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677A - 생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677A
KR20040039677A KR1020020067820A KR20020067820A KR20040039677A KR 20040039677 A KR20040039677 A KR 20040039677A KR 1020020067820 A KR1020020067820 A KR 1020020067820A KR 20020067820 A KR20020067820 A KR 20020067820A KR 20040039677 A KR20040039677 A KR 20040039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ecological
weight
vie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호
Original Assignee
(합)정주산업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정주산업건설 filed Critical (합)정주산업건설
Priority to KR102002006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9677A/ko
Publication of KR20040039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67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93Other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17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8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agri-, sylvi- or piscicultural or cattle-breeding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공극률을 높이면서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토양 및 식생기반제를 첨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생태환경을 제공하고 수질정화기능을 갖도록, 골재 70∼85중량%, 시멘트 10∼20중량%, 혼화제 0.1∼0.5중량%, 활성탄 0.1∼10중량%를 물시멘트비 20∼25%로 배합하여 공극률이 대략 15∼30% 정도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생태 블럭을 제공한다.
소정의 형상은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S"형상을 이루는 형상이고, 측면에서 보아서 중간에서 꺽여지는 부분을 높게 하고 중앙과 양쪽 끝부분을 낮게 형성하며, 중앙부분에는 60∼100㎜의 크기를 유지하며 윗면으로부터 밑면으로 관통되지 않는 생태구멍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2∼6개 형성한다.

Description

생태 블럭 {Ecology Block}
본 발명은 생태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극률을 크게 하고 조골재를 많이 사용하므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자연친화적인 제방공사나 사방공사가 가능하고 활성탄을 포함하므로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법면이나 하천의 호안에는 토질의 안정성과 경사면의 보호라는 측면에서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블럭을 쌓는 방식으로 시공이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옹벽이나 콘크리트 블럭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토사의 흘러내림은 방지되지만,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살 수 없으므로 생태계가 파괴되어 환경적인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도록, 공극률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블럭이나 철망에 자갈이나 돌 등을 담아 시공하는 방안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된다.
그러나 종래 공극률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블럭의 경우에도 세골재나 쇄석 자갈 등을 이용하여 공극률을 높이기 때문에 표면으로 노출된 쇄석자갈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통행자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공극의 크기가 작아 만족할 만한 생태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철망에 자갈이나 돌 등을 담아 시공하는 경우에는 철망에 담는 공정이 번거롭고, 이를 적층하는 작업이 굴곡이나 단차가 있는 경사면에서는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 종래 콘크리트 블럭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자체의 독성에 의하여 수질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더욱이 호안용 옹벽의 경우에는 물속에 위치하는 부분이 완전히 막힌 벽면으로 형성되어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물속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모서리가 부드러운 강자갈이나 조골재를 사용하여 형성하므로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면서 공극률을 높여 바람직한 생태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물고기들이 드나들며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인 어소(어항)를 제공하여 물속 생태계를 활성화 시키고 상하로 앵커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며 시공작업도 편리하고 활성탄을 포함하므로 수질정화 기능도 갖는 생태 블럭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여 수직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여 경사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여 수직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여 경사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태 블럭은 골재 70∼85중량%, 시멘트 10∼20중량%, 혼화제 0.1∼0.5중량%, 활성탄 0.1∼10중량%를 물시멘트비 20∼25%로 배합하여 공극률이 대략 15∼30% 정도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골재는 강자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골재는 5㎜ 이하의 세골재 15∼50중량%, 10∼30㎜ 범위의 강자갈을 포함하는 조골재 50∼85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조골재를 50중량% 미만 혼합시키면, 원하는 공극률을 얻는 것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공극의 크기도 작아져서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살 수 있을 만큼의 토양이 채워지지 않는다. 또 상기한 골재원료에 조골재를 85중량% 이상 혼합시키면, 원하는 공극률은 얻을 수 있지만, 결합력이 작아져 쉽게 부서지거나 깨져서 형상의 유지가 어렵고,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한 골재와 시멘트를 대략 5:1의 비율로 배합하면 대략 15∼30%의 공극률이 얻어진다.
또 상기한 골재와 시멘트를 배합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배합재료에 물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물시멘트비를 대략 20∼25% 정도로 하여 제조한다.
상기한 시멘트로는 포오틀랜트 시멘트, 유니온 시멘트, 고로 시멘트 등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혼화제로는 고성능 AE 감수제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급결제나 유동화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기타 첨가제의 첨가량은 대략 5중량%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활성탄은 요오드흡착성능이 대략 200㎎/g 이상이 되도록 대략 0.1∼1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모르타르를 소정의 형상으로 캐비티가 형성된 형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이용하여 동력에 의한 진동과 압축을 겸한 방법을 사용하여소정의 형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면 압축강도가 대략 100㎏f/㎠ 이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제품이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생태 블럭은 중앙부분에 윗면으로부터 밑면으로 관통되지 않는 하나이상의 생태구멍을 형성한다.
상기한 생태구멍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2∼6개 정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생태구멍의 크기는 대략 60∼100㎜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S"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측면에서 보아서 중간에서 꺽여지는 부분(12)을 높게 하고 중앙(14)과 양쪽 끝부분(16)을 낮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중간 부분(12)을 높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방복토유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와 같이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도로의 법면이나 하천의 호안 등에 시공한 상태에서 밋밋한 평면이 아닌 높낮이가 있는 외관을 제공하고, 경사면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도 보행자나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일실시예는 상기한 "S"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평면에서 보아서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땅콩형상, 장구형상 등의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일실시예는 시공시에 이웃하는 블럭과 구조적 결합력 및 결속력이 증대되어 쉽게 이탈되거나 결합구조가 무너지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하며, 시공시 조립이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일실시예는 중앙부분에 윗면으로부터 밑면으로 관통되지 않는 하나이상의 생태구멍(10)을 형성한다.
상기한 생태구멍(10)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2∼6개 정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생태구멍(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아래로 관통되지 않고 밑면이 존재하는 홈형상으로 형성하여 제조과정에서 토양을 채울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생태구멍(1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식생기반제나 토양 및 풀씨 등의 씨앗포낭을 첨부하여 생태식물을 활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생태복원 녹화가 극대화된다.
상기한 생태구멍(10)은 대략 60∼100㎜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풀이나 꽃 등의 초본류나 작은 관목 등이 심겨져 뿌리를 충분하게 내리며 자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시공시 상기한 생태구멍(10)에 토양을 채우고 풀씨 등을 식재하는 것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자연친화적인 생태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다른 실시예는 도 4∼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서 양 옆면(26)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트랙(track)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중앙부분에는 바닥이 있는 홈형상으로 하나이상의 식생공간(22)을 형성하고, 삼각형을 이루는 양 옆면(26)쪽 모서리부분에는 각각 앵커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구멍(24)을 형성한다.
상기한 고정구멍(24)은 삼각형을 이루는 양 옆면(26)쪽으로 배열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3∼6개 형성한다.
상기한 식생공간(22)은 중앙에서 한쪽 모서리쪽으로 약간 치우쳐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식생공간(22)을 형성하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 식생공간(22)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식물이 활착할 공간을 제공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식생공간(2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아래로 관통되지 않고 밑면이 존재하는 홈형상으로 형성하여 제조과정에서 토양을 채울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식생공간(2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식생기반제나 토양 및 풀씨 등의 씨앗포낭을 첨부하여 생태식물을 활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생태복원 녹화가 극대화된다.
상기한 식생공간(22)은 대략 150㎜ 정도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풀이나 꽃 등의 초본류나 작은 관목 등이 심겨져 자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시공시 상기한 식생공간(22)에 토양을 채우고 풀씨 등을 식재하는 것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자연친화적인 생태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다른 실시예는 가로×세로×높이가 대략 1,000×500×200㎜ 정도가 되도록 형성하고, 대략 중량이 130㎏ 정도가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양쪽 옆면이 삼각형상으로 돌출하는 대략 트랙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직육면체나, 정육면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평면에서 보아서 마름모형상, 육각형상, 팔각형상, 타원형상, 사다리꼴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식생공간(22)은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형이나 타원형, 별형상, 땅콩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고정구멍(24)은 위아래로 관통하여 형성하며, 앵커부재(2)가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도 6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하여 수직면의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축조하며, 위아래로 고정구멍(24)이 일치하도록 축조한 다음, 앵커부재(2)를 위로부터 아래로 관통하여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화한다.
예를 들면 아래쪽에 위치하는 블럭(20)에 있어서 왼쪽열의 고정구멍(24)과 바로 위쪽에 위치하는 블럭(20)의 오른쪽열의 고정구멍(24)이 일치하도록 축조하는 것에 의하여 지그재그방식으로 옹벽구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옹벽을 축조하면 블럭(20)의 양쪽 옆면을 삼각형으로 형성하므로, 식생공간(2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여기에 풀이나 꽂 등의 씨앗포낭에 자리를 잡고 생육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연친화적인 생태환경이 제공된다.
도 7에는 소정의 경사로 이루어지는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상기한 수직면의 옹벽과 마찬가지로 위아래가 서로 엇갈리는 지그재그방식으로 축조함은 물론, 경사면을 따라 하나 또는 두개의 고정구멍(24)이 앞쪽에 남도록 위로 올라갈수록 블럭(20)이 뒤쪽으로 밀리는 구조로 축조한다.
상기에서 뒤쪽으로 밀리는 깊이는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결정한다. 즉 경사면의 각도가 작은 경우(0°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뒤쪽으로 밀리는 거리가 커지고, 경사면의 각도가 큰 경우(90°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뒤쪽으로 밀리는 거리가 작아진다.
상기와 같이 옹벽을 축조하면, 식생공간(22)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곳에 식물이 생육할 수 있으며 환경친화적이고 녹화가 이루어진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장변쪽의 한쪽 모서리에는 복수의 어소홈(32)이 형성되며, 단변쪽 양쪽 모서리부분과 상기한 어소홈(32) 사이에는 각각 앵커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구멍(34)을 형성한다.
상기한 고정구멍(34)은 단변쪽 양 모서리부분과 어소홈(32) 사이 부분에 각각 일열로 배열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3∼6개 형성한다.
상기한 어소홈(32)은 모서리쪽에서 안쪽(중앙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안쪽을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면, 물고기가 아늑한 느낌을 가질 수 있으므로 서식공간으로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어소홈(32)을 3개 형성하는 경우에는 중간의 어소홈(32)을 조금 얕은 깊이로 형성하고, 양쪽 모서리쪽의 어소홈(32)을 조금 더 깊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면,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가 각각 자신의 생태 특성에 맞추어 얕은 어소홈(32)과 깊은 어소홈(32) 중에서 선택하여 서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변쪽 양 옆면은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삼각형의 꼭지점은 어소홈(32)이 형성되는 쪽으로 약간 치우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즉 어소홈(32)쪽의 옆면 경사면(36)은 어소홈(32)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로 형성하여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여 위치하는 옆면 경사면(36)과 함께 다시 하나의 어소홈(32)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어소홈(32) 반대쪽의 옆면 경사면(38)은 어소홈(32)쪽의 옆면 경사면(38)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한다.
또 어소홈(32)쪽의 경사면(36)과 어소홈(32) 반대쪽의 경사면(38)이 만나는부분에는 단차를 형성하여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여 위치하는 옆면 경사면(36)과 맞닿아 새로운 어소홈(32)을 형성할 때에 평면부가 존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어소홈(32)의 깊이는 전체 폭의 대략 2/5 정도 되도록 형성한다.
또 전체 길이를 어소홈(32) 수에 맞추어 등분할하여 어소홈(32)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어소홈(32)을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가 각각 자신의 생태환경에 맞는 어소홈(32)을 찾아 서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어소홈(32)은 대략 200㎜ 정도의 깊이로 형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가로(길이)×세로(폭)×높이가 대략 1,000×500×200㎜ 정도가 되도록 형성하고, 대략 중량이 130㎏ 정도가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양쪽 옆면이 삼각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직육면체나, 정육면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평면에서 보아서 마름모형상, 육각형상, 팔각형상, 타원형상, 사다리꼴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어소홈(32)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원형이나 타원형, 별형상, 땅콩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고정구멍(34)은 위아래로 관통하여 형성하며, 앵커부재(2)가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도 10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일실시예를 적용하여 수직면의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축조하며, 위아래로 고정구멍(34)이 일치하도록 축조한 다음, 앵커부재(2)를 위로부터 아래로 관통하여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화한다.
예를 들면 아래쪽에 위치하는 블럭(30)에 있어서 왼쪽열의 고정구멍(34)과 바로 위쪽에 위치하는 블럭(30)의 중간열의 고정구멍(34)이 일치하도록 축조하는 것에 의하여 지그재그방식으로 옹벽구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옹벽을 축조하면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일체화되므로 외력에 의하여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도 11에는 소정의 경사로 이루어지는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상기한 수직면의 옹벽과 마찬가지로 위아래가 서로 엇갈리는 지그재그방식으로 축조함은 물론, 경사면을 따라 하나 또는 두개의 고정구멍(34)이 앞쪽에 남도록 위로 올라갈수록 블럭(30)이 뒤쪽으로 밀리는 구조로 축조한다.
상기에서 뒤쪽으로 밀리는 깊이는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결정한다. 즉 경사면의 각도가 작은 경우(0°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뒤쪽으로 밀리는 거리가 커지고, 경사면의 각도가 큰 경우(90°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뒤쪽으로 밀리는 거리가 작아진다.
상기와 같이 옹벽을 축조하면, 단계적으로 어소홈(32)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에 의하면, 강자갈을 포함하는 조골재를 사용하므로, 공극의 크기가 크게 유지되어 식생환경이 효과적으로 제공되며, 모서리가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진 강자갈을 포함하여 표면이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형성된다. 따라서 보행자나 작업자가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하여 부상을 입을 우려가 없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에 의하면, 생태구멍 및 생태공간을 형성하므로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성장할 수 있는 토양 및 식생기반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연친화적인 생태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에 의하면, 중간 부분을 높게하고 중앙 부분과 양쪽 끝부분을 낮게 형성하므로, 제방복토의 유실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에 의하면, 요오드흡착성능이 200㎎/g이상을 유지하도록 활성탄을 포함하므로, 대기나 수질중의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에 의하면,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어소홈이 제공되므로 자연친화적인 물속 생태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블럭에 의하면, 고정구멍을 관통하여 앵커부재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상하층이 일체로 되는 옹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옹벽구조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Claims (5)

  1. 골재 70∼85중량%, 시멘트 10∼20중량%, 혼화제 0.1∼0.5중량%, 활성탄 0.1∼10중량%를 물시멘트비 20∼25%로 배합하여 공극률이 15∼30%를 유지하며 평면에서 보아서 "S"형상을 이루며 측면에서 보아서 중간에서 꺽여지는 부분이 높고 중앙과 양쪽 끝부분이 낮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생태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골재는 5㎜ 이하의 세골재 15∼50중량%, 10∼30㎜ 범위의 강자갈을 포함하는 조골재 50∼85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급결제, AE 감수제, 유동화제의 기타 첨가제를 더 첨가하는 생태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정의 형상은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S"형상을 이루는 형상이고,
    측면에서 보아서 중간에서 꺽여지는 부분을 높게 하고 중앙과 양쪽 끝부분을 낮게 형성하며,
    중앙부분에는 60∼100㎜의 크기를 유지하며 윗면으로부터 밑면으로 관통되지 않는 생태구멍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2∼6개 형성하는 생태 블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정의 형상은 평면에서 보아서 양 옆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트랙형상이고,
    중앙부분에는 바닥이 있는 홈형상으로 하나이상의 식생공간을 중앙에서 한쪽 모서리쪽으로 치우쳐 형성하며,
    삼각형을 이루는 양 옆면쪽 모서리부분에는 각각 앵커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삼각형을 이루는 양 옆면쪽으로 배열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3∼6개 형성하는 생태 블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정의 형상은 평면에서 보아서 직사각형의 형상이고,
    장변쪽의 한쪽 모서리에는 모서리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복수의 어소홈이 형성되며,
    단변쪽 양쪽 모서리부분과 어소홈 사이 부분에는 각각 일열로 배열하여 앵커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3∼6개 형성하고,
    단변쪽 양 옆면은 평면에서 보아서 삼각형을 이루며 꼭지점이 어소홈이 형성되는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어소홈쪽의 옆면 경사면은 어소홈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로 형성하는 생태 블럭.
KR1020020067820A 2002-11-04 2002-11-04 생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9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820A KR20040039677A (ko) 2002-11-04 2002-11-04 생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820A KR20040039677A (ko) 2002-11-04 2002-11-04 생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677A true KR20040039677A (ko) 2004-05-12

Family

ID=3733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820A KR20040039677A (ko) 2002-11-04 2002-11-04 생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96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06B1 (ko) * 2007-05-03 2008-05-19 정대수 황토볼과 활성탄소볼을 이용한 투수성 블록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호안블록과 투수블록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59Y1 (ko) * 1999-08-25 2000-06-15 주식회사자연과환경 생태 안정화 블록
KR200185860Y1 (ko) * 1999-09-11 2000-06-15 주식회사자연과환경 식생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다공질 콘크리트블록
KR20010069443A (ko) * 2001-03-23 2001-07-25 박승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콘크리트의 제조방법
JP2001270767A (ja) * 2000-03-27 2001-10-02 Dainichi:Kk 炭入り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40437Y1 (ko) * 2001-04-23 2001-10-12 장경구 초류식생블록
KR200247937Y1 (ko) * 2001-06-08 2001-10-29 쌍구건설 주식회사 생태 블럭
KR200247938Y1 (ko) * 2001-06-08 2001-10-29 쌍구건설 주식회사 홈 블럭
KR200245417Y1 (ko) * 2001-06-08 2001-10-29 쌍구건설 주식회사 첨단 블럭
KR200303612Y1 (ko) * 2002-11-04 2003-02-11 (자)새롬건설 생태 블럭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59Y1 (ko) * 1999-08-25 2000-06-15 주식회사자연과환경 생태 안정화 블록
KR200185860Y1 (ko) * 1999-09-11 2000-06-15 주식회사자연과환경 식생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다공질 콘크리트블록
JP2001270767A (ja) * 2000-03-27 2001-10-02 Dainichi:Kk 炭入り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69443A (ko) * 2001-03-23 2001-07-25 박승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200240437Y1 (ko) * 2001-04-23 2001-10-12 장경구 초류식생블록
KR200247937Y1 (ko) * 2001-06-08 2001-10-29 쌍구건설 주식회사 생태 블럭
KR200247938Y1 (ko) * 2001-06-08 2001-10-29 쌍구건설 주식회사 홈 블럭
KR200245417Y1 (ko) * 2001-06-08 2001-10-29 쌍구건설 주식회사 첨단 블럭
KR200303612Y1 (ko) * 2002-11-04 2003-02-11 (자)새롬건설 생태 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06B1 (ko) * 2007-05-03 2008-05-19 정대수 황토볼과 활성탄소볼을 이용한 투수성 블록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호안블록과 투수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868B1 (ko) 생태 안정화 블록
KR100358655B1 (ko) 식생섬
KR200306388Y1 (ko) 첨단 블럭
KR20040039677A (ko) 생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387109Y1 (ko) 인공해조초
KR200303612Y1 (ko) 생태 블럭
KR200247937Y1 (ko) 생태 블럭
KR200306389Y1 (ko) 홈 블럭
KR10096060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20090024539A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200245417Y1 (ko) 첨단 블럭
KR100629908B1 (ko)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KR100745439B1 (ko) 환경친화적 블록구조체
KR100392506B1 (ko) 생태블록
KR200262840Y1 (ko) 경사면 공사용 호안 블럭
JP3785155B2 (ja) 生物生息空間を有する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を用いたブロック壁構造
KR200406139Y1 (ko)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KR100509442B1 (ko) 녹화 식생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JP2012012786A (ja) 法面緑化構造
KR200236283Y1 (ko) 말뚝지주형 식생대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200393523Y1 (ko)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CN214940257U (zh) 一种用于方格网拼铺的植草砖
JP2003090022A (ja) 河川用護岸ブロック
KR101148193B1 (ko)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