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302B1 -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 Google Patents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302B1
KR101019302B1 KR1020100060347A KR20100060347A KR101019302B1 KR 101019302 B1 KR101019302 B1 KR 101019302B1 KR 1020100060347 A KR1020100060347 A KR 1020100060347A KR 20100060347 A KR20100060347 A KR 20100060347A KR 101019302 B1 KR101019302 B1 KR 101019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delete delete
members
connecting pie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완표
Original Assignee
홍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완표 filed Critical 홍완표
Priority to KR102010006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돌망태는,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부재;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재를 고정하여 골재가 채워질 수 있는 다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클램핑부;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돌망태의 공장제작 및 효율적인 시공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Gabion, gabion manufactur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by the gabion}
본 발명은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용이한 공사가 가능한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경사면 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돌망태란, 내부에 골재가 채워진 상태에서 경사면 공사 등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돌망태는, 철사나 철골을 소정의 형태 및 크기,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엮거나 용접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돌망태는, 그 내부에 골재가 채워지고, 다수개의 돌망태가 상하로 적층되어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돌망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는, 상기 돌망태가 현장에서 필요한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돌망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의 오차 등에 의하여 실제 제작된 돌망태의 치수가 공사에 필요한 치수와 상이해질 우려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돌망태를 경사를 이루도록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경사면 공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돌망태는 그 자중에 의하여 적층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돌망태를 적층하는 과정 또는 상기 돌망태의 손상 등에 의하여, 적층된 상기 돌망태가 붕괴될 우려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돌망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돌망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돌망태는, 외관을 형성하고, 철사 또는 철근을 격자형상으로 엮어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부재; 및 상기 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골재가 채워질 수 있는 다면체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재를 형성하는 2개의 철사 또는 철근이 그 내부에 삽입되는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의 양단에서 적어도 상기 철사 또는 철근의 직경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결편에 대하여 탄성변형하며, 그 선단의 간격이 상기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저부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2개의 고정리브; 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공사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돌망태를 공장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여 경사면 공사 등에 사용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치수의 돌망태를 다량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망태가 연결 브라켓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공사 과정이나 적층된 돌망태가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돌망태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램핑부를 보인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돌망태의 실시예의 제작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사방법의 실시예에 의하여 적층된 돌망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돌망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돌망태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램핑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돌망태(1)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돌망태(1)는, 경사면의 각도나 형상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돌망태(1)는 6개의 부재(10), 다수개의 클램핑부(20) 및 다수개의 지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부재(10)는, 전체적으로 정방형 또는 장방형을 이루도록, 각각 다수개의 철사 또는 철근을 격자형상으로 엮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재(10)가 상기 클램핑부(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육면체 형상의 상기 돌망태(1)가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부재(10)는, 실질적으로 상기 돌망태(1)의 외관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망태(1)의 내부에는 골재가 채워진다. 따라서 상기 부재(10)를 구성하는 철사 및 철근 사이의 간격은, 골재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돌망태(1)의 내부에 채워진 골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20)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재(10)의 테두리를 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핑부(20)는, 전체적으로 대략 ㄷ자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부(20)의 내부에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재(10)의 테두리, 실질적으로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재(1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철사 또는 철골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부(20)에 의하여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재(10)가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클램핑부(20)는, 1개의 연결편(21) 및 2개의 고정리브(2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편(2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편(21)의 길이는, 상기 부재(10)를 구성하는 철사 또는 철근의 직경의 2배 이상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리브(23)는, 상기 연결편(21)의 양단부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고정리브(23)의 선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리브(23)의 기저부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좁은 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리브(23)는 상기 연결편(21)에 대하여 탄성변형가능하게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편(21) 및 고정리브(23)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을 밴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3)는, 상기 클램핑부(20)의 내부에 상기 부재(1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철사 또는 철골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편(21)에 대하여 탄성변형한다.
상기 지지부(30)는, 서로 인접하지 않는 2개의 상기 부재(1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돌망태(1)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30)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기 부재(1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망태(1)의 내부에 골재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외력 또는 상기 돌망태(1)의 내부에 채워진 골재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부재(10)의 연결이 손상되는 현상,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재(10)의 테두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30)의 양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부재(10)에 각각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돌망태의 실시예의 제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돌망태의 실시예의 제작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6개의 부재(10)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5개의 부재(10)를 서로 고정하여 실질적으로 일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돌망태(1)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돌망태(1)의 개구된 일면을 형성하는 나머지 부재(10)의 테두리 중 어느 하나를 5개의 상기 부재(10) 중 어느 하나에 클램핑부(20)를 이용하여 미리 고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5개의 상기 부재(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면체를 본체(2)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개구된 일면을 형성하는 상기 부재(10) 중 나머지 1개를 커버(3)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개구된 일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받침대(100)의 상면에 상기 본체(2)의 저면을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2)의 4개의 테두리면을 지지대(200)에 의하여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받침대(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상기 본체(2)의 테두리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의 개구된 일면을 통하여 상기 본체(2)의 내부로 골재를 채워넣는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2)의 내부로 채워지는 골재는 골재 이송장치(30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골재 투입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본체(2)의 내부로 투입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내부로 골재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2)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부재(10)의 테두리가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2)의 내부로의 골재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진동장치(500)가 상기 받침대(10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본체(2)를 진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채워진 골재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고르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재(10) 중 나머지 하나, 즉 상기 커버(3)를 상기 본체(2)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2)의 개구된 일면이 상기 커버(3)에 의하여 차폐됨과 동시에 상기 돌망태(1)의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이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상기 돌망태(1)는, 컨베이어와 같은 별도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운송을 위한 차량 등으로 이송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돌망태(1)가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차량 등으로 이송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돌망태의 실시예를 사용한 경사면 공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사방법의 실시예에 의하여 적층된 돌망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사면 공사를 위하여 돌망태(1)를 상하로 적층한다. 이때 상기 돌망태(1)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방의 돌망태(1)에 비하여 상방의 돌망태(1)가 들여지게 위치된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상기 돌망태(1)는 고정브라켓(40)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40)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돌망태(1) 및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돌망태(1)를 고정시킨다.
도 6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40)은, 대략 ㄷ자형상의 종단면을 가진다.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브라켓(40)은, 상술한 클램핑부(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40)도, 상기 클램핑부(20)와 동일하게, 1개의 연결편(41) 및 2개의 고정리브(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40)의 내부에는 수평 또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돌망태(1)를 구성하는 철사 또는 철근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40)에 의하여 수평 또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돌망태(1)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망태(1)가 상기 고정브라켓(40)에 의하여 고정되면, 상기 돌망태(1)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망태(1)가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40)에 의하여 상기 돌망태(1)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돌망태(1)에 의하여 지지되는 토사 등의 자중 등에 의하여 상기 돌망태(1)가 적층된 상태에서 붕괴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골재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진동장치가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진동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골재의 투입이 완료된 후에 동작할 수도 있다.
1: 돌망태 10: 부재
20: 클램핑부 21: 연결편
23: 고정리브 30: 지지부
100: 받침대 200: 지지대
300: 이송장치 400: 골재 투입장치
500: 진동장치

Claims (14)

  1. 외관을 형성하고, 철사 또는 철근을 격자형상으로 엮어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부재; 및
    상기 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골재가 채워질 수 있는 다면체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재를 형성하는 2개의 철사 또는 철근이 그 내부에 삽입되는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의 양단에서 적어도 상기 철사 또는 철근의 직경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결편에 대하여 탄성변형하며, 그 선단의 간격이 상기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저부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2개의 고정리브; 를 포함하는 돌망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부재가 외력에 의하여 서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적어도 1개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돌망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부재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는 돌망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00060347A 2010-06-25 2010-06-25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KR101019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47A KR101019302B1 (ko) 2010-06-25 2010-06-25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47A KR101019302B1 (ko) 2010-06-25 2010-06-25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302B1 true KR101019302B1 (ko) 2011-03-07

Family

ID=4393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347A KR101019302B1 (ko) 2010-06-25 2010-06-25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3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69B1 (ko) * 2011-06-30 2013-10-29 전성민 자연친화형 조립식 철근옹벽블럭
KR101348538B1 (ko) * 2011-06-30 2014-01-09 전성민 식생용 철근 블럭 백 및 철근 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 옹벽
KR101702913B1 (ko) * 2016-07-06 2017-02-08 (주)남영산업 벽체 구조물
KR101897064B1 (ko) 2017-12-27 2018-09-12 김인수 돌망태
RU185024U1 (ru) * 2018-10-09 2018-11-19 ООО "ТР Инжиниринг" Габион
KR102033281B1 (ko) * 2019-04-04 2019-10-16 손영준 이중 보강재를 이용한 개비온 생산 장치
KR20200015982A (ko) 2018-08-06 2020-02-14 (유)이안지오텍 금속 단위망체를 다수로 연결하여 제조되는 돌망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155B1 (ko) * 2006-04-18 2006-09-27 최규범 사각형 돌망태
KR100720746B1 (ko) * 2005-10-13 2007-05-22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KR100865319B1 (ko) * 2007-12-11 2008-10-24 현대휀스개발 (주) 조립식 사각 용접철망 개비온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746B1 (ko) * 2005-10-13 2007-05-22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KR100629155B1 (ko) * 2006-04-18 2006-09-27 최규범 사각형 돌망태
KR100865319B1 (ko) * 2007-12-11 2008-10-24 현대휀스개발 (주) 조립식 사각 용접철망 개비온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69B1 (ko) * 2011-06-30 2013-10-29 전성민 자연친화형 조립식 철근옹벽블럭
KR101348538B1 (ko) * 2011-06-30 2014-01-09 전성민 식생용 철근 블럭 백 및 철근 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 옹벽
KR101702913B1 (ko) * 2016-07-06 2017-02-08 (주)남영산업 벽체 구조물
WO2018008917A1 (ko) * 2016-07-06 2018-01-11 (주)남영산업 벽체 구조물
CN109072610A (zh) * 2016-07-06 2018-12-21 株式会社南映产业 墙体结构物
KR101897064B1 (ko) 2017-12-27 2018-09-12 김인수 돌망태
KR20200015982A (ko) 2018-08-06 2020-02-14 (유)이안지오텍 금속 단위망체를 다수로 연결하여 제조되는 돌망태
RU185024U1 (ru) * 2018-10-09 2018-11-19 ООО "ТР Инжиниринг" Габион
KR102033281B1 (ko) * 2019-04-04 2019-10-16 손영준 이중 보강재를 이용한 개비온 생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302B1 (ko)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KR102019193B1 (ko) 옹벽 시공방법
KR101563255B1 (ko) 선조립 철근망 제작 및 조립장치를 이용한 기초철근 시공방법
KR102263778B1 (ko) 건축물의 보 뼈대 선 조립 배치구
JP6485830B2 (ja) 法面保護工用プレート
EP2581499B1 (en) Gabion
KR101345898B1 (ko) 선 조립된 철근다발을 가지는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101930001B1 (ko) 개비온 펜스 및 개비온 펜스 시공방법
JP2022171725A (ja) 構造体の施工方法及び組立構造体の組立て方法
KR100811158B1 (ko) 절곡된 금속부재의 적재 및 운반용 파렛트
JP6865545B2 (ja) サイロホッパ部の構築方法
JP6252834B2 (ja) 地下ピット構造
KR102029001B1 (ko)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H10298953A (ja) 護岸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685329B2 (ja) 検測枠並びにこれを用いた法面保護工法及び構造体
EP3414401B1 (en) Cage for containing stone materials for use in making dry stone wall structures
JP5938233B2 (ja) 貯水槽構成用のl型部材及び貯水槽における枠組構造並びに貯水槽
JP546149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の躯体構造物の構築方法
JP5863703B2 (ja) 太陽電池パネル架台の基礎構造を形成する基礎構造体及び該基礎構造体を用いた基礎構造の構築方法
JP2009073597A (ja) 定型容器の格納棚
JP7017033B2 (ja) 基礎構造物、及び基礎構造物施工方法
JP3185704U (ja) 壁部一体型基礎ブロック
TWM590168U (zh) 一種設備基座
JP6015089B2 (ja)
JP2006152661A (ja) 法枠の中詰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