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738B1 -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 Google Patents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738B1
KR101584738B1 KR1020150109666A KR20150109666A KR101584738B1 KR 101584738 B1 KR101584738 B1 KR 101584738B1 KR 1020150109666 A KR1020150109666 A KR 1020150109666A KR 20150109666 A KR20150109666 A KR 20150109666A KR 101584738 B1 KR101584738 B1 KR 101584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regation
insertion groove
hole
retaining wal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환
김중석
김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유한회사 서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유한회사 서진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10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면에 적층 시공되는 옹벽블럭으로 자연의 편석이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미관이 제공될 수 있고, 그 모양이 조금씩 상이한 자연 편석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편석의 좌, 우 양측과 중앙 이렇게 3점이 와이어와 철물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됨으로써 일측으로 토압이 치우쳐 작용된다 하더라도 이웃하여 위치된 편석들이 함께 토압에 저항 될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난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는 토사가 무너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토사면의 전방에 적층 시공되는 옹벽블럭구조에 있어서, 토사면 전방의 지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되 홈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에이치빔과, 이웃하는 상기 제 1 에이치빔의 홈 내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1 관통공은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에이치빔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1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배면의 중앙에는 제 2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이 적층되는 제 1 편석과, 상기 자갈층 상에 상기 제 1 에이치빔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되 홈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그 전방이 상기 제 1 편석의 배면 중앙에 밀착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에이치빔과, 이웃하는 상기 제 2 에이치빔의 홈 내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2 관통공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에이치빔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3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배면의 중앙에는 제 4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이 적층되는 제 2 편석과, 상기 제 2 삽입홈 및 제 4 삽입홈 내에 전방 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후방 단부는 토사면에 구비된 네일에 연결 고정되는 수직철물과, 상기 수직철물에 상단이 걸려진 상태로 상기 제 2 에이치빔 내측 후방에 위치되고 그 하단은 상기 제 2 관통공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향 절곡 형성되는 걸림쇠와,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에 각각 일체로 관통되어 상기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2 관통공 내에 위치된 것은 상기 걸림쇠 하단에 걸려져 고정되는 제 1 수평철물과, 이웃하는 상기 제 1 편석의 제 1 삽입홈과, 이웃하는 상기 제 2 편석의 제 3 삽입홈 내에 그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제 2 수평철물과, 일단은 상기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에 구비된 상기 제 1 수평철물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에이치빔 및 제 2 에이치빔에 연결된 상기 제 2 수평철물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THREE POINT SUSPENSION REATINING WALL STRUCTURE USING A NATURE STONE}
본 발명은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사면에 적층 시공되는 옹벽블럭으로 자연의 편석이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미관이 제공될 수 있고, 그 모양이 조금씩 상이한 자연 편석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편석의 좌, 우 양측과 중앙 이렇게 3점이 와이어와 철물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됨으로써 일측으로 토압이 치우쳐 작용된다 하더라도 이웃하여 위치된 편석들이 함께 토압에 저항 될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난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측벽과 같이 경사진 토사면은 쉽게 전단 되거나 외압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데, 이와 같이 도로 측벽이 토압에 의해 변형 또는 붕괴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제조된 블럭을 이용하여 토사 전방에 옹벽 구조물을 축조하게 된다.
이러한 옹벽 구조물은 통상 콘크리트로 제조된 옹벽 블럭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옹벽블럭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옹벽은 설치구조에 따라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는 중력식 옹벽 및 반 중력식 옹벽, T형 옹벽, L형 옹벽, 부벽식 옹벽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종래 옹벽 축조에 사용되는 블럭은 토사면에서 발생되는 응력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게 견고하게 적층 축조되어야 하며, 따라서 동일한 규격으로 제조된 옹벽블럭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그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한 장점은 있으나 콘크리트나 석재를 이용해 인위적으로 제작된 블럭이기 때문에 자연친화적인 분위기가 연출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자연 상태의 편석이 옹벽블럭으로 사용될 경우 규격화가 불가능함은 물론 비슷하게 가공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하더라도 토사면의 응력에 견고하게 지지 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7623호(2006.01.25)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80516호(2007.02.02)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19570호(2013.01.0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사면에 적층 시공되는 옹벽블럭으로 자연의 편석이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미관이 제공될 수 있고, 그 모양이 조금씩 상이한 자연 편석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편석의 좌, 우 양측과 중앙 이렇게 3점이 와이어와 철물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됨으로써 일측으로 토압이 치우쳐 작용된다 하더라도 이웃하여 위치된 편석들이 함께 토압에 저항 될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난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사가 무너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토사면의 전방에 적층 시공되는 옹벽블럭구조에 있어서, 토사면 전방의 지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되 홈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에이치빔과, 이웃하는 상기 제 1 에이치빔의 홈 내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1 관통공은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에이치빔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1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배면의 중앙에는 제 2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이 적층되는 제 1 편석과, 상기 자갈층 상에 상기 제 1 에이치빔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되 홈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그 전방이 상기 제 1 편석의 배면 중앙에 밀착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에이치빔과, 이웃하는 상기 제 2 에이치빔의 홈 내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2 관통공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에이치빔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3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배면의 중앙에는 제 4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이 적층되는 제 2 편석과, 상기 제 2 삽입홈 및 제 4 삽입홈 내에 전방 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후방 단부는 토사면에 구비된 네일에 연결 고정되는 수직철물과, 상기 수직철물에 상단이 걸려진 상태로 상기 제 2 에이치빔 내측 후방에 위치되고 그 하단은 상기 제 2 관통공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향 절곡 형성되는 걸림쇠와,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에 각각 일체로 관통되어 상기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2 관통공 내에 위치된 것은 상기 걸림쇠 하단에 걸려져 고정되는 제 1 수평철물과, 이웃하는 상기 제 1 편석의 제 1 삽입홈과, 이웃하는 상기 제 2 편석의 제 3 삽입홈 내에 그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제 2 수평철물과, 일단은 상기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에 구비된 상기 제 1 수평철물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에이치빔 및 제 2 에이치빔에 연결된 상기 제 2 수평철물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2 편석의 배면에는 또 다른 제 2 에이치빔이 구비되어 상기 제 2 편석 및 제 2 에이치빔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계단식으로 반복 적층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에이치빔과 상기 제 1 편석의 이격공간과, 상기 제 2 에이치빔과 상기 제 2 편석의 이격공간에는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을 상기 제 1 에이치빔과 제 2 에이치빔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또는 몰탈이 충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에이치빔 및 제 2 에이치빔의 표면은 부식방지를 위해 아연도금 처리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삽입홈 및 제 3 삽입홈 내에는 상기 제 2 수평철물 양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수평철물 삽입 전 에폭시수지가 충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수직철물의 전방 단부에는 앵커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 2 삽입홈 및 제 4 삽입홈 내에 삽입 고정되거나, 상기 수직철물의 전방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철물 삽입 전 상기제 2 삽입홈 및 제 4 삽입홈 내에 에폭시수지가 충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제 2 편석의 후방에는 제 2 에이치빔 설치가 생략되고 마감콘크리트가 타설되거나 배수로가 시공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에 의하면 토사면에 적층 시공되는 옹벽블럭으로 자연의 편석이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미관이 제공될 수 있고, 그 모양이 조금씩 상이한 자연 편석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편석의 좌, 우 양측과 중앙 이렇게 3점이 와이어와 철물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됨으로써 일측으로 토압이 치우쳐 작용된다 하더라도 이웃하여 위치된 편석들이 함께 토압에 저항 될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부분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부분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사용상태 측면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다른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는 토사가 무너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토사면의 전방에 적층 시공되는 옹벽블럭구조에 있어서, 토사면 전방의 지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되 홈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에이치빔과, 이웃하는 상기 제 1 에이치빔의 홈 내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1 관통공은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에이치빔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1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배면의 중앙에는 제 2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이 적층되는 제 1 편석과, 상기 자갈층 상에 상기 제 1 에이치빔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되 홈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그 전방이 상기 제 1 편석의 배면 중앙에 밀착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에이치빔과, 이웃하는 상기 제 2 에이치빔의 홈 내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2 관통공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에이치빔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3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배면의 중앙에는 제 4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이 적층되는 제 2 편석과, 상기 제 2 삽입홈 및 제 4 삽입홈 내에 전방 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후방 단부는 토사면에 구비된 네일에 연결 고정되는 수직철물과, 상기 수직철물에 상단이 걸려진 상태로 상기 제 2 에이치빔 내측 후방에 위치되고 그 하단은 상기 제 2 관통공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향 절곡 형성되는 걸림쇠와,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에 각각 일체로 관통되어 상기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2 관통공 내에 위치된 것은 상기 걸림쇠 하단에 걸려져 고정되는 제 1 수평철물과, 이웃하는 상기 제 1 편석의 제 1 삽입홈과, 이웃하는 상기 제 2 편석의 제 3 삽입홈 내에 그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제 2 수평철물과, 일단은 상기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에 구비된 상기 제 1 수평철물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에이치빔 및 제 2 에이치빔에 연결된 상기 제 2 수평철물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1)의 구성부재와 그 적층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0)는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1)의 기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옹벽구조가 시공될 토사면 전방의 지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부재(10)는 콘크리트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추후에 설명될 제 1 에이치빔(20)과, 제 1 에이치빔(20)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편석(30)의 하단이 지지 될 수 있도록 그 전방이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부재(10)는 시공되는 장소에 따라, 편석이나 에이치빔 등 시공되는 구성부재의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는 다수의 제 1 에이치빔(20)이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데, 전술한 제 1 에이치빔(20)은 추후에 설명될 제 1 편석(30)이 위치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그 홈(21)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1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에이치빔(20)은 종래기술에 따른 "H"형상의 에이치빔이 일정한 크기로 가공되어 사용되는데, 그 표면은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 처리되는 것으로 하며, 이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에이치빔(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관통공(22)은 추후에 설명될 제 1 수평철물(80)이 일체로 관통 위치되기 위한 것으로 제 1 수평철물(80)이 제 1 에이치빔(20)의 후방에 베이스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한편, 이웃하는 제 1 에이치빔(20)의 홈(21) 내에는 제 1 편석(30)의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데, 전술한 제 1 편석(30)은 토사면의 전방에 위치되어 토사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지지 됨으로써 토사면이 보호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편석(30)은 제 1 에이치빔(20)의 홈(21) 내에 그 측면이 삽입가능한 판 형태로 가공되되 전술한 제 1 관통공(22)은 노출되도록 제 1 에이치빔(20)의 홈(21)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1 삽입홈(31)이 형성되고 배면의 중앙에는 제 2 삽입홈(32)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130)이 적층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편석(30)은 제 1 관통공(22)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제 1 에이치빔(20)의 홈(21)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야 하고, 배열된 제 1 편석(30)들은 그 배면에 자갈층(130)이 적층 되어야 한다. 또한 그 상부면에 추후에 설명될 제 2 에이치빔(40)이 위치되어야 하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일정 높이 이상으로 가공되되 서로 비슷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편석(30)의 후방에 적층되는 자갈층(130)은 배수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식생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제 2 편석(50)의 후방에 적층되는 자갈층(1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에이치빔(20)의 홈(21) 내에 위치된 제 1 편석(30)은 자연상태의 편석이 사용됨에 따라 그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홈(2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데, 이 이격공간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이 충전되게 하여 제 1 편석(30)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준다. 이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에이치빔(40)과 제 2 편석(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전술한 제 1 삽입홈(31) 내에는 제 2 수평철물(90) 양단이 각각 삽입되며, 제 2 삽입홈(32) 내에는 수직철물(60)의 단부가 삽입된다. 그런데 수직철물(60)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에이치빔(40)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므로 전술한 제 2 삽입홈(32)은 이와 같은 설치관계가 고려되어 제 2 에이치빔(40)이 놓일 위치의 직상부 중앙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편석(50)의 제 4 삽입홈(5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술한 제 1 에이치빔(20) 사이에 제 1 편석(30)이 고정 위치된 후에는 수평철물과 와이어(100)들이 먼저 설치되고 그 후에 자갈층(130)이 적층되어야 하지만, 수평철물과 와이어(100)는 추후에 설명하기로 하고 설명의 편의상 자갈층(130)이 적층 된 후 시공되는 구성부재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전술한 제 1 편석(30)의 배면과 토사면 사이에 적층 된 자갈층(130) 상에는 다수의 제 2 에이치빔(40)이 전술한 제 1 에이치빔(20)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전술한 제 2 에이치빔(40)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편석(50)이 위치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에이치빔(40)은 제 1 에이치빔(20)과 마찬가지로 그 홈(4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그 전방이 제 1 편석(30)의 배면 중앙에 밀착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2 관통공(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에이치빔(40)은 제 1 편석(30)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에이치빔(20) 사이의 상부마다 위치된다.
이와 같은 제 2 에이치빔(40)은 전술한 제 1 에이치빔(20)과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에 따른 "H"형상의 에이치빔이 일정한 크기로 가공되어 사용되되 그 저면에 밑판(43)이 용접 고정되는데, 이는 제 2 에이치빔(40)이 자갈층(13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 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 2 관통공(42)은 추후에 설명될 제 1 수평철물(80)이 일체로 관통 위치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 1 관통공(22)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이웃하는 제 2 에이치빔(40)의 홈(41) 내에는 제 2 편석(50)의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데, 전술한 제 2 편석(50)은 전술한 제 1 편석(30)과 마찬가지로 토사면의 전방에 위치되어 토사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지지 됨으로써 토사면이 보호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2 에이치빔(40)의 홈(41) 내에 그 측면이 삽입가능한 판 형태로 가공된다.
이와 같은 제 2 편석(50)은 전술한 제 2 관통공(42)은 노출되도록 제 2 에이치빔(40)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3 삽입홈(51)이 형성되고 그 배면 중 제 2 에이치빔(40)의 상부 중앙에는 제 4 삽입홈(52)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130)이 적층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2 편석(50)은 제 2 관통공(42)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제 2 에이치빔(40)의 홈(41)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야 하며, 배열된 제 2 편석(50)들은 그 배면에 자갈층(130)이 적층되어야 하고 또한 그 상부면에 또 다른 제 2 에이치빔(40)이 위치되어야 하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일정 높이 이상으로 가공되되 서로 비슷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제 3 삽입홈(51)은 제 2 에이치빔(40) 사이에 위치되는 또 다른 제 2 편석(5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제 2 에이치빔(4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전술한 제 2 삽입홈(32)과 제 4 삽입홈(52) 내에는 수직철물(60)의 전방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데, 전술한 수직철물(60)은 편석들을 토사면 측과 연결 고정시켜 토사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지지 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수직철물(60)은 토사면에 구비된 네일(110), 엥커 또는 그라드(120)의 단부에 용접 또는 체결 고정된다.
수직철물(60)과 그라드(120)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철물(60)의 단부가 그라드(120)에 걸려질 수 있게 절곡 형성되며, 제 2 에이치빔(40)이 위치될 수 있게 자갈층(130)이 1차로 적층된 상태에서 그라드(120)가 배치될 경우 수직철물(60)과 단차가 발생되기 때문에 그라드(120)가 수직철물(60)과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2차로 자갈층(130)을 한번 더 적층 시공해준다. 이와 같은 네일(110), 엥커 및 그라드(120)는 종래의 사면보강공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수직철물(60)은 철근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금속 와이어(100)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금속 와이어(100)가 사용될 경우 길이조절을 위한 턴버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수직철물(60)의 전방 단부에는 앵커볼트가 구비되어 제 2 삽입홈(32) 및 제 4 삽입홈(52) 내에 삽입 고정되거나, 수직철물(60)의 전방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수직철물(60) 삽입 전 제 2 삽입홈(32)과 제 4 삽입홈(52) 내에 에폭시수지가 충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수직철물(60)의 상단에는 걸림쇠(70)가 걸려지는데, 전술한 걸림쇠(70)는 수직철물(6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직철물(60)에 상단이 걸려진 상태로 제 2 에이치빔(40) 내측 후방에 위치되되 그 하단은 제 2 관통공(42)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향 절곡 형성된다. 즉, 전술한 걸림쇠(70)에 의해 수직철물(60)과 추후에 설명될 제 1 수평철물(8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전술한 제 1 편석(30)의 제 1 관통공(22)과, 제 2 편석(50)의 제 2 관통공(42)에는 각각 제 1 수평철물(80)이 구비되는데, 전술한 제 1 수평철물(80)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수평철물(90)과 와이어(100)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한 층에 위치된 편석이 그 하단의 에이치빔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철근이 사용된다.
즉, 제 1 편석(30)은 제 1 수평철물(80)과 제 2 수평철물(90)에 연결된 와이어(100)에 의해서 제 1 에이치빔(20)에 지지되고, 제 2 편석(50)은 제 1 수평철물(80)과 제 2 수평철물(90)에 연결된 와이어(100)에 의해서 제 2 에이치빔(40)에 지지된다. 이때 제 2 편석(50)의 경우 그 배면에 구비된 제 2 에이치빔(40)에 연결된 제 1 수평철물(80)과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그 하단에 구비된 제 2 에이치빔(40)에 연결된 제 1 수평철물(80)과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웃하는 제 1 편석(30)의 제 1 삽입홈(31)과, 이웃하는 제 2 편석(50)의 제 3 삽입홈(51) 내에는 제 2 수평철물(90)의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데, 전술한 제 2 수평철물(90)은 이웃하는 편석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해 토사의 압력이 일측 편석으로 치우쳐 작용 되더라도 이 압력이 이웃 된 편석들에 의해 골고루 함께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삽입홈(31) 및 제 3 삽입홈(51) 내에는 제 2 수평철물(90) 양단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 수평철물(90) 삽입 전 에폭시수지가 충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제 1 편석(30) 및 제 2 편석(50)에 구비된 상기 제 1 수평철물(80)과 제 1 에이치빔(20) 및 제 2 에이치빔(40)에 연결된 상기 제 2 수평철물(90)에는 각각 와이어(100)가 연결되는데, 전술한 와이어(100)는 편석들이 에이치빔들에 지지되게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와이어(100)는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 와이어가 사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턴버클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편석(30) 상에 적층된 제 2 편석(50)의 배면에는 또 다른 제 2 에이치빔(40)이 구비되어 전술한 제 2 편석(50) 및 제 2 에이치빔(4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계단식으로 반복 적층됨으로써 옹벽구조가 시공된다. 이때 옹벽구조의 높이와 너비는 토사면의 높이, 압력 등의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최상단에 위치되는 제 2 편석(50)에는 더 이상 제 2 에이치빔(40)이 설치되지 않으며, 제 2 편석(50)의 배면에는 마감콘크리트가 타설되거나 배수로가 시공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각각의 편석은 제 1 수평철물(80)과 제 2 수평철물(90)에 연결되는 와이어(100)에 의해 그 양측이 지지되고, 네일(110)에 연결되는 수직철물(60)에 의해 그 중앙이 지지됨에 따라 견고한 옹벽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1)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옹벽구조물이 시공될 토사면 전방의 지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베이스부재(10)를 시공한다. 이때 베이스부재(10)는 편석들이 계단방식으로 적층되므로 적층되는 높이에 따라 토사면과의 이격 거리가 설정된다.
그런 다음, 베이스부재(10) 상에 소정간격마다 제 1 에이치빔(20) 부재를 배열하고, 그 홈(21) 사이에 제 1 편석(30)의 하측 양단이 삽입되도록 배치하되, 제 1 관통공(22)이 제 1 편석(3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제 1 에이치빔(20)의 홈(21) 내에서 전방에 밀착되게 한다. 배치되는 제 1 편석(30)의 제 1 삽입홈(31) 내에는 에폭시수지가 충전되며, 이웃하는 제 1 편석(30)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 1 삽입홈(31) 내에는 각각 제 2 수평철물(90)의 양단이 삽입 고정된다.
제 1 편석(30)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1 편석(30)과 제 1 에이치빔(20) 사이의 이격공간 내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충전해 제 1 편석(30)이 제 1 에이치빔(2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고, 제 1 관통공(22) 내에 제 1 수평철물(80)을 일체로 삽입하며, 제 1 수평철물(80)과 제 2 수평철물(90)을 와이어(100)로 연결 고정해준다.
그런 다음, 제 1 편석(30)과 토사면 사이에 배수가 가능한 자갈층(130)을 충전하되, 제 2 에이치빔(40)이 제 4 삽입홈(52) 직하부에 위치될 수 있는 높이까지 충전해준다.
그런 다음, 제 1 편석(30)의 배면 중앙마다 제 2 에이치빔(40)을 배치하는데, 이때 배치간격은 전술한 제 1 에이치빔(20)과 동일하다.
그런 다음, 제 2 에이치빔(40)의 홈(41) 사이에 제 2 편석(50)의 하측 양단이 삽입되도록 배치하되, 제 2 관통공(42)이 제 2 편석(5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제 2 에이치빔(40)의 홈(41) 내에서 전방에 밀착되게 한다. 배치되는 제 2 편석(50)의 제 3 삽입홈(51) 내에는 에폭시수지가 충전되며, 이웃하는 제 2 편석(50)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 3 삽입홈(51) 내에 각각 제 2 수평철물(90)의 양단이 삽입 고정된다.
제 2 편석(50)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 2 편석(50)과 제 2 에이치빔(40) 사이의 이격공간 내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충전해 제 2 편석(50)이 제 2 에이치빔(4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고, 제 2 관통공(42) 내에 제 1 수평철물(80)을 일체로 삽입하며 제 1 수평철물(80)과 제 2 수평철물(90)을 와이어(100)로 연결 고정해 준다.
그런 다음 제 2 편석(50)과 토사면 사이에 배수가 가능한 자갈층(130)을 충전하되, 제 2 편석(50) 배면측에 배치될 또 다른 제 2 에이치빔(40)이 제 4 삽입홈(52) 직하부에 위치될 수 있는 높이까지 충전해준다.
이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필요한 높이까지 제 2 편석(50)을 적층 시공하며, 최상단의 제 2 편석(50)에는 제 2 에이치빔(40)의 시공없이 제 2 편석(50)과 토사면 사이에 마감콘크리트가 타설되거나 배수로가 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1)에 의하면 토사면에 적층 시공되는 옹벽블럭으로 자연의 편석이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미관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그 모양이 조금씩 상이한 자연 편석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편석의 좌, 우 양측과 중앙 이렇게 3점이 와이어(100)와 철물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됨으로써 일측으로 토압이 치우쳐 작용된다 하더라도 이웃하여 위치된 편석들이 함께 토압에 저항 될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10 : 베이스부재
20 : 제 1 에이치빔
21 : 홈
22 : 제 1 관통공
30 : 제 1 편석
31 : 제 1 삽입홈
32 : 제 2 삽입홈
40 : 제 2 에이치빔
41 : 홈
42 : 제 2 관통공
43 : 밑판
50 : 제 2 편석
51 : 제 3 삽입홈
52 : 제 4 삽입홈
60 : 수직철물
70 : 걸림쇠
80 : 제 1 수평철물
90 : 제 2 수평철물
100 : 와이어
110 : 네일
120 : 그라드
130 : 자갈층

Claims (7)

  1. 토사가 무너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토사면의 전방에 적층 시공되는 옹벽블럭구조에 있어서,
    토사면 전방의 지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되 홈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에이치빔;
    이웃하는 상기 제 1 에이치빔의 홈 내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1 관통공은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에이치빔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1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배면의 중앙에는 제 2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이 적층되는 제 1 편석;
    상기 자갈층 상에 상기 제 1 에이치빔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되 홈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그 전방이 상기 제 1 편석의 배면 중앙에 밀착되며 후방 측에는 동일선상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에이치빔;
    이웃하는 상기 제 2 에이치빔의 홈 내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2 관통공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에이치빔 내에서 전방으로 밀착 위치되되 양 측면에는 제 3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배면의 중앙에는 제 4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배면과 토사면 사이 공간에 자갈층이 적층되는 제 2 편석;
    상기 제 2 삽입홈 및 제 4 삽입홈 내에 전방 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후방 단부는 토사면에 구비된 네일에 연결 고정되는 수직철물;
    상기 수직철물에 상단이 걸려진 상태로 상기 제 2 에이치빔 내측 후방에 위치되고 그 하단은 상기 제 2 관통공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향 절곡 형성되는 걸림쇠;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에 각각 일체로 관통되어 상기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2 관통공 내에 위치된 것은 상기 걸림쇠 하단에 걸려져 고정되는 제 1 수평철물;
    이웃하는 상기 제 1 편석의 제 1 삽입홈과, 이웃하는 상기 제 2 편석의 제 3 삽입홈 내에 그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제 2 수평철물; 및
    일단은 상기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에 구비된 상기 제 1 수평철물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에이치빔 및 제 2 에이치빔에 연결된 상기 제 2 수평철물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석의 배면에는 또 다른 제 2 에이치빔이 구비되어 상기 제 2 편석 및 제 2 에이치빔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계단식으로 반복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이치빔과 상기 제 1 편석의 이격공간과, 상기 제 2 에이치빔과 상기 제 2 편석의 이격공간에는 제 1 편석 및 제 2 편석을 상기 제 1 에이치빔과 제 2 에이치빔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또는 몰탈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이치빔 및 제 2 에이치빔의 표면은 부식방지를 위해 아연도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입홈 및 제 3 삽입홈 내에는 상기 제 2 수평철물 양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수평철물 삽입 전 에폭시수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철물의 전방 단부에는 앵커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 2 삽입홈 및 제 4 삽입홈 내에 삽입 고정되거나, 상기 수직철물의 전방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철물 삽입 전 상기제 2 삽입홈 및 제 4 삽입홈 내에 에폭시수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제 2 편석의 후방에는 제 2 에이치빔 설치가 생략되고 마감콘크리트가 타설되거나 배수로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KR1020150109666A 2015-08-03 2015-08-03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KR101584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66A KR101584738B1 (ko) 2015-08-03 2015-08-03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66A KR101584738B1 (ko) 2015-08-03 2015-08-03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738B1 true KR101584738B1 (ko) 2016-01-12

Family

ID=5517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66A KR101584738B1 (ko) 2015-08-03 2015-08-03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7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568B1 (ko) * 2016-10-05 2017-07-10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3점에서 지지되는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용 브래킷
KR101765115B1 (ko) * 2016-05-17 2017-08-23 이양석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시공구조
KR102724785B1 (ko) 2024-04-18 2024-10-31 장재완 조경 옹벽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27B1 (ko) 2005-03-28 2006-03-10 (주)에덴조경건설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KR101058628B1 (ko) 2011-02-25 2011-08-22 박동규 조경석을 이용한 옹벽 시공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27B1 (ko) 2005-03-28 2006-03-10 (주)에덴조경건설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KR101058628B1 (ko) 2011-02-25 2011-08-22 박동규 조경석을 이용한 옹벽 시공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115B1 (ko) * 2016-05-17 2017-08-23 이양석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시공구조
KR101755568B1 (ko) * 2016-10-05 2017-07-10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3점에서 지지되는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용 브래킷
KR102724785B1 (ko) 2024-04-18 2024-10-31 장재완 조경 옹벽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361B2 (en) Anchoring system
KR101530871B1 (ko) 띠형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77334A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EP3420138B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KR101584738B1 (ko)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JP5031463B2 (ja) 土留め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JP2009133099A (ja) 自立式土留擁壁
KR100467234B1 (ko)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KR102127192B1 (ko) 하중 저항력이 강화된 부벽형 옹벽 및 이의 제작방법
JP3857291B1 (ja)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および土木構築物
KR101534058B1 (ko)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59373B1 (ko) 펜스용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30104468A1 (en) Backfill structure and backfill construction method
KR101224872B1 (ko)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자연석 옹벽
JP6514985B2 (ja) 土留め壁補強構造
KR101696396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KR101557462B1 (ko) 자립식 가설 흙막이 및 이의 시공방법
US9447594B2 (en) Inground pool wall and deck support
KR102399378B1 (ko) 석가산의 암벽 구조체
JP4809399B2 (ja) 壁面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盛土構造物の施工方法
CN101967829A (zh) 一种基坑的施工方法
CN213014662U (zh) 一种加固地基的防水钢结构
JP3492329B2 (ja) 拡幅道路
US20210348359A1 (en) Anchoring device
KR20090098126A (ko)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