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582B1 -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 Google Patents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582B1
KR101598582B1 KR1020150135088A KR20150135088A KR101598582B1 KR 101598582 B1 KR101598582 B1 KR 101598582B1 KR 1020150135088 A KR1020150135088 A KR 1020150135088A KR 20150135088 A KR20150135088 A KR 20150135088A KR 101598582 B1 KR101598582 B1 KR 10159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net
washer
slope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송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송
석송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송, 석송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송
Priority to KR102015013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4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면에 배치되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배치되는 철망; 상기 부직포 및 철망이 설치되는 사면의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강판, 상기 매설강판의 상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면의 지상으로 돌출되는 배열핀 및 상기 배열핀의 돌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 및 철망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앵커; 상기 철망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석재; 및 상기 부직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석재 각각을 상기 부직포 및 철망에 고정시키는 고정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면이 가압되어 안정화되도록 함으로써 홍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유속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어 홍수가 발생하였을 시에도 석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하천유역의 조경이 향상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석재 각각을 부직포 및 철망에 고정시키는 고정와셔의 와셔판 모서리가 석재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석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와셔의 고정력을 향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STONE-NET LOSS IS PREVNTED}
본 발명은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와 철망을 사용하여 사면을 가압하도록 하여 사면을 안정화하고, 녹화 공사의 기초 단계로 활용될 수 있는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시화와 산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서 하천유역의 토지 이용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홍수를 방지하고자 하는 치수목적 또는 하천유역의 조경목적 등 다양한 목적으로 하천 주변의 사면(법면)에 대한 사면 보호 공사가 시행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면 보호를 위한 사면 보호 공사는 인공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하천의 사면 전체를 콘크리트로 블록화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환경파괴를 일으키는 주범이 되고,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화 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석재를 이용하여 스톤네트를 사면에 시공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톤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와 와셔(3)를 이용하여 금속재 네트(5)의 상면에 복수 개의 석재(4)를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석재(4)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네트(5)의 상면에는 부직포(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금속제 네트(5)에 석재(4)를 고정하여 스톤네트를 제작한 이후에는, 제작된 스톤네트를 사면(1)에 펼쳐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톤네트 시공방법은, 석재(4)와 네트(5)를 단순하게 볼트(2)와 와셔(3)로 연결하고 사면에 펼쳐 놓게 되므로, 상기 스톤네트가 사면(1)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홍수가 발생되는 경우 설치된 스톤네트가 말려버리거나 떠내려가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석재(4)를 네트(5)에 고정하기 위해 일일이 석재(4)에 구멍을 뚫고 볼트(2)로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후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277551호(2013. 06. 17.)에는 사면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사면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은, 사면을 덮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석재, 상기 복수 개의 석재의 상부를 덮는 금속재의 네트 및 상기 네트에 연결되며 단부가 사면에 매설되는 복수 개의 앵커부재로 이루어져, 석재를 설치하고 석재의 상부를 금속제 네트로 덮은 후 앵커부재를 이용하여 금속제 네트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홍수 등에 의해 석재나 네트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앵커부재의 고정블록에 연결되어 네트를 고정하는 앵커와이어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천의 흐름에 따라 휩쓸리게 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앵커부재를 이루는 구성이 복잡하기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KR 10-1277551 B1 (2013. 06. 1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면이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안정화되도록 하고, 녹화 공사의 기초 단계로 활용될 수 있는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성이 뛰어난 반면, 매설강판 및 고정강판에 의해 사면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어 하천의 흐름에 휩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매설강판 및 고정강판을 연결하는 배열핀이 형태가 가변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배열핀에 의해 석재를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는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석재 각각을 고정시키는 고정와셔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석재 각각이 유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는, 사면에 배치되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배치되는 철망; 상기 부직포 및 철망이 설치되는 사면의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강판, 상기 매설강판의 상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면의 지상으로 돌출되는 배열핀 및 상기 배열핀의 돌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 및 철망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앵커; 상기 철망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석재; 및 상기 부직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석재 각각을 상기 부직포 및 철망에 고정시키는 고정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와셔는, 사각으로 이루어지는 와셔판; 상기 와셔판의 모서리측이 상기 석재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석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와셔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의 중앙으로 삽입되는 와셔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앵커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직포 및 철망의 모서리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면이 가압되어 안정화되도록 함으로써 홍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유속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어 홍수가 발생하였을 시에도 석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하천유역의 조경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석재 각각을 부직포 및 철망에 고정시키는 고정와셔의 와셔판 모서리가 석재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석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와셔의 고정력을 향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설강판 및 고정강판을 연결하는 배열핀의 형태가 가변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직포 및 철망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앵커가 복수 개로 이루어져 부직포 및 철망의 모서리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스톤네트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구성이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멘트 독소 등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CO2 발생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면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앵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앵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앵커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와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와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와셔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석재와 철망을 사용하여 사면을 가압하도록 하여 사면을 안정화하고, 녹화 공사의 기초 단계에 활용될 수 있는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100)는 호안사면, 절토면 및 성토면의 침식 방지 및 녹화 공사를 위해 설치되고, 상기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100)는 부직포(10), 철망(20), 고정앵커(30), 석재(40) 및 고정와셔(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직포(10)는 사면(200)에 배치되고, 상기 철망(20)은 상기 부직포(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앵커(30)의 일부는 사면(200)의 지중에 매립되고, 상기 고정앵커(30)의 나머지 일부는 사면(200)의 지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을 사면(200)에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석재(4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철망(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와셔(50)는 상기 부직포(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석재(40)를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부직포(10)는 사면(200)을 덮어 안정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부직포(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철망(20) 및 석재(40)에 의해 찢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망(20)은 철사를 그물과 같은 형태로 엮어서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철망(20)은 필요에 따라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일정 간격으로 엮는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재(40)는 현지에서 조달될 수 있는 자연석 또는 자연석 형태로 이루어진 인조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둘레가 상호 밀착되도록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시공 환경에 따라 상기 석재(40)가 배치된 이후 상기 석재(40)가 묻히도록 흙을 포설하여 복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100)에는 습기와 영양성분을 머금어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식생매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생매트는 야자 섬유 재질의 매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10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스톤네트 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스톤네트(100) 각각이 부직포(10), 상기 부직포(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철망(20), 상기 철망(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석재(40) 및 상기 석재(40)를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와셔(50)로 이루어져 사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스톤네트(100) 각각의 모서리(101) 및 상기 복수 개의 스톤네트(100)가 연결되는 연결모서리(102)에 상기 고정앵커(3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앵커(30)가 상기 복수 개의 스톤네트(100)를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스톤네트(100)가 단 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앵커(30)가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의 모서리(101)에 설치되어 상기 스톤네트(100)를 사면에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스톤네트(10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앵커(30)가 상기 복수 개의 스톤네트(100) 각각의 모서리(101) 및 상기 복수 개의 스톤네트(100)가 연결되는 연결모서리(102)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스톤네트(100)를 상호 연결시킨 상태로 사면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톤네트(100)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앵커(30)가 상기 복수 개의 스톤네트(100)를 상호 연결시켜 사면(200)에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스톤네트(100)가 상호 연결되어 유속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앵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앵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앵커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 및 도 8b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정앵커(30)는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이 설치되면 사면(200)의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강판(31), 상기 매설강판(31)의 상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면(200)의 지상으로 돌출되는 배열핀(32) 및 상기 배열핀(32)의 돌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강판(3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앵커(30)의 일부는 지중에 매설되고 나머지 일부는 지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상으로 돌출되는 나머지 일부는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을 사면(20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앵커(30)의 매설강판(31) 및 고정강판(33)에는, 상기 배열핀(32)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구(34) 및 복수 개의 관통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34)는 상기 매설강판(31) 및 고정강판(33)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구(35)는 상기 매설강판(31) 및 고정강판(33)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구(35)는 상기 삽입구(34)를 기준으로 90°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설강판(31) 및 고정강판(33)의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구(34)에는 상기 배열핀(32)의 상, 하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매설강판(31) 및 고정강판(33)의 측부에 형성되는 관통구(35)에서는 사면(200)의 모래가 유동됨으로써, 상기 고정앵커(3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부연하면, 상기 매설강판(31)은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기 배열핀(32)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삽입구(34)가 형성되며, 측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35)가 상기 삽입구(34)를 기준으로 90° 간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강판(33) 또한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모서리측이 사면(20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3a)를 포함하고, 중앙에 상기 배열핀(32)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삽입구(34)가 형성되며, 측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35)가 상기 삽입구(34)를 기준으로 90° 간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고정앵커(30)의 고정강판(33)은 모서리측이 사면(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강판(33)은 모서리측이 사면(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절곡부(33a)가 사면(200)의 지중으로 삽입되게 되어 상기 고정앵커(3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와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와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고정와셔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9 및 도 11b에 따르면, 상기 고정와셔(50)는 사각으로 이루어지는 와셔판(51), 상기 와셔판(51)의 모서리측이 상기 석재(4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석재(4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52) 및 상기 와셔판(51)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40)의 중앙으로 삽입되는 와셔볼트(5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와셔(50)는 상기 와셔판(51)이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셔판(51)의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삽입부(52)가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석재(4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상기 와셔볼트(53)가 상기 와셔판(51)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40)로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셔볼트(53)는 상기 와셔판(51)의 중앙을 관통한 상태에서 스크류 회전에 의해 상기 석재(40)의 중앙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와셔볼트(53)가 스크류 회전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석재(40)와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 1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은 여덟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는 사면정리단계(S10), 매설강판매설단계(S20), 배열핀설치단계(S30), 부직포배치단계(S40), 철망배치단계(S50), 고정강판설치단계(S60), 석재배치단계(S70), 및 고정와셔설치단계(S80)이다.
1. 사면정리단계(S10)
상기 사면정리단계(S10)는 시공 전 사면을 정리하고, 소정 거리마다 일정한 간격으로 기준 틀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기준 틀의 간격은 35m ~ 45m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매설강판매설단계(S20)
상기 매설강판매설단계(S20)는 사면의 지중에 매설강판(31)을 매설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매설강판(31)은 90cm ~ 110cm 간격으로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배열핀설치단계(S30)
상기 배열핀설치단계(S30)는 상기 매설강판매설단계(S20)에서 매설된 매설강판(31)의 상부 방향으로 배열핀(32)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매설강판(31)의 상부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열핀(32)의 상부는 고정강판(33)이 설치될 수 있도록 사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4. 부직포배치단계(S40)
상기 부직포배치단계(S40)는 사면에 부직포(1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부직포(10)는 상기 사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배열핀(32)에 의해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다.
5. 철망배치단계(S50)
상기 철망배치단계(S50)는 상기 부직포(10)가 배치된 사면에 철망(20)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철망(20)은 상기 부직포(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사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배열핀(32)에 의해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다.
6. 고정강판설치단계(S60)
상기 고정강판설치단계(S60)는 상기 배열핀설치단계(S30)에서 사면의 상부로 돌출 설치된 배열핀(32)의 상부에 상기 고정강판(33)을 설치하여 상기 부직포배치단계(S40)에서 배치된 부직포(10) 및 철망배치단계(S50)에서 배치된 철망(20)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고정강판(33)은 상기 배열핀(32)이 중앙의 삽입구(34)로 삽입되도록 하여 고정될 수 있다.
7. 석재배치단계(S70)
상기 석재배치단계(S70)는 상기 부직포배치단계(S40)에서 배치된 부직포(10) 및 철망배치단계(S50)에서 배치된 철망(20)의 상부에 복수 개의 석재(4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석재배치단계(S70)에서 배치되는 석재(40)는 현지에서 조달되는 자연석이나 자연석 형태로 이루어진 인조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8. 고정와셔설치단계(S80)
상기 고정와셔설치단계(S80)는 상기 석재배치단계(S70)에서 배치된 석재를 상기 부직포배치단계(S40)에서 배치된 부직포(10) 및 철망배치단계(S50)에서 배치된 철망(20)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와셔(50)의 와셔판(51)이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셔판(51)의 삽입부(52)가 상기 석재(4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와셔(50)의 와셔볼트(53)가 상기 석재(40)의 내부로 스크류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석재(40)가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사면이 가압되어 안정화되도록 함으로써 홍수를 방지할 수 있고, 유속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어 홍수가 발생하였을 시에도 석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며, 하천유역의 조경이 향상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석재 각각을 부직포 및 철망에 고정시키는 고정와셔의 와셔판 모서리가 석재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석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와셔의 고정력을 향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101 : 모서리 102 : 연결모서리
10 : 부직포 20 : 철망
30 : 고정앵커 31 : 매설강판
32 : 배열핀
33 : 고정강판 33a : 절곡부
34 : 삽입구 35 : 관통구
40 : 석재
50 : 고정와셔 51 : 와셔판
52 : 삽입부 53 : 와셔볼트
200 : 사면

Claims (3)

  1. 사면에 배치되는 부직포(10);
    상기 부직포(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철망(20);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이 설치되는 사면의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강판(31), 상기 매설강판(31)의 상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부직포(10)와 철망(20)을 고정하도록 사면의 지상으로 돌출되는 배열핀(32) 및 상기 배열핀(32)의 돌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강판(33)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앵커(30);
    상기 철망(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석재(40); 및
    상기 부직포(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석재(40) 각각을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에 고정시키는 고정와셔(50)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설강판(31)은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기 배열핀(32)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삽입구(34)가 형성되며, 측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35)가 상기 삽입구(34)를 기준으로 90° 간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강판(33)은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모서리측이 사면(20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3a)를 포함하고, 중앙에 상기 배열핀(32)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삽입구(34)가 형성되며, 측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35)가 상기 삽입구(34)를 기준으로 90° 간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와셔(50)는,
    사각으로 이루어지는 와셔판(51);
    상기 와셔판(51)의 모서리측이 상기 석재(4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석재(4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52); 및
    상기 와셔판(51)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40)의 중앙으로 삽입되는 와셔볼트(5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100)에는,
    습기와 영양성분을 머금어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식생매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1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앵커(3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직포(10) 및 철망(20)의 모서리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100).
KR1020150135088A 2015-09-24 2015-09-24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KR10159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088A KR101598582B1 (ko) 2015-09-24 2015-09-24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088A KR101598582B1 (ko) 2015-09-24 2015-09-24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582B1 true KR101598582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088A KR101598582B1 (ko) 2015-09-24 2015-09-24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58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407B1 (ko) * 2017-04-06 2017-08-02 태흥산업 주식회사 스톤네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72664B1 (ko) * 2017-04-06 2017-08-29 태흥산업 주식회사 스톤네트 구조물
KR101790243B1 (ko) * 2017-04-06 2017-10-26 태흥산업 주식회사 스톤네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톤네트 구조물
KR101790249B1 (ko) * 2017-04-06 2017-10-26 태흥산업 주식회사 스톤네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톤네트 구조물
KR20180001401U (ko)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석송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및 지지고정체
KR102057674B1 (ko) * 2017-12-29 2019-12-19 주식회사 석송 스톤네트 구조물
KR102253411B1 (ko) 2020-08-04 2021-05-18 주식회사 석송 식생 가능한 지반 고정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336A (ja) * 1999-10-08 2001-04-17 Hatanaka Sekizai Kk 自然石固着シート
KR200364472Y1 (ko) * 2004-07-19 2004-10-19 최종선 하천의 일체형 자연석 구조를 형성하는 고정판 구조물
KR101277551B1 (ko) 2011-08-02 2013-06-21 덕산그린(주) 사면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94208B1 (ko) * 2013-09-09 2014-05-14 대한이.이엔.씨(주)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1462481B1 (ko) * 2013-11-18 2014-11-17 주식회사 삼안 앵커 스톤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호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336A (ja) * 1999-10-08 2001-04-17 Hatanaka Sekizai Kk 自然石固着シート
KR200364472Y1 (ko) * 2004-07-19 2004-10-19 최종선 하천의 일체형 자연석 구조를 형성하는 고정판 구조물
KR101277551B1 (ko) 2011-08-02 2013-06-21 덕산그린(주) 사면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94208B1 (ko) * 2013-09-09 2014-05-14 대한이.이엔.씨(주)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1462481B1 (ko) * 2013-11-18 2014-11-17 주식회사 삼안 앵커 스톤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호 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01U (ko)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석송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및 지지고정체
KR200490891Y1 (ko) * 2016-11-01 2020-01-17 주식회사 석송 스톤네트 구조물
KR101764407B1 (ko) * 2017-04-06 2017-08-02 태흥산업 주식회사 스톤네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72664B1 (ko) * 2017-04-06 2017-08-29 태흥산업 주식회사 스톤네트 구조물
KR101790243B1 (ko) * 2017-04-06 2017-10-26 태흥산업 주식회사 스톤네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톤네트 구조물
KR101790249B1 (ko) * 2017-04-06 2017-10-26 태흥산업 주식회사 스톤네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톤네트 구조물
KR102057674B1 (ko) * 2017-12-29 2019-12-19 주식회사 석송 스톤네트 구조물
KR102253411B1 (ko) 2020-08-04 2021-05-18 주식회사 석송 식생 가능한 지반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582B1 (ko)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KR100947248B1 (ko) 사면보호용 스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1598580B1 (ko)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1790243B1 (ko) 스톤네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톤네트 구조물
KR101669891B1 (ko) 스톤네트 구조체
KR100501508B1 (ko) 토류판
KR101413255B1 (ko)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18903B1 (ko)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CN207727597U (zh) 一种林业防护用护坡装置
KR101790249B1 (ko) 스톤네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톤네트 구조물
KR20110076093A (ko) 배수블록을 이용한 인조잔디 운동장의 시공방법
KR200408191Y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KR20090068692A (ko) 식생호안구조의 시공방법
KR101814953B1 (ko) 탑-다운 방식의 호안구조물 시공방법.
KR100956411B1 (ko) 조립식 식생블럭
KR101041792B1 (ko) 스톤 네트
KR101995201B1 (ko) 유이엠에이 친환경 사면침식방지 시공방법
KR200415620Y1 (ko) 하천 게비온 호안의 식생블럭
KR200344543Y1 (ko) 호안 기초콘크리트 블록
KR200262840Y1 (ko) 경사면 공사용 호안 블럭
KR100604674B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