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258A -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258A
KR20090039258A KR1020070104789A KR20070104789A KR20090039258A KR 20090039258 A KR20090039258 A KR 20090039258A KR 1020070104789 A KR1020070104789 A KR 1020070104789A KR 20070104789 A KR20070104789 A KR 20070104789A KR 20090039258 A KR20090039258 A KR 20090039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lock
convex
schematic diagram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혜경
Original Assignee
에코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258A/ko
Publication of KR2009003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콘크리트 전면벽(10) 및 중간벽(11) 및 배면벽(12)으로 가두리가 형성되고, 가두리가 형성된 내부는 빈 중공(20)이고, 내부의 빈 중공(20)에는 격벽(13)이 형성 또는 무형성되고, 격벽(13) 및/또는 배면벽(12)에는 일정한 크기 및 형상(90)을 가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40)이 형성되고, 상부표면(80) 및 하부표면(81)의 일정한 부위에 꼭지형요철(82) 또는 일자형요철(83)이 형성 또는 무형성되고, 구성재료로 순환골재(1) 및 철근(2) 및 와이어메쉬(3) 및 화이버(4)가 모두 또는 일부 사용되고, 전면벽(10)의 외부에는 문양(30)이 형성 또는 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 그린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보강토옹벽 그린블록의 관통구멍(40)에 일자연결고리(60) 또는 절곡연결고리(61)가 결합되고, 일자연결고리(60) 또는 절곡연결고리(61)에 보강재(70)인 지오그리드(71), 고리달린티형키(72), 고리달린앵카(73), 고리달린네일링(74), 고리달린스트립(75) 중의 하나 이상이 결합된 보강토옹벽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에 있어서, 일자연결고리(60)는 블록 내부의 중공(20)으로부터 관통구멍(40)을 통과하여 배면벽(12) 외부까지 설치되는 일자형 연결고리로서, 재질은 철재, 알루미늄재, 플라스틱재, FRP재, 인공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재료 또는 복합재료이고, 1단은 저항판(60-1)이 연결되어 관통구멍(40) 주위 벽에 지지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보강재(7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절곡연결고리(61)는 관통구멍(40)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절곡형 연결고리로서, 재질은 철재, 알루미늄재, 플라스틱재, FRP재, 인공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재료 또는 복합재료이고, 1단은 절곡부(61-1)가 형성되어 관통구멍(40)에 지지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보강재(7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토옹벽, 블록, 지지구조, 지오그리드, 보강재, 네일링, 앙카, 토사, 옹벽

Description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Green block and supporting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wall}
본 발명은 블록식 보강토옹벽 중에서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강토옹벽은 옹벽 뒷쪽에 흙을 쌓을때 그냥 흙을 쌓는게 아니라 흙 사이사이에 지오그리드와 같은 그물망 등의 보강재 같은 것을 넣어서 흙의 자중에 의해 그물망이 눌리고 그 그물망은 옹벽을 붙잡아 주어 옹벽이 무너지지 않고 더 튼튼히 지탱하도록 만든 일종의 흙막이구조이다. 보강토옹벽은 수직한 벽면을 갖은 것으로 한정된 용지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반옹벽은 7~10m이상이면 특수설계가 요구되나 보강토 조립식 옹벽의 시공실적은 높이 28m로서 거의 무제한이다. 그리고 일정한 성토 두께마다 보강재가 포설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얇은 성토층을 다짐하는 것으로 되어 다짐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적다. 또한 자체 중량과 강성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인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소형벽면재와 보강재의 연결 및 보강재 흙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저항하는 것으로 보다 유연한 구조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보강토옹벽의 장점을 충분히 살린 것으로 벽면재인 그린블록 및 보강재 및 그린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구조를 특수하게 고안한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블록식 보강토옹벽에 관한 기술을 들 수 있다. 보강토옹벽은 패널(pannel)식과 블록(block)식의 두가지 형태가 있는데 본 발명은 블록식 보강토옹벽에 관한 것이다. 블록식 보강토옹벽은 블록이 쌓아져서 옹벽의 전면형상을 이루고, 배면의 흙에 뭍이게 되는 보강재가 블록에 연결되어져서 보강재가 블록을 지지하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블록식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블록자체를 고안하는 기술, 블록의 연결구조를 개선하는 기술, 보강재의 연결구조를 개선하는 기술,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구조를 고안하는 기술, 연결구조를 개발하는 기술 등이라 할 수 있다.
블록식 보강토옹벽는 한 개의 블록을 놓고 그 위에 지오그리드 올려놓고 그 위에 다음 블록을 놓고 그 위에 지오그리드 올려놓고 과정을 반복하여 소정의 높이로 흙막이 벽체를 축조하는 것이다. 현재까지의 블록식 보강토옹벽 관련 재료 및 기술로는 블록과 지오그리드를 단순히 반복하여 올려놓아 보강토옹벽을 축조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경우 지오그리드 등의 보강재가 블록과 밀접하게 긴결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보강토옹벽의 블록과 보강재 간의 분리 및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보강토옹벽의 전면형상을 이루는 축조블록이 배가 나오거나 변형이 되는 경우 보강재가 블록으로부터 이탈되어 지지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간의 결합을 개선시키고, 블록에 연결구조를 도입하고, 간단하면서도 안전한 연결장치를 고안하고, 보강재의 연결구조를 도입하고, 블록과 보강재와 연결장치를 상호 밀접하게 연결하는 방안을 주요 과제로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블록간 상호간의 결합을 개선시키는 구조형식 도입, 블록에 연결장치를 형성하는 구조형식 도입, 간단하면서도 안전한 연결장치의 고안, 보강재의 간단한 연결구조형식 도입, 블록과 보강재와 연결장치를 상호 긴결하는 구조형식 도입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 존의 블록과는 차별화되는 요철구조 및 구멍구조를 도입하고, 블록의 내부 격벽 및 배면벽에 연결구조를 도입하고, 일자연결고리 및 절곡연결고리와 같은 간단하면서도 안전한 연결장치를 고안하고, 보강재에 고리형 연결구조를 도입하고, 블록과 보강재와 연결장치를 상호 긴결하게 연결하는 다양한 방식을 고안하였다.
본 발명은 블록의 일정한 부위에 꼭지형요철 또는 일자형요철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블록간의 상호 긴결을 도모하고, 구성재료로 순환골재를 사용함으로 폐기물재활용 증대 및 경제적인 제품생산이 가능하고, 철근 및 와이어메쉬 및 화이버가 사용됨으로 보강효과가 증대되고, 블록의 격벽 및 배면벽에 관통구멍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배면지지 보조기능 및 배면지하수 배수기능이 강화되고, 간단하고 안전한 일자연결고리 또는 절곡연결고리가 고안되고, 일자연결고리 또는 절곡연결고리에 보강재인 지오그리드, 고리달린티형키, 고리달린앵카, 고리달린네일링, 고리달린스트립이 간단하게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의 모든 구조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블록 및 연결구조 및 보강재가 일체된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그에 의한 지지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콘크리트 전면벽(10) 및 중간벽(11) 및 배면벽(12)으로 가두리가 형성되고, 가두리가 형성된 내부는 빈 중공(20)이고, 내부의 빈 중 공(20)에는 격벽(13)이 형성 또는 무형성되고, 격벽(13) 및/또는 배면벽(12)에는 일정한 크기 및 형상(90)을 가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40)이 형성되고, 상부표면(80) 및 하부표면(81)의 일정한 부위에 꼭지형요철(82) 또는 일자형요철(83)이 형성 또는 무형성되고, 구성재료로 순환골재(1) 및 철근(2) 및 와이어메쉬(3) 및 화이버(4)가 모두 또는 일부 사용되고, 전면벽(10)의 외부에는 문양(30)이 형성 또는 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 그린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보강토옹벽 그린블록의 관통구멍(40)에 일자연결고리(60) 또는 절곡연결고리(61)가 결합되고, 일자연결고리(60) 또는 절곡연결고리(61)에 보강재(70)인 지오그리드(71), 고리달린티형키(72), 고리달린앵카(73), 고리달린네일링(74), 고리달린스트립(75) 중의 하나 이상이 결합된 보강토옹벽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에 있어서, 일자연결고리(60)는 블록 내부의 중공(20)으로부터 관통구멍(40)을 통과하여 배면벽(12) 외부까지 설치되는 일자형 연결고리로서, 재질은 철재, 알루미늄재, 플라스틱재, FRP재, 인공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재료 또는 복합재료이고, 1단은 저항판(60-1)이 연결되어 관통구멍(40) 주위 벽에 지지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보강재(7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절곡연결고리(61)는 관통구멍(40)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절곡형 연결고리로서, 재질은 철재, 알루미늄재, 플라스틱재, FRP재, 인공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재료 또는 복합재료이고, 1단은 절곡부(61-1)가 형성되어 관통구멍(40)에 지지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보강재(7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그린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린블록이 전면벽(10) 및 중간벽(11) 및 배면벽(12) 및 격벽(13)으로 구성되고 격벽(13) 및 배면벽(12)에 관통구멍(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보여준다. 여기에서 관통구멍(40)의 형상(90)은 단면의 모양이 원형(90-1), 반원형(90-2), 타원형(90-3), 곡면형(90-4), 삼각형(90-5), 사각형(90-6), 사다리형(90-7), 다각형(90-8) 등 가변적인 모양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또다른 그린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면벽(10) 및 중간벽(11) 및 배면벽(12) 및 격벽(13)으로 구성되고 배면벽(12)에 관통구멍(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보여준다.
도 3은 또다른 그린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면벽(10) 및 중간벽(11) 및 배면벽(12)으로 구성되고 배면벽(12)에 관통구멍(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보여준다.
상기에서 관통구멍(40)은 격벽(13) 및/또는 배면벽(12)에 일정한 크기 및 형상(90)을 가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구멍(40)은 배면지지 보조기능 및 배면지하수(50) 배수기능을 하고, 관통구멍(40)에는 일자연결고리(60) 또는 절곡연결고 리(61)가 결합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4는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80) 및 블록하부표면(81)에 꼭지형요철(82)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꼭지모양의 요철이 블록상부표면(80) 및 블록하부표면(8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꼭지형요철(82)은 일정한 높이 및 형상(90) 및 일정한 또는 가변적인 둘레를 가진 꼭지모양의 요철로서,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80) 및/또는 블록하부표면(81)에 볼록식꼭지형요철(82-1)이 형성되거나 오목식꼭지형요철(82-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형상(90)은 단면의 모양이 원형(90-1), 반원형(90-2), 타원형(90-3), 곡면형(90-4), 삼각형(90-5), 사각형(90-6), 사다리형(90-7), 다각형(90-8) 등 가변적인 모양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80) 및 블록하부표면(81)에 짧은 일자형요철(83)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길이가 작은 일자형요철(83)을 보여준다.
도 6은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80) 및 블록하부표면(81)에 긴 일자형요철(83)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길이가 긴 일자형요철(83)을 보여준다.
상기 꼭지형요철(82) 또는 일자형요철(83)에서 요철 형상은 상하로 놓여져서 쌓아지는 상부 그린블록 및 하부 그린블록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게 하기 위하여 볼록형상 또는 오목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일자형요철(83)은 일정한 저폭 및 길이 및 형상(90)을 가진 일자모양의 요철로서,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80) 및/또는 블록하부표면(81)에 볼록식일자형요철(83-1)이 형성되거나 오목식일자형요철(83-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도 1, 도 2 및 도 3 그리고 도 4, 도 5 및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그린블록은 전면벽(10), 중간벽(11), 배면벽(12) 및 격벽(13)의 벽체구조, 관통구멍(40)의 구멍구조, 꼭지형요철(82) 및 일자형요철(83)의 요철구조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그린블록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콘크리트 전면벽(10) 및 중간벽(11) 및 배면벽(12)으로 가두리가 형성되고, 가두리가 형성된 내부는 빈 중공(20)이고, 내부의 빈 중공(20)에는 격벽(13)이 형성 또는 무형성된 구조이다.
도 7은 갈고리(60-2)가 한 개이고 저항판(60-1)이 판형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일자연결고리(60)의 1단은 갈고리(60-2)가 한 개 형성되고 다른 1단은 판형인 저항판(60-1)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일자연결고리(60)는 블록 내부의 중공(20)으로부터 관통구멍(40)을 통과하여 배면벽(12) 외부까지 설치되는 일자형 연결고리로서, 재질은 철재, 알루미늄재, 플라스틱재, FRP재, 인공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재료 또는 복합재료이고, 1단은 저항판(60-1)이 연결되어 관통구멍(40) 주위 벽에 지지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보강재(7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8은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이고 저항판(60-1)이 판형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일자연결고리(60)의 1단은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 형성되고 다른 1단은 판형인 저항판(60-1)이 형성된 것이다.
도 9는 갈고리(60-2)가 한 개이고 저항판(60-1)이 막대형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일자연결고리(60)의 1단은 갈고리(60-2)가 한 개 형성되고 다른 1단은 막대형인 저항판(60-1)이 형성된 것이다.
도 10은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이고 저항판(60-1)이 막대형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일자연결고리(60)의 1단은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 형성되고 다른 1단은 막대형인 저항판(60-1)이 형성된 것이다.
도 11은 갈고리(60-2)가 한 개인 절곡연결고리(61)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절곡연결고리(61)의 1단에 갈고리(60-2)가 한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연결고리(61)는 관통구멍(40)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절곡형 연결고리로서, 재질은 철재, 알루미늄재, 플라스틱재, FRP재, 인공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재료 또는 복합재료이고, 1단은 절곡부(61-1)가 형성되어 관통구멍(40)에 지지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보강재(7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2는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절곡연결고리(61)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절곡연결고리(61)의 1단에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구멍(40)에는 일자연결고리(60) 또는 절곡연결고리(61)가 결합되고, 일자연결고리(60) 또는 절곡연결고리(61)에는 보강재(70)인 지오그리드(71), 고리달린티형키(72), 고리달린앵카(73), 고리달린네일링(74), 고리달린스트립(75) 중의 하나 이상이 결합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격벽(13)이 있는 그린블록의 격벽(13)에 연결된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가 그린블록의 격벽(13)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4는 격벽(13)이 있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가 격벽(13)이 있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5는 격벽(13)이 없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가 격벽(13)이 없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6은 격벽(13)이 있는 그린블록의 격벽(13)에 연결된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가 격벽(13)이 있는 그린블록의 격벽(13)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7은 격벽(13)이 있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가 격벽(13)이 있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은 격벽(13)이 없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가 격벽(13)이 없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9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가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20은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가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21은 보강재(70)인 지오그리드(71), 고리달린티형키(72), 고리달린앵카(73), 고 리달린네일링(74), 고리달린스트립(75)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그린블록의 연결고리인 일자연결고리(60) 및 절곡연결고리(61)에 연결되어 그린블록을 배면의 토사에 지지하는 보강재의 형상을 보여준다.
도 22는 일자연결고리(60)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일자연결고리(60)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되어 그린블록의 배면토사에 지지하게 된다.
도 23은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되어 그린블록의 배면토사에 지지하게 된다. 도 24는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되어 그린블록의 배면토사에 지지하게 된다.
도 25는 갈고리(60-2)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60)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6은 갈고리(60-2)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60)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7은 격벽(13)이 있는 그린블록의 격벽(13)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61)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8은 격벽(13)이 있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61)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9는 격벽(13)이 없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61)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0은 절곡연결고리(61)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1은 그린블록의 격벽(13)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61)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2는 그린블록의 배면벽(12)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61)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3은 그린블록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61)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4는 절곡연결고리(61)에 지오그리드(71)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5는 좌우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티형키와 고리를 상호 조합하여 고안한 특수형 고리달린티형키(72)를 보여준다. 상기 고리달린티형키(72)는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가진 티자(T)형 콘크리트체로서,이의 1단에는 저항티(72-1)가 형성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6은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7은 일자연결고리(60)에 결합된 고리달린티형키(72)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8은 일자연결고리(60)에 결합된 좌우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9는 일자연결고리(60)에 결합된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0은 일자연결고리(60)에 좌우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횡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1은 일자연결고리(60)에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횡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2는 일자연결고리(60)에 좌우방향으로 및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횡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3은 일자연결고리(60)에 좌우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종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4는 일자연결고리(60)에 좌우방향으로 또는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종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5는 일자연결고리(60)에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72)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6은 고리달린앵카(73)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앵카에 고리가 달린 구조를 고안하여 특수한 고리달린앵카(73)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고리달린앵카(73)는 둘레 형상이 가변적이고 일정한 길이를 가진 앵카체로서, 이의 중간부(73-1)는 철근, 철봉, 강봉, 철선묶음 중의 하나로 형성되고, 이의 1단에는 구근(73-2)이 형성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7은 일자연결고리(60)에 고리달린앵카(73)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8은 일자연결고리(60)에 고리달린앵카(73)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9는 고리달린앵카(73)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를 보여준다.
도 50은 고리달린네일링(74)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네일링에 고리가 달린 구조를 고안하여 특수한 고리달린네일링(74)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고리달린네일링(74)은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가진 네일링체로서, 이의 네일링체주재료부(74-1)는 철근, 철봉, 강봉, 철선묶음 중의 하나로 형성되고, 이의 1단에는 갈고리(60-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0
도 51은 일자연결고리(60)에 고리달린네일링(74)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2는 일자연결고리(60)에 고리달린네일링(74)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3은 고리달린네일링(74)이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 낸 모식도를 보여준다.
도 54는 고리달린스트립(75)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스트립(strip)에 고리가 달린 구조를 고안하여 특수한 고리달린스트립(75)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고리달린스트립(75)은 일정한 폭 및 길이를 가진 스트립체로서, 이의 스트립체주재료부(75-1)는 철판, 플라스틱판, 고분자합성판 중의 하나로 형성되고, 이의 1단에는 갈고리(60-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55는 일자연결고리(60)에 고리달린스트립(75)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6는 일자연결고리(60)에 고리달린스트립(75)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57은 고리달린스트립(75)이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를 보여준다.
도 58은 지오그리드(71), 고리달린티형키(72), 고리달린앵카(73), 고리달린네일링(74), 고리달린스트립(75)이 결합된 그린블록이 종방향으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그린블록의 관통구멍(40)을 통한 연결고리에 지오그리드(71), 고리달린티형키(72), 고리달린앵카(73), 고리달린네일링(74), 고리달린스트립(75)이 결합되어 그린블록을 배면토에 지지시키는 구조형식을 보여준다.
도 59는 원형(90-1) 볼록식꼭지형요철(82-1)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0은 원 형(90-1) 오목식꼭지형요철(82-2)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61은 사다리형(90-7) 볼록식꼭지형요철(82-1)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62는 사다리형(90-7) 오목식꼭지형요철(82-2)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3은 반원형(90-2) 볼록식일자형요철(83-1)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4는 반원형(90-2) 오목식일자형요철(83-2)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5는 사각형(90-6) 볼록식일자형요철(83-1)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6은 사각형(90-6) 오목식일자형요철(83-2)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7은 관통구멍(40) 및 꼭지형요철(82) 및 일자형요철(83)의 단면이 원형(90-1), 반원형(90-2), 타원형(90-3), 곡면형(90-4), 삼각형(90-5), 사각형(90-6), 사다리형(90-7), 다각형(90-8)의 형상(9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다양한 형태의 관통구멍(40) 및 꼭지형요철(82) 및 일자형요철(83)의 단면형상을 보여준다.
도 68은 그린블록의 전면벽(10) 및 중간벽(11) 및 배면벽(12) 및 격벽(13) 그리고 고리달린티형키(72)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체내에 모두 또는 일부 사용되는 순환골재(1) 및 철근(2) 및 와이어메쉬(3) 및 화이버(4)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그린블록의 구성재료로 순환골재(1) 및 철근(2) 및 와이어메쉬(3) 및 화이버(4)가 모두 또는 일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보여준다.
도 69는 그린블록 전면벽(10)의 외부에 새겨지는 문양(30)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그린블록 전면벽(10)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문자, 모양 등의 문양(30)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70은 그린블록의 관통구멍(40)을 통한 배면지하수(50)의 배수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통상적으로 보강토옹벽의 배면에는 지하수 및 우수에 의하여 물이 고이게 되며 이는 보강토옹벽에 하중으로 작용하여 보강토옹벽의 안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보강토옹벽의 배면에 배수공을 부설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 의한 그린블록의 관통구멍(40)은 배수공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배면지하수(50)의 배수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전면벽 및 중간벽 및 배면벽 및 격벽으로 구성되고 격벽 및 배면벽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그린블록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전면벽 및 중간벽 및 배면벽 및 격벽으로 구성되고 배면벽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그린블록을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전면벽 및 중간벽 및 배면벽으로 구성되고 배면벽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그린블록을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 및 블록하부표면에 꼭지형요철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 및 블록하부표면에 짧은 일자형요철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 및 블록하부표면에 긴 일자형요철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갈고리가 한 개이고 저항판이 판형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갈고리가 두 개 이상이고 저항판이 판형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갈고리가 한 개이고 저항판이 막대형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갈고리가 두 개 이상이고 저항판이 막대형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갈고리가 한 개인 절곡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갈고리가 두 개 이상인 절곡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격벽이 있는 그린블록의 격벽에 연결된 갈고리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격벽이 있는 그린블록의 배면벽에 연결된 갈고리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격벽이 없는 그린블록의 배면벽에 연결된 갈고리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6은 격벽이 있는 그린블록의 격벽에 연결된 갈고리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격벽이 있는 그린블록의 배면벽에 연결된 갈고리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격벽이 없는 그린블록의 배면벽에 연결된 갈고리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9는 그린블록의 배면벽에 연결된 갈고리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20은 그린블록의 배면벽에 연결된 갈고리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을 나타낸 모식도
도 21은 보강재인 지오그리드, 고리달린티형키, 고리달린앵카, 고리달린네일링, 고리달린스트립을 나타낸 모식도
도 22는 일자연결고리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23은 갈고리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4는 갈고리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5는 갈고리가 한 개인 일자연결고리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6은 갈고리가 두 개 이상인 일자연결고리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7은 격벽이 있는 그린블록의 격벽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28은 격벽이 있는 그린블록의 배면벽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29는 격벽이 없는 그린블록의 배면벽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0은 절곡연결고리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31은 그린블록의 격벽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32는 그린블록의 배면벽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33은 그린블록에 연결된 절곡연결고리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4는 절곡연결고리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5는 좌우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를 나타낸 모식도
도 36은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를 나타낸 모식도
도 37은 일자연결고리에 결합된 고리달린티형키를 나타낸 측면도
도 38은 일자연결고리에 결합된 좌우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를 나타낸 모식도
도 39는 일자연결고리에 결합된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를 나타낸 모식도
도 40은 일자연결고리에 좌우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횡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1은 일자연결고리에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횡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2는 일자연결고리에 좌우방향으로 및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횡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3은 일자연결고리에 좌우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종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4는 일자연결고리에 좌우방향으로 또는 상하방향으로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종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5는 일자연결고리에 티자(T)를 이루는 고리달린티형키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6은 고리달린앵카를 나타낸 모식도
도 47은 일자연결고리에 고리달린앵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48은 일자연결고리에 고리달린앵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9는 고리달린앵카가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50은 고리달린네일링을 나타낸 모식도
도 51은 일자연결고리에 고리달린네일링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52는 일자연결고리에 고리달린네일링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53은 고리달린네일링이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54는 고리달린스트립을 나타낸 모식도
도 55는 일자연결고리에 고리달린스트립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56는 일자연결고리에 고리달린스트립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57은 고리달린스트립이 결합된 그린블록이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58은 지오그리드, 고리달린티형키, 고리달린앵카, 고리달린네일링, 고리달린스트립이 결합된 그린블록이 종방향으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59는 원형 볼록식꼭지형요철을 나타낸 모식도
도 60은 원형 오목식꼭지형요철을 나타낸 모식도
도 61은 사다리형 볼록식꼭지형요철을 나타낸 모식도
도 62는 사다리형 오목식꼭지형요철을 나타낸 모식도
도 63은 반원형 볼록식일자형요철을 나타낸 모식도
도 64는 반원형 오목식일자형요철을 나타낸 모식도
도 65는 사각형 볼록식일자형요철을 나타낸 모식도
도 66은 사각형 오목식일자형요철을 나타낸 모식도
도 67은 관통구멍 및 꼭지형요철 및 일자형요철의 단면이 원형, 반원형, 타원형, 곡면형,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형, 다각형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
도 68은 그린블록의 전면벽 및 중간벽 및 배면벽 및 격벽 그리고 고리달린티형키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체내에 모두 또는 일부 사용되는 순환골재 및 철근 및 와이어메쉬 및 화이버를 나타낸 모식도
도 69는 그린블록 전면벽의 외부에 새겨지는 문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70은 그린블록의 관통구멍을 통한 배면지하수의 배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순환골재 2 : 철근
3 : 와이어메쉬 4 : 화이버
10 : 전면벽 11 : 중간벽
12 : 배면벽 13 : 격벽
20 : 중공 30 : 문양
40 : 관통구멍 50 : 배면지하수
60 : 일자연결고리 60-1 : 저항판
60-2 : 갈고리 61 : 절곡연결고리
61-1 : 절곡부 70 : 보강재
71 : 지오그리드 72 : 고리달린티형키
72-1 : 저항티 73 : 고리달린앵카
73-1 : 중간부 73-2 : 구근
74 : 고리달린네일링 74-1 : 네일링체주재료부
75 : 고리달린스트립 75-1 : 스트립체주재료부
80 : 블록상부표면 81 : 블록하부표면
82 : 꼭지형요철 82-1 : 볼록식꼭지형요철
82-2 : 오목식꼭지형요철 83 : 일자형요철
83-1 : 볼록식일자형요철 83-2 : 오목식일자형요철
90 : 형상 90-1 : 원형
90-2 : 반원형 90-3 : 타원형
90-4 : 곡면형 90-5 : 삼각형
90-6 : 사각형 90-7 : 사다리형
90-8 : 다각형

Claims (2)

  1. 상부표면(80) 및 하부표면(81)의 일정한 부위에 꼭지형요철(82) 또는 일자형요철(83)이 형성 또는 무형성되고, 구성재료로 순환골재(1) 및 철근(2) 및 와이어메쉬(3) 및 화이버(4)가 모두 또는 일부 사용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진 콘크리트 전면벽(10) 및 중간벽(11) 및 배면벽(12)으로 가두리가 형성되고, 가두리가 형성된 내부는 빈 중공(20)이고, 내부의 빈 중공(20)에는 격벽(13)이 형성 또는 무형성되고, 전면벽(10)의 외부에는 문양(30)이 형성 또는 무형성되고, 격벽(13) 및/또는 배면벽(12)에는 일정한 크기 및 형상(90)을 가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40)이 형성되고, 관통구멍(40)은 배면지지 보조기능 및 배면지하수(50) 배수기능을 하고, 관통구멍(40)에는 일자연결고리(60) 또는 절곡연결고리(61)가 결합되고, 일자연결고리(60) 또는 절곡연결고리(61)에는 보강재(70)인 지오그리드(71), 고리달린티형키(72), 고리달린앵카(73), 고리달린네일링(74), 고리달린스트립(75) 중의 하나 이상이 결합된 일정한 형상을 가진 블록 및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일자연결고리(60)는 블록 내부의 중공(20)으로부터 관통구멍(40)을 통과하여 배면벽(12) 외부까지 설치되는 일자형 연결고리로서, 재질은 철재, 알루미늄재, 플라스틱재, FRP재, 인공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재료 또는 복합재료이고, 1단은 저항판(60-1)이 연결되어 관통구멍(40) 주위 벽에 지지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보강재(7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절곡연결고리(61)는 관통구멍(40)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절곡형 연결고리로서, 재질은 철재, 알루미늄재, 플라스틱재, FRP재, 인공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재료 또는 복합재료이고, 1단은 절곡부(61-1)가 형성되어 관통구멍(40)에 지지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보강재(7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고리달린티형키(72)는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가진 티자(T)형 콘크리트체로서,이의 1단에는 저항티(72-1)가 형성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고리달린앵카(73)는 둘레 형상이 가변적이고 일정한 길이를 가진 앵카체로서, 이의 중간부(73-1)는 철근, 철봉, 강봉, FRP봉, 철선묶음 중의 하나로 형성되고, 이의 1단에는 구근(73-2)이 형성되고, 다른 1단에는 갈고리(60-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고리달린네일링(74)은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가진 네일링체로서, 이의 네일링체주재료부(74-1)는 철근, 철봉, 강봉, FRP봉, 철선묶음 중의 하나로 형성되고, 이의 1단에는 갈고리(60-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고리달린스트립(75)은 일정한 폭 및 길이를 가진 스트립체로서, 이의 스트립 체주재료부(75-1)는 철판, 강판, FRP판, 플라스틱판, 고분자합성판 중의 하나로 형성되고, 이의 1단에는 갈고리(60-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꼭지형요철(82)은 일정한 높이 및 형상(90) 및 일정한 또는 가변적인 둘레를 가진 꼭지모양의 요철로서,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80) 및/또는 블록하부표면(81)에 볼록식꼭지형요철(82-1)이 형성되거나 오목식꼭지형요철(82-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일자형요철(83)은 일정한 저폭 및 길이 및 형상(90)을 가진 일자모양의 요철로서, 그린블록의 블록상부표면(80) 및/또는 블록하부표면(81)에 볼록식일자형요철(83-1)이 형성되거나 오목식일자형요철(83-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90)은 단면의 모양이 원형(90-1), 반원형(90-2), 타원형(90-3), 곡면형(90-4), 삼각형(90-5), 사각형(90-6), 사다리형(90-7), 다각형(90-8) 등 가변적인 모양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KR1020070104789A 2007-10-17 2007-10-17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KR20090039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789A KR20090039258A (ko) 2007-10-17 2007-10-17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789A KR20090039258A (ko) 2007-10-17 2007-10-17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258A true KR20090039258A (ko) 2009-04-22

Family

ID=4076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789A KR20090039258A (ko) 2007-10-17 2007-10-17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2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2240A (zh) * 2010-07-16 2010-12-22 东南大学 一种frp筋张拉锚固装置
KR101338376B1 (ko) * 2013-06-14 2013-12-10 주식회사 지오환경 랩블록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178399B1 (ko) 2020-05-13 2020-11-13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273710B1 (ko) 2020-12-30 2021-07-06 권창성 시공성 및 지지력이 향상된 옹벽블록 조립체
KR102352069B1 (ko) 2021-07-28 2022-01-18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2240A (zh) * 2010-07-16 2010-12-22 东南大学 一种frp筋张拉锚固装置
CN101922240B (zh) * 2010-07-16 2012-05-09 东南大学 一种frp筋张拉锚固装置
KR101338376B1 (ko) * 2013-06-14 2013-12-10 주식회사 지오환경 랩블록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178399B1 (ko) 2020-05-13 2020-11-13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273710B1 (ko) 2020-12-30 2021-07-06 권창성 시공성 및 지지력이 향상된 옹벽블록 조립체
KR102352069B1 (ko) 2021-07-28 2022-01-18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0817U (ja) 型枠取り外し不要の建築構造
KR20090039258A (ko)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KR101349297B1 (ko) 보강철근에 의한 부분 보강 구조의 콘크리트 합성 강관말뚝 및 그 제작방법
JP6274763B2 (ja) 盛土補強構造および法面補強盛土工法
KR200429312Y1 (ko) 보강토옹벽의 보강재 연결구조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CN204174614U (zh) 折板形先张法预应力混凝土桩
KR100737458B1 (ko) 연약지반 간극수 수평배수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52069B1 (ko)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100780216B1 (ko) 벌집모양의 매트를 설치하는 공법
KR101627658B1 (ko) 전단키 일체형 파일빔 및 이를 이용한 복합형 교량 시공방법
KR102178399B1 (ko)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09854748U (zh) 一种预制装配式薄壁模壳格构梁生态护坡
KR101465023B1 (ko) 옹벽형 개비온
KR100451429B1 (ko) 폐콘크리트 및 폐석회석을 이용한 복합 블록형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11561081A (zh) 一种基于3d打印的混凝土剪力墙结构及其施工方法
GB2419368A (en) Retaining wall
CN204174606U (zh) H形先张法预应力混凝土桩
KR102062534B1 (ko) 옹벽블록의 그리드 결속구조물
KR102272258B1 (ko) 강관을 이용한 h파일의 변위 저항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100516405C (zh) 一种现浇钢筋砼空心板
KR101089661B1 (ko) 보강토 옹벽 블럭
CN217460125U (zh) 一种双向塑料格栅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1217975B1 (ko)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23

Effective date: 2009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