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908B1 -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908B1
KR100629908B1 KR1020050129964A KR20050129964A KR100629908B1 KR 100629908 B1 KR100629908 B1 KR 100629908B1 KR 1020050129964 A KR1020050129964 A KR 1020050129964A KR 20050129964 A KR20050129964 A KR 20050129964A KR 100629908 B1 KR100629908 B1 KR 100629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lope
road
installation structur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윤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Priority to KR102005012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사면보강 Y(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블록간의 이음부에 높은 결속력을 부여하고, 조경을 위해 사면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에 유익하도록 블록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로와 인접한 사면의 최하측에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를 기준하여 상, 하로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배치되고, 양단에 Y형 외면돌기가 형성되어 좌, 우로 연접하도록 다수개 배치된 횡블록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와 횡블록 및, 횡블록간의 사이에서 직교되어 좌, 우로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다수개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횡블록의 연접된 Y형 외면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기 위한 Y형 홈이 형성된 종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블록이, 황토를 다수의 구형태 입자로 형성한 15중량%의 황토볼과, 25중량%의 모래와; 25중량%의 자갈 및 35중량%의 시멘트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철근인장의 외부에 고형화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사면보강 블록 조성물을 제공한다.
사면, 블록, 조경

Description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Road of Reinforce a Slope 'Y'type Block Installation Structure and Composite of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형 블록의 배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형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과정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황토볼 10: 기초 콘크리트
20: 횡블록 21: Y형 외면돌기
30: 종블록 31: Y형 홈
본 발명은 도로의 사면보강 Y(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블록간의 이음부에 높은 결속력을 부여하고, 조경을 위해 사면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에 유익하도록 블록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보행로 등의 주변에는 길을 형성한 후, 그 주변에 일정한 높이의 사면(斜面)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사면은 절토구간이 되어 미관 및 사면의 절토가 허물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블록을 배치하여 보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강구조는 주로 사면에 일정한 형태로 여러개의 블록을 배열하여 사면의 흙 등이 흘러 내리거나 침하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특히, 최근들어 친환경적 건설추세에 의해 상기 블록 들은 각각 대략 사각형태의 격자공간을 형성하며 배치되도록 하여 격자공간에 잔디 등의 식물을 식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구현하기 위해 블록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로 시멘트, 콘크리트 등을 고형화하고, 이들을 작업지점으로 이송하여 작업자가 블록을 종, 횡으로 각각의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블록은 주로 하측에서 부터 횡블록을 배열하고, 횡블록의 이음부분에 종블록을 직교하여 배치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설치구조를 완성하게 되며, 이 때 횡블록의 이음부분은 종블록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은 블록 설치구조는 횡블록의 이음부분이 종블록의 단부에 얹혀진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그 지지력이 대단히 미약하여 외부의 충격이 발생될 경우, 횡블록이 기울어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된다.
특히, 이와 같은 미약한 지지력에 의해 우천시에 블록 설치구조가 허물어져 붕괴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며, 이로인해 블록이 사면에서 미끄러져 잔디 등이 식재된 조경을 훼손하게 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횡블록과 종블록의 이음부가 상호 맞물려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설치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 설치구조의 격자공간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에 유익하도록 하기 위해 식재된 공간 내의 해충사멸 및 토질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원활한 수분공급 및 식물생장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형 블록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로와 인접한 사면의 최하측에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를 기준하여 상, 하로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배치되고, 양단에 Y형 외면돌기가 형성되어 좌, 우로 연접하도록 다수개 배치된 횡블록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와 횡블록 및, 횡블록간의 사이에서 직교되어 좌, 우로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다수개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횡블록의 연접된 Y형 외면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기 위한 Y형 홈이 형성된 종블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블록이, 황토를 다수의 구형태 입자로 형성한 15중량%의 황토볼과, 25중량%의 모래와, 25중량%의 자갈 및 35중량%의 시멘트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형 블록의 배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블록 설치구조는 기초 콘크리트(10), 횡블록(20), 종블록(3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10)는 도로와 인접한 사면의 최하측에 형성되어 블록 설치구조의 지반이 되도록 한다.
상기 횡블록(20)은 기초 콘크리트(10)를 기준하여 상, 하로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배치되고, 양단에 Y형 외면돌기(21)가 형성되어 좌, 우로 연접하도록 다수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횡블록(20)은 전체적인 형태가 좌, 우로 길이방향을 갖는 직육면체의 형상이며, 상기 Y형 외면돌기(21)는 횡블록(20) 양끝단 상에서 양측(도면상 상, 하)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종블록(30)은 기초 콘크리트(10)와 횡블록(20) 및, 횡블록(20)간의 사이에서 직교되어 좌, 우로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다수개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종블록(30)의 양단에는 좌, 우로 연접된 Y형 외면돌기(21)와 대응되어 결합되기 위한 Y형 홈(31)이 형성되는데, 이 Y형 홈(31)은 2개의 횡블록(20)이 연접됨으로 인해 2개의 Y형 외면돌기(21)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설치구조에서 횡블록(20)과 종블록(30)의 결합에 의해 사면에는 자연스럽게 격자형태의 식재공간(40)이 형성되고, 이 식재공간(40)에는 잔디 등의 식물이 심어져 생장되도록 함은 주지된 것과 같다.
또한, 선택적인 구성으로 상기 종블록(30) 또는 횡블록(20)에는 잔디 등의 식물이 심어질 수 있도록 식재통공(32)이 형성되어, 식재통공(32)에 잔디 등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형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과정의 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된 각각의 블록(20, 30)(도면에서는 종블록만을 도시하였지만 횡블록, 종블록 모두를 의미함)은 황토볼(1), 모래(2), 자갈(3), 시멘트(4)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이 때, 상기 황토볼(1)은 식물의 생장에 유익하며 친환경적인 음이온, 원적외선의 방출량이 많은 황토를 다수의 구형태 입자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비율은 15중량%의 황토볼(1)과, 25중량%의 모래(2)와, 25중량%의 자갈(3) 및 35중량%의 시멘트(4)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이후, 이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5)을 양측에 Y형상이 형성된 철근인장(6)의 외부에 고형화하여 블록(30)을 제작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고형화는 거푸집틀의 내부에 철근인장(6)을 투입하고, 상기 혼합물을 거푸집틀에 공급한 후 이를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횡블록과 종블록의 이음부가 "Y" 형 태의 결속부에 의해 상호 맞물려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설치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서 설치구조의 붕괴우려를 해소하게 되며, 이로인해 식재의 훼손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된 식물의 생장에 유익하도록 하기 위해 블록을 음이온이 방출되는 황토의 혼합조성으로 하여 식재된 공간 내의 해충사멸 및 토질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원활한 수분공급 및 식물생장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보다 우수한 환경미관을 얻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로와 인접한 사면의 최하측에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10)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0)를 기준하여 상, 하로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배치되고, 양단에 Y형 외면돌기(21)가 형성되어 좌, 우로 연접하도록 다수개 배치된 횡블록(20)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10)와 횡블록(20) 및, 횡블록(20)간의 사이에서 직교되어 좌, 우로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다수개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횡블록(20)의 연접된 Y형 외면돌기(21)와 대응되어 결합되기 위한 Y형 홈(31)이 형성된 종블록(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2. 제 1 항의 구성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블록(20, 30)은,
    황토를 다수의 구형태 입자로 형성한 15중량%의 황토볼(1)과, 25중량%의 모래(2)와, 25중량%의 자갈(3) 및 35중량%의 시멘트(4)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사면보강 블록 조성물.
KR1020050129964A 2005-12-26 2005-12-26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KR100629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964A KR100629908B1 (ko) 2005-12-26 2005-12-26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964A KR100629908B1 (ko) 2005-12-26 2005-12-26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908B1 true KR100629908B1 (ko) 2006-10-02

Family

ID=3762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964A KR100629908B1 (ko) 2005-12-26 2005-12-26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9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11B1 (ko) 2009-11-03 2010-05-06 주식회사 덕산엠앤씨 조립식 식생블럭
CN103362134A (zh) * 2013-07-29 2013-10-23 唐广辉 一种混凝土护坡构件及护坡组件
CN112095641A (zh) * 2020-09-25 2020-12-18 沈阳建筑大学 装配式格构混凝土路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804U (ko) 1976-08-06 1977-03-17
JPS52146002U (ko) 1976-04-30 1977-11-05
JPS537902U (ko) 1976-07-02 1978-01-24
JPS5321706U (ko) 1976-07-30 1978-02-23
JPS6397723A (ja) 1986-10-09 1988-04-28 Rumi Maikuma のり張りブロツクの施工方法
KR100500313B1 (ko) 2002-11-04 2005-07-11 최상구 황토볼모르터의 제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6002U (ko) 1976-04-30 1977-11-05
JPS537902U (ko) 1976-07-02 1978-01-24
JPS5321706U (ko) 1976-07-30 1978-02-23
JPS5237804U (ko) 1976-08-06 1977-03-17
JPS6397723A (ja) 1986-10-09 1988-04-28 Rumi Maikuma のり張りブロツクの施工方法
KR100500313B1 (ko) 2002-11-04 2005-07-11 최상구 황토볼모르터의 제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11B1 (ko) 2009-11-03 2010-05-06 주식회사 덕산엠앤씨 조립식 식생블럭
CN103362134A (zh) * 2013-07-29 2013-10-23 唐广辉 一种混凝土护坡构件及护坡组件
CN112095641A (zh) * 2020-09-25 2020-12-18 沈阳建筑大学 装配式格构混凝土路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16331U (zh) 一种用于护坡的格构组件
KR100629908B1 (ko)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JP4708265B2 (ja) 植生法枠の構築方法
JP3527059B2 (ja) 法枠形成用の検測枠とこれを用いる法枠工法
KR20130083196A (ko) 배부름 방지 돌망태
KR20080085555A (ko) 사면 녹화공법
JP5108744B2 (ja) 緑化路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敷設した緑化路面
JP2005061144A (ja) 法面の緑化工法
KR102184291B1 (ko) 도로의 임시 복구를 위한 보도블록부
KR200306388Y1 (ko) 첨단 블럭
JPH09195289A (ja) 補強土壁面ブロックおよび補強土壁面構造
JP2694326B2 (ja) 現場打ち法枠工法
JP4153392B2 (ja) 緑化路面構造
JP3119291B2 (ja) 現場打ち法枠の施工方法
KR20090033581A (ko)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JP2004190432A (ja) 三角保持枠及び緑化法面の構造
JP3658060B2 (ja) 現場打ち法枠形成用の検測枠
JP3527058B2 (ja) 法枠形成用の検測枠とこれを用いる法枠工法
KR200195312Y1 (ko) 사면용 식생대
KR101013072B1 (ko)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1458Y1 (ko) 사면용 식생대
KR200276458Y1 (ko) 맞물림형 식생대
JP2748261B2 (ja) 法枠形成用の検測枠
JPH0820955A (ja) 法枠形成用の検測枠とこれを用いる法枠工法
JP2019190076A (ja) 法面抑草コンクリート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