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661B1 - 보강토 옹벽 블럭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9661B1 KR101089661B1 KR1020090008291A KR20090008291A KR101089661B1 KR 101089661 B1 KR101089661 B1 KR 101089661B1 KR 1020090008291 A KR1020090008291 A KR 1020090008291A KR 20090008291 A KR20090008291 A KR 20090008291A KR 101089661 B1 KR101089661 B1 KR 1010896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body
- coupling
- block
- retaining wall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7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title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6 geo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5—Elements with sockets with captive and extendable anchoring parts, e.g. spring-loaded bolts, hanging 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본체의 양단에 결합돌기-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마련하여 측면에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와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결합된 후에는 결합돌기들을 관통하는 금속 파일을 통해 신속한 옹벽고정 및 축조가 가능하며, 내측에 금속 프레임을 구비하여 블럭본체의 강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 인출홈 및 관통구 등을 마련하여 보강부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은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럭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과, 상기 블럭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며,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토, 옹벽, 블럭, 프레임, 결합수단, 관통구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본체의 양단에 결합돌기-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마련하여 측면에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와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결합된 후에는 결합돌기들을 관통하는 금속 파일을 통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며, 내측에 금속 프레임을 구비하여 블럭본체의 강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 및 관통구를 마련하여 보강부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이나 방파제 또는 도로 측벽에는 토체구조물이 전단되거나 외압에 의해 변형되어 토압을 이기지 못하고 변형 또는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된 블럭을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의 구축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의 보강토 옹벽 블럭이 사용되며, 적층된 보강토 옹벽 블럭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접된 또 다른 보강토 옹벽 블럭들과 고정된다.
또한, 보강토 옹벽과 토체 구조물 사이에는 그 후방에 채워지는 뒷채움 토사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재가 설치되는데, 이 보강재는 뒷채움 토사에 수직응력이 가해질 경우 발생되는 횡방향 변형력 즉 토압을 인장력을 통해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로 사용되는 보강재에는 토목용 섬유보강재를 긴 띠 형태로 제작한 띠 그리드, 다수의 통공을 갖는 철망 형태의 스틸 매쉬, 좌우 인접하고 있는 블럭과 블럭 사이에 걸쳐 끼워지는 스틸바, 토목용 섬유보강재를 촘촘한 그물망의 형태로 제작한 지오그리드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강토 옹벽의 축조는 블럭과 블럭 사이마다 고정부재 구비하여야 하고 적절한 높이마다 보강부재를 연결해야 하며 블럭의 층과 층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적층을 해야 하는 등 다수의 전문 인력이 동원된 신중하고 정밀한 적층이 필수적인 바 신속한 적층 시공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또한, 보강부재를 연결할 경우 상, 하측에 적층되는 또 다른 보강토 옹벽블럭과 보강부재의 두께만큼 간극이 발생되어 보강토 옹벽의 전체적인 강도가 저하될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본체의 양단에 결합돌기-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마련하여 측면에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와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결합된 후에는 결합돌기들을 관통하는 금속 파일을 통해 신속한 옹벽고정 및 축조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측에 금속 프레임을 구비하여 블럭본체의 강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 인출홈 및 관통구 등을 마련하여 보강부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보강토 옹벽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럭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과, 상기 블럭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며,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블럭본체의 후면에는 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재의 상, 하측에는 보강부재가 결속 가능하도록 결속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블럭본체의 상, 하부면 양측에 는 상기 프레임이 노출되도록 견인홀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홀의 전, 후방에는 배수홈이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결합수단은 상기 블럭본체의 일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홈이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연결되며 상기 블럭본체의 일측 하부와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져,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홈-결합돌기 및 결합돌기-결합홈 간 결합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상기 블럭본체들은 상기 관통홈 내를 관통하는 금속파일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은 블럭본체의 양단에 결합돌기-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마련하여 측면에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와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결합된 후에는 결합돌기들을 관통하는 금속 파일을 통해 신속한 옹벽고정 및 축조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에 금속 프레임을 구비하여 블럭본체의 강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 인출홈 및 관통구 등을 마련하여 보강부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의 투시도가 도시되고, 도 4a 내지 도 4e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은 블럭본체(100)와, 블럭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블럭본체(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200)과, 블럭본체(100)의 양단에 형성되며,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100)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300)과, 블럭본체(100)의 중앙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럭본체(100)는 보강토 옹벽 블럭(1)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에 의해 육면체 블럭형태로 성형 제작되는데, 축조후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측에는 다양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럭본체(100)의 중앙측에는 관통구(400)가 관통 형성되는데, 이 관통구(400)는 축조된 보강토 옹벽 블럭(1)과 그 후방의 토체구조물을 연결하는 보강부재(600)가 연결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통구(400)는 블럭본체(100)의 중앙측에 세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관통구(400)와 관통구(400)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다.
중앙에 위치되는 관통구(400)에는 후방을 향헤 제 1 인출홈(402)이 형성되는데, 이 인출홈은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통구(400)에 고정 연결되는 보강부재(600)가 위치되는 것으로, 보강부재(600)가 제 1 인출홈(402) 내에 위치됨에 따라 상부에 위치되는 또 다른 보강토 옹벽 블럭(1)과 보강부재(600)의 두께만큼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관통구(40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의 후면에는 돌출부재(110)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돌출부재(110)의 상, 하측에는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띠 형상의 보강부재(600)가 결속 가능하도록 결속홈(11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재(110) 상, 하부의 중앙측에는 전술한 제 1 인출홈(402)으로부터 인출된 보강부재(6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제 2 인출홈(114)이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돌출부재(11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의 내부에는 프레임(200)이 구비되는데, 이 프레임(200)은 블럭본체(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와이어 매쉬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프레임(200)은 보강토 옹벽 블럭(1)의 운반시 결속고리를 달아 운반케 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블럭본체(100)의 상, 하부면에는 프레임(200)이 노출되도록 견인홀(116)이 형성된다.
보강토 옹벽 블럭(1)의 운반시에는, 이 견인홀(116) 내로 견인고리(800)를 삽입한 후 견인고리(800)에 프레임(200)을 결착시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견인홀(116)의 전, 후방측에는 배수홈(118)이 연결 형성되는데, 이 배수홈(118)은 견인홀(116) 내에 형성될 수 있는 물기가 신속하게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20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견인홀(116)은 블럭본체(100)의 전,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블럭본체(100)의 양단에는 결합수단(300)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수단(300)은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100)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수단(300)은 블럭본체(100)의 일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홈(312)이 형성되는 결합돌기(310)와, 결합돌기(310)와 연결되며 블럭본체(100)의 일측 하부와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져,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100)와 결합홈-결합돌기(310) 및 결합돌기(310)-결합홈 간 결합을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즉, 블럭본체(100)의 일측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결합돌기(310)가 돌출 형성되며, 전술한 결합돌기(310)의 하측에는 또 다른 블럭본체(100)의 결합돌기(310)가 면접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반원기둥 형상의 곡면을 이루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호 결합된 블럭본체(100)들은 관통홈(312) 내를 관통하는 금속파일(500)에 의해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강부재(600)가 관통구(400)가 아닌 결합돌기(310)를 관통하는 금속파일(500)에 결속되어 고정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보강부재(6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관통홈(312) 가장자리에는 테두리 홈이 형성되고, 테두리홈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각각 제 3 인출홈이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전체적인 축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강토 옹벽이 설치될 지반층을 터파기 한 다음 작업공간을 확보하며 1톤 이상의 전동로울러를 통해 터를 충분히 다져준다.
그런 다음, 금속 파일 다수개를 보강토 옹벽 블럭(1)의 간격에 맞추어 지반 내에 고정시키는데 현장 여건에 따라서 기울기를 조절해 준 뒤 콘크리트를 포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최하층에 결합돌기(310)-결합홈 간 결합되도록 보강토 옹벽 블럭(1)을 차례로 배치하는데 이때 금속파일(500)이 관통홈(312)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최외측에 위치되는 보강토 옹벽 블럭(1)의 경우 다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이 배치될 수 없으므로 도 4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통홈(312) 및 제 3 인출홈이 형성되며 결합돌기(310)와 동일한 형상의 원기둥형 반블럭(700)이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하층에 보강토 옹벽 블럭(1)의 배치가 완료되면 그 상부 에 다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적층하되, 일정 높이마다 보강부재(600)를 연결해 준다.
이때, 일단이 후방의 토체구조물에 고정된 보강부재(600)의 타단이 관통구(400)에 고정된 다음 제 1 인출홈(402) 및 제 2 인출홈(114)을 통해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 하부에 위치되는 또 다른 보강토 옹벽 블럭(1)과의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띠 형상의 보강부재(600)가 사용될 경우 돌출부의 결속홈(112) 내에 걸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의 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강토 옹벽 블럭 100 : 블럭본체
110 : 돌출부재 112 : 결속홈
114 : 제 2 인출홈 116 : 견인홀
118 : 배수홈 200 : 프레임
300 : 결합수단 310 : 결합돌기
312 : 관통홈 314 : 제 3 인출홈
316 : 테두리홈 320 : 결합홈
400 : 관통구 402 : 제 1 인출홈
500 : 금속파일 600 : 보강부재
700 : 반블럭 800 : 견인고리
Claims (5)
- 블럭본체;상기 블럭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럭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상기 블럭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며,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 및상기 블럭본체의 중앙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고,상기 블럭본체의 후면에는 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재의 상, 하측에는 보강부재가 결속 가능하도록 결속홈이 각각 형성되며,상기 블럭본체의 상, 하부면 양측에는 상기 프레임이 노출되도록 견인홀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홀의 전, 후방에는 배수홈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블럭본체의 일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홈이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연결되며 상기 블럭본체의 일측 하부와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져, 인접되는 또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홈-결합돌기 및 결합돌기-결합홈 간 결합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상기 블럭본체들은 상기 관통홈 내를 관통하는 금속파일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8291A KR101089661B1 (ko) | 2009-02-03 | 2009-02-03 | 보강토 옹벽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8291A KR101089661B1 (ko) | 2009-02-03 | 2009-02-03 | 보강토 옹벽 블럭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9168A KR20100089168A (ko) | 2010-08-12 |
KR101089661B1 true KR101089661B1 (ko) | 2011-12-06 |
Family
ID=4275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8291A KR101089661B1 (ko) | 2009-02-03 | 2009-02-03 | 보강토 옹벽 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966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8621B1 (ko) * | 2018-04-03 | 2020-05-07 | 정상열 |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1076Y1 (ko) * | 2004-05-20 | 2004-09-06 | 김건명 | 축대용 조립식 식생블럭 |
KR100583294B1 (ko) * | 2002-11-01 | 2006-05-25 | (주)한국조형종합건축사사무소 |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
-
2009
- 2009-02-03 KR KR1020090008291A patent/KR10108966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3294B1 (ko) * | 2002-11-01 | 2006-05-25 | (주)한국조형종합건축사사무소 |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
KR200361076Y1 (ko) * | 2004-05-20 | 2004-09-06 | 김건명 | 축대용 조립식 식생블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9168A (ko) | 2010-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3474B1 (ko) |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 |
KR101572561B1 (ko) | 엄지말뚝 시공을 위한 강재조립체 | |
KR100764135B1 (ko) |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524303B1 (ko) | 근입 안정성이 우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 | |
KR101397432B1 (ko) | 보강토 옹벽 패널 | |
KR101521556B1 (ko) |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 |
KR101005351B1 (ko) |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24231B1 (ko) |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521557B1 (ko) | 차수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 |
KR101089661B1 (ko) | 보강토 옹벽 블럭 | |
KR20130043851A (ko) | 강화 플라스틱 토류판 | |
KR100998502B1 (ko) | 전단키와 강관을 구비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 |
KR102084842B1 (ko) |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521558B1 (ko) | 그라우트 또는 슬라임의 관내 유입을 방지하는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 |
KR101385090B1 (ko) | 흙막이 파일 구조체 및 흙막이 파일 구조체 형성방법 | |
KR101265079B1 (ko) |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 |
KR101072286B1 (ko) | 조립식 옹벽 | |
KR102560550B1 (ko) |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 |
CN111511992A (zh) |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 |
KR102062534B1 (ko) | 옹벽블록의 그리드 결속구조물 | |
KR101005352B1 (ko) |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 |
KR101065726B1 (ko) | 조립식 옹벽 | |
WO2011036991A1 (ja) | 埋め戻し構造物及び埋め戻し工法 | |
KR101132697B1 (ko) | 침하가 예상되는 불량 지반에 적용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26788B1 (ko) |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