측벽(11, 12)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홈(A)은 조임돌기(119, 119')가 가하는 압력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시멘트몰탈 또는 토사 등으로 매꿔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큰 토압을 받게 되는 옹벽블록의 축조물이 상기 토압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으면서 그 지지력이 옹벽블록의 하중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결속수단을 통해 확보되어, 옹벽블록의 크기와 다양한 미장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고 미려한 축조구조물을 건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지지벽을 중심으로 좌우 구획된 식생공간을 갖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축조시 외부로 드러나는 전면체를 포함하는 식생옹벽블록에 있어서,상기 전면체는 상기 지지본체보다 높게 돌출되고;상기 지지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맞물림홈과, 이 맞물림홈에 맞물려 삽입되는 맞물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며;하나 이상의 끼움구멍이 상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에 돌출되는 배면돌출체를 더 포함하되;상기 배면돌출체의 상면 중심에는 일정깊이로 절개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 중심에는 상기 안착홈과 연통하면서 상기 배면돌출체의 높이보다 높게 절개 형성되며 바닥에 고정구멍이 형성된 인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면체의 중심이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식생공간의 전후 폭이 상기 지지벽 쪽으로 갈수록 커지고;상기 전면체에 인접한 상기 지지벽의 상단이 절개되면서 절개홈을 이루어, 상기 식생공간으로의 토사 충진 시 상기 지지벽의 상면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블록.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맞물림홈은 상기 지지본체의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돌기는 타측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상기 지지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의 상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블록.
- 지지벽을 중심으로 좌우 구획된 식생공간을 갖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축조시 외부로 드러나는 전면체를 포함하는 식생옹벽블록이, 엇쌓기로 축조되면서 이루는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에 있어서,상기 식생옹벽블록은 이웃하는 다른 식생옹벽블록과, 상기 지지본체의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맞물림홈과 타측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홈과 맞물리는 맞물림돌기를 매개로 결합되고;상기 지지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의 상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고;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의 상기 홈을 각각 관통하고 일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걸림턱과 타단에는 스크류가 형성된 바아형상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 각각 관통되어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와 맞물리는 너트의 조임으로 이웃하는 상기 식생옹벽블록이 서로 밀착하도록 미는 한 쌍의 걸림대로 이루어진 고정쇠를 매개로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이 서로 고정되고;하나 이상의 끼움구멍이 상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에 돌출되는 배면돌출체의 상면 중심에는 일정깊이로 절개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본체의 배면 중심에는 상기 안착홈과 연통하면서 상기 배면돌출체의 높이보다 높게 절개 형성되며 바닥에 고정구멍이 형성된 인입홈이 형성되어서, 일단이 'T' 형상으로 된 스틸바의 상기 일단이 상기 인입홈으로 삽입되되, 상기 스틸바의 일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돌부는 상기 고정구멍에 삽입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돌부는 상기 인입홈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틸바의 타단은 상기 식생옹벽블록이 후방에 매설 고정되는 앵커에 연결되고;다수의 끼움돌기를 나란하게 갖춘 결속빔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식생옹벽블록의 상기 배면돌출체에 안착되면서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되고 고정되고,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결속빔에 걸려 지지되면서;다수의 식생옹벽블록이 일렬로 연결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식생옹벽블록의 저면 중심에는 서로 이웃하는 식생옹벽블록의 서로 맞닿는 측벽들을 감싸도록, 식생옹벽블록의 저면 중심에는 서로 맞닿는 상기 측벽들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한 쌍의 조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블 록의 축조구조물.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전면체는 상기 지지본체보다 높게 돌출되고, 상층의 식생옹벽블록은 하층의 식생옹벽블록보다 상기 전면체의 뒤쪽으로 후퇴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4382A KR100742658B1 (ko) | 2007-01-15 | 2007-01-15 |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4382A KR100742658B1 (ko) | 2007-01-15 | 2007-01-15 |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2658B1 true KR100742658B1 (ko) | 2007-07-25 |
Family
ID=3849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4382A KR100742658B1 (ko) | 2007-01-15 | 2007-01-15 |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265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4535A (ko) * | 2019-07-30 | 2021-02-09 | 청호산업 유한회사 | 다목적 블록 |
EP3724408A4 (en) * | 2017-12-11 | 2021-02-10 | Tensar International Corporation | BLOCKS FOR STABILIZED THIN SEGMENTAL WALLS, SOIL REINFORCEMENT SYSTEMS, AND METHOD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1726A (ko) * | 2004-08-31 | 2004-09-22 | 이강협 | 어소겸용 식생블럭 |
KR20040096984A (ko) * | 2004-10-13 | 2004-11-17 | 주식회사 봉견 |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
KR200378431Y1 (ko) | 2004-12-31 | 2005-03-14 | 황성민 | 식생용 옹벽블록 |
KR200404055Y1 (ko) | 2005-09-12 | 2005-12-16 |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
KR20060101373A (ko) * | 2006-09-04 | 2006-09-22 | (주)대풍산업 |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
KR100665022B1 (ko) | 2006-01-19 | 2007-01-04 | 최영근 |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연결구 |
-
2007
- 2007-01-15 KR KR1020070004382A patent/KR1007426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1726A (ko) * | 2004-08-31 | 2004-09-22 | 이강협 | 어소겸용 식생블럭 |
KR20040096984A (ko) * | 2004-10-13 | 2004-11-17 | 주식회사 봉견 |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
KR200378431Y1 (ko) | 2004-12-31 | 2005-03-14 | 황성민 | 식생용 옹벽블록 |
KR200404055Y1 (ko) | 2005-09-12 | 2005-12-16 |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
KR100665022B1 (ko) | 2006-01-19 | 2007-01-04 | 최영근 |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연결구 |
KR20060101373A (ko) * | 2006-09-04 | 2006-09-22 | (주)대풍산업 |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24408A4 (en) * | 2017-12-11 | 2021-02-10 | Tensar International Corporation | BLOCKS FOR STABILIZED THIN SEGMENTAL WALLS, SOIL REINFORCEMENT SYSTEMS, AND METHODS |
KR20210014535A (ko) * | 2019-07-30 | 2021-02-09 | 청호산업 유한회사 | 다목적 블록 |
KR102287339B1 (ko) * | 2019-07-30 | 2021-08-06 | 청호산업 유한회사 | 다목적 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202666B2 (en) | Retaining wall | |
US10273647B2 (en) | Retaining wall | |
US9670640B2 (en) | Retaining wall | |
US673910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foundation wall | |
US20060179780A1 (en) |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 |
US20090041552A1 (en) | Retaining wall system | |
US20040020155A1 (en) | Block construction system | |
MX2010006059A (es) | Bloque de concreto para pared, paredes que tienen tales bloques, y metodos. | |
US7351015B2 (en) | Invertible retaining wall block | |
US20140037389A1 (en) |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 |
KR100742658B1 (ko) |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 |
KR200447510Y1 (ko) | 생태 옹벽축조블록 | |
KR200491914Y1 (ko) | 조립형 옹벽 구조물 | |
KR200495163Y1 (ko) | 조립형 옹벽 구조물 | |
KR100593181B1 (ko) |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99185B1 (ko) |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 |
KR20060119854A (ko) | 옹벽 축조용 블록 | |
KR200341447Y1 (ko) | 옹벽 적재용 블럭 | |
KR100719281B1 (ko) |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조립체 | |
JP3448763B2 (ja) | 護岸ブロック | |
KR200442912Y1 (ko) | 설치경사 조정형 호안 및 옹벽 블럭 | |
KR102146634B1 (ko) |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 |
KR200446576Y1 (ko) | 조립식 다단 적층블럭 | |
JP2023166020A (ja) | 擁壁用ブロック | |
KR200392562Y1 (ko) |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