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411B1 - 조립식 식생블럭 - Google Patents

조립식 식생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411B1
KR100956411B1 KR1020090105238A KR20090105238A KR100956411B1 KR 100956411 B1 KR100956411 B1 KR 100956411B1 KR 1020090105238 A KR1020090105238 A KR 1020090105238A KR 20090105238 A KR20090105238 A KR 20090105238A KR 100956411 B1 KR100956411 B1 KR 100956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vegetation
vegetation ma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산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산엠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산엠앤씨
Priority to KR102009010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 상호 간의 결합이 견고함은 물론이고, 경사돌출부가 조립된 식생블럭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며, 수분흡수로 인한 식생매트의 팽창을 수용하고 식생매트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조립식 식생블럭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허브블럭과 연결블럭이 결합핀에 의해서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허브블럭의 중앙에는 지지말뚝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성되고, 허브블럭과 연결블럭의 상부는 식생매트 고정을 위한 경사돌출부가 구성되고, 하부는 식생매트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블럭은 4방향으로 결합돌부와 결합면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면에는 연결블럭과의 결합 고정을 위한 핀공이 구성되며, 연결블럭은 양단부에는 결합돌부와 결합면이 구성되고, 양 측면의 상부에는 식생매트를 고정을 위한 경사돌출부가 하부에는 식생매트 수용부가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면에는 허브블럭과의 결합고정을 위한 핀공이 구성되어 결합핀을 통해 허브블럭과 연결블럭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며,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은 허브블럭과 연결블럭이 계단식으로 결합되고, 결합핀에 의한 고정으로 수평,수직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호간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관통공을 통한 지지말뚝의 시공으로 인해 조립식 식생블럭을 경사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허브블럭 및 연결블럭에 구성된 경사돌출부 및 식생매트 수용부로 인 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식생매트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한 경사돌출부가 수분에 의한 식생매트의 팽창을 수용하여 식생매트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 조립식 식생블럭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조립식 식생블럭, 경사돌출부, 식생매트, 핀공, 경사돌출부, 결합핀.

Description

조립식 식생블럭{Fabricated vegetation block}
본 발명은 조립식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제방이나 도로의 절개지, 복토된 경사면 등을 포함한 각종 토목공사 현장의 경사면에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립식 식생블럭에 관한 발명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천의 제방이나 절개지 도로의 경사면 등을 포함한 각종 토목공사 현장의 경사면에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사를 하는데,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거나 철망 등을 사용하여 돌과 함께 경사면을 덮어주는 공사를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유수에 의한 토사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으나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식물이 자연 식생 되게 하거나 인공적으로 인공 식재를 가능하게 하여 친환경적으로 경사면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식생블럭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 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구성되어 있고, 블럭과 블럭을 금속재 고리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식생블럭은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거나 철망 등을 사용하여 돌과 함께 경사면을 덮어주도록 구성된 것보다는 좀 더 많은 식생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여전히 식생공간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식생블럭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공간부를 크게 확보하면서 조립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간부로 노출되는 흙에 바로 식재를 이식하거나 식생매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식생블럭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에서 식생블럭의 공간부에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와이어 혹은 핀 등으로 식생매트를 고정하는 구성이 있는데, 매우 번거러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식생매트를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생블럭을 4개의 블럭으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면서 각 블럭에 ㄱ자형 걸림턱을 형성한 구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식생블럭을 구성하는 걸림턱에 식생매트의 가장자리가 걸리게 설치하게 되면, 식생매트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경우에 팽창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서 식생매트의 가장자리가 블럭의 ㄱ자형 걸림턱에서 쉽게 빠지게 되고, 특히 4개의 블럭으로 조립되는 연결부의 구성이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경사면에 놓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식 식생블럭이 경사면에서 들려지거나 위치를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경사면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작용을 완벽하게 하지 못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식생블럭 상호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은 물론이고, 조립된 식생블럭이 경사면에서 이탈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며,
또한, 조립된 식생블럭에 형성된 경사돌출부에 의해서 식생매트가 수분흡수로 인한 팽창을 원만하게 수용하고 식생매트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조립식 식생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허브블럭과 연결블럭이 결합핀에 의해서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허브블럭의 중앙에는 지지말뚝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성되고, 허브블럭과 연결블럭의 상부는 식생매트 고정을 위한 경사돌출부가 구성되고, 하부는 식생매트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블럭은 4방향으로 결합돌부와 결합면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면에는 연결블럭과의 결합 고정을 위한 핀공이 구성되며, 연결블럭 양단부에는 결합돌부와 결합면이 구성되고, 양 측면의 상부에는 식생매트 고정을 위한 경사돌출부가 하부에는 식생매트 수용부가 형성되며, 양단부 결합면에는 허브블럭과의 결합고정을 위한 핀공이 구성되어 결합핀을 통해 허브블럭과 연결블럭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은 허브블럭과 연결블럭이 계단식으로 결합되고, 결합핀에 의한 고정으로 수평,수직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호간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관통공을 통한 지지말뚝의 시공으로 인해 조립식 식생블럭을 경사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허브블럭 및 연결블럭에 구성된 경사돌출부 및 식생매트 수용부로 인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식생매트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한 경사돌출부가 수분에 의한 식생매트의 팽창을 수용하여 식생매트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 조립식 식생블럭을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되는 발명이라 하겠다.
이하, 본 발명의 조립식 식생블럭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결합 방식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에 지지말뚝을 시공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최초 시공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식생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을 경사면에 시공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은 연결블럭(10)과, 상기 연결블럭(10)을 사 각으로 연결시 중심이 되는 허브블럭(1)과, 상기 허브블럭(1)과 연결블럭(10)을 연결하는 결합핀(11)으로 구성된다.
상기 허브블럭(1)은 평면상에서 관찰시 +형상으로서 중앙에 지지말뚝(20)을 시공하기 위한 관통공(8)이 구성되고, 상기 허브블럭에 4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7)와 결합돌부(7) 측면에 결합면(3)이 구성된다. 상기 결합면(3)의 반대측면 상부에는 아랫면이 비스듬히 돌출되어 구성되는 경사돌출부(5)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경사돌출부(5)는 그 아래에 시공되는 식생매트(9)가 수분에 의해 팽창하더라도 경사돌출부(5)에 걸려 식생매트(9)가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상기 경사돌출부(5) 아래의 두께가 얇은 부분은 식생매트 수용부(6)가 된다. 상기 결합면(3)의 소정의 위치에는 연결블럭(10)의 핀공(14)과 결합핀(11)으로 결합하기 위한 핀공(4)이 관통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블럭(10)의 양측에는 허브블럭(1)과 결합하기 위해 결합돌부(17)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부(17)의 양측면에는 결합면(13)이 구성되며, 상기 결합면(13)의 소정의 위치에는 허브블럭(1)의 핀공(4)과 결합핀(11)으로 결합하기 위한 핀공(14)이 관통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블럭(10)에는 양단의 결합돌부(17)를 제외한 중앙부의 양쪽측면 상부에는 상부로 비스듬히 돌출되게 구성된 경사돌출부(15)를 구성하였는데, 그 기능은 상기 허브블럭(1)의 경사돌출부(5)와 같다. 상기 경사돌출부(15) 아래의 두께가 얇은 부분은 식생매트 수용부(16)가 된다. 그리고 연결블럭(10)의 경사돌출부(15)는 끝단을 일부 삭제한 공간부(51)를 마련하여 허브블럭(1)과 연결블럭(10)이 결합시 경사돌출부(5)(15) 사이에 공간부(51)가 위치하도록 하였다.
삭제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조립식 식생블럭의 시공과 그 작용을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종 토목 공사현장의 경사면에 허브블럭(1)과 연결블럭(10)으로 식생블럭을 조립하게 되는데, 허브블럭(1)을 구성하는 결합면(3)과 연결블럭(10)을 구성하는 결합면(13)이 각각 면접촉하면서 겹쳐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핀(11)을 각각의 핀공(4)(14)에 결합하여 허브블럭(1)과 연결블럭(10)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하게 되면, 연결블럭(10)의 결합돌부(17)를 구성하는 단부는 허브블럭(1)의 결합면(3)의 단부와 서로 맞닿아 면접촉하게 되고, 허브블럭(1)의 결합돌부(7)의 단부는 연결블럭(10)의 결합면(13)의 단부와 서로 맞닿아 면접촉되며, 연결블럭(10)과 허브블럭(1)의 결합면(13)(3) 또한 서로 맞닿아 면접촉을 하게 되어 3면이 면접촉하게 되는 식생블럭이 제공되므로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한다.(도 3참조)
상기한 연결방식은 연결블럭(10)과 허브블럭(1)으로 사각틀 형태로 조립시 연결블럭(10)의 결합돌부(17)와 허브블럭(1)의 결합돌부(7)가 3면 접촉 상태에서 핀공(4)(14)에 결합핀(11)을 관통결합되어 수평방향은 물론이고, 상하방향의 유동 또한 방지되는 결합구조이기 때문에 매우 견고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식생블럭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허브블럭(1)을 구성하는 4개의 결합돌부(7)에 연결블럭(10)을 구성하는 결합돌부(17)를 연결하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태의 조립식 식생블럭이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블럭(1)의 관통공(8)을 통해 지지말뚝(20)을 경사진 지면에 시공하여 조립식 식생블럭을 경사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 식생블럭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시공 할 때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식생매트(9)를 설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매트(9)의 가장자리 윗부분이 허브블럭(1)과 연결블럭(10)의 식생매트 수용부(6)(16) 및 경사돌출부(5)(15) 하단에 닿으면서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식생블럭의 공간부에 설치된 식생매트(9)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경우에 식생매트(9)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이 연결블럭(10)의 경사돌출부(15)와 허브블럭(1)의 경사돌출부(5)에 의해 가압지지 되기 때문에 수분 흡수로 인한 식생매트(9)의 팽창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매트(9)를 견고하게 고정되고, 식생매트에 수분이 마르게 되면 수축에 의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럭(10)의 경사돌출부(15)와 허브블럭(1)의 경사돌출부(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51)는 식생매트의 수분 흡수로 인한 식생매트(9)의 팽창 압력을 일정부분 외부로 노출시켜 주었다가 수분이 마르게 되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허브블럭(1)과 연결블럭(10)을 구성하는 식생매트 수용부(6)(16)에 식생매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갈과 흙을 채워서 식생공간으로 활용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결합 방식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에 지지말뚝을 시공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최초 시공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의 식생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식생블럭을 경사면에 시공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허브블럭 3: 결합면
4: 핀공 5:경사돌출부
6: 식생매트 수용부 7: 결합돌부
8: 관통공 9: 식생매트
10: 연결블럭 11: 결합핀
13: 결합면 14: 핀공
15: 경사돌출부 16: 식생매트 수용부
17: 결합돌부 20: 지지말뚝

Claims (2)

  1. 조립식 식생블럭은 연결블럭(10)과, 상기 연결블럭(10)을 연결시 중심이 되는 허브블럭(1)들을 상호 결합핀으로 연결하여 사각틀로 구성되며,
    상기 허브블럭(1)은 평면상에서 관찰시 +형상으로서 중앙에 지지말뚝(20)을 시공하기 위한 관통공(8)이 구성되고, 상기 허브블럭에 4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7)와 결합돌부(7) 측면의 결합면(3)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면(3)의 반대측면 상부에는 아랫면이 비스듬히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수분에 의한 식생매트(9)의 팽창을 수용하여 식생매트(9)가 빠져나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경사돌출부(5)가 구성되고, 상기 경사돌출부(5) 아래에는 두께가 얇은 식생매트 수용부(6)가 구성되고, 상기 식생매트 수용부(6)의 소정의 위치에서 결합핀(11)을 결합하기 위한 핀공(4)이 관통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블럭(10)의 양측에는 허브블럭(1)과 연결하기 위해 결합돌부(17)가 돌출되고 결합돌부(17)의 양측면에는 결합면(13)이 구성되고, 결합면(13)에는 허브블럭(1)의 핀공(4)과 결합핀(11)을 결합하기 위한 핀공(14)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블럭(10)의 중앙부 양쪽측면 상부에는 상부로 비스듬히 돌출되는 경사돌출부(15)를 구성하여 수분에 의한 식생매트(9)의 팽창을 수용하여 식생매트(9)가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돌출부(15) 아래의 두께가 얇은 부분은 식생매트 수용부(16)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식생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10)의 경사돌출부(15) 끝단 일부를 삭제하여 공간부(51)를 마련하여 허브블럭(1)의 경사돌출부(5)와의 사이에 위치토록 함으로써 식생매트(9)의 수분흡수로 인한 식생매트(9)의 팽창압력을 일정부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식생블럭.
KR1020090105238A 2009-11-03 2009-11-03 조립식 식생블럭 KR100956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238A KR100956411B1 (ko) 2009-11-03 2009-11-03 조립식 식생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238A KR100956411B1 (ko) 2009-11-03 2009-11-03 조립식 식생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411B1 true KR100956411B1 (ko) 2010-05-06

Family

ID=4228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238A KR100956411B1 (ko) 2009-11-03 2009-11-03 조립식 식생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8193A (zh) * 2018-09-26 2018-12-28 席跃辉 一种带连接块的护坡结构及排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902A (en) 1976-07-10 1978-01-24 Masao Yoneya Moulded pipe by pouring polyurethane form
KR100380143B1 (ko) 2000-07-21 2003-04-21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절취사면의 분할 녹화공법 및 그 장치
KR200400428Y1 (ko) 2005-08-03 2005-11-08 심재덕 식생 기능을 가지는 법면용 블럭어셈블리
KR100629908B1 (ko) 2005-12-26 2006-10-02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902A (en) 1976-07-10 1978-01-24 Masao Yoneya Moulded pipe by pouring polyurethane form
KR100380143B1 (ko) 2000-07-21 2003-04-21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절취사면의 분할 녹화공법 및 그 장치
KR200400428Y1 (ko) 2005-08-03 2005-11-08 심재덕 식생 기능을 가지는 법면용 블럭어셈블리
KR100629908B1 (ko) 2005-12-26 2006-10-02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도로의 사면보강 와이형 블록 설치구조 및 블록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8193A (zh) * 2018-09-26 2018-12-28 席跃辉 一种带连接块的护坡结构及排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1598582B1 (ko)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KR100925886B1 (ko) 생태블록 사방댐.
US6666619B2 (en) Protective wall assembly
KR100956411B1 (ko) 조립식 식생블럭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102219062B1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1598580B1 (ko)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KR200408191Y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KR100593196B1 (ko) 도로 경사면의 잔디 식생 블록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607235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조립식 매트 블록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100317472B1 (ko) 사면 보호용 조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410828Y1 (ko) 하천 사면의 조경식생 결속블록
KR200163563Y1 (ko) 경사면의속성녹화용블럭
KR100423257B1 (ko) 법면보호블록
KR200287899Y1 (ko) 도로 비탈면 슬라이딩 방지용 십자용 조경블록 설치구조
KR200240394Y1 (ko) 식생 구조를 구비하는 블록
KR200422482Y1 (ko) 호안블록
KR100604674B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100918026B1 (ko) 생태블록 사방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