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770B1 - 옹벽 블럭 구조물 - Google Patents

옹벽 블럭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770B1
KR100906770B1 KR1020070100254A KR20070100254A KR100906770B1 KR 100906770 B1 KR100906770 B1 KR 100906770B1 KR 1020070100254 A KR1020070100254 A KR 1020070100254A KR 20070100254 A KR20070100254 A KR 20070100254A KR 100906770 B1 KR100906770 B1 KR 10090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hinge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147A (ko
Inventor
문희정
조삼덕
이광우
Original Assignee
문희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filed Critical 문희정
Priority to KR102007010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7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로나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옹벽 블럭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옹벽 블럭과, 상기 블럭의 상면 및 후면으로 개구됨과 동시에 상기 블럭의 중앙 수직선상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고 T자형으로 형성된 연결쇠로서, 상기 연결쇠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된 어깨부, 상기 어깨부와 상기 T자형으로 교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아치형상의 호상부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와 호상부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연결쇠와, 상기 연결쇠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홀 및 하부홀이 형성된 연결고리편으로서, 상기 상부홀은 상기 연결쇠 상기 어깨부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홀은 그리드 일측에 결착되는 연결대에 체결되는 연결고리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강토옹벽, 그리드, 콘크리트 블럭

Description

옹벽 블럭 구조물{Structure of revetment blocks}
본 발명은 철로나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옹벽 블럭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중앙 수직선상에 형성한 안착홈에 T자형으로 형성된 연결쇠의 일부를 삽입하고, 연결고리편을 상기 연결쇠의 어깨부와 그리드 일측에 결착되는 연결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하천, 도로 또는 각종 토목공사의 법면(法面: 둑·절토·호안 등의 경사면)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옹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옹벽은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 등에 널리 시공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통한 옹벽의 시공으로는 블럭의 상부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하부면에는 이와 일치하는 돌출부 안착홈을 형성하여 하층 블럭 상부면의 돌출부가 상층 블럭 하부면의 돌출부 안착홈에 안착되게 하며, 상·하의 블럭층 사이에 지오그리드(Geogrid)를 삽입하여 조적 하는 축조방법이 많이 사용되어져 왔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구성에 의하면 대체적으로 성토지나 절개지에 대한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만 알맞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그 모양이나 크기는 다양하지만 아파트 단지조성, 철로나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 등의 목적으로 시공되어진 후 조적식 옹벽의 기능만을 할 뿐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좌우의 횡방향으로 조적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이웃하는 두 블럭의 양측면은 평면이나 상호 대응하는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면접촉을 통해 조적되기 때문에 조적된 옹벽의 블럭과 블럭 사이의 결합력이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통해 아파트 단지조성, 철로나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를 위한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좌우로 조적
된 블럭 간의 지지력이 매우 취약하여 토압이나 크립에 의한 블럭의 수직 및 수평변위의 발생으로 인한 붕괴의 위험성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복토 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취약하여 쉽게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후단에 가늘고 긴 고정발이 결합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블럭 본체가 후방의 복토로부터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 블럭의 축조와 동시에 그 후방의 복토를 단단하게 다져서 시공하더라도 시공 후 다져진 복토가 침하되면서 지지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토에 대한 고정발의 지지력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본체가 전방으로 밀려나와 붕괴되거나 고정발의 끝단이 눌려지면서 본체가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다시 말해서, 복토에 의한 지지력이 저하되면서 전체적으
로 상하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불규칙한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축조된 옹벽의 안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옹벽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럭의 중앙 수직선상에 형성한 안착홈에 T자형으로 형성된 연결쇠의 일부를 삽입하고, 연결고리편을 상기 연결쇠의 어깨부와 그리드 일측에 결착되는 연결대에 체결하여 상기 연결쇠를 융통성있게 사용함으로 소기의 연결 및 지지의 역할을 달성하고, 현장에서 적용 시, 연결자체를 용이하게 하여 시공이 편리함을 이룰 수 있는 목적이 있다.
또한, 블럭의 중앙 수직선상에 형성한 안착홈을 이용하여 그리드로 연결되는 연결쇠의 요동을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철로나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옹벽 블럭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옹벽 블럭(1);
상기 블럭(1)의 상면(2) 및 후면(2')으로 개구됨과 동시에 상기 블럭(1)의 중앙 수직선상에 형성되는 안착홈(3);
상기 안착홈(3)에 삽입되고 T자형으로 형성된 연결쇠(4)로서, 상기 연결쇠(4)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된 어깨부(7), 상기 어깨부(7)와 상기 T자형으로 교차하는 몸체부(5), 상기 몸체부(5)의 하단에 아치형상의 호상부(6)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5)와 호상부(6)는 상기 안착홈(3)에 삽입되는 연결쇠(4);
상기 연결쇠(4)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홀(10a) 및 하부홀(10b)이 형성된 연결고리편으로서, 상기 상부홀(10a)은 상기 연결쇠(4) 상기 어깨부(7)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홀(10b)은 그리드(8) 일측에 결착되는 연결대(9)에 체결되는 연결고리편(1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착홈(3)은 역(逆)깔때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깨부(7)는 상기 연결고리편(10)이 안정적으로 체결되기 위해 사각봉 부위와 원형봉 부위로 이루어져, 상기 두 부위의 경계에 단차부(7')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옹벽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블럭의 중앙 수직선상에 형성한 안착홈을 이용하여 그리드로 연결되는 연결쇠를 융통성있게 사용함으로 소기의 연결 및 지지의 역할을 달성하여 상기 연결쇠의 요동을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옹벽 블럭에 비해 견고해짐에 따라 안정성이 향상되고, 그리드를 연결쇠로 연결할 때 불규칙적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상당수의 상기 연결쇠를 절약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리드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철로나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옹벽 블럭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옹벽 블럭(1);
상기 블럭(1)의 상면(2) 및 후면(2')으로 개구됨과 동시에 상기 블럭(1)의 중앙 수직선상에 형성되는 안착홈(3);
상기 안착홈(3)에 삽입되고 T자형으로 형성된 연결쇠(4)로서, 상기 연결쇠(4)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된 어깨부(7), 상기 어깨부(7)와 상기 T자형으로 교차하는 몸체부(5), 상기 몸체부(5)의 하단에 아치형상의 호상부(6)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5)와 호상부(6)는 상기 안착홈(3)에 삽입되는 연결쇠(4);
상기 연결쇠(4)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홀(10a) 및 하부홀(10b)이 형성된 연결고리편으로서, 상기 상부홀(10a)은 상기 연결쇠(4) 상기 어깨부(7)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홀(10b)은 그리드(8) 일측에 결착되는 연결대(9)에 체결되는 연결고리편(1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착홈(3)은 역(逆)깔때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깨부(7)는 상기 연결고리편(10)이 안정적으로 체결되기 위해 사각봉 부위와 원형봉 부위로 이루어져, 상기 두 부위의 경계에 단차부(7')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쇠의 정면도이다.
상기 블럭(1)의 상면(2) 및 후면(2')으로 개구됨과 동시에 상기 블럭(1)의 중앙 수직선상에 안착홈(3)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3)에 삽입되고 T자형으로 형성된 연결쇠(4)로서, 상기 연결쇠(4)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된 어깨부(7)와 상기 T자형으로 교차하는 몸체부(5)의 하단에 아치형상의 호상부(6)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몸체부(5)와 호상부(6)만 상기 안착홈(3)에 삽입되고, 상기 어깨부(7)는 연결고리편(10)이 안정적으로 체결되기 위해 사각봉 부위와 원형봉 부위로 이루어져, 상기 두 부위의 경계에 단차부(7')로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리편의 정면도이며, 도 4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쇠와 연결고리편과 연결대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럭 구조물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연결쇠(4)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홀(10a) 및 하부홀(10b)이 형성된 연결고리편(10)으로서, 상기 상부홀(10a)은 상기 어깨부(7)의 사각봉 부위와 원형봉 부위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고리편(10)이 안정적으로 체결되기 위해 상기 원형봉에 상기 상부홀이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홀(10b)은 그리드(8) 일측에 결착되는 연결대(9)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이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쇠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리편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쇠와, 연결고리편과, 연결대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럭 구조물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명칭**
1: 블럭 2, 2':상면, 후면
3: 안착홈 4: 연결쇠
5: 연결쇠 몸체부 6: 호상부
7, 7': 어깨부, 단차부 8: 그리드
9: 연결대 10: 연결고리편

Claims (3)

  1. 철로나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옹벽 블럭 구조물에 있어서,
    상면(2) 및 후면(2')으로 개구됨과 동시에 중앙 수직선상에 역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홈(3)을 갖는 옹벽 블럭(1);
    상기 옹벽블럭(1)을 지지하는 그리드(8);
    상기 안착홈(3)에 삽입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연결된 좌, 우 수평부로 이루어진 몸체부(5)와,
    상기 몸체부(5)의 수직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에 삽입되는 호상부(6)와,
    상기 몸체부(5)의 상기 좌, 우 수평부에 연장되어 사각봉 부위와 원형봉 부위로 이루어진 어깨부(7) 및
    상기 사각봉 부위와 원형봉 부위의 경계에 위치한 단차부(7')
    로 이루어져 상기 옹벽블록(1)과 상기 그리드(8)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쇠(4);
    상기 그리드(8)의 일측에 결착된 연결대(9) 및
    상기 어깨부(7)의 상기 좌, 우 원형봉 부위에 체결되는 상부홀(10a)과,
    상기 연결대(9)에 체결되는 하부홀(10b)로 구비하여
    상기 연결쇠(4)와 상기 연결대(9)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고리편(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구조물.
  2. 삭제
  3. 삭제
KR1020070100254A 2007-10-05 2007-10-05 옹벽 블럭 구조물 KR10090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54A KR100906770B1 (ko) 2007-10-05 2007-10-05 옹벽 블럭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54A KR100906770B1 (ko) 2007-10-05 2007-10-05 옹벽 블럭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147A KR20090035147A (ko) 2009-04-09
KR100906770B1 true KR100906770B1 (ko) 2009-07-07

Family

ID=4076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254A KR100906770B1 (ko) 2007-10-05 2007-10-05 옹벽 블럭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540B1 (ko) 2019-08-20 2021-01-22 주식회사 대성피앤씨 경사면 형성이 가능한 옹벽 블럭용 몰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22B1 (ko) 2006-01-19 2007-01-04 최영근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22B1 (ko) 2006-01-19 2007-01-04 최영근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540B1 (ko) 2019-08-20 2021-01-22 주식회사 대성피앤씨 경사면 형성이 가능한 옹벽 블럭용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147A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03755341U (zh) 一种土工格栅挡墙
KR100998253B1 (ko)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
CN212926082U (zh) 一种基坑支护桩加固结构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100665022B1 (ko)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연결구
KR100906770B1 (ko) 옹벽 블럭 구조물
KR101032476B1 (ko) 강봉을 이용한 블럭식 암버럭 옹벽
CN112482228A (zh) 一种拱桥拱脚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及拱桥
KR200374618Y1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100632490B1 (ko)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CN104895090A (zh) 一种组合式梯键结构及其施工方法
JP4966758B2 (ja) 傾斜地用べた基礎
EP2672015A1 (en) Retaining module
KR20040097078A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20060069805A (ko) 보강 토 옹벽용 블록
KR102467042B1 (ko) 체인식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11498736U (zh) 用于生态护坡的水工砖装置
CN218292007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分层式沉井结构
CN215594106U (zh) 装配式混凝土长短工形块挡土墙
CN210031682U (zh) 一种水利工程用护坡支撑架
JP6899057B2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基礎ブロック
KR100461986B1 (ko) 보강 토 옹벽용 블록
KR200369484Y1 (ko) 보강 토 옹벽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