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211A -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211A
KR20190110211A KR1020180031866A KR20180031866A KR20190110211A KR 20190110211 A KR20190110211 A KR 20190110211A KR 1020180031866 A KR1020180031866 A KR 1020180031866A KR 20180031866 A KR20180031866 A KR 20180031866A KR 20190110211 A KR20190110211 A KR 20190110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concrete block
pocket
vegetation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948B1 (ko
Inventor
유승운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1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절토 사면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들;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씨앗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로 이루어지며; 에코포켓부는, 식물성 매트로 이루어진 제1식생매트 및 제2식생매트와, 상기 제1식생매트 및 제2식생매트 사이에 구비되고 토탄 및 토탄에 살포된 씨앗으로 이루어진 토탄층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제1식생매트 및 제2식생매트가 이끼나 갈대 등의 식물로 이루어지고, 식생매트 사이에 수목질의 유기물이 퇴적되어 형성된 천연자원 토탄이 구비되므로 식물의 생육환경이 개선되고, 친환경적인 옹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블록 상에 다른 콘크리트블록을 안착시키면 상측의 콘크리트블록의 하부받침판 및 전방경사판이 하측의 콘크리트블록의 상부안착면 및 지지턱에 지지되며 다수의 콘크리트블록이 절토 사면을 따라 경사지게 적층된다. 따라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들이 절토 사면에 안정적으로 적층되므로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Vege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eco pocke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식생보강토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식생 가능 보강토옹벽에 식생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다양한 식생이 가능하며 유지관리 및 식생의 보존이 우수한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업과 문명, 도시화의 발달로 제한된 부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절토사면이 존재하게 되며, 특히 산악지형이 많은 강원 지역의 경우 사회적 필요에 의해 건설되는 절토면의 안정성 및 보강대책은 경제,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불가피하게 자연 환경이 훼손되는 절토 사면을 식생을 통해 친환경적인 구조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선진국을 비롯하여 국내에서도 많이 시도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지역 특성상 절토사면 및 산사태 발생이 높고, 특히 강원지역의 경우 산악지가 많아 안전에 매우 취약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면보강 구조물이 빈번히 시공되고 있고, 지역의 천연자원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공성 및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안공법으로 토낭공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녹화 식생과 구조적 안정성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며, 내구성이 약한 단점이 있어, 최근 씨앗을 토양에 혼입하여 자연발아를 통한 친환경 녹화 구축 및 구조적인 성능도 확보되는 식생토낭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법은 기초적인 기술개발에 머물고 있고, 구조적인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지역천연자원을 활용하여 식물의 생육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친환경 녹색 식생토낭공법의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497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나 갈대 등의 식물과 수목질의 유기물이 퇴적되어 형성된 천연자원 토탄을 활용하여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옹벽을 구현하도록 한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면녹화를 비롯한 소규모 사방댐이나 생태옹벽, 방호시설 등에 적용되어서 식물 생육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고,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는, 절토 사면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들;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씨앗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는, 절토 사면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들;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씨앗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블록은, 하부 후방측이 절토 사면에 지지되고, 하부 전방측이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상부 후방측에 안착되어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들이 절토 사면을 따라 상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는, 절토 사면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들;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씨앗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블록은, 하부 후방측이 절토 사면에 지지되고, 하부 전방측이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상부 후방측에 안착되어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들이 절토 사면을 따라 상하로 적층되며; 에코포켓부에서 발아된 식물이 콘크리트블록의 전방 상측 및 전방 하측으로 자라도록, 적층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의 전방 상측 및 전방 하측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는, 절토 사면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들;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씨앗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로 이루어지며; 에코포켓부는, 식물성 매트로 이루어진 제1식생매트 및 제2식생매트와, 상기 제1식생매트 및 제2식생매트 사이에 구비되고 토탄 및 토탄에 살포된 씨앗으로 이루어진 토탄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은, 야자나무 등의 식물성 재료로 제1식생매트 및 제2식생매트를 준비하고, 제1식생매트 및 제2식생매트 사이에 토탄 및 상기 토탄에 살포된 씨앗으로 이루어진 토탄층이 구비되어서 이루어진 식생매트를 준비하는 식생매트 준비단계; 상기 식생매트를 이용하여서 제조되고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를 준비하는 에코포켓 준비단계;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수납공간과 외부 공간이 연결되어서 수납공간 내의 식물이 외측으로 뻣어나가도록 교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수납공간 내의 식물이 전방 상측으로 뻣어나가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전면에 식생구멍이 형성되어서 수납공간 내의 식물이 전방 하측으로 뻣어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콘크리트블록을 준비하는 콘크리트블록 준비단계;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 내에 식생매트로 이루어진 에코포켓부를 안착시키는 에코포켓부 안착단계; 절토 사면에 계단형 단턱을 만들고 상기 단턱 위에 에코포켓부가 안착된 콘크리트블록을 적층시켜서 옹벽을 이루게 하는 콘크리트블록 시공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의 다른 특징은, 콘크리트블록은,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받침판과 후면의 옹벽지지판과 양측의 블록연결측판과 전면의 전방경사판으로 이루어지고, 블록연결측판에는 인접한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과 연결되도록 교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통구멍들을 통해 인접한 콘크리트블록들에 식생되는 식물이 서로 교통되면서 얽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전방경사판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콘크리트블록의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방경사판의 상측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콘크리트블록의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상부경사면이 형성되어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이 상하로 적재되어도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이 전방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콘크리트블록의 후방 상측에는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하부받침판이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콘크리트블록의 상부 중앙 부분에는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전방경사판이 지지되도록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전방경사판에는 수납공간 내의 식물들이 콘크리트블록의 전방 하측방향으로 뻣어나갈 수 있도록 식생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수평으로 배열된 인접한 두개의 콘크리트블록은 연결재로 연결되어서 고정되고, 절토 사면의 계단형 단턱에는 보강재가 매입되어서 단턱에 안착된 콘크리트블록을 지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제1식생매트 및 제2식생매트가 이끼나 갈대 등의 식물로 이루어지고, 식생매트 사이에 수목질의 유기물이 퇴적되어 형성된 천연자원 토탄이 구비되므로 식물의 생육환경이 개선되고, 친환경적인 옹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블록 상에 다른 콘크리트블록을 안착시키면 상측의 콘크리트블록의 하부받침판 및 전방경사판이 하측의 콘크리트블록의 상부안착면 및 지지턱에 지지되며 다수의 콘크리트블록이 절토 사면을 따라 경사지게 적층된다. 따라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들이 절토 사면에 안정적으로 적층되므로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크리트블록은 상하로 적재할 시 수납공간의 전방 상측 부분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콘크리트블록의 전방경사판에는 식생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코포켓부에서 발아되어 성장한 식물은 콘크리트블록의 전방 상측으로 뻣어나가면서 성장하고, 식생구멍을 통해 콘크리트블록의 전방 하측으로 뻣어나가면서 성장한다. 그러므로 식물이 옹벽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블록의 블록연결측판에는 교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에서 자란 식물이 교통구멍을 통해 인접한 콘크리트블록의 수납공간으로 뻣어나가게 되며, 이와 같이 교통구멍을 통해 인접한 콘크리트블록 내의 식물들이 서로 교통하고 왕래하여 엉키게 된다. 그러므로, 콘크리트블록에 각각 식생된 식물들 사이에 결속력이 강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의 콘크리트블록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에코포켓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에코포켓부를 만들기 위한 식생매트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코포켓부가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를 보인 개략적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코포켓부가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의 콘크리트블록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에코포켓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에코포켓부를 만들기 위한 식생매트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에코포켓부가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를 보인 개략적 부분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에코포켓부가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는, 콘크리트블록(10)과 에코포켓부(30)로 이루어진다.
콘크리트블록(10)은, 절토 사면(1)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8)이 형성된다.
에코포켓부(30)는,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에 수납되고 씨앗(25)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블록(10)은, 하부 후방측이 절토 사면(1)에 지지되고, 하부 전방측이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 후방측에 안착되어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들이 절토 사면(1)을 따라 상하로 적층된다.
또한, 콘크리트블록(10)은, 하부 후방측이 절토 사면(1)에 지지되고, 하부 전방측이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 후방측에 안착되어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들이 절토 사면(1)을 따라 상하로 적층된다.
이러한 콘크리트블록(10)은, 에코포켓부(30)에서 발아된 식물이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 상측 및 전방 하측으로 자라도록, 적층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 상측 및 전방 하측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콘크리트블록(10)은,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8)이 형성되도록 하부받침판(11)과 후면의 옹벽지지판(12)과 양측의 블록연결측판(13)과 전면의 전방경사판(14)으로 이루어지고, 블록연결측판(13)에는 인접한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과 연결되도록 교통구멍(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통구멍(13a)들을 통해 인접한 콘크리트블록(10)들에 식생되는 식물이 서로 교통되면서 얽히도록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경사판(14)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방경사판(14)의 상측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콘크리트블록(10)의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상부경사면(17)이 형성되어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이 상하로 적재되어도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이 전방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콘크리트블록(10)의 후방 상측에는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하부받침판(11)이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면(15)이 형성되어 있고,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 중앙 부분에는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경사판(14)이 지지되도록 지지턱(16)이 형성되어 있다.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경사판(14)에는 수납공간(18) 내의 식물들이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 하측방향으로 뻣어나갈 수 있도록 식생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으로 배열된 인접한 두개의 콘크리트블록(10)은 연결재(미도시)로 연결되어서 고정되고, 절토 사면(1)의 계단형 단턱(2)에는 보강재(미도시)가 매입되어서 단턱(2)에 안착된 콘크리트블록(10)을 지지한다.
에코포켓부(30)는, 식물성 매트로 이루어진 제1식생매트(21) 및 제2식생매트(22)와, 상기 제1식생매트(21) 및 제2식생매트(22) 사이에 구비되고 토탄(24) 및 토탄(24)에 살포된 씨앗(25)으로 이루어진 토탄층(2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에코포켓부(30)는, 하부를 이루는 하부포켓판(31)과, 에코포켓부(30)의 배면을 이루는 배면포켓판(32)과, 에코포켓부(30)의 양측면을 이루는 측면포켓판(33)과, 에코포켓부(3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포켓판(34)으로 이루어진다. 전면포켓판(34)은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경사판(14)과 같이 에코포켓부(30)의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토탄(peat)은 늪지대에서 자라는 이끼, 갈대 및 기타식물들의 유기체가 퇴적되기를 수천년을 반복하여 바닥에 퇴적된 것으로 지형 또는 자연조건의 변화로 지하수위가 낮아져 유기물만이 매몰 집적된 것이다. 이러한 토탄(peat)은 생성시기에 따라 그 성분의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토탄(peat)의 70%~90%가 유기물질이다.
이러한 토탄은, 환경친화적인 성분이기 때문에 씨앗의 발아를 돕고, 작물 생육에 필수적인 영양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토양을 비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토탄에는 친환경적인 유기질 비료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에코포켓을 구비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다.
먼저, 야자나무 등의 식물성 재료로 제1식생매트(21) 및 제2식생매트(22)를 준비하고, 제1식생매트(21) 및 제2식생매트(22) 사이에 토탄(24) 및 상기 토탄(24)에 살포된 씨앗(25)으로 이루어진 토탄층(23)이 구비되어서 이루어진 식생매트(20)를 준비하는 식생매트 준비단계(S10)를 갖는다.
또한, 식생매트(20)를 이용하여서 제조되고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에 수납되며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35)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30)를 준비하는 에코포켓 준비단계(S20)를 갖는다.
그리고,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8)이 형성되고, 양측에 수납공간(18)과 외부 공간이 연결되어서 수납공간(18) 내의 식물이 외측으로 뻣어나가도록 교통구멍(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수납공간(18) 내의 식물이 전방 상측으로 뻣어나가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전면에 식생구멍(14a)이 형성되어서 수납공간(18) 내의 식물이 전방 하측으로 뻣어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콘크리트블록(10)을 준비하는 콘크리트블록 준비단계(S30)를 갖는다.
에코포켓부(30)와 콘크리트블록(10)이 준비되면,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 내에 식생매트(20)로 이루어진 에코포켓부(30)를 안착시키는 에코포켓부 안착단계(S40)를 갖는다.
에코포켓부(30)가 콘크리트블록(10)에 안착되면, 절토 사면(1)에 계단형 단턱(2)을 만들고 단턱(2) 위에 에코포켓부(30)가 안착된 콘크리트블록(10)을 적층시켜서 옹벽을 이루게 하는 콘크리트블록 시공단계(S50)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에코포켓을 구비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제1식생매트(21) 및 제2식생매트(22)가 이끼나 갈대 등의 식물로 이루어지고, 식생매트(20) 사이에 수목질의 유기물이 퇴적되어 형성된 천연자원 토탄(24)이 구비되므로 식물의 생육환경이 개선되고, 친환경적인 옹벽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콘크리트블록(10) 상에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을 안착시키면 상측의 콘크리트블록(10)의 하부받침판(11) 및 전방경사판(14)이 하측의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안착면(15) 및 지지턱(16)에 지지되며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이 절토 사면(1)을 따라 경사지게 적층된다.
따라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들이 절토 사면(1)에 안정적으로 적층되므로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콘크리트블록(10)은 상하로 적재할 시 수납공간(18)의 전방 상측 부분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경사판(14)에는 식생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코포켓부(30)에서 발아되어 성장한 식물은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 상측으로 뻣어나가면서 성장하고, 식생구멍(14a)을 통해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 하측으로 뻣어나가면서 성장한다. 그러므로 식물이 옹벽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콘크리트블록(10)의 블록연결측판(13)에는 교통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에서 자란 식물이 교통구멍(13a)을 통해 인접한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으로 뻣어나가게 되며, 이와 같이 교통구멍(13a)을 통해 인접한 콘크리트블록(10) 내의 식물들이 서로 교통하고 왕래하여 엉키게 된다. 그러므로, 콘크리트블록(10)에 각각 식생된 식물들 사이에 결속력이 강화된다.
한편, 연결재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보호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표면보호층의 도포재료는 토일트리아졸 20중량%, 벤즈이미다졸 15중량%, 트리옥틸아민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산화알루미늄4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구성된다.
토일트리아졸, 벤즈이미자졸 및 트리옥틸아민은 부식방지 및 변색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콘크리트블록(10)의 둘레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가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0.1 몰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재의 표면에는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으며,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는 벤조트리아졸 35중량%, 보론 5중량%, CMC(Carboxy Methyl Cellulose) 5중량%, 지르코늄 5중량%, 티타늄 5중량%, 산화알루미늄(Al₂O₃) 45중량%로 구성된다.
벤조트리아졸은 부식방지 및 변색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되며, 보론은 탈산제 등의 역할을 한다.
CMC(Carboxy Methyl Cellulose)는 흡수성이 큰 백색 또는 미백색의 분말로서 물에 용이하게 녹아 점성을 나타내며, 피막을 형성하고 분산제 등의 역할을 한다.
지르코늄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 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티타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배합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을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콘크리트블록(10)의 둘레에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나 각종 매연에 함유되어 대기 중에 방사된 유기물로부터 콘크리트블록(10)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블록보호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보호층은, 콘크리트블록(10)을 도포하기 위한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은, 66.42-66.58 중량%로 함유되는 아미노실란 화합물, 13.24-13.41 중량%로 함유되는 암모늄 화합물, 3.21-3.38 중량%로 함유되는 용제 및 16.76-16.93 중량%로 함유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블록(10)의 표면은 구조물의 완성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기 중의 미세먼지나 매연에 함유된 유기물로 인해 오염되게 된다. 특히 구조물의 표면에 이러한 오염물질이 흡착되게 되면 추가적으로 이들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여 누적되고, 상기 오염물질의 흡착도 더욱 가속화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10) 표면의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은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상기 미세먼지 또는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구조물의 표면이 누적적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되면 구조물 표면을 세척하는 횟수가 감소되어 구조물의 유지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장재 조성물은 기존 구조물 표면의 오염 방지용 도장재에 비해 부착력과 차폐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블록(10)을 염소 이온의 침투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블록(1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표면의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은 동결융해 저항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도장의 표면에 발수성을 부여하고, 미세먼지 또는 염소이온이 포함된 수분의 접촉각을 크게 하여 상기 미세먼지 또는 염소이온이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콘크리트블록(10)의 자가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66.42-66.5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66.4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발수성이 미흡하여 수분의 흡수에 의해 오염물질이 축적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66.5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내에서 다른 조성물질의 함량을 제한하여 조성물의 도막 형성을 방해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도장재의 표면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유기물이 구조물의 표면에 흡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대전 방지(Antistatic) 효과가 우수한 제4급 암모늄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4급 암모늄화합물은 질소원자 1개에 4개의 탄화수소기가 결합하여 생긴 제4급의 암모늄 이온염과 결합된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암모늄 화합물은 13.24-13.4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암모늄 화합물이 13.24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대전 방지 기능이 미흡하여 표면에 오염 물질이 흡착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암모늄 화합물이 13.41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장재의 표면에 핀홀이 발생하여 오염물질 및 염소이온이 콘크리트 내부로 쉽게 침투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제4급 암모늄염, 히드록시알킬 제4급 암모늄염 및 아실로일히드록시알킬 제4급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상기 도장재 조성물 내에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용제는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3.21-3.38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용제가 3.2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용제가 3.38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과도한 흐름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용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및 이소부틸알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도장재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도장재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상기 첨가제는 16.76-16.93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첨가제가 16.76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첨가제가 16.93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도막 형성이 원활하지 못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흐름방지제, 가소제, 소포제 및 침강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흐름방지제는 지방산 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아크릴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아디핀산계, 프탈레이트계 및 말레인산염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실리콘계, 광물계 및 알콜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강방지제는 유기벤토나이트계 또는 실리카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도막에 색상을 구현하여 구조물의 외적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상기 안료는 도장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안료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은폐력이 떨어져 구조물의 외적 미관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안료가 2.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불량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안료는 당업계에 안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안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안료는 아조계 또는 프탈로시아닌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안료는 티타늄계, 아연계, 구리계 및 크로뮴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블록(10)에 본 발명의 블록보호층이 도포되므로 대기 중의 미세먼지나 각종 매연에 함유되어 대기 중에 방사된 유기물로부터 콘크리트블록(10)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된다.
1 : 절토 사면 2 : 계단형 단턱
10 : 콘크리트블록 11 : 하부받침판
12 : 옹벽지지판 13 : 블록연결측판
13a : 교통구멍 14 : 전방경사판
14a : 식생구멍 15 : 상부안착면
16 : 지지턱 17 : 전방상부경사면
18 : 수납공간 20 : 식생매트
21 : 제1식생매트 22 : 제2식생매트
23 : 토탄층 24 : 토탄
25 : 씨앗 30 : 에코포켓부
31 : 하부포켓판 32 : 배면포켓판
33 : 측면포켓판 34 : 전면포켓판

Claims (10)

  1. 절토 사면(1)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8)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10)들;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에 수납되고 씨앗(25)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35)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2. 절토 사면(1)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8)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10)들;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에 수납되고 씨앗(25)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35)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30)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블록(10)은,
    하부 후방측이 절토 사면(1)에 지지되고, 하부 전방측이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 후방측에 안착되어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들이 절토 사면(1)을 따라 상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3. 절토 사면(1)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8)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10)들;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에 수납되고 씨앗(25)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35)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30)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블록(10)은,
    하부 후방측이 절토 사면(1)에 지지되고, 하부 전방측이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 후방측에 안착되어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들이 절토 사면(1)을 따라 상하로 적층되며;
    에코포켓부(30)에서 발아된 식물이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 상측 및 전방 하측으로 자라도록, 적층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 상측 및 전방 하측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4. 절토 사면(1)에 상하, 좌우로 적재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8)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10)들;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에 수납되고 씨앗(25)이 발아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35)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30)로 이루어지며;
    에코포켓부(30)는,
    식물성 매트로 이루어진 제1식생매트(21) 및 제2식생매트(22)와, 상기 제1식생매트(21) 및 제2식생매트(22) 사이에 구비되고 토탄(24) 및 토탄(24)에 살포된 씨앗(25)으로 이루어진 토탄층(23)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5. 야자나무 등의 식물성 재료로 제1식생매트(21) 및 제2식생매트(22)를 준비하고, 제1식생매트(21) 및 제2식생매트(22) 사이에 토탄(24) 및 상기 토탄(24)에 살포된 씨앗(25)으로 이루어진 토탄층(23)이 구비되어서 이루어진 식생매트(20)를 준비하는 식생매트 준비단계(S10);
    식생매트(20)를 이용하여서 제조되고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에 수납되며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포켓공간(35)이 형성되어 있는 에코포켓부(30)를 준비하는 에코포켓 준비단계(S20);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8)이 형성되고, 양측에 수납공간(18)과 외부 공간이 연결되어서 수납공간(18) 내의 식물이 외측으로 뻣어나가도록 교통구멍(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수납공간(18) 내의 식물이 전방 상측으로 뻣어나가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전면에 식생구멍(14a)이 형성되어서 수납공간(18) 내의 식물이 전방 하측으로 뻣어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콘크리트블록(10)을 준비하는 콘크리트블록 준비단계(S30);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 내에 식생매트(20)로 이루어진 에코포켓부(30)를 안착시키는 에코포켓부 안착단계(S40);
    절토 사면(1)에 계단형 단턱(2)을 만들고 단턱(2) 위에 에코포켓부(30)가 안착된 콘크리트블록(10)을 적층시켜서 옹벽을 이루게 하는 콘크리트블록 시공단계(S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시공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블록(10)은,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8)이 형성되도록 하부받침판(11)과 후면의 옹벽지지판(12)과 양측의 블록연결측판(13)과 전면의 전방경사판(14)으로 이루어지고,
    블록연결측판(13)에는 인접한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과 연결되도록 교통구멍(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통구멍(13a)들을 통해 인접한 콘크리트블록(10)들에 식생되는 식물이 서로 교통되면서 얽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전방경사판(14)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방경사판(14)의 상측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콘크리트블록(10)의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상부경사면(17)이 형성되어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10)이 상하로 적재되어도 콘크리트블록(10)의 수납공간(18)이 전방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콘크리트블록(10)의 후방 상측에는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하부받침판(11)이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면(15)이 형성되어 있고,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 중앙 부분에는 다른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경사판(14)이 지지되도록 지지턱(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전방경사판(14)에는 수납공간(18) 내의 식물들이 콘크리트블록(10)의 전방 하측방향으로 뻣어나갈 수 있도록 식생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으로 배열된 인접한 두개의 콘크리트블록(10)은 연결재로 연결되어서 고정되고,
    절토 사면(1)의 계단형 단턱(2)에는 보강재가 매입되어서 단턱(2)에 안착된 콘크리트블록(1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KR1020180031866A 2018-03-20 2018-03-20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10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66A KR102110948B1 (ko) 2018-03-20 2018-03-20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66A KR102110948B1 (ko) 2018-03-20 2018-03-20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211A true KR20190110211A (ko) 2019-09-30
KR102110948B1 KR102110948B1 (ko) 2020-05-14

Family

ID=6809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866A KR102110948B1 (ko) 2018-03-20 2018-03-20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9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3307A (zh) * 2022-05-07 2022-07-15 福建省凡澈建设发展有限公司 水利护坡施工方法
KR102579631B1 (ko) * 2023-03-13 2023-09-19 주식회사 청조 적층 시공이 용이한 옹벽 패널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569A (ja) * 1999-02-26 2000-09-12 Ohbayashi Corp 土留め用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土留め構造
KR20040083410A (ko) * 2004-09-10 2004-10-01 (주)영동수로 조적식 식생블럭
KR200414970Y1 (ko) 2006-02-06 2006-04-27 대성산업(주) 환경식생블록
KR200415273Y1 (ko) * 2006-01-31 2006-05-03 솔라원 환경기술(주)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100950092B1 (ko) * 2009-03-19 2010-03-29 김산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61036B1 (ko) * 2011-03-07 2011-09-01 주식회사 케이이씨맥 호안 및 법면보호 녹화용 코코넛 식생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569A (ja) * 1999-02-26 2000-09-12 Ohbayashi Corp 土留め用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土留め構造
KR20040083410A (ko) * 2004-09-10 2004-10-01 (주)영동수로 조적식 식생블럭
KR200415273Y1 (ko) * 2006-01-31 2006-05-03 솔라원 환경기술(주)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200414970Y1 (ko) 2006-02-06 2006-04-27 대성산업(주) 환경식생블록
KR100950092B1 (ko) * 2009-03-19 2010-03-29 김산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61036B1 (ko) * 2011-03-07 2011-09-01 주식회사 케이이씨맥 호안 및 법면보호 녹화용 코코넛 식생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3307A (zh) * 2022-05-07 2022-07-15 福建省凡澈建设发展有限公司 水利护坡施工方法
CN114753307B (zh) * 2022-05-07 2024-04-05 福建省凡澈建设发展有限公司 水利护坡施工方法
KR102579631B1 (ko) * 2023-03-13 2023-09-19 주식회사 청조 적층 시공이 용이한 옹벽 패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48B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idgeman et al. Lyngbya wollei in western Lake Erie
US10053827B2 (en) Living shoreline protection and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20180177143A1 (en) Soilless pre-vegetated ma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8365467B1 (en) Prevegetated blanket
CN108076908B (zh) 自附着植被种植模块
Jim Old stone walls as an ecological habitat for urban trees in Hong Kong
JP2004337054A (ja) 壁面緑化ユニット
KR20190110211A (ko)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55121A (ko) 식생녹화용 기반재 및 그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방법
JP4883673B2 (ja) 緑化用培地構造
KR100945257B1 (ko) 간척지 식생용 염분차단매트
KR101187406B1 (ko) 이끼 패널과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CN109469078B (zh) 一种柔性复绿护沟方法
JP4226708B2 (ja) 壁面等の緑化用コンテナ
KR100867675B1 (ko) 식생매트 및 그 제조방법
AU2007205288A1 (en) Inorganic, static electric binder composition, use thereof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aid binder composition
KR102152542B1 (ko) 천연잔디 규사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307198B1 (ko) 그린네트를 이용한 녹화공법
Emilsson Extensive vegetated roofs in Sweden
KR200419599Y1 (ko) 계단식 호안 녹화용 식생매트
CN204590431U (zh) 一种新型的斜坡绿化构造
KR200391833Y1 (ko) 조경 공사 비탈면 보호를 위한 생태계 녹화용 특수 식생블록의 설치 구조
JP5645358B2 (ja) 樹木の栽培方法
Gilbert et al. Phragmites australis at the crossroads: why we cannot afford to ignore this invasion
US20220217901A1 (en) Nutrient compositions for cultivating sphagn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