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940Y1 -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940Y1
KR200407940Y1 KR2020050031379U KR20050031379U KR200407940Y1 KR 200407940 Y1 KR200407940 Y1 KR 200407940Y1 KR 2020050031379 U KR2020050031379 U KR 2020050031379U KR 20050031379 U KR20050031379 U KR 20050031379U KR 200407940 Y1 KR200407940 Y1 KR 200407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vegetation
root
greening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희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희 filed Critical 김윤희
Priority to KR2020050031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 가능한 토낭들 사이에 연결부재를 위치시키고 토낭들을 적층하여 옹벽구축하는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연결부재(20a)(20b)의 평판재(22a)(22b)에 다수개의 뾰족한 원뿔형 돌출부(26)들을 구비하고, 원뿔형 돌출부(26)들 사이 사이에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들이 형성되게 연결부재(20)를 구성함으로써 토낭(12)에 식생 및 녹화된 식물(30)들의 뿌리(32)가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을 관통하여 적층된 다른 토낭이나 배면토로 뻗어지도록 구성한다.
토낭, 연결부재, 뿌리관통공

Description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VEGETATED RETAINING STRUCTURE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종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표준형 연결부재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보강형 연결부재의 측단면도,
도 6은 한개층의 토낭들과 그 위에 위치된 연결부재 사시도,
도 7은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전단면도,
도 8은 기존 RC옹벽에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을 설치한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일부 확대도,
도 10은 경사면에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을 설치한 종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경사면형 연결부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옹벽구조물 14: 토낭
20a,20b: 연결부재 22a,22b: 평판재
24: 뿌리관통공 26: 원뿔형 돌출부
30: 식물 32: 뿌리
44: 연결줄
본 고안은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고속도로나 철도의 비탈과 제방을 지지하고 방음벽을 지지하는 등 매우 다양한 토목공학 및 조경 응용 예들에 이용되고 있다.
요즈음에는 친환경성을 강조하여 시멘트 및 철근 콘크리트 등과 같은 환경에 유해한 요소를 가능한한 사용치 않고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71265호(공개일: 2000.11.25.) "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벽 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이 있다.
공개특허 제2000-71265호는 시멘트 및 철근 콘크리트 등의 환경에 유해한 요소를 거의 사용치 않고도 옹벽의 내구성과 외관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공개특허 제2000-71265호와 같은 종래기술은 적층된 상층부의 흙자루와 하층부의 흙자루가 그 사이에 위치하며 양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에 의해서만 지지 고정되어 있어 그 지지력이 다소 떨어진다. 또 상기의 종래기술은 흙자루들로 축조된 옹벽 뒷편에 채워지는 백필(back fill)과 옹벽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지오그리드 시트(geogrid sheet)의 종단 구멍을 연결부재의 돌출부에 끼워 넣어 주는데, 이러한 구조는 연결부재의 뽀족한 돌출부가 지오그리드 시트를 충분히 강력하게 잡아주질 못한다. 특히 기존 RC(reinforced concrete)옹벽에 녹화용으로 옹벽구조물을 보강설치할 경우 RC연결부재의 돌출부로만으로는 기존 RC옹벽에 설치된 앵커볼트에 매여진 연결줄에 의해 지지받는 것이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옹벽구조물의 고정력과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유연성과 구조적 내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녹화가 가능한 식생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체가 생명력을 가지는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기존 RC옹벽에 설치된 앵커볼트에 매여진 연결줄에 의해 지지받는 구조의 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식생 가능한 토낭들 사이에 연결부재를 위치시키고 토낭들을 적층하여 옹벽구축하는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연결부재(20a)(20b)의 평판재(22a)(22b)에 다수개의 뾰족한 원뿔형 돌출부(26)들을 구비하고, 원뿔형 돌출부(26)들 사이 사이에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들이 형성되게 연결부재(20)를 구성함으로써 토낭(12)에 식생 및 녹화된 식물(30)들의 뿌리(32)가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을 관통하여 적층된 다른 토낭이나 배면토로 뻗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종단면도로서, 녹화용 식생옹백 구조물(10)에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들(20a)(20b)중 연결부재(20b)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면(12)에 축조된 식생옹벽 구조물(10)은 수평으로 쌓인 토낭(14)들을 적층시켜 구성하되, 하층부의 토낭(14)과 상층부의 토낭(14) 사이에 연결부재(20b)를 위치시켜 상하층부 토낭(14)들이 지지 고정되게 하고, 층들 중간중간에는 지오그라드 시트(18)를 적층된 토낭(14)들 사이에 위치된 연결부재(20b)에 고정시켜 배면토(back fill)(16)내에 수평하게 후방으로 뻗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20a)(20b)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연결부재(20a)(20b)의 평판재(22a)(22b)에는 다수개의 뾰족한 원뿔형 돌출부(26)들이 구성됨과 아울러 원뿔형 돌출부(26)들 사이 사이에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들이 형성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도 2의 (A)는 표준형 연결부재(20a)의 평면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표준형 연결부재(20a)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의 (A)는 보강형 연결부재(20b) 의 평면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보강형 연결부재(20b)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연결부재(20a)(20b)의 평판재(22a)(22b)에 형성된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들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일 예에서와 같이, 토낭(14)에 식생된 식물(30)들의 뿌리(32)가 뿌리관통공(24)들을 관통하여 하층부 또는 그 상층부의 토낭(14)내 또는 적층된 옹벽구조물(10)의 배면토(16)에까지 뻗어 가도록 해준다.
도 2의 연결부재(20a)는 표준형 연결부재이다. 표준형 연결부재(2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의 토낭(14)들 간에 얹어놓고 그후 상부층의 토낭을 적층시키도록 하여줌으로써 옹벽구조물(10)의 좌우측 및 상하층의 토낭(14)들을 상호 결속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11의 연결부재(20c)는 경사면형 연결부재로서, 도 2의 표준형 연결부재(20a)와 같은 두개의 연결판재(60)(62)를 다수의 브릿지편(64)들로 연결 지지되게 일체형 구성한 것이다. 도 11의 경사면형 연결부재(20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사면부나 하천 사면부 등과 같이 경사면에 옹벽을 구축시에는 상하층부의 토낭(14)들을 서로 결속시킴과 동시에 토낭(14)과 하층부 토낭(14)배면의 계단형 상부 지표면(50)과도 결속되게 해준다.
도 3의 연결부재(20b)는 보강형 연결부재이다. 보강형 연결부재(2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구조물(10)의 좌우측 및 상하층의 토낭(14)들을 상호 결속하는 동시에 배면토(16)를 보강하는 지오그리드 시트(18)의 구멍을 고리걸림 연결되게 해주며,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 보강옹벽(40)의 앵커볼트(42) 에 매여진 연결줄(44)이 걸림편(28)에 고리걸림 연결되게 해준다.
도 2 및 도 3에 있어, 연결부재(20a)(20b)의 평판재(22a)(22b)에 형성된 뿌리 관통공(24)은 그 직경이 20mm ∼ 30mm정도이고, 갯수는 3개 내지 6개 정도로서, 원뿔형 돌출부(26)들이 형성되지 않은 평판재(22a)(22b) 위치에 형성되고 평판재(22a)(22b)의 전체 면적의 5% ∼ 15%정도를 차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표준형 연결부재(20a)는 가로*세로가 예컨대, 286mm*100mm 정도이고 두께 t가 2mm정도로서, 대체로 세로변이 좁은 직사각형 구조를 가진다. 표준형 연결부재(2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이고, 무게는 50g ∼ 70g 정도이다.
도 2의 평판재(22a)의 상부면(23a)에는 3개의 원뿔형 돌출부(26)들이 가로방향으로 대체로 중앙부에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게 구성하고, 평판재(22a)의 하부면(25a)에는 4개의 원뿔형 돌출부(26)들이 가로방향으로 이렬로 나란히 배치하되, 평판재(22a)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에 대칭 위치되게 구성한다. 각 원뿔형 돌출부(26)는 원뿔각이 25°∼ 35°정도이고 높이 h는 20mm정도가 되게 구성함으로써, 토낭 적층시 토낭(14)을 구성하는 부직포를 뚫고 토낭속으로 깊게 침투하도록 해준다.
도 2의 표준형 연결부재(20a)의 일예에서는, 평판재(22)에서 원뿔형 돌출부(26)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뿌리 관통공(24)들을 4개 형성하여 줌으로써 식생된 식물들이 뿌리 관통공(24)들을 관통하여 하층부 또는 그 상층부의 토낭(14)내 또는/및 적층된 옹벽구조물(10)의 배면토(16)에까지 뻗어 가도록 해준다.
도 4에서는 도 2의 연결부재(20a)를 A-A'로 절단한 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 다.
도 3의 보강형 연결부재(20b)는 가로*세로가 예컨대, 286mm*160mm 정도이고 두께 t가 2mm정도인 직사각형 구조를 가진다. 도 3의 보강형 연결부재(20b)는 도 2의 표준형 연결부재(20a)의 후미측을 확장시켜 후미 상부면상에 3개의 갈고리형 걸림편(28)들을 형성시켜 놓은 구조이다. 그에 따라 도 3의 평판재(22b)의 선측 상부면(23b)에는 3개의 원뿔형 돌출부(26)들이 가로방향으로 선측부에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고, 후미 상부면에는 3개의 갈고리형 걸림편(28)들이 나란히 배치된다. 갈고리형 걸림편(28)에는 배면토(16)를 보강하는 지오그리드 시트(18)의 구멍이나 기존보강옹벽(40)의 앵커볼트(42)에 매여진 연결줄(44)이 고리걸림된다.
평판재(22b)의 하부면(25b)에는 5개의 원뿔형 돌출부(26)들이 가로방향으로 이렬로 나란히 배치되게 구성한다. 원뿔형 돌출부(26)들은 표준형 연결부재(20a)와 마찬가지로 원뿔각이 25°∼ 35°정도이고 높이 h는 20mm정도이다.
도 5에서는 도 3의 보강형 연결부재(20b)의 측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보강형 연결부재(20b)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이고, 무게는 90g ∼ 100g 정도가 적당하다.
도 11의 경사면형 연결부재(20c)에서, 제1 연결판재(60)는 도 2의 표준형 연결부재(20a)와 구성이 동일하며, 제2 연결판재(62)는 도 2의 표준형 연결부재(20a)의 구성 요소를 그대로 가지게 구성하되 세로폭이 대략 표준형 연결부재(20a)의 절반정도(약 80∼90mm 정도)가 되도록 하며, 약 20mm폭의 가지는 3개의 브릿지편(64)은 제1 연결판재(60)와 제2 연결판재(62)간을 일체형으로 연결되게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경사면형 연결부재(20c)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사면부나 하천 사면부 등과 같이 경사면에 옹벽을 구축시에는, 경사면형 연결부재(20c)의 제1 연결판재(60)가 상층부와 하층부의 토낭(14)들을 결속되게 해주며, 경사면형 연결부재(20c)의 제2 연결판재(62)가 상층부 토낭(14)과 하층부 토낭(14)배면의 계단형 상부 지표면(50)을 결속되게 해준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와 같은 연결부재(20a)(20b)(20c)와 토낭(14)을 이용하여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으며, 구축시 토낭(14)의 내부에 토양과 식물종자를 섞어 채우고 또 토낭(14)의 외부에 종자 살포 또는 삽목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녹화 및 식생이 가능하게한다.
이렇게 옹벽축조 완성 후 식생기반으로서 구조체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으며, 식생 천이 및 발달으로 인해 토낭(14)에 식생된 식물(30)의 뿌리(32)가 연결부재(20a)(20b)의 뿌리 관통공(24)들을 지나 뻗어져 얼키고 설키면서 옹벽구조물의 구조적 강도를 더욱 증가시킴과 아울러 자연적인 경관성도 더욱 돋보이게 해준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옹벽구조물의 고정력과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 고 유연성과 구조적 내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녹화가 가능하게 한다.

Claims (3)

  1. 식생 가능한 토낭들 사이에 연결부재를 위치시키고 토낭들을 적층하여 옹벽구축하는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연결부재(20a)(20b)의 평판재(22a)(22b)에 다수개의 뾰족한 원뿔형 돌출부(26)들을 구비하고, 원뿔형 돌출부(26)들 사이 사이에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들이 형성되게 연결부재(20a)(20b)를 구성함으로써 토낭(12)에 식생 및 녹화된 식물(30)들의 뿌리(32)가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을 관통하여 적층된 다른 토낭이나 배면토로 뻗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b)의 평판재(22b)의 후미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갈고리형 걸림편(28)들을 구비시켜, 배면토(16)를 보강하는 지오그리드 시트(18)의 구멍이나 기존보강옹벽(40)의 앵커볼트(42)에 매여진 연결줄(44)이 고리형 걸림편(28)에 고리걸림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3. 식생 가능한 토낭들 사이에 연결부재를 위치시키고 토낭들을 적층하여 옹벽구축하는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연결부재(20c)의 제1,제2 연결판재(60)(62)에 다수개의 뾰족한 원뿔형 돌출 부(26)들을 구비하고, 원뿔형 돌출부(26)들 사이 사이에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들이 형성되게하고, 제1 연결판재(60)와 제2 연결판재(62)를 브릿지편(64)들로 연결지지해 일체형으로 경사면형 연결부재(20c)를 구성함으로써 토낭(12)에 식생 및 녹화된 식물(30)들의 뿌리(32)가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24)을 관통하여 적층된 다른 토낭이나 배면토로 뻗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KR2020050031379U 2005-11-04 2005-11-04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KR200407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79U KR200407940Y1 (ko) 2005-11-04 2005-11-04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79U KR200407940Y1 (ko) 2005-11-04 2005-11-04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669A Division KR20070048511A (ko) 2005-11-04 2005-11-04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940Y1 true KR200407940Y1 (ko) 2006-02-07

Family

ID=4448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379U KR200407940Y1 (ko) 2005-11-04 2005-11-04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940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196B1 (ko) 2005-12-09 2006-06-28 극동엔지니어링(주) 도로 경사면의 잔디 식생 블록
KR100753958B1 (ko) * 2007-05-31 2007-09-04 김학은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KR100852971B1 (ko) * 2007-05-18 2008-08-19 한창모 옹벽 축조용 토낭 연결 부재
KR100885909B1 (ko) * 2008-03-17 2009-03-06 토우산업 주식회사 토목 섬유망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옹벽 및 이 시공 방법
KR100976912B1 (ko) 2008-06-03 2010-08-18 윤위석 조경 및 흙막이 축조공법
KR101014694B1 (ko) * 2008-03-06 2011-02-15 류재용 방재구조물 고정장치
KR101217154B1 (ko) 2010-04-16 2012-12-31 김현광 지오그리드
KR101295331B1 (ko) 2011-05-06 2013-08-27 도일산업 주식회사 토사백 연결구
KR101711210B1 (ko) * 2016-07-12 2017-03-03 (주)우연산림산업 토낭 연결 조립체
KR20210022295A (ko) * 2019-08-20 2021-03-03 김헌수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196B1 (ko) 2005-12-09 2006-06-28 극동엔지니어링(주) 도로 경사면의 잔디 식생 블록
KR100852971B1 (ko) * 2007-05-18 2008-08-19 한창모 옹벽 축조용 토낭 연결 부재
KR100753958B1 (ko) * 2007-05-31 2007-09-04 김학은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KR101014694B1 (ko) * 2008-03-06 2011-02-15 류재용 방재구조물 고정장치
KR100885909B1 (ko) * 2008-03-17 2009-03-06 토우산업 주식회사 토목 섬유망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옹벽 및 이 시공 방법
KR100976912B1 (ko) 2008-06-03 2010-08-18 윤위석 조경 및 흙막이 축조공법
KR101217154B1 (ko) 2010-04-16 2012-12-31 김현광 지오그리드
KR101295331B1 (ko) 2011-05-06 2013-08-27 도일산업 주식회사 토사백 연결구
KR101711210B1 (ko) * 2016-07-12 2017-03-03 (주)우연산림산업 토낭 연결 조립체
KR20210022295A (ko) * 2019-08-20 2021-03-03 김헌수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34837B1 (ko) * 2019-08-20 2021-12-03 김헌수 옹벽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940Y1 (ko)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CA2017578C (en) Embankment reinforcing structures
AU2011223600B2 (en) Retaining wall
KR100924933B1 (ko)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EP2169118B1 (en) Earth-supported structure with fasteners
US20070036615A1 (en) Freestanding wall structures made using sandbags
US20070110522A1 (e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sandbags
KR20070048511A (ko)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KR100753958B1 (ko)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CN206110147U (zh) 一种边坡植生袋生态防护结构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CN104674765B (zh) 一种内嵌陶粒的自锁生态混凝土沟渠护坡
CN208578001U (zh) 新型生态型河道挡土墙系统
KR20140123351A (ko) 식생토낭용 연결판
US20130011208A1 (en) Retaining wall systems with sandbag attachment members
CN215715389U (zh) 一种护坡种植一体化的抗冲生态护坡砖及系统
KR101700881B1 (ko) 식생토낭용 결속판
KR100927819B1 (ko) 토낭 축조식 옹벽 구축용 연결 패널
JP2023544968A (ja) 擁壁構造物
KR200376814Y1 (ko) 원지반 식생용 옹벽블록유닛
KR100946224B1 (ko) 전면식생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20130050408A (ko) 식생토낭과 결합한 식생호안블록과 그 시공방법
CN220888497U (zh) 一种抗径流抗侵蚀生态防护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