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220B1 - 적층 가능한 건축 패널 - Google Patents

적층 가능한 건축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220B1
KR100679220B1 KR1020027010141A KR20027010141A KR100679220B1 KR 100679220 B1 KR100679220 B1 KR 100679220B1 KR 1020027010141 A KR1020027010141 A KR 1020027010141A KR 20027010141 A KR20027010141 A KR 20027010141A KR 100679220 B1 KR100679220 B1 KR 10067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anel
panels
recesses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497A (ko
Inventor
벨리뷰쟌-루이스
Original Assignee
폴리폼 에이.지.피.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6815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922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CA002298170A external-priority patent/CA2298170A1/en
Application filed by 폴리폼 에이.지.피.인크. filed Critical 폴리폼 에이.지.피.인크.
Publication of KR20020086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9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hinged spacers allowing the formwork to be collaps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와 바닥부를 갖는 적층 가능한 절연 폼 패널에 관한 것이다. 각 패널은 유사한 보완적인 형상을 갖는 교호적인 돌출부와 오목부의 중간 열을 갖는다. 중간 열은 동일 평면의 2개의 엣지 표면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의 각 돌출부는 바닥부의 오목부와 마주보며, 그로 인하여 패널의 상부 및/또는 바닥부는 유사한 패널의 상부 또는 바닥부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콘크리트와 같은 유동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벽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 마주보는 폼 패널들 및 마주보는 폼 패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컨넥터를 포함하는 벽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 폼 패널

Description

적층 가능한 건축 패널{Stackable construction panel}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와 같은 유동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각각이 다수의 적층된 열의 플라스틱 폼 패널로 이루어진 마주보는 거푸집(form) 벽 쌍을 포함하는 형태의 벽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들 거푸집 벽들을 구축하기 위하여 사용된 서로 맞물린(interlocking) 폼(foam) 패널 또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벽을 뜨기(casting) 위한 절연 거푸집(insulating form)을 만들기 위하여 다수의 다른 시스템 및 방법들이 널리 존재한다. 가끔 이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폴리스티렌과 같은 단단한 폼으로 만들어진 마주보는 폼 패널 쌍들을 포함하며, 이 패널들은 그들 사이에 콘크리트 수용 캐비티들을 한정한다. 벽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들 폼 패널 쌍들은 한 패널이 다른 패널 위에 위치한다. 콘크리트가 굳으면, 거푸집 벽들은 그 자리에 남아 있어 벽을 분리한다. 이들 거푸집 벽들은 전형적으로 콘크리트 주입 전에 컨넥터들에 의하여 이격되고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며, 컨넥터들은 각각이 2개의 마주보는 폼 패널중 하나에 매립된 한 쌍의 평행한 측부 부착 플랜지 및 플랜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웹(web)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널의 쌓아 올림은 건축 현장에서 수행된다. 본 분야의 한 목적은 한편으로는 시간 손실 없이 쉽고 매우 빠르게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콘크리트 주입 전에 분리되지 않는 안정적이고 단단한 적층체를 구성할 수 있는 폼 패널을 얻는 것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주입되자 마자 적층체(stack)가 붕괴되거나 분해되는 가능성이 크게 줄어든다.
본 분야에서의 선행 기술의 시도중의 한 예가 미국 특허 제 5,428,933 호에 주어져 있으며, 이 특허는 각각이 2개 열의 교호적인 돌출부 및 오목부를 포함하는 상호 연결 부재를 구비한 상부 및 바닥 에지를 갖는 절연 건축 패널을 개시한다. 체커판과 같이 한 열의 오목부는 다른 열의 돌출부에 인접하며, 그로 인하여 절연 패널은 양방향으로 또는 역 방법으로 유사한 부재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과 부닥치는 한 단점은 모서리에서의 돌출부와 에지를 따르는 돌출부가 쉽게 부러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패널이 매우 두껍지 않을 때, 유사한 패널 상에 적층되면 패널이 쉽게 기울어진다. 절연 건축 패널의 다른 예들이 미국특허 제 3,895,469 호; 제 4,229,920 호; 4,704,429 호; 4,884,382 호; 4,885,888 호 및 4,894,989 호에 나타난다.
따라서 거푸집 벽을 세우기 위한 개선된 절연 건축 패널에 대한 필요성이 지금도 아직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요구를 만족하는 적층 가능한 절연 폼 패널을 제안하는데 있으며, 특히 안정적이고 견고한 적층체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적층 가능한 폼 패널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그 목적은 유사한 보완적인 형상(complementary shape)을 가진 교호적인 돌출부 및 오목부의 중간 열을 각각 포함하는 상부 및 바닥부를 갖는 적층 가능한 절연 폼 패널로서 이루어지며, 중간 열은 동일 평면의 2개의 에지 표면상에 배치된다. 상부의 각 돌출부는 바닥부의 오목부와 마주보며, 그로 인하여 패널의 상부 및/또는 바닥부는 유사한 패널의 상부 또는 바닥부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콘크리트와 같은 유동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벽 거푸집을 제조하기 위하여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 상술한 바와 같은 마주보는 폼 패널 및 마주보는 폼 패널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컨넥터를 포함하는 벽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거푸집 벽 조립체는,
- 평행한 관계에 있는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폼 패널; 및
- 제 1 및 제 2 폼 패널을 서로 힌지 상태(hingedly)로 결합하는 다수의 컨넥터를 포함하며, 그로 인하여 결합된 폼 패널들은 폼 패널들이 이격되어 거푸집을 만드는 연장 위치와 폼 패널들이 서로 근접하게 되는 접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폼 패널의 동일 평면의 2개의 에지 표면은 서로 연결된 유사 패널의 에지 표면을 위한 견부(shoulder) 또는 접촉부(abutment)로서 작용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폼 패널로 구축된 적층체를 견고하게 또는 안정적이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고 본 발명이 어떻게 실 시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단지 예로서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에 뒤이은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벽 조립체의 단편적인 사시도.
도 2는 폼 패널 상부의 릴리프(relief)를 도시한 도 1의 거푸집 벽 조립체의 평면도.
도 3은 선 Ⅲ-Ⅲ를 따른 도 2의 거푸집 벽 조립체의 좌측 패널의 횡단면 측면도로서, 하부 패널의 상부를 도시함.
도 4는 선 Ⅳ-Ⅳ를 따른 도 2의 거푸집 벽 조립체의 횡단면 측면도로서, 적층된 폼 패널의 상부 및 하부 열을 도시함.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의 사시도로서, 그 우측 앵커 부재 및 웹 부재의 일부를 도시하지 않음.
도 6은 도 5의 컨넥터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투명한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벽 조립체(10)는 콘크리트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유동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얻어진 거푸집은 동일 평면의 실질적인 사각 발포 플라스틱 패널(14)의 다수의 적층된 절연 수평 열을 포함하는 형태이며, 패널들은 그 수평 및 수직부를 따라 서로 접촉한다. 특히, 거푸집 벽 조립체(10)는 이격되고 평행한 관계로 제 2 폼 패널(14b)과 마주보는 제 1 폼 패널(14a)을 포함하며,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폼 패널은 제 2 폼 패널과 다수의 컨넥터(1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주로 선적 목적을 위하여 폼 패널(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폼 패널 (14)들이 이격되어 거푸집을 형성하는 연장 위치와 도시되지 않은, 폼 패널들이 서로 근접하게 되는 접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폼 패널(14) 각각은 바닥부(17) 반대쪽의 상부(15)를 가지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15)와 바닥부(17) 각각은 유사한 보완 형상을 가진 교호적인 돌출부(18)와 오목부(19)의 중간 열(13)을 구비한다. 이 중간 열(13)은 패널(14)의 엣지에 인접한 동일 평면의 2개의 엣지 표면들(50) 사이에 배치된다. 서로 맞물린 패널(14)들 사이에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 평면의 엣지 표면(50)은 바람직하게는 충분히 넓은 폭을 구비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3에서 가장 잘 보이듯이, 하나의 패널(14a) 상부(15)의 각 돌출부(18) 및 오목부(19)는 동일 패널(14a)의 바닥부(17)의 오목부(19) 및 돌출부(18)와 각각 마주보며, 다른 패널(14b) 상부(15)의 오목부(19) 및 돌출부(18)를 각각 향한다. 그로 인하여 한 쌍의 패널(14a 및 14b)이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연장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패널(14a 및 14b)은 유사한 패널 쌍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주로 제조 공정 때문에, 돌출부(18) 및 오목부(19)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이다. 그러나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의 돌출부와 오목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돌출부(18)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만곡진 모서리를 갖 는 돌출부(18)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정사각형 모서리 또는 다른 형태를 갖는 돌출부(18)도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8) 및 오목부(19) 각각은 2개의 마주보는 실질적으로 볼록한 측부들(52, 54)을 가지며, 이들은 오목부(19) 내로의 돌출부(18)의 삽입을 돕는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고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컨넥터(16)는 한 쌍의 앵커 부재(20a, 20b; anchor members)를 포함하며, 제 1 앵커 부재(20a)는 제 1 폼 패널(14a) 내에 매립되고 제 2 앵커 부재(20b)는 제 2 폼 패널(14b) 내에 매립된다. 각 앵커 부재(20)는 연장된 플랜지 플레이트(22) 및 연장된 연결 요소(24)를 갖는다. 플랜지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폼 패널(14) 내에 파묻히며, 연결 요소는 플랜지 플레이트(22)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고 폼 패널(14) 밖으로 나온 돌출 종단(26)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앵커 부재(20)의 돌출 종단(26)은 플랜지 플레이트(22)와 평행하고 폼 패널(14)의 내부 표면(30)과 수평으로 연장된 안정화 플레이트(28)를 포함한다.
폼 패널 조립체를 가볍게 하기 위하여 연결 요소(24)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를 따라 다수의 구멍들(25)을 포함한다. 그러나, 연결 요소(24)는 또한 평면 고체일 수 있다.
앵커 부재(20)가 폼 패널(14) 내에 매립된다는 것을 말함으로서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제조 설비 내에서 폼 패널(14)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패널(14) 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발포체 재료가 앵커 부재(20) 주변에 주입되며, 그로 인하여 패널(14)과 폼 패널(14)의 앵커 형성 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앵커 부재(20) 사이의 연결이 강화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또는 플라스틱 발포체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게 공지된 다른 재료인 플라스틱 발포체 재료가 앵커 부재(20) 주변에 주입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컨넥터(16)는 폼 패널들(14) 사이로 연장된 웹 부재(32; web member)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웹 부재(32)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된 금속 로드(rod)를 수용하고 지지하기에 적합한 형태를 가진 중앙부(44)를 포함한다. 웹 부재(32)는 제 1 앵커 부재 (20a)의 돌출 종단(26)에 힌지 상태(hingedly)로 연결된 제 1 길이방향 측부 종단(34a) 및 제 1 길이방향 측부 종단(34a) 반대쪽의 제 2 길이방향 측부 종단(34b)을 더 갖는다. 제 2 길이방향 측부 종단(34b)은 제 2 앵커 부재(20b)의 돌출 종단(26)에 힌지 상태로 연결된다. 주로 선적 목적을 위하여 폼 패널들(14)은 폼 패널들(14)이 이격되어 거푸집을 만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폼 패널들(14)이 서로 근접하게 되는 도시되지 않은 접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웹 부재(32)를 앵커 부재(20)에 힌지 상태로 연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각 앵커 부재(20)의 돌출 종단(26)의 안정화 플레이트 (28) 상에 배치된 다수의 연결 요소들(64)이 도시된다. 이들 연결 요소들(64)의 각각은 안정화 플레이트(28)로부터 돌출된 2개의 정렬된 릿지들(66; ridges) 및 길이 방향 슬리브(68; sleeve)를 한정하는 릿지들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연결 핀(70)은 슬리브(68)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목적을 위하여 핀 수용 구멍들(71)이 릿지들(66) 내에 설치되며, 각 구멍(71)은 슬리브(68)의 내측으로 향한다. 비록 연결 요소들이 2개의 정렬된 릿지를 형성하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질지라도 본 발명은 개방된 슬롯 튜브형 너클(slotted tube type-like knuckles)과 같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게 명백한 다른 형태의 연결 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연결 요소들(64)과 협력하기 위하여, 웹 부재(32)의 각 길이방향 측부 종단(34a, 34b)은 상응하는 수의 암(72; arm)을 한정한다. 연결 핀(70)에 의하여 한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기 위하여 각 암(72)은 대응 연결 핀(70)에 연결 가능한 종단(74)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은 암(72)의 종단(74)을 연결 핀(7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거나 또는 연결 핀(70) 자체를 핀 수용 구멍(7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암(72)의 종단(74)은 하나의 핀(70)을 수용하기 위한 보어(76; bore)를 구비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쉽게 이해될 바와 같이, 연결 요소들(64)은 앵커 부재(20)의 제조 공정 동안에 몰딩(molding)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릿지(66)의 각 부분 상에서의 몰딩 공정에 의하여 돌기(78)가 생성된다. 인접한 패널들이 서로 수직으로 장착되는 벽의 모서리의 경우 그리고 명백하게 웹 부재가 컨넥터를 구비하지 않는 벽 의 모서리의 경우, 릿지와 함께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이들 돌기들은 스크류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컨넥터의 플랜지, 예를 들어 석고 보드 벽을 위한 앵커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패널(14)의 상부 및 바닥부의 양 릴리프 및 컨넥터(16) 때문에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 거푸집 조립체는 서로의 위에 쉽게 적층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유동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거푸집을 다수의 적층된 수평 열의 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하여 장착하면, 절연체로 제조된 거푸집 벽과 강성의 패널들(14) 사이에 존재하는 비어있는 캐비티는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grout) 기반 시멘트로 채워진다. 충진 재료의 경화 후, 컨넥터를 통하여 콘크리트 내부 벽에 견고하게 부착된 절연 패널들과 함께 혼합 벽(composite wall)이 얻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 내에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본 발명이 이 정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과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그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4)

  1. 유사한 보완 형상을 갖는 교호적인 돌출부와 오목부의 중간 열을 각각 포함하는 상부 및 바닥부를 갖는 적층 가능한 절연 폼 패널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이 위로 돌출되고 상기 오목부들이 아래로 파여지는, 2개의 동일 평면 상의 에지 표면들 사이에 상기 중간 열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의 각 돌출부 및 오목부는 상기 바닥부의 오목부 및 돌출부와 각각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패널의 상기 상부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패널의 상부 또는 바닥부와 상호 연결 가능하며, 상기 패널의 상기 바닥부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패널의 상부 또는 바닥부와 서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절연 폼 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의 유사한 보완적인 형상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절연 폼 패널.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만곡진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절연 폼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오목부 각각은 2개의 마주보는 볼록한 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절연 폼 패널.
  6. 평행한 관계에 있는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폼 패널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폼 패널들을 서로 힌지 상태로 결합시켜, 상기 폼 패널들이 이격되어 거푸집을 만드는 연장 위치와 상기 폼 패널들이 서로 근접하게 되는 접힘 위치 사이에서 상기 결합된 폼 패널들이 이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컨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폼 패널과 상기 제 2 폼 패널 각각은 유사한 보완적인 형상을 갖는 교호적인 돌출부들과 오목부들의 단일 중간 열을 각각 포함하는 상부 및 바닥부를 가지는, 유동 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벽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열은 상기 돌출부들이 돌출되고 상기 오목부들이 아래로 파여지는, 2개의 동일 평면 상의 에지 표면들 사이에 배치되고, 일 패널의 상기 상부의 각 돌출부 및 오목부는 상기 일 패널의 상기 바닥부의 오목부 및 돌출부와 각각 마주보며, 상기 폼 패널들이 상기 연장 위치에 있을 때 타 패널의 상기 상부의 오목부 및 돌출부를 각각 향하도록 하여 상기 연장 위치에서 상기 폼 패널들이 동일한 형태의 다른 한 쌍의 폼 패널들과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거푸집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폼 패널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오목부의 유사한 보완적인 형상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거푸집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만곡진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거푸집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오목부 각각은 2개의 마주보는 볼록한 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거푸집 조립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는,
    하나의 앵커 부재는 상기 제 1 폼 패널들 내에 매립되고, 다른 하나의 앵커부재는 상기 제 2 폼 패널들 내에 매립되되, 각각의 앵커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폼 패널 내에 파묻히는, 연장된 플랜지 플레이트; 및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폼 패널 밖으로 나오는 돌출 종단을 갖는, 연장된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한 쌍의 앵커 부재들; 및
    상기 제 1 폼 패널 및 상기 제 2 폼 패널 사이에서 연장되고, 마주보는 길이 방향 측부 종단들을 가지되, 상기 종단들 각각이 상기 앵커 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돌출 종단에 힌지 상태로 연결 가능한 웹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폼 패널들은 상기 웹 부재의 일 측부 종단을 상기 일 앵커 부재의 상기 돌출 종단에 연결하고, 상기 웹 부재의 타 측부 종단을 상기 타 앵커 부재의 상기 돌출 종단에 연결함으로서 서로 결합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결합된 폼 패널들이 상기 폼 패널들이 이격되어 상기 거푸집을 만드는 연장 위치와 상기 폼 패널들이 서로 근접하게 되는 접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앵커 부재의 상기 돌출 종단은 상기 폼 패널의 내부 표면과 수평하게 연장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에 평행한 안정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 앵커 부재의 상기 돌출 종단은 안정화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 요소들을 포함하며, 각 연결 요소는 상기 안정화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그 사이에서 길이 방향의 슬리브를 한정하는 2개의 정렬된 릿지(ridges) 및 상기 슬리브 내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 가능한 연결 핀을 가지며;
    상기 웹 부재의 각 길이 방향 측부 종단은 상기 연결 요소 각각과 협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암(arm)을 한정하며, 각 암은 상기 연결 핀에 의하여 한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연결 요소의 상기 연결 핀에 연결 가능한 종단을 가지며, 그로 인하여 상기 웹 부재 및 상기 앵커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선회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 연결 요소의 릿지들(ridges) 각각은 상기 연결 핀의 종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상기 슬리브의 내측을 향하는 핀 수용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웹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 측부 종단의 각 암의 상기 종단은 상기 핀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보어(bor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 하는 벽 조립체.
KR1020027010141A 2000-02-11 2001-01-19 적층 가능한 건축 패널 KR100679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298,170 2000-02-11
CA002298170A CA2298170A1 (en) 2000-02-11 2000-02-11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CA002312158A CA2312158C (en) 2000-02-11 2000-06-22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CA2,312,158 2000-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497A KR20020086497A (ko) 2002-11-18
KR100679220B1 true KR100679220B1 (ko) 2007-02-07

Family

ID=2568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141A KR100679220B1 (ko) 2000-02-11 2001-01-19 적층 가능한 건축 패널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255899B1 (ko)
JP (1) JP2003522861A (ko)
KR (1) KR100679220B1 (ko)
CN (1) CN1153876C (ko)
AT (1) ATE401470T1 (ko)
AU (2) AU2001228222B2 (ko)
BR (1) BR0108281B1 (ko)
CA (1) CA2312158C (ko)
DE (1) DE60134833D1 (ko)
DK (1) DK1255899T3 (ko)
MX (1) MXPA02007723A (ko)
NO (1) NO327893B1 (ko)
NZ (1) NZ520590A (ko)
PL (1) PL206444B1 (ko)
WO (1) WO20010592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170B1 (ko) 2009-12-07 2010-11-29 세이 사이하라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58195C (en) 2001-05-04 2007-12-18 Polyform A.G.P. Inc. Improvements in a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system
FR2853339B1 (fr) 2003-04-03 2006-07-21 Claude Blouet Procede, coffrage et epingle pour construire un mur de maconnerie
KR100732603B1 (ko) * 2006-02-08 2007-06-27 김성모 건물 벽체용 형틀 블럭
CN101358481B (zh) * 2008-08-25 2010-09-22 王连起 建筑墙体面板和建筑墙体的建造方法
GB201007303D0 (en) 2010-04-01 2010-06-16 Howorth Robert A Structual insulated form
US20140144091A1 (en) 2011-03-18 2014-05-29 Peter Mervyn Neil Composite wall panel, wall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GB2512882B8 (en) * 2013-04-10 2015-11-18 Twinwall Icf Ltd Formwork system
KR101486023B1 (ko) * 2013-11-08 2015-01-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폭패널, 방폭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폭 조립식 구조체
GB2531912B8 (en) 2014-10-15 2019-05-29 Twinwall Icf Ltd A formwork system
DK179443B1 (en) * 2017-01-30 2018-09-24 JSØ Holding A BUILDING BLOCK LINKAGE ELEMENT, A BUILDING BLOCK WITH SUCH LINKAGE ELEMENT, A WALL AND BUILDING OF A PLURALITY OF SUCH BUILDING BLOCKS
CA3056094A1 (en) 2018-09-21 2020-03-21 Cooper E. Stewart Insulating concrete form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5469A (en) 1973-07-09 1975-07-22 John R Kapitan Roof and wall panel system
CA1092846A (en) 1977-10-05 1981-01-06 William D. Lount Foamed plastic concrete form and connectors therefor
US4730422A (en) 1985-11-20 1988-03-15 Young Rubber Company Insulating non-removable type concrete wall forming structure and device and system for attaching wall coverings thereto
US4707429A (en) 1986-04-30 1987-1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allic soap as adjuvant for electrostatic liquid developer
DE3701425A1 (de) * 1987-01-20 1988-09-22 Karl Buehl Schalungsbauteil, sowie hieraus zusammengesetzte verlorene schalung
US4894969A (en) 1988-05-18 1990-01-23 Ag-Tech Packaging, Inc. Insulating block form for constructing concrete wall structures
US4884382A (en) 1988-05-18 1989-12-05 Horobin David D Modular building-block form
US5428933A (en) 1994-02-14 1995-07-04 Philippe; Michel Insulating construction panel or block
CA2256091A1 (en) * 1998-12-23 2000-06-23 Jean-Louis Beliveau Concrete wall form and connector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170B1 (ko) 2009-12-07 2010-11-29 세이 사이하라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34833D1 (de) 2008-08-28
KR20020086497A (ko) 2002-11-18
BR0108281A (pt) 2002-10-29
CA2312158C (en) 2003-11-04
PL206444B1 (pl) 2010-08-31
NO20023745L (no) 2002-09-03
AU2822201A (en) 2001-08-20
ATE401470T1 (de) 2008-08-15
CA2312158A1 (en) 2001-08-11
NO20023745D0 (no) 2002-08-07
AU2001228222B2 (en) 2005-05-26
MXPA02007723A (es) 2004-09-10
EP1255899B1 (en) 2008-07-16
NZ520590A (en) 2004-02-27
JP2003522861A (ja) 2003-07-29
BR0108281B1 (pt) 2009-08-11
DK1255899T3 (da) 2008-11-10
CN1398317A (zh) 2003-02-19
CN1153876C (zh) 2004-06-16
WO2001059227A1 (en) 2001-08-16
EP1255899A1 (en) 2002-11-13
PL360629A1 (en) 2004-09-20
NO327893B1 (no) 200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419B1 (en)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US7082732B2 (en) Insulated concrete wall forming system and hinged bridging webs
CA2346328A1 (en) Improvements in a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system
AU694516B2 (en) Interconnectable formwork elements
USRE41994E1 (en) Web member for concrete form walls
US6230462B1 (en) Concrete wall form and connectors therefor
US5704180A (en) Insulating concrete form utilizing interlocking foam panels
KR100679220B1 (ko) 적층 가능한 건축 패널
US4475326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s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060213140A1 (en) Extruded permanent form-work for concrete
US5528874A (en) Building blocks and insulated composite walls having stackable half-bond symmetry and method of making such walls
KR20000057015A (ko) 적층가능 블록구조
KR100641532B1 (ko) 적층 가능한 건축 패널 시스템의 개량
AU2001228222A1 (en)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CA1233042A (en) Module sections, modules and formwork for making insulated concrete walls
AU2002257439A1 (en) Improvements in a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system
JPH1181522A (ja) 構築用ブロック
JPH07127070A (ja) 型枠構成片の接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