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676B1 -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676B1
KR102051676B1 KR1020160006942A KR20160006942A KR102051676B1 KR 102051676 B1 KR102051676 B1 KR 102051676B1 KR 1020160006942 A KR1020160006942 A KR 1020160006942A KR 20160006942 A KR20160006942 A KR 20160006942A KR 102051676 B1 KR102051676 B1 KR 102051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stone
support member
fixed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231A (ko
Inventor
노정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철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철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철망
Priority to KR102016000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6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 바닥면(1)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0)를 이용하여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가 움직이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 지지봉(2)을 이용하여 개비온본체(10)를 고정하는 종래의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에 비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30)는 석재(20)에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됨으로,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the structure of gabion fence}
본 발명은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이나 둑 또는 절개지 등의 사면에 시공되는 개비온은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망태의 내부에 다양한 크기의 돌을 채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사면에 적층되도록 시공되어, 사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담장을 시공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개비온 담장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개비온본체(10)와,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충진된 석재(20)로 구성된다.
상기 개비온본체(10)는 4개의 철망을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철망은 강도가 높은 다수개의 굵은 철사를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배치한 후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개비온 담장은 바닥면(1)에 고정되는 구조가 없어서, 개비온 담장만을 바닥면(1)에 설치할 경우, 개비온 담장이 움직이거나 쓰러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비온 담장을 시공할 때는, 바닥면(1)에 지지봉(2)을 고정하고, 상기 개비온 담장이 상기 지지봉(2)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지지봉(2)은 상하방향으로 긴 봉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개비온 담장의 개비온본체(10) 양측에 위치되도록 바닥면(1)에 매입고정되거나 앵커볼트로 고정된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지지봉(2)을 바닥면(1)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봉(2)의 사이에 개비온본체(10)를 배치하여 개비온본체(10)가 지지봉(2)에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석재(20)를 충진하여, 개비온 담장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봉(2)을 정학한 위치에 시공하여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상기 지지봉(2)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31199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면(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비온본체(10)와,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충진된 석재(20)를 포함하는 개비온 담장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바닥면(1)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석재(20)를 충진하면, 상기 석재(20)가 상기 지지부재(30)의 둘레부에 채워져,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30)는 금속봉을 양단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벤딩하여 한 쌍의 수직부(31)와, 상기 수직부(31)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32)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31)의 하단이 상기 바닥면(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원 또는 타원형태로 구성되어 하단부가 바닥면(1)에 매입되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닥면(1)의 상측으로 노출된 지지부재(30)의 높이는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높이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30)는 하단부가 바닥면(1)에 고정되는 수직부(31)과, 상기 수직부(31)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연장부(35)를 갖는 T자형 또는 Y자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 바닥면(1)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0)를 이용하여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가 움직이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 지지봉(2)을 이용하여 개비온본체(10)를 고정하는 종래의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에 비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30)는 석재(20)에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됨으로,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비온 담장의 시공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개비온 담장의 시공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 시공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 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 시공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개비온 담장은 개비온본체(10)와,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충진된 석재(20)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개비온본체(10)는 4개의 철망을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철망은 강도가 높은 다수개의 굵은 철사를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배치한 후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는 바닥면(1)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봉을 양단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U자형으로 벤딩하여 한 쌍의 수직부(31)와, 상기 수직부(31)의 상단을 연결하는 호형상의 연결부(32)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31)의 하단에는 관통공(33a)이 형성된 브라켓(33)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33a)을 관통하는 앵커볼트(34)를 이용하여 지지부재(30)를 바닥면(1)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의 높이는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높이의 1/2보다 조금 높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는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로 구성되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바닥면(1)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34)를 이용하여 지지부재(30)를 바닥면(1)에 고정한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상기 개비온본체(10)를 설치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석재(20)를 충진하면, 상기 석재(20)가 상기 지지부재(30)의 둘레부에 채워져,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 바닥면(1)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0)를 이용하여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가 움직이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 지지봉(2)을 이용하여 개비온본체(10)를 고정하는 종래의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에 비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30)는 석재(20)에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됨으로,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30)는 금속봉을 양단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벤딩하여 한 쌍의 수직부(31)와, 상기 수직부(31)를 연결하는 연결부(32)를 갖도록 구성되어, 하측으로 수직부(31)의 하단이 상기 바닥면(1)에 고정됨으로, 강도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석재(20)가 상기 연결부(32)의 하측에 걸려 석재(20)가 상측으로 들리지 않도록 고정되어,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의 높이는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높이의 1/2 이상으로 구성됨으로, 상기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가 전후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30)는 수직부(31)의 하단이 바닥면(1)에 앵커볼트(34)로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수직부(31)의 하단을 바닥면(1)에 매입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원 또는 타원형태로 구성하여, 지지부재(30)의 하단부를 바닥면(1)에 매입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재(30)는 바닥면(1)의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높이의 1/2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비온본체(10)는 상하단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개비온본체(1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개비온본체(10)의 상하단에 철망을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재(30)가 개비온본체(10)의 하측면에 구비된 철망을 관통하여 바닥면(1)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본체(10)는 4개의 철망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개비온본체(10)는 1개의 철망을 사각형으로 벤딩하여 구성되거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는 2개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1개만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가 바닥면(1)에 고정되는 수직부(31)과, 상기 수직부(31)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연장부(35)를 갖는 T자형 또는 Y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재(30)의 하단에 비해 상단의 폭이 넓어져,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 상측에 충진된 석재(20)가 상기 연장부(35)에 의해 지지됨으로,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의 상단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쓰러지게 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개비온본체 20. 석재
30. 지지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4개의 철망을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결합하여 구성된 개비온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충진된 석재(20)가 구비되며, 상기 개비온본체(10)의 내부 바닥면(1)에 고정되어 개비온본체(10)의 내부에 석재(20)를 충진하면, 상기 석재(20)가 둘레부에 채워져,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30)를 포함하는 개비온 담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는
    하단부가 바닥면(1)에 고정되는 수직부(31)와,
    상기 수직부(31) 하단에 비해 상단의 폭이 넓어져 상기 개비온본체(10) 내부 상측에 충진된 석재(20)가 지지되어 석재(20)와 개비온본체(10)의 상단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쓰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31)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연장부(35)를 갖는 T자형 또는 Y자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6. 삭제
KR1020160006942A 2016-01-20 2016-01-20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KR10205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942A KR102051676B1 (ko) 2016-01-20 2016-01-20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942A KR102051676B1 (ko) 2016-01-20 2016-01-20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231A KR20170087231A (ko) 2017-07-28
KR102051676B1 true KR102051676B1 (ko) 2019-12-04

Family

ID=5942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942A KR102051676B1 (ko) 2016-01-20 2016-01-20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392B1 (ko) 2019-12-16 2020-08-13 오웅배 휀스용 철망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801A (ja) * 2000-12-28 2002-07-19 Japan Power Fastening Co Ltd 流動性構造材を使用した工事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スタッド
KR100919169B1 (ko) * 2009-04-02 2009-09-28 (주)대호철망개비온월판넬 자립형 개비온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264B2 (ja) * 1995-12-11 1998-12-16 武茂 下ノ原 構築用ブロック体を使用した壁体の構築方法
JPH1150468A (ja) * 1997-08-05 1999-02-23 Hitoshi Mori Pcコンクリート製布基礎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200311990Y1 (ko) 2003-01-09 2003-05-09 주식회사 문경 철판망 개비온
KR20110126198A (ko) * 2010-05-15 2011-11-2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베이스플레이트 고정용 앵커볼트 및 그를 이용한 강재 기둥과 기초 콘크리트의 접합부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801A (ja) * 2000-12-28 2002-07-19 Japan Power Fastening Co Ltd 流動性構造材を使用した工事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スタッド
KR100919169B1 (ko) * 2009-04-02 2009-09-28 (주)대호철망개비온월판넬 자립형 개비온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231A (ko)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268B1 (ko)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KR102056406B1 (ko) 역삼각래티스형 압축부를 강화한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919169B1 (ko) 자립형 개비온 구조물
KR101184991B1 (ko) 합성 목재 데크 로드 시공 방법
JP4544481B1 (ja) 組立式蛇籠
JP2020070607A (ja) 土留め用籠構造物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102051676B1 (ko) 개비온 담장 시공구조
KR101930001B1 (ko) 개비온 펜스 및 개비온 펜스 시공방법
US7900880B2 (en) Lifting anchor support
JP6293008B2 (ja) ふとん籠
JP6328961B2 (ja) 篭体および篭構造体
JP2016196802A (ja) スペーサ及び鉄筋組み上げ方法
JP2011219919A (ja) 擁壁ユニット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EP2581499B1 (en) Gabion
KR101584738B1 (ko)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JP5670719B2 (ja) 動物侵入防止フェンス
CN202899166U (zh) 石块填充构造框
JP2008303690A (ja) 角形石詰篭
KR101880343B1 (ko)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JP6514985B2 (ja) 土留め壁補強構造
JP6660805B2 (ja) かご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201947B1 (ko) 하단용 흙막이 휀스
JP3140999U (ja) 害獣通行阻止用フェンス
JP659468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
JP3170120U (ja) 土のう袋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3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19

Effective date: 201910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