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938Y1 - 홈 블럭 - Google Patents

홈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938Y1
KR200247938Y1 KR2020010017138U KR20010017138U KR200247938Y1 KR 200247938 Y1 KR200247938 Y1 KR 200247938Y1 KR 2020010017138 U KR2020010017138 U KR 2020010017138U KR 20010017138 U KR20010017138 U KR 20010017138U KR 200247938 Y1 KR200247938 Y1 KR 200247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inclined surface
grooves
fixing holes
groo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선
Original Assignee
쌍구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구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구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7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938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물고기가 드나들며 살수 있는 어소를 제공하며 앵커부재를 이용하여 상하가 연결되므로 안정적인 옹벽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장변쪽의 한쪽 모서리에는 복수의 어소홈이 형성되며, 단변쪽 양쪽 모서리부분과 어소홈 사이에는 각각 앵커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구멍을 형성하는 홈 블럭을 제공한다.
고정구멍은 단변쪽 양 모서리부분과 어소홈 사이 부분에 각각 일열로 배열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3∼6개 형성하고, 어소홈은 모서리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단변쪽 양 옆면은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어소홈쪽의 옆면 경사면은 이웃하여 위치하는 옆면 경사면과 함께 다시 하나의 어소홈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홈 블럭 {Groove Block}
본 고안은 홈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고기가 드나들며 살수 있는 어소(어항)를 제공하며 앵커부재를 이용하여 상하가 연결되므로 안정적인 옹벽구조가 이루어지는 홈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도로의 법면이나 하천의 호안에는 토질의 안정성과 경사면의 보호라는 측면에서 거푸짚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블럭을 축조하여 옹벽을 설치하는 시공이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일체형 콘크리트 옹벽이나 콘크리트 블럭을 축조한 옹벽의 경우에는 토사의 흘러내림은 방지되지만,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살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생태계가 파괴되어 환경적인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도록 철망에 자갈이나 돌 등을 담아 시공하는 방안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된다.
그러나 종래 철망에 자갈이나 돌 등을 담아 시공하는 경우에는 철망에 담는 공정이 번거롭고, 이를 적층하는 작업이 굴곡이나 단차가 있는 경사면에서는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호안용 옹벽의 경우에는 물속에 위치하는 부분이 완전히 막힌 벽면으로 형성되어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물속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물고기들이 드나들며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인 어소(어항)를 제공하여 물속 생태계를 활성화 시키고 상하로 앵커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며 시공작업도 편리한 홈 블럭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의 일실시예를 사용하여 수직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의 일실시예를 사용하여 경사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홈 블럭은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장변쪽의 한쪽 모서리에는 복수의 어소홈이 형성되며, 단변쪽 양쪽 모서리부분과 상기한 어소홈 사이에는 각각 앵커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구멍을 형성한다.
상기한 고정구멍은 단변쪽 양 모서리부분과 어소홈 사이 부분에 각각 일열로 배열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3∼6개 형성한다.
상기한 어소홈은 모서리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단변쪽 양 옆면은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삼각형의 꼭지점은 어소홈이 형성되는 쪽으로 약간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 어소홈쪽의 옆면 경사면은 어소홈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로 형성하여 이웃하여 위치하는 옆면 경사면과 함께 다시 하나의 어소홈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의 일실시예는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장변쪽의 한쪽 모서리에는 복수의 어소홈(12)이 형성되며, 단변쪽 양쪽 모서리부분과 상기한 어소홈(12) 사이에는 각각 앵커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구멍(14)을 형성한다.
상기한 고정구멍(14)은 단변쪽 양 모서리부분과 어소홈(12) 사이 부분에 각각 일열로 배열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3∼6개 형성한다.
상기한 어소홈(12)은 모서리쪽에서 안쪽(중앙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안쪽을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면, 물고기가 아늑한 느낌을 가질 수 있으므로 서식공간으로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어소홈(12)을 3개 형성하는 경우에는 중간의 어소홈(12)을 조금 얕은 깊이로 형성하고, 양쪽 모서리쪽의 어소홈(12)을 조금 더 깊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면,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가 각각 자신의 생태 특성에 맞추어 얕은 어소홈(12)과 깊은 어소홈(12) 중에서 선택하여 서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변쪽 양 옆면은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삼각형의 꼭지점은 어소홈(12)이 형성되는 쪽으로 약간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즉 어소홈(12)쪽의 옆면 경사면(16)은 어소홈(12)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로 형성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여 위치하는 옆면 경사면(16)과 함께 다시 하나의 어소홈(12)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어소홈(12) 반대쪽의 옆면 경사면(18)은 어소홈(12)쪽의 옆면 경사면(18)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한다.
또 어소홈(12)쪽의 경사면(16)과 어소홈(12) 반대쪽의 경사면(18)이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를 형성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여 위치하는 옆면 경사면(16)과 맞닿아 새로운 어소홈(12)을 형성할 때에 평면부가 존재하도록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어소홈(12)의 깊이는 전체 폭의 대략 2/5 정도 되도록 형성한다.
또 전체 길이를 어소홈(12) 수에 맞추어 등분할하여 어소홈(12)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어소홈(12)을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가 각각 자신의 생태환경에 맞는 어소홈(12)을 찾아 서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어소홈(12)은 대략 200㎜ 정도의 깊이로 형성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은 모래 10∼30중량%, 10㎜ 이하의 세골재 5∼20중량%, 10∼30㎜ 범위의 강자갈을 포함하는 조골재 60∼80중량%를 혼합한 골재원료를 시멘트와 3:1의 비율로 배합하여 공극률이 대략 20∼40% 정도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모래:세골재:조골재의 혼합비를 2:1:7 정도로 유지하는 경우에 대략 25∼35%의 공극률이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골재원료와 시멘트를 배합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배합재료에 물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물시멘트비를 대략 20% 정도로 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한다.
상기한 시멘트로는 포오틀랜트 시멘트, 유니온 시멘트, 고로슬래그 시멘트 등의 고강도 시멘트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모르타르를 제조할 때에 있어서 급결제, AE 감수제, 유동화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첨가제의 첨가량은 대략 5중량%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모르타르를 소정의 형상으로 캐비티가 형성된 형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을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의 일실시예는 가로(길이)×세로(폭)×높이가 대략 1,000×500×200㎜ 정도가 되도록 형성하고, 대략 중량이 130㎏ 정도가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의 일실시예를 양쪽 옆면이 삼각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직육면체나, 정육면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평면에서 보아서 마름모형상, 육각형상, 팔각형상, 타원형상, 사다리꼴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어소홈(12)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원형이나 타원형, 별형상, 땅콩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고정구멍(14)은 위아래로 관통하여 형성하며, 앵커부재(2)가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도 3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의 일실시예를 적용하여 수직면의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축조하며, 위아래로 고정구멍(14)이 일치하도록 축조한 다음, 앵커부재(2)를 위로부터 아래로 관통하여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화한다.
예를 들면 아래쪽에 위치하는 블럭(10)에 있어서 왼쪽열의 고정구멍(14)과 바로 위쪽에 위치하는 블럭(10)의 중간열의 고정구멍(14)이 일치하도록 축조하는 것에 의하여 지그재그방식으로 옹벽구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옹벽을 축조하면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일체화되므로 외력에 의하여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도 4에는 소정의 경사로 이루어지는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상기한 수직면의 옹벽과 마찬가지로 위아래가 서로 엇갈리는 지그재그방식으로 축조함은 물론, 경사면을 따라 하나 또는 두개의 고정구멍(14)이 앞쪽에 남도록 위로 올라갈수록 블럭(10)이 뒤쪽으로 밀리는 구조로 축조한다.
상기에서 뒤쪽으로 밀리는 깊이는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결정한다. 즉 경사면의 각도가 작은 경우(0°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뒤쪽으로 밀리는 거리가 커지고, 경사면의 각도가 큰 경우(90°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뒤쪽으로 밀리는 거리가 작아진다.
상기와 같이 옹벽을 축조하면, 단계적으로 어소홈(12)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에 의하면,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어소홈이 제공되므로 자연친화적인 물속 생태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홈 블럭에 의하면, 고정구멍을 관통하여 앵커부재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상하층이 일체로 되는 옹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옹벽구조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Claims (3)

  1. 평면에서 보아서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장변쪽의 한쪽 모서리에는 복수의 어소홈이 형성되며,
    단변쪽 양쪽 모서리부분과 상기한 어소홈 사이에는 각각 앵커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구멍을 형성하는 홈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구멍은 단변쪽 양 모서리부분과 어소홈 사이 부분에 각각 일열로 배열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3∼6개 형성하고,
    상기한 어소홈은 모서리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홈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단변쪽 양 옆면은 평면에서 보아서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삼각형의 꼭지점은 어소홈이 형성되는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어소홈쪽의 옆면 경사면은 어소홈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로 형성하는 홈 블럭.
KR2020010017138U 2001-06-08 2001-06-08 홈 블럭 KR200247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138U KR200247938Y1 (ko) 2001-06-08 2001-06-08 홈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138U KR200247938Y1 (ko) 2001-06-08 2001-06-08 홈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938Y1 true KR200247938Y1 (ko) 2001-10-29

Family

ID=7310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138U KR200247938Y1 (ko) 2001-06-08 2001-06-08 홈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9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77A (ko) * 2002-11-04 2004-05-12 (합)정주산업건설 생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77A (ko) * 2002-11-04 2004-05-12 (합)정주산업건설 생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208B2 (en) Constructional components for use in a wall structure
US7503730B2 (en) Modular block wall system
KR200247938Y1 (ko) 홈 블럭
KR200306389Y1 (ko) 홈 블럭
US20050265791A1 (en) Wall structure for retaining soils
KR200245417Y1 (ko) 첨단 블럭
CN214940257U (zh) 一种用于方格网拼铺的植草砖
KR200236283Y1 (ko) 말뚝지주형 식생대
RU176405U1 (ru) Блок для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US20050204685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oamed synthetic resin blocks when laying the blocks, and method for connecting foamed synthetic resin blocks using the same
JPH08105068A (ja) 可逆性を有し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54114Y1 (ko)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KR200262840Y1 (ko) 경사면 공사용 호안 블럭
KR200242401Y1 (ko) 기초석
JP2002054254A (ja) 建築用壁構造材
JP2004308244A (ja) 擁壁ブロックおよび仕切り板ならびに擁壁の構築方法
JP3930016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45935Y1 (ko)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KR101073971B1 (ko) 옹벽
JPH0384120A (ja) フラツト基礎構造
JP2913480B1 (ja) 護岸用ブロック
JP2708398B2 (ja) 覆工ブロック
KR200389265Y1 (ko) 보강토옹벽블록
RU1836531C (ru) Стеновой камен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