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327B1 -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327B1
KR100558327B1 KR1020050025595A KR20050025595A KR100558327B1 KR 100558327 B1 KR100558327 B1 KR 100558327B1 KR 1020050025595 A KR1020050025595 A KR 1020050025595A KR 20050025595 A KR20050025595 A KR 20050025595A KR 100558327 B1 KR100558327 B1 KR 10055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natural stone
support
retaining wal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봉
Original Assignee
(주)에덴조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덴조경건설 filed Critical (주)에덴조경건설
Priority to KR102005002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석 옹벽을 시공시 자역석과 틀부재의 지지부 간에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연석과는 접착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긴밀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지지부에는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지 않고 신속한 연결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연석 옹벽 시공에 따른 자연석과 틀부재의 지지부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자연석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타격에 의해 고정되도록 내부에 인입공간부가 형성되어 끝단으로부터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되는 확관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입공간부에 삽입되어 타격에 의해 상기 확관고정부가 벌어지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확관구로 구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끝단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고리부가 형성된 연결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에 상기 고정부재의 연결부와 체결되는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부와 체결 고정되는 고정고리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natural stone connecting and fixing apparatus for a natural stone breast wall}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고정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사용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다른 사용 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6은 종래 자연석 옹벽에 사용되는 연결 고정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사용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계지
10 : 고정부재
12 : 고정부 12a : 인입공간부
12b : 슬릿홈 12c : 확관고정부
12d : 확관구 14 : 연결부
14a : 연결고리부 14b : 나선부
14c : 아이볼트
20 : 연결부재
22 : 걸고리부 24 : 고정고리부
100 : 틀부재
110 : 받침부 120 : 지지부
200 : 자연석
202 : 고정홈
본 발명은 자연석 옹벽을 시공시 자역석과 틀부재의 지지부 간에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연석과는 접착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긴밀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지지부에는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지 않고 신속한 연결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절개지나 경사지 및 암반 등과 같은 경계지의 전방에는 붕괴 위험을 방지하고자 통상적으로 옹벽 등을 구축하게 되는 데, 근래에 들어서는 자연친화적인 환경이 요구됨에 따라 콘크리트 옹벽 대신에 발파석이나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을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본 출원인도 특허출원 제2004-594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연석 옹벽의 시공방법 및 그 자연석 옹벽"을 출원한 바, 이를 첨부된 도면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경계지(1)의 전방에 일정 깊이로 굴삭한 지반에 H빔 등과 같은 금속재의 가로대(112)와 세로대(122)를 다수의 지지간 등으로 용접 등을 통하여 서로 연결시켜 받침부(110)와 지지부(120)로 구성되는 틀부재(100)를 안치하고, 상기 받침부(110)를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하여 틀부재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받침부의 끝단에 구축하고자 하는 자연석(200)을 위치시킨 후 그 자연석에 형성된 고정홈(202)으로 양단에 상기 고정홈으로 접착제와 같이 삽입되는 절곡부(212)가 형성된 금속재의 연결바(210) 일단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에 용접하여 고정한다.
미설명 부호 115는 가로대와 세로대를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침부재이다.
이렇게, 구축하고자 하는 자연석이 고정되면 자연석과 지지부 사이의 바닥면을 보강하고 자연석과 자연석 사이에 형성된 틈을 작은 크기를 갖는 망석 등으로 메운 다음 상기 자연석과 지지부 및 경계지 사이로 잡석 및 토사를 메움으로서, 일련의 자연석 옹벽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연석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연석을 지지부에 고정시 종래에는 자연석의 고정홈으로 연결바의 절곡부 일측을 접착제와 같이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연결바의 타측을 지지부에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자연석과 연결바의 일단을 접착제와 같이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상당히 번거울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접착력이 저하되어 그 고정부위가 유동성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자연석이 흔들리면서 자연석 사이에 메워지는 망석이 이탈됨과 아울러 후방의 잡석 및 토사가 토출되어 옹벽 자체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또한, 상기 자연석과 연결되는 연결바의 타측은 지지부와 용접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그 용접부위가 단기간 내에 부식되어, 즉 용접부위가 토사에 메워져 항시 습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금속재의 특성상 용접부위가 단기간 내에 부식됨으로 인한 분리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자연석이 전복되는 상당히 위험한 상황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2004-59406호 "자연석 옹벽의 시공방법 및 그 자연석 용벽"에서 자연석과 지지부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연석과는 접착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긴밀하고 큰 고정력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지지부에는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지 않고 신속한 연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연석 옹벽 시공에 따른 자연석과 틀부재의 지지부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자연석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타격에 의해 고정되도록 내부에 인입공간부가 형성되어 끝단으로부터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되는 확관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입공간부에 삽입되어 타격에 의해 상기 확관고정부가 벌어지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확관구로 구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끝단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고리부가 형성된 연결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에 상기 고정부재의 연결부와 체결되는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부와 체결 고정되는 고정고리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고정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사용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지(1)의 전방에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시공하고자 일정 깊이로 굴삭한 지반에 H빔 등과 같은 금속재의 가로대(112)와 세로대(122)를 다수의 지지간 등으로 용접 등을 통하여 서로 연결시켜 받침부(110)와 지지부(120)로 구성되는 틀부재(100)를 안치한 후 상기 받침부를 철근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한 다음 상기 받침부의 전방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자연석(200)을 위치시켜 그 자연석(200)과 상기 지지부(120)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자연석과 연결시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함과 아울러 지지부와는 용접방식이 아닌 통상의 결속이나 체결 방식에 의해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에 상기 자연석(200)의 고정홈(202)에 삽입되어 타격에 의해 그 고정홈 내부에서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후술하는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14)가 형성되는 고정부재(10)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10)의 연결부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120)와 용접이 아닌 결속이나 걸고리 방식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고정부(12)는 내부에 인입공간부(12a)가 형성되어 끝단으로부터 다수의 슬릿홈(12b)이 형성되는 확관고정부(12c)를 형성하고, 상기 인입공간부(12a)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의 타격에 의해 상기 확관고정부(12c)가 벌어지면서 그 확관고 정부가 고정홈의 내측면과 맞물려 지지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확관구(12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4)는 그 고정부재(10)의 끝단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고리부(1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일단에 상기 연결부(14)의 연결고리(14a)와 체결되는 걸고리부(22)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120)의 세로대나 지지간 등에 체결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그 지지간에 감싸져 체결 고정되는 고정고리부(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연결부재는 고정부재의 연결부나 지지부와 용접하지 않고 결속이나 걸고리방식에 의해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그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지지부가 필요로 하는 정위치로 연결된 상태에는 각 연결부분을 용접함으로써, 그 연결부분이 더욱더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연결 고정방식은, 먼저 상기 자연석의 고정홈에 고정부재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즉 인입공간부에 확관구의 좁은 직경을 갖는 부분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한 후 연결부를 타격함에 따라 상기 확관고정부가 상기 확관구의 점차적으로 넓어 지는 직경에 의해 슬릿홈으로부터 이격되듯이 벌어지면서 삽입홈의 내측면에 맞물려 지지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의 확관고정부가 삽입홈 내에서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고정부재의 확관고정부 자체가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므로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을 형성된 연결부의 연결고리에는 상기 지지부와 와이어 강선 등과 상호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걸고리부를 상기 연결고리에 삽입하여 체결하고, 타단으로 형성된 고정고리부는 상기 지지부의 가로대나 세로대 또는 다수의 지지간 등에 체결공을 형 성하여 그에 삽입하여 연결하거나 지지간의 경우에는 그 지지간의 외측을 감싸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일련의 자연석과 지지부 간의 연결 고정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자연석과 고정되는 고정부재는 접착제 등이 아니 고정부재 자체에 의해 긴밀한 고정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그 고정부재와 연결되어 지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또한 용접이 아니라 결속이나 삽입되어 체결하는 방식으로 연결고정하므로서, 자연석과 지지부의 연결 작업을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다른 사용 상태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그 끝단 자체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부재와 체결작업시 보다 용이한 연결작업이 이루어 짐은 물론 더욱더 큰 체결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10)의 연결부(14)는 그 고정부재(10)의 끝단에 형성되는 나선부(14b)와, 상기 나선부에 나사결합되는 공지의 아이볼트(14c)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나선부에 나사결합되는 아이볼트에 의해 지지부(12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20)의 일단을 전술한 고정부재에서 일체로 절곡된 연결고리부에 비하여 연결공간부를 넓게 확보하여 보다 원활한 체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연결부에 아이볼트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자연석을 운반시에도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연친화적인 자연석 옹벽을 시공시 자연석과 틀부재의 지지부를 연결하고자 할 때, 그 자연석과는 접착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재 자체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지지부에는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지 않고 결속이나 걸이 방식에 의해 연결시킴으로써, 자연석과 지지부 간에 연결작업이 신속하면서 견고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함께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자연석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자연석과 고정부재의 고정부와의 고정시 타격력에 의해 확관구의 경사면에 의해 확관고정부를 그 자연석의 고정홈에서 보다 긴밀하면서 큰 고정력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연석과 고정부재 간의 유동성 및 이탈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삭제

Claims (5)

  1. 삭제
  2. 자연석 옹벽 시공에 따른 자연석과 틀부재의 지지부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자연석(200)의 고정홈(202)에 삽입되어 타격에 의해 고정되도록 내부에 인입공간부(12a)가 형성되어 끝단으로부터 다수의 슬릿홈(12b)이 형성되는 확관고정부(12c)를 형성하고, 상기 인입공간부에 삽입되어 타격에 의해 상기 확관고정부가 벌어지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확관구(12d)로 구성되는 고정부(1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끝단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고리부(14a)가 형성된 연결부(14)가 형성되는 고정부재(10)와;
    일단에 상기 고정부재(10)의 연결부(14)와 체결되는 걸고리부(2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부(120)와 체결 고정되는 고정고리부(24)가 형성되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025595A 2005-03-28 2005-03-28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KR10055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595A KR100558327B1 (ko) 2005-03-28 2005-03-28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595A KR100558327B1 (ko) 2005-03-28 2005-03-28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8327B1 true KR100558327B1 (ko) 2006-03-10

Family

ID=3717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595A KR100558327B1 (ko) 2005-03-28 2005-03-28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38B1 (ko) 2015-08-03 2016-01-12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38B1 (ko) 2015-08-03 2016-01-12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39652B2 (en) 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RU2538555C2 (ru) Анкерная система
KR100558327B1 (ko) 자연석 옹벽용 자연석의 연결 고정장치
JP4568766B2 (ja) 落石防止柵
JP2008156864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工法
KR101005469B1 (ko) 보행로 확장방법
JP4108690B2 (ja) 落石防止柵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KR200434425Y1 (ko) 사면보강 조립식 거푸집
KR200376519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JPH05118036A (ja) 腹起こし材
JP200620731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構築方法
KR101526240B1 (ko) 보강토 옹벽용 보강재
JP4585757B2 (ja) スパイラル支柱
JP2000064306A (ja) 杭基礎構造における補強部材
JP2004225492A (ja) 落石防護網用アンカー
JP5427463B2 (ja) 防護用堤体および防護用堤体の構築方法
JP3140828U (ja) 農業用ハウスの基礎
KR200416906Y1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JP7345399B2 (ja) 支柱用基礎部材
KR100420075B1 (ko) 강관말뚝의 두부내 속채움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구조
KR102607848B1 (ko) 인장력 전달성이 향상된 자립식 흙막이 시공방법
KR100711751B1 (ko) 축도 법면 유실방지 구조물 및 그 설치공법
KR20090085797A (ko) 기초공사용 말뚝의 상단부 보강구조
KR20230107051A (ko) 견고한 합성거동 및 효율적인 시공효율을 발휘하는 phc 벽체와 rc 벽체의 합벽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