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268B1 -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 Google Patents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268B1
KR101246268B1 KR1020130002364A KR20130002364A KR101246268B1 KR 101246268 B1 KR101246268 B1 KR 101246268B1 KR 1020130002364 A KR1020130002364 A KR 1020130002364A KR 20130002364 A KR20130002364 A KR 20130002364A KR 101246268 B1 KR101246268 B1 KR 10124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wall
gabion
retaining wall
vege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브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브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브록
Priority to KR102013000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2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은 측벽과 하부벽이 갭(G1,G2, Gap)을 갖는 이중벽이 되도록 하면서 다수의 강재 프레임(P)을 이용하여 내부가 빈 박스(box) 형상의 강재 틀(210)을 제작하는 강재 틀 제작단계; 상기 강재 틀(210)의 상부 개구를 제외한 나머지 면의 이중벽 사이의 갭(G1,G2)으로 철망 웹(W1)들을 삽입하여 상기 강재 틀(210)의 측부 및 하부 벽체를 형성시키는 강재 틀 측부 및 하부 벽체 형성단계; 상기 철망 웹(W1)이 결합된 상기 강재 틀(210) 내로 채움재(미도시)를 넣어 충전시키는 채움재 충전단계; 및 상기 철망 웹(W1)을 이용하여 상기 강재 틀(210)의 상부 개구에 덮어 고정시키면서 상기 강재 틀(210)의 상부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단위 옹벽 구조체(200a)를 만드는 강재 틀 상부 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Structure of gabion wall with vegetation steel fram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경사면이 붕괴되는 위험이 있을 경우나 붕괴 후의 복구 대책으로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에 관한 것이다.
개비온 공법(gabion works)이라 함은 와이어 실린더(wire cylinder) 공법의 일종으로서, 와이어 실린더 공법에 대해서 본 공법은 이불을 쌓아올리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되며, 옹벽과 같은 역할을 갖고 사용하는 일이 많아 경사면이 붕괴되는 위험이 있을 경우나 붕괴 후의 복구 대책으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개비온 공법에 대한 기술이 선행기술 1(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0440호) 및 선행기술 2(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6343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콘크리트나 석재를 짜 맞추어서 되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블록을 형성한 다음 이들을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하되, 상기 블록의 중앙 공간부에 흙을 채워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한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1의 기술은,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집중 호우 시 블록에 채워진 흙이 쉽게 유실되는 문제점, 가뭄 시에는 상기 흙에 지속적인 수분의 공급이 어려워 원활한 식물의 성장이 곤란한 문제점, 그리고 절개지의 경사면 각도에 맞추어 이에 적절한 형태의 블록을 만들어 쌓아야 함에 따른 시공 상의 어려움과 그에 따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등을 야기한다.
이에 반해, 상기 선행기술 2는, 경사면에 철망으로 되는 베이스를 설치하고, 그 측부에 측방부재를 고정시켜 석재를 담는 수용공간을 형성한 다음, 여기에 석재를 채우고, 석재 위에 지지부재를 덮은 후에 지지부재 위에 흙을 덮고, 다시 그 위에 철망으로 되는 덮개를 덮는 구조의 경사면 구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 2는 경사면에 철망으로 되는 베이스를 폭 넓게 깔고 그 위에 석재를 채우는 구성이어서 경사면이 다소 완만하고 넓게 형성된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절개면의 경사가 심하여 수직에 가깝다거나 단위 개비온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야 하는 시공 현장에서는 실시가 곤란하다.
이상 설명한 기술들 외에도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7847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10915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3326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32329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개비온 옹벽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들 역시,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경사면이 붕괴되는 위험이 있을 경우나 붕괴 후의 복구 대책으로서 다소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보다 실질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구조 보완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7847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10915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3326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323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경사면이 붕괴되는 위험이 있을 경우나 붕괴 후의 복구 대책으로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다수의 강재 프레임(111,112,113)을 이용하여 내부가 빈 박스(box) 형상의 강재 틀(110)을 제작하는 강재 틀 제작단계; 다수의 철망 웹(W)을 이용하여 상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상의 개비온 몸체(120)를 제작하는 개비온 몸체 제작단계; 상기 강재 틀(110) 내에 상기 개비온 몸체(120)를 삽입하는 개비온 몸체 삽입단계; 상기 개비온 몸체(120) 내에 채움재(미도시)를 넣어 충전시키는 채움재 충전단계; 및 철망 웹(W)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개비온 덮개(130)를 상기 개비온 몸체(120)의 상부 개구에 덮어 상기 개비온 몸체(120)와 고정시킴으로써 단위 옹벽 구조체(100a)를 만드는 개비온 덮개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단위 옹벽 구조체(100a)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가 상호 연결되어 개비온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재 틀(110)은 상기 다수의 강재 프레임(111,112,113)의 용접 결합, 볼트 결합, 리벳 결합 또는 와이어 결합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작되되 공장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개비온 몸체(120)는 다수의 철망 웹(W)의 용접 결합 또는 와이어 결합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작되되 공장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측벽과 하부벽이 갭(G1,G2, Gap)을 갖는 이중벽이 되도록 하면서 다수의 강재 프레임(P)을 이용하여 내부가 빈 박스(box) 형상의 강재 틀(210)을 제작하는 강재 틀 제작단계; 상기 강재 틀(210)의 상부 개구를 제외한 나머지 면의 이중벽 사이의 갭(G1,G2)으로 철망 웹(W1)들을 삽입하여 상기 강재 틀(210)의 측부 및 하부 벽체를 형성시키는 강재 틀 측부 및 하부 벽체 형성단계; 상기 철망 웹(W1)이 결합된 상기 강재 틀(210) 내로 채움재(미도시)를 넣어 충전시키는 채움재 충전단계; 및 상기 철망 웹(W1)을 이용하여 상기 강재 틀(210)의 상부 개구에 덮어 고정시키면서 상기 강재 틀(210)의 상부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단위 옹벽 구조체(200a)를 만드는 강재 틀 상부 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개비온 옹벽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단위 옹벽 구조체(200a)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가 상호 연결되어 개비온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시공이 편리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는 경우, 현장에서는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단축에의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경사면이 붕괴되는 위험이 있을 경우나 붕괴 후의 복구 대책으로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생을 위한 식생매트가 채움재 상에 배치됨으로써 자연친화적 옹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에서 강재 틀과 철망 웹 간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정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부분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은 도 4 내지 도 7, 그리고 도 8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종전의 개비온 공법에 비해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경사면이 붕괴되는 위험이 있을 경우나 붕괴 후의 복구 대책으로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은 크게, 강재 틀 제작단계(S11), 개비온 몸체 제작단계(S12), 개비온 몸체 삽입단계(S13), 채움재 충전단계(S14), 그리고 개비온 덮개 고정단계(S15)를 포함한다.
강재 틀 제작단계(S11)는 도 4와 같은 형태의 강재 틀(110)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강재 틀(110) 제작 시 다수의 강재 프레임(111,112,113)이 사용될 수 있다.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강재 프레임(111,112,113)에 대한 도면 참조부호를 달리 부여하였으나 강재 프레임(111,112,113)들은 모두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강재 프레임(111,112,113)들을 이용하여 도 4처럼 내부가 빈 박스(box) 형상의 강재 틀(110)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강재 프레임(111,112,113)들은 용접 결합, 볼트 결합, 리벳 결합 또는 와이어 결합의 방법 등에 의해 상호간 해당되는 것끼리 고정될 수 있다.
강재 틀(110)이 반드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이러한 경우, 조립이 수월하면서 개비온 몸체(120)와의 결합이 좀 더 편리해지는 이점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개비온 몸체 제작단계(S12)는 도 5와 같은 형태의 개비온 몸체(12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개비온 몸체(120)의 제작을 위해, 대략 사각 형상의 철망 웹(W) 5개가 마련된다. 5개의 철망 웹(W)을 상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상으로 배치한 후, 용접 결합 또는 와이어 결합 방법 등으로 상호간 결합시킴으로써 도 5와 같은 형태의 개비온 몸체(120)를 제작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개비온 몸체(120)는 상부가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의 철망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강재 틀 제작단계(S11) 후에 개비온 몸체 제작단계(S12)가 진행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강재 틀 제작단계(S11)와 개비온 몸체 제작단계(S12)의 순서는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강재 틀 제작단계(S11)와 개비온 몸체 제작단계(S12)는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일 뿐 순서와는 무관하다.
개비온 몸체 삽입단계(S13)는 도 6처럼 강재 틀(110) 내에 개비온 몸체(12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도 6의 경우, 3개의 강재 틀(110)을 이웃하게 배치시켜 놓았는데, 이와 같이 강재 틀(110)을 이웃하게 배치시킨 후에, S12 단계에서 만들어진 개비온 몸체(120)를 강재 틀(110) 내에 하나씩 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특히, 강재 틀(110)과 개비온 몸체(120)가 일정한 규격으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는 경우라면 현장으로 이들을 옮겨, 도 6처럼 강재 틀(110)을 이웃하게 배치시킨 후에, 강재 틀(110) 내에 개비온 몸체(120)를 삽입시키면 되기 때문에 공정이 매우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채움재 충전단계(S14)는 개비온 몸체(120) 내에 채움재(미도시)를 넣어 충전시키는 단계이다. 이때의 채움재는 자갈, 돌, 흙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비온 덮개 고정단계(S15)는 도 7처럼 사각 형상의 철망 웹(W)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개비온 덮개(130)를 개비온 몸체(120)의 상부 개구에 덮어 개비온 몸체(120)와 고정시키는 단계로서, 개비온 덮개 고정단계(S15)까지 완료하면 단위 옹벽 구조체(100a)가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S14와 S15 사이에는 식생을 위한 식생매트를 채움재 상에 안착 또는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매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위 옹벽 구조체(100a)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처럼 원하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강재 틀(110)과 개비온 몸체(120)를 만들어 강재 틀(110) 내에 개비온 몸체(120)를 넣고, 개비온 몸체(120) 내로 채움재를 충전시킨 후에 개비온 덮개(130)를 덮어 단위 옹벽 구조체(100a)를 만들고, 이 단위 옹벽 구조체(100a)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처럼 원하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시공방법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시공이 편리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모든 구조들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는 경우, 현장에서는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단축에의 효과가 크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경사면이 붕괴되는 위험이 있을 경우나 붕괴 후의 복구 대책으로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에서 강재 틀과 철망 웹 간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 분해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은 강재 틀 제작단계(S21), 강재 틀 측부 및 하부 벽체 형성단계(S22), 채움재 충전단계(S23), 그리고 강재 틀 상부 벽체 형성단계(S24)를 포함한다.
강재 틀 제작단계(S21)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내부가 빈 박스(box) 형상의 강재 틀(210)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강재 틀(210)이 내부가 빈 박스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강재 틀(210)은 측벽과 하부벽이 갭(G1,G2, Gap)을 갖는 이중벽이 되도록 하면서 다수의 강재 프레임(P)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강재 틀 측부 및 하부 벽체 형성단계(S22)는 강재 틀(210)의 상부 개구를 제외한 나머지 면의 이중벽 사이의 갭(G1,G2)으로 철망 웹(W1)들을 삽입하여 강재 틀(210)의 측부 및 하부 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개비온 몸체(120, 도 5 참조)를 만들어 강재 틀(210) 내에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개비온 몸체(120, 도 5 참조)를 만들지 않고, 사각 형상의 철망 웹(W1)을 강재 틀(210)의 이중벽 내에 형성되는 갭(G1,G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사각 형상의 철망 웹(W1) 5개가 강재 틀(210)의 4개의 측부와 1개의 하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강재 틀(210)의 측부 및 하부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작업은 어렵지 않은 간편한 작업일 수 있다.
채움재 충전단계(S23)는 상기 철망 웹(W1)이 결합된 강재 틀(210) 내로 채움재(미도시), 즉 자갈, 돌, 흙 등을 넣어 충전시키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강재 틀 상부 벽체 형성단계(S24)는 철망 웹(W1)을 이용하여 강재 틀(210)의 상부 개구에 덮어 고정시키면서 강재 틀(210)의 상부 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 역시, 전술한 방법대로 철망 웹(W1)의 끼움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용접 결합이나 와이어 결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S23과 S24 사이에는 식생을 위한 식생매트를 채움재 상에 안착 또는 결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강재 틀 상부 벽체 형성단계(S24)까지 완료하고 나면 비로소 단위 옹벽 구조체(미도시)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단위 옹벽 구조체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처럼 원하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시공방법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더라도,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시공이 편리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모든 구조들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는 경우, 현장에서는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단축에의 효과가 크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경사면이 붕괴되는 위험이 있을 경우나 붕괴 후의 복구 대책으로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a : 단위 옹벽 구조체
110 : 강재 틀
111,112,113 : 강재 프레임
120 : 개비온 몸체
130 : 개비온 덮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측벽과 하부벽이 갭(G1,G2, Gap)을 갖는 이중벽이 되도록 하면서 다수의 강재 프레임(P)을 이용하여 내부가 빈 박스(box) 형상의 강재 틀(210)을 제작하는 강재 틀 제작단계;
    상기 강재 틀(210)의 상부 개구를 제외한 나머지 면의 이중벽 사이의 갭(G1,G2)으로 철망 웹(W1)들을 삽입하여 상기 강재 틀(210)의 측부 및 하부 벽체를 형성시키는 강재 틀 측부 및 하부 벽체 형성단계;
    상기 철망 웹(W1)이 결합된 상기 강재 틀(210) 내로 채움재(미도시)를 넣어 충전시키는 채움재 충전단계; 및
    상기 철망 웹(W1)을 이용하여 상기 강재 틀(210)의 상부 개구에 덮어 고정시키면서 상기 강재 틀(210)의 상부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단위 옹벽 구조체(200a)를 만드는 강재 틀 상부 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옹벽 구조체(200a)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가 상호 연결되어 개비온 옹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의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KR1020130002364A 2013-01-09 2013-01-09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Expired - Fee Related KR10124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364A KR101246268B1 (ko) 2013-01-09 2013-01-09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364A KR101246268B1 (ko) 2013-01-09 2013-01-09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268B1 true KR101246268B1 (ko) 2013-03-22

Family

ID=4818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3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6268B1 (ko) 2013-01-09 2013-01-09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26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63B1 (ko) * 2015-08-07 2016-04-07 정해상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프레임 일체형 게비온 구조물
KR101619168B1 (ko) * 2015-08-07 2016-05-10 정해상 표시판 교환형 게비온 구조물
CN107119713A (zh) * 2017-06-19 2017-09-01 中冶成都勘察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环保型装配式挡土墙
KR101873792B1 (ko) * 2017-11-23 2018-07-03 동양건설(주)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20190025119A (ko) 2017-08-29 2019-03-11 주식회사 원일개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US10285340B2 (en) 2017-09-13 2019-05-14 Propex Operating Company, Llc Geotextile-based structure for vegetative growth enhancement and erosion resistance
KR102215477B1 (ko) * 2020-09-25 2021-02-16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복합포대 및 다기능 일체형 상자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 구조물
KR102251750B1 (ko) * 2021-01-27 2021-05-14 우현명 다기능 플라스틱 상자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구조물 시공방법
CN115217078A (zh) * 2021-04-19 2022-10-21 王立久 一种采用箱式网模堆叠的淤地坝及其施工方法
KR102810124B1 (ko) * 2024-07-18 2025-05-20 (주)남영산업 블록형 개비온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02Y1 (ko) 2005-11-16 2006-02-07 박재희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KR20100119853A (ko) * 2010-10-24 2010-11-11 장진찬 환경 친화형 조립식 돌망태
KR20110120165A (ko) * 2010-04-28 2011-11-03 (주)남영산업 호안 보호용 개비온
KR20120006284U (ko) * 2011-03-02 2012-09-12 이덕인 옹벽용식생강재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02Y1 (ko) 2005-11-16 2006-02-07 박재희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KR20110120165A (ko) * 2010-04-28 2011-11-03 (주)남영산업 호안 보호용 개비온
KR20100119853A (ko) * 2010-10-24 2010-11-11 장진찬 환경 친화형 조립식 돌망태
KR20120006284U (ko) * 2011-03-02 2012-09-12 이덕인 옹벽용식생강재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63B1 (ko) * 2015-08-07 2016-04-07 정해상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프레임 일체형 게비온 구조물
KR101619168B1 (ko) * 2015-08-07 2016-05-10 정해상 표시판 교환형 게비온 구조물
CN107119713A (zh) * 2017-06-19 2017-09-01 中冶成都勘察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环保型装配式挡土墙
KR20190025119A (ko) 2017-08-29 2019-03-11 주식회사 원일개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US10285340B2 (en) 2017-09-13 2019-05-14 Propex Operating Company, Llc Geotextile-based structure for vegetative growth enhancement and erosion resistance
US11464176B2 (en) 2017-09-13 2022-10-11 Propex Operating Company, Llc Geotextile-based structure for vegetative growth enhancement and erosion resistance
KR101873792B1 (ko) * 2017-11-23 2018-07-03 동양건설(주)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102215477B1 (ko) * 2020-09-25 2021-02-16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복합포대 및 다기능 일체형 상자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 구조물
KR102251750B1 (ko) * 2021-01-27 2021-05-14 우현명 다기능 플라스틱 상자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구조물 시공방법
CN115217078A (zh) * 2021-04-19 2022-10-21 王立久 一种采用箱式网模堆叠的淤地坝及其施工方法
KR102810124B1 (ko) * 2024-07-18 2025-05-20 (주)남영산업 블록형 개비온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268B1 (ko)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JP5372289B1 (ja) 境界壁構造物
KR101019302B1 (ko)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KR20160050226A (ko) 절토 사면 보강공법
JP2011083200A (ja) 屋外構築物及び網状容器
KR101695408B1 (ko) 충전기둥을 이용한 크기조절형 모듈러 유닛 및 모듈러 구조체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20090039258A (ko)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KR101633853B1 (ko) 토압 저항력과 구조 일체화가 개선된 옹벽 시공용 친환경 개비블럭
KR101802351B1 (ko)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101735476B1 (ko) 전면부 보강블록이 구비된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0889257B1 (ko)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JP6328961B2 (ja) 篭体および篭構造体
KR101363557B1 (ko) 식생 옹벽 축조물
KR2003813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329669Y1 (ko) 지반 강화용 구조물
JP2002173925A (ja) 緑化用網ブロック体
KR100970457B1 (ko) 담장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KR101204308B1 (ko) 통나무 돌바구니
KR101873792B1 (ko)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EP3414401B1 (en) Cage for containing stone materials for use in making dry stone wall structures
KR20170087213A (ko) 개비온 펜스 및 개비온 펜스 시공방법
KR102051676B1 (ko)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KR102752413B1 (ko) 셀프시공이 가능한 이케아 옹벽 블럭
JP6203336B1 (ja) 組み合わせ法面保護ブロック及びその法面保護ブロックによる法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