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438A - 조립식 계단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계단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438A
KR20090126438A KR1020080052520A KR20080052520A KR20090126438A KR 20090126438 A KR20090126438 A KR 20090126438A KR 1020080052520 A KR1020080052520 A KR 1020080052520A KR 20080052520 A KR20080052520 A KR 20080052520A KR 20090126438 A KR20090126438 A KR 20090126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ing member
fixing
hol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807B1 (ko
Inventor
이용헌
안태진
지홍기
박종태
박주선
Original Assignee
(주)리버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버앤텍 filed Critical (주)리버앤텍
Priority to KR102008005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80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이나 항만, 하천, 저수지, 댐 등에 설치되는 조립식 계단블록에 관한 것으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하천에의 접근 계단을 제공하도록 하천 등의 법면(경사면)에 설치되는 계단블록으로 지면에 바로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상면은 수평면이며, 하면은 전방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고, 전후 및 좌우면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소정크기의 다각면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 하면의 경사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울기를 가지도록 부착되어 블록과 블록을 전후 측으로 연결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이어지게 연결되는 블록을 호안의 지면에 안착되어 계단블록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조립식, 블록, 호안, 절개지, 계단 블록,

Description

조립식 계단블록{Fabricated stair block}
본 발명은 해안이나 항만, 하천, 저수지, 댐 등에 설치되는 조립식 계단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하천에의 접근 계단을 제공하도록 하천 등의 법면(경사면)에 설치되는 계단블록으로 지면에 바로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계단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례의 기술에는 토사의 유실이나 붕괴의 방지에 대해 많은 예산을 들여 공사한 호안 공사가 한해를 넘기지 못하고 비나 홍수에 의해 붕괴 유실되고 있는 실정이며, 종래의 절개지나 하천의 호안공사용 호안블록들은 친환경적인 면에서 문제점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며 토사의 유출이 나 붕괴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계단 건축물을 착공할 때, 계단은 콘크리트 슬라브의 계단골조를 건물구조체와 일체로 형성하여 건축물의 마무리 공사와 함께 완성되고 완성된 계단의 표면은 인조석 바르기를 한 후 물갈기 공법에 의하여 계단 마무리 공사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은 시공이 까다롭고 번거롭고 그 공사기간도 긴 문제점 이 있었다.
종래의 계단블록은 디딤판과 채일판이 일체로 'ㄱ'자 형상을 하면서 형성되며, 디딤판 상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계단블록을 콘크리트 슬라브의 계단 골조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계단블록과 계단골조가 접촉하는 면에 몰탈을 깔고 그 위에 계단블록을 얹어 서로 부착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디딤판과 계단골조가 접촉하는 면은 수평면이어서 몰탈로 이들을 서로 부착하는데 별 어려움은 없지만, 채일판과 계단골조가 접촉하는 면은 수직면이어서 몰탈을 바르더라도 쉽게 떨어져 나가기 쉽고 채일판과 계단골조 사이에 몰탈이 균일하게 충분히 채워지지 않아 계단블록과 계단골조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디딤판과 채일판이 교차하는 'ㄱ'자 부분에는 몰탈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아 계단블록과 계단골조 사이에 공간이 생길 수 있다. 계단블록과 계단골조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 내구성에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호안의 경사면 또는 지면에 시공 시 블록들이 연이어져 군집을 이루어 구조적으로 우수한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고, 하천에의 접근 계단을 제공하도록 하천 등의 법면(경사면)에 설치되는 계단블록으로 지면에 바로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계단블록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안이나 항만, 하천, 저수지, 댐 등에 설치되는 조립식 계단 블록에 있어서, 상면은 수평면이며, 하면은 전방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고, 전후 및 좌우면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소정크기의 다각면체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 하면의 경사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에 기울기를 가지도록 부착되어 블록과 블록을 전후 측으로 연결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이어지게 연결되는 블록을 호안의 지면에 안착되어 계단블록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ㄱ'자 형상의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전측에는 'ㅗ' 형상의 소정의 조립통공이 형성되고, 후측으로 연이어지면서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어 하단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면서 절곡되어진 일측에 'ㅗ' 형상의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견고히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면에 고정부재를 부착한 블럭과 블럭의 결합은 비탈진 지면의 하단 측에서부터 블록이 좌우로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다른 블록이 반복적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상측으로 수평하게 다른 블록이 층을 형성하면서 놓여지는 것으로 하단 층에 위치한 블록의 고정부재의 조립통공에 상단 층에 위치하는 블록의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단계적으로 층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블록이 지면에 조립되어 다수개로 층으로 이루어진 조립된 계단블록에서 고정부재는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는 구조이다.
상기 블럭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블록이 고정부재로 전후, 좌우측으로 연결 조립되도록 호안의 지면에서 블록 좌우로 교호하게 위치하여 호안의 계단블록을 이루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이때, 상기 고정부재를 블록의 하면 상단측으로 링형상의 삽입공을 형성하면서 블록의 하면에서 노출되로록 고정된 체결부재와, 상기 블록의 하면 하단측에 고정되어 블록의 하단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체결공을 구비한 원형핀과, 상기 블록의 하면 상단측에 위치한 체결부재의 삽입공에 다른 블록의 하단측에 위치한 원형핀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원형핀의 체결공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블록과 블록을 상하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를 블록의 하면에서 이격되는 상하, 좌우 측에 다수개로 각각 노출되게 볼트로 고정되면서 중앙에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블록이 위치하고, 다른 블록의 하단면에 형성된 고정지지부가 위치하여 상하단에 블록이 위치하면서 고정지지부는 같은 위치에 놓여 각각의 고정공이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맞추어 상기 고정공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블록과 블록을 상하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공을 구비한 고정지지부를 다수개를 형성한 각각의 블록을 지면에 안착시키면서 고정지지부를 상하로 곁쳐 수직선상에 위치한 고정공에 너트마개와 볼트마개가 고정공에 삽입되어 볼트 조임으로 상하층을 이루는 블록과 블록을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블록은 비탈면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부여하면서 각 시공 공정마다 조립식으로 진행되므로 미숙련의 시공자가 계단블록을 일체로 견고하기 구축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조립식 계단블록으로 하천 등의 법면에 설치시 지면에 바로 블록을 놓으면서 블록과 블록을 끼우는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시공 시간이 빠르게 진행하여 시간을 충분히 단축하면서 블록과 블록을 고정부재로만 조립이 가능하여 다른 일 자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하기 위한 법면으로 이동 운반이 용이하고,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적인 하천의 호안공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면은 수평면이며, 하면은 전방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고, 전후 및 좌우면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소정크기의 다각면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 하면의 경사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울기를 가지도록 부착되어 블록과 블록을 전후 측으로 연결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이어지게 연결되는 블록을 호안의 지면에 안착되어 계단블록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조립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계단블록(100)은 해안이나 항만, 하천, 저수지, 댐 등에 설치되는 조립식 계단블록(100)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조립식 계단블록(100)은 호안의 법면에 각각의 블록(10)이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10)은 상면은 수평면이며, 하면은 전방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고, 전후 및 좌우면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소정크기의 다각면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블록(10) 하면의 경사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울기를 가지도록 고정부재(20)가 부착되어 블록(10)과 블록(10)을 전후 측으로 연결하는 역활을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20)는 'ㄱ'자 형상의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전측에는 'ㅗ' 형상의 소정의 조립통공(22)이 형성되고, 후측으로 연이어지면서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어 하단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면서 절곡되어진 일측에 'ㅗ' 형상의 결합부재(24)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의 조립통공(22)은 결합부재(24)와 결합되면서 지면(2)에 안착시켜 고정할 때 지면(2)의 하중 및 힘의 방향을 고려하여 조립통공(22)의 형태를 'ㅜ' 또는 '+' 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결합부재(24)가 조립통공(22)에 결합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블록과 블록의 고정부재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의 전측에는 조립통공(22) 이 형성되고, 후측에는 절곡되어진 결합부재(24)가 형성된 것으로 고정부재(20)는 블록(10)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고정부재(20)의 조립통공(22)은 블록(10)의 하면에서 상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하며, 고정부재(20)의 결합부재(24)는 블록(10)의 하면에서 하측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20)는 상하측에 위치하는 블록(10)과 블록(10) 연결하는 것으로 상측에 위치한 블록(10)의 하면에 부착된 고정부재(20)의 결합부재(24)와 하측에 위치하는 블록(10)의 하면에 부착된 고정부재(20)의 조립통공(22)은 블록(10)의 하단에서 상단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되게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측에 위치한 블록(10)의 고정부재(20)의 결합부재(24)가 하측에 위치한 블록(10)의 고정부재(20)의 조립통공(22)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결합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24)가 조립통공(22) 내부 공간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록(10)과 블록(10)의 결합에서 법면의 특성상 블록(10)의 힘은 하단방향으로 향하여 고정부재(20)의 조립통공(22) 내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이동한 결합부재(24)는 조립통공(2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같이, 상기 블록(10)과 블록(10)을 고정부재(20)로 결합하여 단계적으로 블록(10)이 층층이 지면(2)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블록(10)과 블록(10)을 고정부재(20)로 결합시키면서 지면(2)에 안착시킬 시 안정된 안착을 위해 블록(10)과 블록(10) 사이에 단계적으로 토사 로 다져가며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20)는 블록(10)의 하면 측 고정홀(26)에 나선이 형성되어 이에 대응하는 볼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블록(1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각각 다른 블록(10)에 고정부재(20)가 부착고정되는데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블록(10)의 하면에는 고정부재(20)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블록(10)의 길이가 짧은 블록(20)의 고정부재(20)는 하나로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블록(10)의 하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20)는 블록(10)의 상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길이가 다른 각각의 블록(10)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다.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블록과 블록의 결합으로 층을 구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법면에 설치된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를 부착한 블럭(10)과 블럭(10)이 지면(2)에 위치하도록 하는 결합은 비탈진 지면(2)의 하단 측에서부터 블록(10)이 좌우로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다른 블록(10)이 반복적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10)의 상측으로 수평하게 다른 블록(10)이 층을 형성하면서 놓여지는 것으로 하단 층에 위치한 블록(10)의 고정부재(20)의 조립통공(22)에 상단 층에 위치하는 블록(10)의 결합부재(24)가 결합되어 단계적으로 층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블럭(1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블록(10)이 고정부재(20)로 전후, 좌우측으로 연결 조립되도록 호안의 지면(2)에서 블록(10) 좌우로 교호하게 위치하여 호안의 계단블록(100)을 이루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록(10)은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다른 블록(10)이 교호하게 위치하지만 블록(10)과 블록(10)의 하단에 위치하여 연결 결합하는 고정부재(20)는 수직한 위치로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20)에 의해 블록(10)이 지면(2)에 조립되어 다수개로 층으로 이루어진 조립된 계단블록(100)에서 고정부재(20)는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으로 상기 고정부재(20)에 의해 연이어지게 연결되는 블록(10)을 호안의 지면(2)에 안착되어 계단블록(100)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블록(100) 시공에서 법면의 하단에서부터 시공하게 되는데 하단 일측에는 블록(10)이 수평하게 놓여지기 전에 보강 설치가 되며, 그 위로 블록(10)이 수평하게 놓여지고, 단계적으로 블록(10)과 블록(10)을 고정부재(20)로 고정하면서 층층이 쌓아 올리면서 법면에 계단블록(100)이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블록(1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각각 다른 블록(10)을 교호하게 위치하여 조립시공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블록(10)의 길이가 일정한 블록(10)을 단계적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블록(10)과 블록(10)을 연결하는 고정부재(20)를 지면(2)에 안착되는 블록(10)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정부재(20) 간의 결합에서 고정부재(20)의 결합부재(24)가 하단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조립통공(22)에 결합되면서 하단으로 길게 돌출되어 지면(2) 내부에 심어져 블록(10)의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10)과 블록(10)을 연결하는 상기 고정부재(20)를 'ㄱ'자 형상의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측에는 'ㅗ' 형상의 소정의 조립통공(22)이 형성되고, 후측으로 연이어지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단방향으로 길게 돌출을 이루는 'ㅗ' 형상의 걸림결합부재(30)가 형성된 것이다.
이것은, 상기 걸림결합부재(30)가 지면(2) 속으로 깊이 삽입시켜 블록(10)이 지면(2)에서의 고정력을 증가 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0)의 결합부재(24) 길이는 지면(2) 깊이를 고려해 길이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인 체결부재와 원형핀부재에 의한 조립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의 하면 상단측으로 장방형체의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일측에 링형상의 삽입공(42)을 형성하면서 블록(10)의 하면에서 노출되로록 고정된 체결부재(4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10)의 하면 하단측에 체결공(52)을 구비한 'ㄱ'형상의 원형핀부재(50) 고정되어 블록(10)의 하단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블록(10)에 고정된다.
상기 블록(10)의 하면 상단측에 위치한 체결부재(40)의 삽입공(42)에 다른 블록(10)의 하단측에 위치한 원형핀부재(50)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원형핀부재(50)의 체결공(52)에 고정핀(60)을 삽입하여 블록(10)과 블록(10)을 상하로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즉, 블록(10)과 블록(10)을 연결 고정하는 블록(10)의 하단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하게 위치하는 체결공(52)을 구비한 원형핀부재(50)가 돌출을 이루면서 위치하고, 상기 다른 블록(10)의 하면에서 상단측에는 링형상의 삽입공(42)을 형성하면서 블록(10)의 하면에서 노출되도록 볼트로 고정된 체결부재(40)의 삽입공(42)이 수직선상으로 원형핀부재(50)에 삽입되고, 삽입 결합으로 상기 체결부재(4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원형핀부재(50)의 체결공(52)에 고정핀(60)을 삽입하여 원형핀부재(50)를 중심으로 꼬아서 체결부재(40)에서 원형핀부재(5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록(10)의 하면에 부착되는 체결부재(40)와 원형핀부재(50)는 블록(10)의 상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블록(10)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상기 체결부재(40)와 원형핀부재(50)에 의해 연이어지게 연결되는 블록(10)을 호안의 지면(2)에 안착되어 계단블록(100)을 이루게 되는 것 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인 체결부재만을 이용한 조립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42)을 구비한 체결부재(40) 만을 블록(10)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서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하, 좌우로 다수개로 체결부재(40)를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삽입공(42)이 블록(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10)의 상단측에 위치한 체결부재(40)의 삽입공(42)과 다른 블록(10)의 하단측에 위치한 체결부재(40)의 삽입공(42)이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맞추어 상기 삽입공(42)에 고정핀(60)을 삽입하여 블록(10)과 블록(10)을 상하로 연결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역시 상기 블록(10)과 블록(10)의 체결부재(40)의 삽입공(42)이 일직선상에 곁쳐지게 위치하고, 상기 삽입공(42)에 고정핀(60)을 수직하게 삽입하면서 체결부재(40)를 중심으로 꼬아서 상하측으로 이루어지는 블록(10)에 결합된 체결부재(40)와 체결부재(4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록(10)의 하면에 부착되는 체결부재(40)와 체결부재(40)는 블록(10)의 상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블록(10)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상기 블록(10)에 결합된 체결부재(40)와 체결부재(40)에 의해 연이어지게 연결되는 블록(10)을 호안의 지면(2)에 안착되어 계단블록(100)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인 너트마개와 볼트마개를 이용한 조립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42)을 구비한 체결부재(40) 만을 블록(10)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서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하, 좌우로 다수개로 체결부재(40)가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삽입공(42)이 블록(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한 체결부재(40)를 다수개를 형성한 각각의 블록(10)을 지면(2)에 안착시키면서 체결부재(40)를 상하로 곁쳐 수직선상에 위치한 삽입공에 너트마개(72)와 볼트마개(74)가 삽입공(42)에 삽입되어 볼트 조임으로 상하층을 이루는 블록(10)과 블록(10)을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 블록(10)과 블록(10)의 체결부재(40)의 삽입공(42)이 일직선상에 곁쳐지게 위치하고, 상기 삽입공(42)에 나사선을 구비한 너트마개(72)와 볼트마개(74)가 삽입공(42)을 사이에 되고 수직하게 삽입하면서 체결부재(40)를 중심으로 너트마개(72)와 볼트마개(74)가 상하측으로 결합되면서 블록(10)에 결합된 체결부재(40)와 체결부재(4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록(10)의 하면에 부착되는 체결부재(40)와 체결부재(40)를 고정하는 너트마개(72)와 볼트마개(74)를 블록(10)의 상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블록(10)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상기 체결부재(40)와 체결부재(40)에 의해 연이어지게 연결되는 블록(10)을 호안의 지면(2)에 안착되어 계단블록(100)을 이루게 되는 것이 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인 버클과 보강벨트를 이용한 조립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의 하면 가장자리에 서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하, 좌우로 다수개의 버클(82)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블록(10)을 상하, 좌우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각각의 버클(82)에 보강벨트(84)를 수직하게 끼워 각각의 블록(10)을 전체의 계단블록(100)으로 연결하여 한번에 이동이 가능한 계단블록(100)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 지면(2)에 바로 설치하기 보다 제작시 버클(82)을 구비한 블록(10)의 하면이 위를 보게끔 나열하여 소정의 군락으로 상하, 좌우 배열하여 수직하게 위치한 버클(82)에 보강벨트(84)를 수직선상으로 전체를 끼워 연결조립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10)의 중앙에 블록(10)과 밀착된 보강벨트(84)를 볼트로 고정하여 틀어짐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벨트(84)로 연결 조립된 계단블록(100)을 지게차 또는 운반기계에 의해 한번에 들어올려 이동이 손쉽고, 설치시 한번에 지면에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벨트(84)는 고탄력의 직물 또는 철강 등 지지력이 좋은 재질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면에 조립식 계단 블록(100)에서 블록(10)과 블록(10)을 조립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고정체와 고정체를 조립고정하는 고정 물은 더욱 우수한 고정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블록과 블록의 고정부재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블록과 블록의 결합으로 층을 구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법면에 설치된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인 걸림결합부재에 의한 조립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인 체결부재와 원형핀부재에 의한 조립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인 체결부재만을 이용한 조립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인 너트마개와 볼트마개를 이용한 조립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블록의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인 버클과 보강벨트를 이용한 조립 계단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지면 10:블록
20:고정부재 22:조립통공
24:결합부재 26:고정홀
30:걸림결합부재 40:체결부재
42:삽입공 50:원형핀부재
52:체결공 60:고정핀
72:너트마개 74:볼트마개
82:버클 84:보강벨트
100:계단블록

Claims (10)

  1. 해안이나 항만, 하천, 저수지, 댐 등에 설치되는 조립식 계단 블록에 있어서,
    상면은 수평면이며, 하면은 전방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고, 전후 및 좌우면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소정크기의 다각면체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블록(10)과,
    상기 블록(10) 하면의 경사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에 기울기를 가지도록 부착되어 블록(10)과 블록(10)을 전후 측으로 연결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에 의해 연이어지게 연결되는 블록(10)을 호안의 지면(2)에 안착되어 계단블록(100)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ㄱ'자 형상의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전측에는 'ㅗ' 형상의 소정의 조립통공(22)이 형성되고, 후측으로 연이어지면서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어 하단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면서 절곡되어진 일측에 'ㅗ' 형상의 결합부재(24)가 형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2)에 고정부재(20)를 부착한 블럭(10)과 블럭(10)의 결합은 비탈진 지면(2)의 하단 측에서부터 블록(10)이 좌우로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다른 블록(10)이 반복적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10)의 상측으로 수평하게 다른 블록(10)이 층을 형성하면서 놓여지는 것으로 하단 층에 위치한 블록(10)의 고정부재(20)의 조립통공(22)에 상단 층에 위치하는 블록(10)의 결합부재(24)가 수직하게 끼움 결합되어 단계적으로 층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에 의해 블록(10)이 지면(2)에 조립되어 다수개로 층으로 이루어진 조립된 계단블록(100)에서 고정부재(20)는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1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블록(10)이 고정부재(20)로 전후, 좌우측으로 연결 조립되도록 호안의 지면(2)에서 블록(10) 좌우로 교호하게 위치하여 호안의 계단블록(100)을 이루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를 'ㄱ'자 형상의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측에는 'ㅗ' 형상의 소정의 조립통공(22)이 형성되고, 후측으로 연이어지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단방향으로 길게 돌출을 이루는 'ㅗ' 형상의 걸림결합부재(3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를,
    블록(10)의 하면 상단측으로 장방형체의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일측에 링형상의 삽입공(42)을 형성하면서 블록(10)의 하면에서 노출되로록 고정된 체결부재(40)와,
    상기 블록(10)의 하면 하단측에 고정되어 블록(10)의 하단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체결공(52)을 구비한 'ㄱ'형상의 원형핀부재(50)와,
    상기 블록(10)의 하면 상단측에 위치한 체결부재(40)의 삽입공(42)에 다른 블록(10)의 하단측에 위치한 원형핀부재(50)가 수직으로 삽입 고정되고, 상기 원형핀부재(50)의 체결공(52)에 고정핀(60)을 삽입하여 블록(10)과 블록(10)을 상하로 연결 고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42)을 구비한 체결부재(40)를 블록(10)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서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하, 좌우로 다수개로 체결부재(40)가 각각 고정되어 삽입공(42)이 블록(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되어 블록(10)의 상단측에 위치한 체결부재(40)의 삽입공(42)과 다른 블록(10)의 하단측에 위치한 체결부재(40)의 삽입공(42)이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맞추어 상기 삽입공(42)에 고정핀(60)을 삽입하여 블록(10)과 블록(10)을 상하로 연결 고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42)을 구비한 체결부재(40)를 다수개를 형성한 각각의 블록(10)을 지면(2)에 안착시키면서 체결부재(40)를 상하로 곁쳐 수직선상에 위치한 삽입공(42)에 너트마개(72)와 볼트마개(74)가 삽입공(42)에 삽입되어 볼트 조임으로 상하층을 이루는 블록(10)과 블록(10)을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하면 가장자리에 서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하, 좌우로 다수개의 버클(82)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블록(10)을 상하, 좌우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각각의 버클(82)에 보강벨트(84)를 수직선상으로 전체를 끼워 각각의 블록(10)을 전체의 계단블록(100)으로 연결하여 한번에 이동이 가능한 계단블록(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블록.
KR1020080052520A 2008-06-04 2008-06-04 조립식 계단블록 KR10097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20A KR100978807B1 (ko) 2008-06-04 2008-06-04 조립식 계단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20A KR100978807B1 (ko) 2008-06-04 2008-06-04 조립식 계단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38A true KR20090126438A (ko) 2009-12-09
KR100978807B1 KR100978807B1 (ko) 2010-08-30

Family

ID=4168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520A KR100978807B1 (ko) 2008-06-04 2008-06-04 조립식 계단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366B1 (ko) * 2018-12-28 2020-01-08 (주)리버앤텍 계단블록 어셈블리
KR102179213B1 (ko) * 2020-03-23 2020-11-16 조순관 친환경 조립식 축대 겸용 계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8340B2 (ja) * 2018-09-25 2022-10-05 和 熊谷 階段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付きマ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628U (ja) * 1992-12-18 1994-07-22 功 尾形 修景法面階段
JP2002309543A (ja) 2001-04-11 2002-10-23 Toyo Kosan Kk 階段および段石連結ユニット
KR100490928B1 (ko) 2002-10-10 2005-05-23 동인개발주식회사 방파제 또는 호안 소파피복블럭
WO2005093166A1 (ja) 2004-03-29 2005-10-06 Kimio Tada 階段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る階段施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366B1 (ko) * 2018-12-28 2020-01-08 (주)리버앤텍 계단블록 어셈블리
KR102179213B1 (ko) * 2020-03-23 2020-11-16 조순관 친환경 조립식 축대 겸용 계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807B1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6911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2314601B1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8807B1 (ko) 조립식 계단블록
AU2003210567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701484B1 (ko)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KR101136661B1 (ko)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70127B1 (ko) 조립식어도 시공방법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447265B1 (ko) 친환경적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441843Y1 (ko) 에이치아이형 식생호안블록
JP6067249B2 (ja) 流路調整ブロック
KR100626325B1 (ko) 콘크리트 블록과 이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방법
KR100449642B1 (ko)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KR102266421B1 (ko) 소파블록
JP2005213735A (ja) 法面における階段ブロックの施工方法および法面における一体式階段ブロック
KR200344552Y1 (ko) 식생호안블럭의 설치구조
KR100465828B1 (ko) 식생 옹벽블럭
KR20090084568A (ko) 토목 벽제 건설용 콘크리트 블록구조물
KR102228751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94853B1 (ko) 생태통로부가 구비된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수로 구조물
KR102194854B1 (ko)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KR200361060Y1 (ko) 콘크리트 블록
KR200263821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