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523Y1 -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 Google Patents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523Y1
KR200393523Y1 KR20-2005-0015984U KR20050015984U KR200393523Y1 KR 200393523 Y1 KR200393523 Y1 KR 200393523Y1 KR 20050015984 U KR20050015984 U KR 20050015984U KR 200393523 Y1 KR200393523 Y1 KR 200393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ocher
weigh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주)거화이에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화이에스알 filed Critical (주)거화이에스알
Priority to KR20-2005-0015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사면이나 도로의 절·성토 사면의 침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관목 및 야생화, 씨드스프레이 등의 복합적인 식재가 가능하여 건전한 생태계 형성이 유리한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록에 관한 것으로, 황토를 포함한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친환경적인 소재로서 시멘트를 첨가하지 않아 차후 2차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고 다공성의 결합형태를 형성하여 투수성이 뛰어나며 식물의 뿌리가 블록과 일체화될 수 있으며, 특히 블록의 결합이 상호 맞물리도록 되어 있어 토목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표면은 바위모양의 돌기형태로 사면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Water permeable block of yellow soil for restoration of ecology}
본 고안은 식재 다양성 및 설치면적 전체의 녹화를 가능케 하는 황토 투수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제품과 같은 2차 폐기물의 발생 없이 사면 식재와 관목 및 초화류 식재 등 복합적인 식생을 조성함으로서 건전한 식생대 형성이 용이하고 뛰어난 투수성으로 자연생태계의 원활한 순환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하천의 사면이나 도로의 절·성토 사면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던 호안이나 사면블록을 보면, 밀폐형 제품 또는 부분적으로 식재가 가능하도록 홀을 만든 콘크리트 블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호안블록은 콘크리트 제품으로써, 밀폐형 제품이나 부분적인 공간을 활용한 제품이 있으나, 식재는 전체 사면 면적대비 평균 10% 정도로 건전한 식생대 형성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또한 일본 등에서 사용되는 다공성(콘크리트 제품)블록 또한 관목과 초화류의 복합 식재가 어려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결국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호완블록은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고 수분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자연생태계의 순환기능이 인위적으로 차단되기 쉬워 식물의 활착이 원활하지 못하고, 노출된 시멘트 블록 표면이 복사열로 인해 하천 및 도로 주변에 온도가 상승되어 녹조류의 발생, 유해한 외래 식물종 유입 등 자연생태계의 보존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기존의 콘크리트 제품과 같이 2차 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면 전체의 식재와 관목 및 초화류 식재 등 복합적인 식생을 손쉽게 조성함으로써 건전한 식생대의 형성이 용이하고, 또한 뛰어난 투수성으로 자연생태계의 원활한 순환기능을 부여하여 생태계의 단절을 지양함과 동시에, 식물뿌리가 블록과 일체화되어 치수적으로도 안정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황토 투수블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황토 투수블록의 결합은 상호 맞물리도록 되어있어 토목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상부의 바위모양의 돌기형태는 사면의 미끄럼 방지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록은 기본적으로 시멘트의 첨가 없이 황토가 함유된 다공성의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에 대해 이웃하는 동일 구조의 다른 블록몸체들이 상호 끼움결합되어 일체 구조화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록몸체 측방으로 대칭되게 요철형태로서 돌출 및 요홈된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와, 블록몸체들이 상호 결합되면 관목이 식재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록몸체 사측에 1/4 원으로 곡면 절곡된 관목식재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블록몸체는 골재 65∼85 중량%, 황토 4.5∼10.5 중량%, 고로 슬래그 6∼14 중량%, 연마 슬러지 3.3∼7.7 중량%, 알루미늄 드로스 1.25∼1.75 중량%, 경화제 0.75∼1.0 중량%로 혼합되고, 재령 후 7일의 압축강도가 150㎏f/㎠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블록몸체는 각각 결합돌부와 결합홈부를 포함하여 한 변의 길이가 30∼100㎝이고 두께는 10∼20㎝이며, 상호 이웃하는 사측에 형성된 관목식재홀이 전체 면적에 대해 15-50%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는 상측 표면에 사람이나 생물이 이동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위모양의 마찰돌부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블록몸체는 이웃하는 다른 블록몸체와 계단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가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의 황토 투수블록에 대한 평면구조이며,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의 황토 투수블록에 대한 정면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아울러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투수블록들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식재 다양성 및 설치면적 전체의 녹화를 가능케 하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투수블록은 사용시 2차 폐기물이 발생되었던 기존의 콘크리트 제품과는 달리 친환경적 소재인 골재와 황토를 주성분으로 다공성의 블록몸체(1)가 구성된다.
그리고 블록몸체(1)는 이웃하는 동일 구조의 다른 블록몸체(1)들과 상호 끼움결합되어 일체 구조화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록몸체(1) 측방으로 결합돌부(2)와 결합홈부(4)가 돌출 및 요홈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1)들이 상호 결합되면 관목이 식재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록몸체(1) 사측은 1/4 원으로 관목식재홀(5)이 곡면 절곡된다. 즉, 관목식재홀(5)은 각각의 블록몸체(1) 사측이 1/4 원으로 곡면 절곡되어 이웃하는 다른 블록몸체(1)들과의 결합으로 관목이 식재될 수 있는 원형을 이루게 되며, 특히 상기 관목식재홀(5)은 도 3a 내지 도 3d의 결합상태도에서 보는 것처럼 블록몸체(1)의 전체 면적에 대해 15-50% 범위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블록몸체(1)는 도 1a 내지 도 1d에서 보는 것처럼, 사측(사변)중 2개측이 결합돌부(2)를 형성하고 나머지 2개측은 결합홈부(4)를 형성하는데, 이때 결합돌부(2)와 결합홈부(4)는 각각의 블록몸체(1)들이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각각 결합돌부(2)와 결합홈부(4)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몸체(1) 한 변의 길이는 30∼100㎝이고 두께는 10∼20㎝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블록몸체(1)에 형성되는 결합돌부(2)와 결합홈부(4)는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는 어떠한 요철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품 형성되는 본 고안의 황토 투수블록은 골재 65∼85 중량%, 황토 4.5∼10.5 중량%, 고로 슬래그 6∼14 중량%, 연마 슬러지 3.3∼7.7 중량%, 알루미늄 드로스 1.25∼1.75 중량%, 경화제 0.75∼1.0 중량%로 혼합되며, 아울러 재령 후 7일의 압축강도가 150㎏f/㎠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제품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콘크리트를 적용시킨 기존과는 달리 2차 폐기물 발생에 의한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황토 투수블록은 블록몸체(1)의 상측 표면에 사람이나 생물이 이동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도 2a 내지 도 2d에서 보는 것처럼 바위모양의 마찰돌부(3)가 형성되는데, 전체 블록몸체(1)에 형성되기 보다는 지그재그로 간격을 두고 상기 마찰돌부(3)가 형성됨으로서 동일높이 보다는 서로 다른 높이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블록몸체(1)는 이웃하는 다른 블록몸체(1)와 계단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결합돌부(2) 및 결합홈부(4)가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어 경사진 사면에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품 구성되는 본 고안의 황토 투수블록은 도 4a 및 도 4b 그리고 도 5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다각형의 다공성 평판형태의 블록구조로서 사측에 결합돌부(2)와 결합홈부(4)가 형성된 각각의 블록몸체(1)가 상호 끼움결합되어 일체구조화되며, 각각의 상기 블록몸체(1)의 모서리가 1/4의 원으로 구성되어 결합시 관목식재홀(5)이 형성됨으로서 갯버들, 키버들, 물레나물 등의 관목 식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성토 후 씨드스프레이(Seed Spray)(일명 씨앗 뿜어붙이기)를 실시하여 식물의 뿌리가 블록몸체(1) 자체에 활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해당 지역의 적합한 수종의 관목을 식재하고 다른 부분은 성토후 야생화나 벼과식물을 씨드스프레이를 하는 것으로서 완성되어 진다.
특히 블록몸체(1)마다 결합돌부(2)와 결합홈부(4)의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결합되면서 구조적으로 상호 결합력이 높아질 수 있어, 홍수시 소류력에 의한 사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블록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생태복원성 황토 투수블록에 의하면, 콘크리트를 적용시킨 기존 제품보다 식재 다양성 및 설치면적 전체의 녹화를 가능케 함으로서 경관성 향상 및 건전한 생태계 조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결합돌부와 결합홈부를 통하여 블록 상호간의 연결된 구조와 식재된 식물의 성장이 거듭되어 블록과 원지반층, 식물이 모두 일체화가 되어 유속이 큰 지역이나 높은 제방에서도 치수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결합형태로서 차후 2차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아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의 황토 투수블록에 대한 평면구조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의 황토 투수블록에 대한 정면구조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투수블록들간의 결합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라 상호 끼움결합되어 일체구조화되어 도로의 평면 및 하천의 사면 등에 매립된 황토 투수블록에 관목이 식재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투수블록이 성토후 씨드스프레이가 실시되어 식물의 뿌리가 활착된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록몸체 2 : 결합돌부
3 : 마찰돌부 4 : 결합홈부
5 : 관목식재홀

Claims (5)

  1. 시멘트의 첨가 없이 황토가 함유된 다공성의 블록몸체(1)와,
    상기 블록몸체(1)에 대해 이웃하는 동일 구조의 다른 블록몸체(1)들이 상호 끼움결합되어 일체 구조화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록몸체(1) 측방으로 대칭되게 요철형태로서 돌출 및 요홈된 결합돌부(2) 및 결합홈부(4)와,
    블록몸체(1)들이 상호 결합되면 관목이 식재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록몸체(1) 사측에 1/4 원으로 곡면 절곡된 관목식재홀(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는 골재 65∼85 중량%, 황토 4.5∼10.5 중량%, 고로 슬래그 6∼14 중량%, 연마 슬러지 3.3∼7.7 중량%, 알루미늄 드로스 1.25∼1.75 중량%, 경화제 0.75∼1.0 중량%로 혼합되고, 재령 후 7일의 압축강도가 150㎏f/㎠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는 각각 결합돌부(2)와 결합홈부(4)를 포함하여 한 변의 길이가 30∼100㎝이고 두께는 10∼20㎝이며, 상호 이웃하는 사측에 형성된 관목식재홀(5)이 전체 면적에 대해 15-50%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는 상측 표면에 사람이나 생물이 이동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위모양의 마찰돌부(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는 이웃하는 다른 블록몸체(1)와 계단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결합돌부(2) 및 결합홈부(4)가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KR20-2005-0015984U 2005-06-03 2005-06-03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KR200393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984U KR200393523Y1 (ko) 2005-06-03 2005-06-03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984U KR200393523Y1 (ko) 2005-06-03 2005-06-03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523Y1 true KR200393523Y1 (ko) 2005-08-22

Family

ID=4369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984U KR200393523Y1 (ko) 2005-06-03 2005-06-03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5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43B1 (ko) * 2011-06-23 2012-01-16 신천희 투수성 식생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43B1 (ko) * 2011-06-23 2012-01-16 신천희 투수성 식생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523Y1 (ko)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JP2001064986A (ja) 生態安定化ブロック
JP2018204391A (ja) ふとん篭及びこれを用いた傾斜地補強構造
KR200403455Y1 (ko) 식생블럭
KR100831879B1 (ko) 재해를 방지하여 주는 작용과 식물들이 용이하게 자랄 수있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호안공법
KR100727586B1 (ko) 자연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사용하는 자연형 식생블록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2012786A (ja) 法面緑化構造
KR100466007B1 (ko) 녹화토를 이용한 돌망태
US20200123713A1 (en) Grass pavers for increasing visible green space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101148193B1 (ko) 호안블록
KR100710493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406139Y1 (ko)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CN218148118U (zh) 一种水利工程用生态防护连锁板块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200247937Y1 (ko) 생태 블럭
KR200324512Y1 (ko) 식생호안용 인조석 블록
KR200306388Y1 (ko) 첨단 블럭
KR200303850Y1 (ko) 환경친화형 식생블록
KR200303612Y1 (ko) 생태 블럭
CN219118066U (zh) 一种田园型生态护岸
KR200262840Y1 (ko) 경사면 공사용 호안 블럭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60125643A (ko) 자연석 형상을 연출하는 자연형 식생블럭 구조체의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