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064B1 - 돌망태 - Google Patents

돌망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064B1
KR101897064B1 KR1020170181300A KR20170181300A KR101897064B1 KR 101897064 B1 KR101897064 B1 KR 101897064B1 KR 1020170181300 A KR1020170181300 A KR 1020170181300A KR 20170181300 A KR20170181300 A KR 20170181300A KR 101897064 B1 KR101897064 B1 KR 101897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led
mesh
membrane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인수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17018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망에 의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망본체; 상기 망본체의 수납공간에 충진되는 채움재; 상기 망본체를 감싸면서 금속망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는 형상변형방지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망태{The gabion}
본 발명은 채움재에 의한 배부름 등 형상변형이 제어되어 공장제작에 의한 현장적용성이 높으며 사후적인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 등에 옹벽이나 호안의 경사면 보호를 위한 구조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구조로서 돌망태의 적층 조립에 의한 구조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돌망태에 대해 다양한 종래기술이 존재하는 바,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19302호에서는 외관을 형성하고, 철사 또는 철근을 격자형상으로 엮어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부재; 및 상기 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골재가 채워질 수 있는 다면체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재를 형성하는 2개의 철사 또는 철근이 그 내부에 삽입되는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의 양단에서 적어도 상기 철사 또는 철근의 직경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결편에 대하여 탄성 변형하며, 그 선단의 간격이 상기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저부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2개의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돌망태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돌망태의 경우 시공중 또는 시공 후 채움재의 불균일한 하중의 작용에 의해 중앙부 등에 배부름 등 형상변형이 발생되고 이러한 형상변형은 시공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고 적층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물의 건전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193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중 또는 시공 후에 형상변형이 제어될 수 있는 돌망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돌망태는 금속망에 의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망본체; 상기 망본체의 수납공간에 충진되는 채움재; 상기 망본체를 감싸면서 금속망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는 형상변형방지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채움재는 포대에 충진되어 상기 포대가 상기 망본체의 수납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포대의 외주연에는 다방향으로 상기 포대를 감싸는 보강용띠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포대는 외막과 상기 외막과 이격이 형성되는 내막의 이중막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외막과 상기 내막 사이에는 트러스구조를 가진 연결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접합면에 위치하는 돌망태에 있어서, 접합면과 대향하는 금속망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몸체줄과 상기 몸체줄 외주연에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사를 포함하는 유실방지줄이 하나 이상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망태는 충진재에 의한 배부름 등 형상변형이 방지되어 공장제작 또는 현장제작에 의해 해저, 옹벽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돌망태는 토사, 해저면 등 접합면에 토사 등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형상변형방지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포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포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돌망태(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망(111)에 의해 내부에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는 망본체(11); 상기 망본체(11)의 수납공간(112)에 충진되는 채움재(12); 상기 망본체(11)를 감싸면서 금속망(111)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는 형상변형방지줄(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돌망태(1)는 공장제작에 의해 제작되어 현장에서 돌망태(1)의 적층에 의해 옹벽 등의 구조물이 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망본체(11)에 채움재(12)를 충진한 후 형상변형방지줄(13)을 체결하여 구조물을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망본체(11)는 하부, 측부, 상부 각각 금속망(111)에 의해 수납공간(112)을 형성하며 폐쇄된 구조로 각각의 금속망(11)은 철선들을 엮어 만든 철망으로 되어 있으며, 6개의 금속망(111)에 의해 육면체 형상의 망본체(11)가 제시된다.
상기 채움재(12)는 상기 망본체(11)의 수납공간(112)에 채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채움재(12)는 하중에 의해 돌망태(1)가 고정이 될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더라도 무방하나, 환경문제를 야기시키지 않고 또한 조달이 용이한 자갈이나 잡석 등의 다수의 석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본체(11)에 있어 각각 금속망(111)은 다양한 결합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구의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U자형의 몸체를 가지는 고리부재와, 그 고리부재에 체결되는 걸쇠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방지줄(13)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망본체(11)를 감싸도록 하는 구성으로 특히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본체(11)의 각 중앙부를 가압토록 하여 망본체(11)의 각 중앙부에서 형성될 수 있는 채움재(12)에 의한 배부름 현상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변형방지줄(13)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망본체(11)에 형상변형방지줄(13)을 외측으로 안치하고 상기 망본체(11)에 채움재(12)를 충진한 후 망본체(11)를 중앙부에서 감싸면서 가압토록 체결하여 1개의 돌망태(1)가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서는 형상변형방지줄(13)의 일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끝단에 체결구(131)가 구성되도록 하여 유닛화 된 형상변형방지줄(13)을 망본체(11)의 크기에 맞게 조립하여 사용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움재(12)를 포대(14)에 충진하여 상기 포대(14)가 상기 망본체(111)의 수납공간(112)에 충진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대(14)에 토사 등으로 구성된 채움재(12)를 충진하여 이렇게 채움재(12)가 충진된 포대(14)를 망본체(11)에 충진되도록 하는 것으로 채움재(12)의 불균일에 의한 망본체(11)의 형상변형을 상기 형상변형방지줄(13)에 더해 포대(14)에 의해 이를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포대(14)는 폴리머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대(14)에 채움재(12)를 충진한 후 포대(14)를 봉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는 바, 그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대(14)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포대몸체(141)와 상기 포대몸체(141) 외주연에 다방향으로 상기 포대몸체(141)를 감싸는 보강용띠(142)가 구성되도록 하여 채움재(12)가 채워진 포대(14) 자체의 형상변형도 제어되도록 한다.
그런데 복수의 포대(14)가 충진된 돌망태(1)의 조립시공후 해저에서는 물살, 옹벽에서는 하중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충진된 포대(14) 간 마찰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마찰이 누적되는 경우 포대(14) 찢김에 의해 포대(14)로부터 충진재(12)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가 도 5에서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포대(14, 포대몸체(14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막(141-2)과 상기 외막(141-2)과 이격이 형성되는 내막(141-1)의 이중막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외막(141-2)과 상기 내막(141-1) 사이에는 트러스구조를 가진 연결부(141-3)가 구성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포대몸체(141)가 구성됨으로써 외막(141-2), 연결부(141-3) 및 내막(141-1)의 구조자체에 의해서도 강성이 커지는 것이며 특히 시공후 포대(14)간 마찰 등에 의해 포대몸체(141)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트러스구조를 가진 연결부(141-3)가 스프링 작용을 통해 이러한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포대몸체(141)의 찢김 등 하자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돌망태(1)의 조립에 의해 해저에서 모래유실 제어구조물, 옹벽 등이 축조되는데 돌망태(1)와 해저, 지반 등 접합면(J)에서는 돌망태(1)의 채움재(12) 간에 형성된 간극에서 해수, 지하수 등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며 이러한 와류에 의해 접합면(J)에서 해저토사, 지반토사 등이 유실됨으로써 접합면(J)에서 돌망태(1)와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부는 돌망태(1)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의 건전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접합면(J)에서 해저토사, 지반토사 등이 유실됨을 제어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 6 및 도 7에서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접합면(J)에 위치하는 돌망태(1)에 있어서, 접합면(J)과 대향하는 금속망(111)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몸체줄(151)과 상기 몸체줄(151) 외주연에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사(152)를 포함하는 유실방지줄(15)이 하나 이상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본체(11) 중 해저, 지반 등 접합면(J)에 접하는 금속망(111)에 유실방지줄(15)이 하나 이상 구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망(111)의 양단에 몸체줄(151)을 고정시켜 몸체줄(151)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출사(152)가 접합면(J) 부분의 채움재(12) 간에 형성되는 간극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줄(151)은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몸체줄(151)의 외주연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돌출사(152)는 탄성이 있는 재질이 사용되어 채움재(12) 간 간극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실방지줄(15)의 작동예가 도 7에 도시되고 있는 바, 도 7은 본 발명의 돌망태(1)가 옹벽의 적층에 적용된 예를 상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옹벽과 지반(g)이 접하는 접합면(J)에 위치한 돌망태(1)들의 금속망(111)에 유실방지줄(15)이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유실방지줄(15)은 각각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지하수, 빗물의 흐름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합면(J)에서 채움재(12) 간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이러한 간극에는 상기 돌출사(152)가 위치하게 되어 간극에서 발생되는 지하수의 와류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유실방지줄(15)의 작용에 의해 옹벽으로서 축조된 돌망태(1)와 지반(g) 간의 접합면(J)에서 부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1 : 망본체 12 : 채움재
13 : 형상변형방지줄

Claims (5)

  1. 금속망에 의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망본체;
    상기 망본체의 수납공간에 충진되는 채움재;
    상기 망본체를 감싸면서 금속망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는 형상변형방지줄; 및
    해저 또는 지반과 접하게 되는 망본체의 접합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실방지줄;을 포함하되,
    상기 유실방지줄은,
    상기 접합면과 대향하는 금속망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몸체줄과, 탄성 재질로 상기 몸체줄 외주연에 상기 채움재 간 간극에 위치하도록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포대에 충진되어 상기 포대가 상기 망본체의 수납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의 외주연에는 다방향으로 상기 포대를 감싸는 보강용띠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외막과 상기 외막과 이격이 형성되는 내막의 이중막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외막과 상기 내막 사이에는 트러스구조를 가진 연결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5. 삭제
KR1020170181300A 2017-12-27 2017-12-27 돌망태 KR101897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300A KR101897064B1 (ko) 2017-12-27 2017-12-27 돌망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300A KR101897064B1 (ko) 2017-12-27 2017-12-27 돌망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064B1 true KR101897064B1 (ko) 2018-09-12

Family

ID=6359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300A KR101897064B1 (ko) 2017-12-27 2017-12-27 돌망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0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5013A (en) * 2020-05-14 2021-11-17 Shore Defence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rosion prevention
WO2022234275A1 (en) 2021-05-07 2022-11-10 Shore Defence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round stabilisation
US11773554B2 (en) 2020-05-14 2023-10-03 Shore Defence Limited Erosion preven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342A (ja) * 1995-07-26 1997-02-10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海浜の安定化構造
KR101019302B1 (ko) 2010-06-25 2011-03-07 홍완표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KR20110118532A (ko) *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아이애드피앤에스 재활용이 용이한 안전봉투
KR101512721B1 (ko) * 2014-10-08 2015-04-17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블록
KR101710983B1 (ko) * 2016-06-28 2017-02-28 박미정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342A (ja) * 1995-07-26 1997-02-10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海浜の安定化構造
KR20110118532A (ko) *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아이애드피앤에스 재활용이 용이한 안전봉투
KR101019302B1 (ko) 2010-06-25 2011-03-07 홍완표 돌망태, 돌망태 제작방법 및 돌망태를 사용한 공사방법
KR101512721B1 (ko) * 2014-10-08 2015-04-17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블록
KR101710983B1 (ko) * 2016-06-28 2017-02-28 박미정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5013A (en) * 2020-05-14 2021-11-17 Shore Defence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rosion prevention
WO2021229205A1 (en) 2020-05-14 2021-11-18 Shore Defence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rosion prevention
GB2595013B (en) * 2020-05-14 2022-06-08 Shore Defence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rosion prevention
US11773554B2 (en) 2020-05-14 2023-10-03 Shore Defence Limited Erosion prevention
WO2022234275A1 (en) 2021-05-07 2022-11-10 Shore Defence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round stabili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064B1 (ko) 돌망태
US4019301A (en) Corrosion-resistant encasement for structural members
JP5007312B2 (ja) 地中構造物および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JP5826338B1 (ja) 蛇篭用連結装置
JP4174359B2 (ja) 部材間の止水連結構造
KR101884115B1 (ko) 돌망태
JP2005264556A (ja) コンクリート中詰め鉄鋼製セグメントおよびトンネルの一次覆工体
JP2006249721A (ja) 二重可撓継手の取付構造
KR101320455B1 (ko) 다중 포장되고 망눈이 보강된 돌망태
JP2007211545A (ja) 目地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436712B2 (ja) 目地材の取付構造
KR100719355B1 (ko) 옹벽용 개비온
JP5997093B2 (ja) 構造物荷重による地盤の液状化対策構造
JP2021143576A (ja) 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セグメント
US20140233867A1 (en) Abrasion-resistible geotextile container
JP6595888B2 (ja) ソイルミキシングウォールと鋼矢板の接続構造体
JP7254040B2 (ja) 河川構造物における洗掘抑制方法、及び、洗掘抑制構造
JP2006249659A (ja) 地盤補強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63852B2 (ja) 地下貯水槽における貯水構造および貯水工法
JP2594501B2 (ja) 暗渠の継手
KR101984466B1 (ko) 내진형 이음관 보강재
KR101988417B1 (ko) 돌망태 블록
KR200401469Y1 (ko) 지수재
JP6920177B2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
JP3022355B2 (ja) 地下構造物の継手における土砂侵入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