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620A -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 Google Patents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620A
KR20200009620A KR1020180084219A KR20180084219A KR20200009620A KR 20200009620 A KR20200009620 A KR 20200009620A KR 1020180084219 A KR1020180084219 A KR 1020180084219A KR 20180084219 A KR20180084219 A KR 20180084219A KR 20200009620 A KR20200009620 A KR 20200009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vegetation block
plate assembly
binding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206B1 (ko
Inventor
박미정
김창환
Original Assignee
박미정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정, 김창환 filed Critical 박미정
Priority to KR102018008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2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는: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양측 단부에는 어느 한 곳에 고정 말뚝이 끼워지도록 복수의 끼움공이 천공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쐐기; 상기 몸체의 단변 측 중심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배수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몸체의 상면이 평탄해지도록 상기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일정간격마다 나란하게 천공 형성된 배수 커버; 및, 상기 몸체의 후방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배수부에 안착 설치되도록 구비된 집속 다발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결속판의 결속력이 강화되어 시공의 내구성이 강화되고 시공 사면의 안정성도 보강되도록 할 수 있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fixing and draining plate assembly for constructing vegetation block}
본 발명은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등과 같은 사면에 대한 녹화로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의 녹화공간 창출을 위한 경계블록 용도 등 도심 환경정비에 유용한 식생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및 도로공사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집합건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자연 토층과 바위로 이루어진 지반을 절토하거나 기초지반 위에 성토를 취하는 공사를 하게 되면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의 일정 부위를 절개하여 개설면을 평지화하고, 나머지 부분은 절토 사면이나 성토 사면 등과 같은 사면이 생기게 되며, 또한 집중호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도 훼손된 경사면의 일정 부위를 깎아내고, 그 부분에 사면을 조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되는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사면은 연약한 지표면으로 되기 때문에 연약한 사면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계절 변화에 따르는 해빙기나 호우시 사면의 식생토가 쉽게 흘러내리면서 물골이 생겨서 더욱 취약하게 되거나 유실될 우려가 높으며, 심할 경우에는 사면 표면이 붕괴되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히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면의 표면에 별도의 보호구조물을 설치하고 초목을 식생토록 하여 녹화함으로써 사면의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경사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초목 식생면의 붕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이렇게 도로를 시공하기 위한 도로 토공 과정에서 노상면을 정형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바위로 이루어진 지반을 절토한 이후에는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생토, 코아네트, 소일 레일링, 낙석 방지망 등과 같은 구조물을 이용하거나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보호하고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판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52971호(2008년08월12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판에 의하면, 결속판의 결속력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시공의 내구성이 취약해지고 시공 사면의 안정성도 취약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판에 의하면,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는 구조가 별도로 없기 때문에 비가 내리면 부식된 블록 안의 토사를 그냥 쓸고 내려가게 되어 시공 사면의 붕괴가 더욱 쉽게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52971호(2008년08월12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결속판의 결속력이 강화되어 시공의 내구성이 강화되고 시공 사면의 안정성도 보강되도록 할 수 있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가 많이 오게 되더라도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여 시공 사면의 붕괴가 더욱 확실히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는: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양측 단부에는 어느 한 곳에 고정 말뚝이 끼워지도록 복수의 끼움공이 천공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쐐기; 상기 몸체의 단변 측 중심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배수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몸체의 상면이 평탄해지도록 상기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일정간격마다 나란하게 천공 형성된 배수 커버; 및, 상기 몸체의 후방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배수부에 안착 설치되도록 구비된 집속 다발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쐐기는 각각 화살촉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양측 하부에는 게비온의 철망이 걸리도록 걸림 쐐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는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상기 고정쐐기에 걸려 끼워지는 지오 그리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속판의 결속력이 강화되어 시공의 내구성이 강화되고 시공 사면의 안정성도 보강되도록 할 수 있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가 많이 오게 되더라도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식생블록 내부의 토사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며 시공 사면의 붕괴가 더욱 확실히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와 지오 그리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의 측면도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에 집속 다발 배수관이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 3의 “A”영역의 확대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의 집속 다발 배수관의 정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에 의해 시공되는 식생블록과 게비온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에 의해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식생블록들이 시공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양측 단부에는 어느 한 곳에 고정 말뚝(20)이 끼워지도록 복수의 끼움공(110)이 천공 형성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쐐기(120)와, 몸체(100)의 단변 측 중심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배수부(130)와, 배수부(130)의 상부를 덮어 몸체(100)의 상면이 평탄해지도록 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는 다수의 배수공(210)이 일정간격마다 나란하게 천공 형성된 배수 커버(200)와, 몸체(100)의 후방을 통해 연결되어 배수부(130)에 안착 설치되도록 구비된 집속 다발 배수관(3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고정쐐기(120)에 식생블록(10) 또는 식생블록(10)이 내부에 수용된 게비온(11)이 걸리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속판의 결속력이 강화되어 시공의 내구성이 강화되고 시공 사면의 안정성도 보강되도록 할 수 있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단변 측 중심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배수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식생블록(10)이 시공된 시공 사면의 배수도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에 의해 시공되는 식생블록(10)은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도록 합성섬유 사로 마련된 블록 백의 내부에 식생용 토양이 채워져 마련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록(10)은 철망으로 육면체의 외관을 이루도록 마련된 게비온(11)의 내부에 수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에 의해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하나의 식생블록(10)은 하나의 게비온(11)의 내부에 1:1로 대응되게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게비온(11)의 내부에는 복수의 식생블록(10)이 수용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에 의해 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몸체(100)의 끼움공(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배수부(130)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복수 개로 천공 형성된다.
고정쐐기(12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화살촉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양측 하부에는 게비온(11)의 철망이 걸리도록 걸림 쐐기(1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쐐기(120)의 형상이 화살촉 모양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상하로 쌓아 올려지는 식생블록(10)들의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가 배치되어 식생블록(10)들의 시공 상태가 결속되도록 식생블록(10)의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를 놓고 그 위에 또 다른 식생블록(10)을 시공하여 고정쐐기(120)에 식생블록(10)의 블록 백이 일단 한번 박히게 되면 식생블록(10)의 블록 백은 고정쐐기(120)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식생블록(10)들이 상하로 시공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결속할 수 있으며, 고정쐐기(120)의 하부에는 걸림 쐐기(121)가 형성되어 게비온(11)의 철망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게비온(11)과 그 내부에 수용된 식생블록(10)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로부터 위치가 변위 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식생블록(10)이 시공된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록(10)들을 결속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가 시공된 상태에서 배수부(130)는 몸체(100)의 중심부에 정 단면상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식생블록(10)에서 새어 나오는 물이 시공 사면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130)는 몸체(100)에 일체형이 아닌 착탈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게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배수 커버(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130)의 상부를 덮으며 몸체(100)의 상면과 일치되게 평탄해 지도록 평면상 배수부(130)의 형상에 대응되게 장방형 형상을 갖는 판상체로 마련된다.
집속 다발 배수관(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 단면상 대략 ‘S’자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맹배수 공법(盲排水 公法)에 의해 집수구의 막힘이 없이 식생블록(10)이나 절개면 또는 경사면을 이루는 흙속의 물이 배수부(130)를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비가 많이 오게 되더라도 집속 다발 배수관(300)과 배수부(130)에 의해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식생블록(10) 내부의 토사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며 시공 사면의 붕괴가 더욱 확실히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속 다발 배수관(300)의 내측에는 물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촉진하는 모세관부(310)가 상호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고, 외측에는 집속 다발 배수관(300)이 배수부(130)에 연결될 때에 몸체(100)에 밀착되어 변위가 최소화 되도록 하는 지지 돌기부(320)가 상하좌우로 상호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속 다발 배수관(300)은 배수부(130)에 하나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배수부(130)에는 복수 개의 집속 다발 배수관(300)이 다발의 형태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는 몸체(10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고정쐐기(120)에 걸려 끼워지는 지오 그리드(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의 몸체(100)와 식생블록(10) 또는 게비온(11)의 사이에는 지오 그리드(400)가 더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블록(10) 또는 게비온(11)을 본 발명에 따른 지오 그리드(400)로 잡아주게 되어 식생블록(10)에 찢어진 부분이 일부 있더라도 식생블록(10) 내부의 토사가 외부로 유출되어 탈락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지오 그리드(400)는 일부 영역만을 도시한 것이고, 지오 그리드(400)를 대신하여 몸체(10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의 고정쐐기(120)에는 보강 포대 등과 같은 토목용 보강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는 집속 다발 배수관(300)과 배수부(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집속 다발 배수관(300)이 몸체(100)의 배수부(130)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관 커넥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수관 커넥터(500)에 의해 집속 다발 배수관(300)이 배수부(130)에 손쉽고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에 의한 식생블록(10)의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식생블록(10)의 시공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상면과 하면에는 식생블록(10)과의 사이에 강력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접착력이 작용하도록 탄소 나노 공정처리된 복수의 강모(剛毛)들을 포함하는 반데르발스 접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블록(10)들의 사이에 개재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와 식생블록(10)들의 사이에 반데르발스 접착력이 강하게 작용되어 식생블록(10)들이 시공된 상태가 변형됨이 없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110 : 끼움공
120 : 고정쐐기 121 : 걸림 쐐기
130 : 배수부 200 : 배수 커버
210 : 배수공 300 : 집속 다발 배수관
400 : 지오 그리드

Claims (3)

  1.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양측 단부에는 어느 한 곳에 고정 말뚝이 끼워지도록 복수의 끼움공이 천공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쐐기;
    상기 몸체의 단변 측 중심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배수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몸체의 상면이 평탄해지도록 상기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일정간격마다 나란하게 천공 형성된 배수 커버; 및
    상기 몸체의 후방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배수부에 안착 설치되도록 구비된 집속 다발 배수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쐐기는 각각 화살촉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양측 하부에는 게비온의 철망이 걸리도록 걸림 쐐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상기 고정쐐기에 걸려 끼워지는 지오 그리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KR1020180084219A 2018-07-19 2018-07-19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KR10216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19A KR102162206B1 (ko) 2018-07-19 2018-07-19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19A KR102162206B1 (ko) 2018-07-19 2018-07-19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20A true KR20200009620A (ko) 2020-01-30
KR102162206B1 KR102162206B1 (ko) 2020-10-06

Family

ID=6932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219A KR102162206B1 (ko) 2018-07-19 2018-07-19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2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194B1 (ko) * 2020-03-30 2020-11-09 박미정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KR102182855B1 (ko) * 2020-03-30 2020-11-25 박미정 토낭 시공용 배수재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KR102309647B1 (ko) * 2020-11-23 2021-10-08 주식회사 신화이엔피 옹벽 시공용 플라스틱 보강부재의 적층 및 배수장치
KR102311276B1 (ko) * 2021-02-24 2021-10-13 주식회사 천윤 배수기능이 향상된 토낭 결속판
KR102363943B1 (ko) * 2021-09-10 2022-02-16 윤윤종 식생토낭용 듀얼유공 배수 결속재 및 그를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공법
KR102383838B1 (ko) * 2021-04-07 2022-04-08 박미정 다발배수관 삽입형 연장이음 결속판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71B1 (ko) 2007-05-18 2008-08-19 한창모 옹벽 축조용 토낭 연결 부재
KR100950778B1 (ko) * 2009-06-23 2010-04-02 그린티스(주) 녹화용 옹벽구조물 설치용 기구
KR20100038949A (ko) * 2008-10-07 2010-04-15 김진아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KR20160107888A (ko) * 2015-03-06 2016-09-19 영원산업 주식회사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71B1 (ko) 2007-05-18 2008-08-19 한창모 옹벽 축조용 토낭 연결 부재
KR20100038949A (ko) * 2008-10-07 2010-04-15 김진아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KR100950778B1 (ko) * 2009-06-23 2010-04-02 그린티스(주) 녹화용 옹벽구조물 설치용 기구
KR20160107888A (ko) * 2015-03-06 2016-09-19 영원산업 주식회사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194B1 (ko) * 2020-03-30 2020-11-09 박미정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KR102182855B1 (ko) * 2020-03-30 2020-11-25 박미정 토낭 시공용 배수재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KR102309647B1 (ko) * 2020-11-23 2021-10-08 주식회사 신화이엔피 옹벽 시공용 플라스틱 보강부재의 적층 및 배수장치
KR102311276B1 (ko) * 2021-02-24 2021-10-13 주식회사 천윤 배수기능이 향상된 토낭 결속판
KR102383838B1 (ko) * 2021-04-07 2022-04-08 박미정 다발배수관 삽입형 연장이음 결속판조립체
KR102363943B1 (ko) * 2021-09-10 2022-02-16 윤윤종 식생토낭용 듀얼유공 배수 결속재 및 그를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206B1 (ko)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206B1 (ko)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JP4695037B2 (ja) 雨水貯留槽
KR102311276B1 (ko) 배수기능이 향상된 토낭 결속판
KR102182855B1 (ko) 토낭 시공용 배수재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KR100902308B1 (ko)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14779B1 (ko)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KR102176194B1 (ko)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KR102219062B1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102383838B1 (ko) 다발배수관 삽입형 연장이음 결속판조립체
KR102176950B1 (ko) 식생블록의 시공방법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KR101023983B1 (ko) 타입식 배수용 측구의 시공 방법
KR102540299B1 (ko) 연장이음형 결속판조립체를 이용한 식생옹벽의 시공방법
JP3668869B2 (ja) 地下貯水槽用積上げ部材
JP4590196B2 (ja) 雨水貯溜槽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287888Y1 (ko) 경사면 보강구조물
KR20050118070A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200258951Y1 (ko)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KR102498033B1 (ko)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KR200334294Y1 (ko) 경사면 보강구조물
KR200262761Y1 (ko) 하천 제방 도로의 콘크리트 블록구조
JP7421835B1 (ja) 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