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294Y1 - 경사면 보강구조물 - Google Patents

경사면 보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294Y1
KR200334294Y1 KR20-2003-0027497U KR20030027497U KR200334294Y1 KR 200334294 Y1 KR200334294 Y1 KR 200334294Y1 KR 20030027497 U KR20030027497 U KR 20030027497U KR 200334294 Y1 KR200334294 Y1 KR 200334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inclined surface
drainage
block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호 filed Critical 윤성호
Priority to KR20-2003-0027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2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면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지반의 전방면에서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형태로 절곡되는 격자구조물의 전면보강체를 연결봉에 의하여 그 후면보강체와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전면보강체를 이루는 가로봉과 세로봉의 사이에 아연도금용접철망을 개재시켜 가로봉과 세로봉 및 아연도금용접철망을 압접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므로서, 격자구조물의 운반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격자구조물의 하단 내측을 통한 토사의 다짐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격자구조물의 하단 내측에서 발생하는 토사의 침하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아연도금용접철망에 의한 식생토의 용이한 취부와 종자의 유실을 방지하여 경사면의 조기녹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경사면 보강구조물은 상기 격자구조물의 내측에 경사면을 따라 연장되는 경사배수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경사배수구조물의 후방측에는 경사배수구조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배수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하므로서, 각 배수구조물에 의한 경사면의 강도보강과 함께 경사면의 표면층 및 그 내부로 유입되는 침투수와 지하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경사배수구조물의 하단부와 수평배수구조물의 후단부에 콘크리트배수로를 설치하므로서 각각의 배수구조물이 콘크리트배수로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다량의 침투수와 지하수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면 보강구조물{Structure for reinforcing slope}
본 고안은 경사면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지반의 전방면에서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형태로 절곡되는 격자구조물의 전면보강체를 연결봉에 의하여 그 후면보강체와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전면보강체를 이루는 가로봉과 세로봉의 사이에 아연도금용접철망을 개재시켜 가로봉과 세로봉 및 아연도금용접철망을 압접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므로서, 격자구조물의 운반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격자구조물의 하단 내측을 통한 토사의 다짐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격자구조물의 하단 내측에서 발생하는 토사의 침하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아연도금용접철망에 의한 식생토의 용이한 취부와 종자의 유실을 방지하여 경사면의 조기녹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경사면 보강구조물은 상기 격자구조물의 내측에 경사면을 따라 연장되는 경사배수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경사배수구조물의 후방측에는 경사배수구조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배수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하므로서, 각 배수구조물에 의한 경사면의 강도보강과 함께 경사면의 표면층 및 그 내부로 유입되는 침투수와 지하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경사배수구조물의 하단부와 수평배수구조물의 후단부에 콘크리트배수로를 설치하므로서 각각의 배수구조물이 콘크리트배수로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다량의 침투수와 지하수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깍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깍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하게 되며,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토사의 성토로 인한 경사면이 조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사를 깍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불안정한 경사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경사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되므로서 번번히 경사면의 복구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상태의 경사면이 붕괴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경사면상에 별도의 보호 및 보강구조물을 설치하므로서 경사면의 표면활동에 따른 붕괴 및 낙석 등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시켜야 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종래의 사면보호 및 보강공법으로는,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식생매트와 철망을 경사면상에 고정시킨 다음 철망을 통하여 점성력이 우수한 녹생토 조성물을 취부시키는 공법과, 다수 개의 가로봉과 세로봉이 일체로 연결된 철봉격자를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형태로 절곡시킨 다음 이 철봉격자를 경사면의 전방측에 적층식으로 시공하는 공법과, 경사면의 표면상에 플라스틱이나 철강 또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각종 블록을 사각이나 육각 등의 형태로 연결시키는 공법과, 천공기를 사용하여 경사면에 일정 깊이의 구멍을 천공시킨 다음 그 구멍에 소일네일과 모르타르를 삽입하여 그라우팅시키는 공법과, 경사면의 전방측에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옹벽의 형식으로 축조하는 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면보호 및 보강공법중 식생매트와 철망을 이용한 공법은 초,목본식물의 생장을 도모하여 경사면의 녹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는 장점은 있느나 경사면의 완전한 녹화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다른 공법에 비하여 경사면의 보호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고, 각종 재질의 블록을 경사면의 표면상에 연결시키도록 한 공법의 경우는 전기한 공법에 비하여 경사면의 보호강도를 다소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우천시 토사유실이 심하여 경사면의 조기녹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그라우팅 공법이나 콘크리트 옹벽 공법의 경우는 다른 공법에 비하여 경사면의 보호 및 보강강도를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경사면상에 초,목본식물의 생장이 불가능하여 환경친화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공에 따른 초기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구조물의 시공후에도 꾸준한 유지보수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철봉격자를 이용한 종래의 경사면 보호공법은 경사면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철봉격자에 의하여 경사면의 강도를 보강시킴과 동시에 철봉격자의 전방벽에 녹화시트를 부착하여 식생토를 취부시키므로서 경사면의 녹화 또한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경사면의 보호공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철봉격자를 이용한 종래의 경사면 보강구조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213625호(1992. 8.4 공개)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사면 보강구조는 가로철봉과 세로철봉으로 이루어지는 철봉격자를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형태로 절곡하여 전면보강체와 후면보강체을 형성시키고, 이와 같이 형성된 철봉격자를 경사면의 전방측에서 경사면의 높이에 맞도록 적층시키되, 전면보강체와 후면보강체를 다수 개의 S"후크로 연결하여 철봉격자의 강도를 보강시키고, 철봉격자의 전면보강체에는 녹화시트를 덮어 그 녹화시트의 전방으로 식생토를 취부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후면보강체의 바닥면 즉, 기초지반의 상면에 보강후리스로서의 부직포가 덮혀지도록 한 다음 철봉격자의 후방으로 토사를 성토 다짐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사면 보강구조는 전면보강체와 후면보강체가 일체로 형성된 철봉격자를 사용하므로서 철봉격자의 하중과 부피가 매우 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철봉격자를 시공 현장까지 운반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시공 현장에서 철봉격자를 경사면상에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작업 또한 매우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철봉격자의 무게를 절감시키기 위하여 철봉 대신 중공파이프를 사용하여 철봉격자를 제작할 경우에는 철봉격자의 강도가 저하되어 토사의 성토 다짐과정에서 철봉격자의 전면보강체가 불룩하게 배가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봉격자의 내측으로 토사를 성토하여 다짐하는 과정에서 "∠"형태로 절곡된 철봉격자의 하단 내측부로는 진동롤러와 같은 다짐기계를 사용하여 토사를 견고하게 다짐할 수가 없기 때문에 철봉격자의 하단 내측부에 대한 토사의 성토다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철봉격자를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 시공후 어느 정도의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철봉격자의 하단 내측으로 토사가 함몰되므로서 경사면의 안정화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철봉격자의 전면보강체에 녹화시트를 덮게 되면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경사진 전면보강체를 따라 녹화시트가 쉽게 흘러내리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녹화시트를 전면보강체에 일일이 연결하는 번거러운 작업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철봉격자와 녹화시트를 연결시키는 과정이나 철봉격자의 내측으로 토사를 성토 다짐하는 과정에서 녹화시트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철봉격자를 포함하여 종래의 사면보호 및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구조물은 경사면의 표면층 보강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사면보호 및 보강구조물이 적용된 경사면은 각 구조물의 시공과정에서 절리 및 불연속되는 지층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지층의 틈새 사이로 우천시에 많은 량의 빗물이 경사면의 내부로 침투될 뿐만 아니라 용출되는 지하수의 유입량 또한 증대되는 데,종래의 사면보호 및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구조물로는 이러한 침투수와 지하수의 배출을 적절하게 이루어내지 못하여 침투수 및 지하수에 의한 지층의 괴리와 암석의 산화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지중의 침투수와 지하수가 동결 및 해빙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게 되면 지층의 괴리와 암석의 산화부식이 더욱 빠른 속도로 진전되어 결국은 경사면의 붕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은 기초지반의 전방면에서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형태로 절곡되는 격자구조물의 전면보강체를 연결봉에 의하여 그 후면보강체와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전면보강체를 이루는 가로봉과 세로봉의 사이에 아연도금용접철망을 개재시켜 가로봉과 세로봉 및 아연도금용접철망을 압접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므로서, 격자구조물의 운반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격자구조물의 하단 내측을 통한 토사의 다짐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격자구조물의 하단 내측에서 발생하는 토사의 침하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아연도금용접철망에 의한 식생토의 용이한 취부와 종자의 유실을 방지하여 경사면의 조기녹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경사면 보강구조물은 상기 격자구조물의 내측에 경사면을 따라 연장되는 경사배수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경사배수구조물의 후방측에는 경사배수구조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배수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하므로서, 각 배수구조물에 의한 경사면의 강도보강과 함께 경사면의 표면층 및 그 내부로 유입되는 침투수와 지하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경사배수구조물의 하단부와 수평배수구조물의 후단부에 콘크리트배수로를 설치하므로서 각각의 배수구조물이 콘크리트배수로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다량의 침투수와 지하수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로봉과 세로봉이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 기초지반의 전방면에 설치되는 격자구조물과, 상기 격자구조물의 후방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침투수나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격자구조물은 기초지반의 전방 상면에 놓여지는 후면보강체와 상기 후면보강체로부터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상부로 절곡되는 전면보강체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격자구조물의 전면보강체는 그 세로봉의 하단부가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상부로 돌출되는 후면보강체의 세로봉 선단부와 연결봉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격자구조물의 전면보강체는 가로봉과 세로봉의 사이에 아연도금용접철망이 삽입되어 각각의 가로봉과 세로봉이 압접방식에 의하여 아연도금용접철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자구조물의 내측에는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 형태로 절곡되는 몸체의 선단부가 격자구조물의 하단 세로봉 사이로 관통되어 후면보강체의 상면에서 지지되는 받침블록과, 상기 받침블록의 상단부에서 연결블록에 의하여 받침블록과 일체로 연결되는 일자형의 경사배수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배수구조물이 설치되고, 상기 경사배수구조물의 후방에는 그 몸체가 "∪"형태로 절곡된 일자형블록이 동일한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T자형 블록과 십자형 블록과 "ㄱ"자형 마감블록에 의하여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배수구조물이 설치되며, 상기 경사배수구조물의 받침블록 선단부와 수평배수구조물의 후단부에는 콘크리트배수로가 각 구조물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루는 격자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경사면의 높이에 따라 연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이 경사면을 따라 적층식으로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강구조물 2 : 기초지반 3 : 시트
4 : 골재 10 : 격자구조물 10a : 가로봉
10b : 세로봉 11 : 후면보강체 12 : 전면보강체
13 : 아연도금용접철망 14 : 연결봉 15 : "S"후크
20 : 경사배수구조물 21 : 받침블록 22 : 배수통로
23,27 : 끼움돌기 24 : 연결블록 25 : 끼움홈
26 : 경사배수블록 28 : 삽입공 30 : 수평배수구조물
31 : 일자형블록 32 : T자형블록 33 : 십자형블록
34 : 마감블록 35 : 차단판 36 : 배수망
37 : 콘크리트배수로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루는 격자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경사면의 높이에 따라 연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이 경사면을 따라 적층식으로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된 부호 31a는 연결단부, 33a는 연결홈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이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 기초지반의 전방면에 설치되는 격자구조물(10)과, 상기 격자구조물(10)의 후방 내측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침투수나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경사배수구조물(20) 및 수평배수구조물(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배수구조물(30)의 후방측에는 콘크리트배수로(37)가 수평배수구조물(3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 중 경사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표면층 보강에 사용되는 격자구조물(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초지반의 전방 상면에 놓여지는 후면보강체(11)와 상기 후면보강체(11)로부터 경사면의 경사각도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전면보강체(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보강체(12)는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의 사이에 아연도금용접철망(13)이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이 압접방식(Spot weiding method)에 의하여 아연도금용접철망(13)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 세로봉(10b)의 하단부가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상부로 돌출되는 후면보강체(11)의 세로봉(10b) 선단부와 연결봉(14)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격자구조물(10)을 이루는 전면보강체(12)와 후면보강체(11)를 연결봉(14)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격자구조물(10)의 제조작업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격자구조물(10)을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형태로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격자구조물(10)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격자구조물(10)의 운반시 전면보강체(12)와 후면보강체(11)를 분리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운반할 수 있게 되므로서 격자구조물(10)의 운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토사의 성토다짐에 의하여 격자구조물(10)을 경사면의 전방측에 시공하는 과정에서도 후면보강체(11)만을 기초지반상에 견고하게 정위치시킨 상태에서후면보강체(11)의 상면으로 토사를 일차적으로 성토 다짐한 다음 후면보강체(11)의 세로봉(10b) 선단부에 전면보강체(12)를 조립하면 되므로서, 격자구조물(10)의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태로 절곡된 격자구조물(10)의 하단 내측부에 대한 토사의 다짐 또한 각종 다짐기계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이루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면보강체(12)와 후면보강체(11)를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격자구조물(10)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그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봉(14)은 인장강도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철강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면보강체(12)와 후면보강체(11)의 세로봉(10b)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세로봉(10b)의 외경보다 크게 되는 연결봉(14)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보강체(12)의 제조에 적용되는 압접방식은 격자형태로 교차되는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의 사이에 아연도금용접철망(13)을 삽입하여 각각의 가로봉(10a)과 세로봉(10b) 및 아연도금용접철망(13)이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정전류 MICOM TIMER 201을 구비하는 3단 압접기로 전류를 유동시켜 가로봉(10a)과 세로봉(10b) 및 아연도금용접철망(13)의 접촉부에 용융점에 가까운 전기저항열을 발생시키므로서 요구하는 치수와 규격대로 정확하게 용접이 이루어진 전면보강체(12)를 제조하도록 한 것이며, 이와 같이 제조된 전면보강체(12)는 용접불량율이 거의 제로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사용이나 각종 진동 또는 충격하에서도 휨이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강한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의 사이에 내식성과 강도가 우수한 아연도금용접철망(13)을 개재시켜 압접하므로서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보강체(12)의 지지강도가 아연도금용접철망(13)에 의하여 보다 더 증대되고, 이로 인하여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을 중공파이프로 하여 그 하중이 비교적 가벼운 전면보강체(12)를 제조하더라도 토사의 다짐시공시 격자구조물(10)의 전면보강체(12)가 토압에 의하여 불록하게 배가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면보강체(12)에 녹화시트를 덮어 씌우는 번거러운 작업을 거치지 않더라도 아연도금용접철망(13)에 의한 식생토의 용이한 취부 및 식생토에 함유된 종자의 유실을 방지하므로서 경사면의 조기녹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면보강체(12)를 통한 식생토의 취부를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가로봉(10a)이 아연도금용접철망(13)의 전방에 위치하고 세로봉(10b)이 아연도금용접철망(1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세로봉(10b)이 아연도금용접철망(13)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전면보강체(12)의 전방으로 취부되는 식생토가 전면보강체(12)의 경사각도를 따라 흘러내릴 소지가 있는 반면, 가로봉(10a)이 아연도금용접철망(13)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전면보강체(12)의 전방으로 취부되는 식생토가 가로봉(10a)의 사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우천시에도 식생토가 전면보강체(12)를 따라 흘러내리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격자구조물(10)을 경사면의 전방측에 시공함과 동시에 그 후방측에 플라스틱 재질의 배수파이프나 "S"형 다발관(운동장, 공원, 골프장이나 택지 등의 암거배수용 또는 구조물의 배면수 처리나 도로 및 터널 등의 암거 배수용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판을 S형태로 구부려 파이프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배수구조물로서 매설하더라도 경사면의 강도보강과 함께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침투수와 지하수의 배출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경사면 내측의 강도보강과 함께 배수의 목적을 보다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격자구조물(10)의 후방측에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서는 배수구조물의 결합관계를 도면상에서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격자구조물(10)의 전면보강체(12)에 설치되는 아연도금용접철망(13)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격자구조물(10)과 함께 본 고안의 보강구조물(1)을 이루는 배수구조물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격자구조물(10)의 후방측에서 경사면을 따라 설치되는 경사배수구조물(20)과, 상기 경사배수구조물(20)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배수구조물(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배수구조물(30)의 후단부에는 수평배수구조물(30)과 일체로 연결되는 콘크리트배수로(37)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배수구조물(20)은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 형태로 절곡되는 몸체의 선단부가 격자구조물(10)의 하단 세로봉(10b) 사이로 관통되어 후면보강체(11)의 상면에서 일렬로 지지되는 다수 개의 받침블록(21)과, 상기 받침블록(21)의 상단부에서 연결블록(24)에 의하여 받침블록(21)과 일체로 연결되는 일자형의경사배수블록(2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블록(21)과 경사배수블록(26)의 각 단부측에는 끼움돌기(23)(27)가 단지게 돌출되고, 연결블록(24)의 양측 내부에는 상기 끼움돌기(23)(27)가 삽입되는 끼움홈(25)이 단지게 형성되므로서 각각의 블록을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블록(21)(24)(26)의 몸체 내부에는 배수통로(22)가 몸체를 따라 관통 형성되므로서 각각의 블록(21)(24)(26)을 조립시키는 것에 의하여 경사면의 전방측을 따라 배수로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되고, 각 블록(21)(24)(26)의 몸체는 토사의 성토 다짐시 토사와 함께 안정적으로 매립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배수구조물(20)을 보다 견고하게 조립시키기 위하여 각 블록(21)(24)(26)의 연결부위에 체결공을 관통시키므로서 각각의 블록(21)(24)(26)을 볼트와 너트로서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배수구조물(20)은 격자구조물(10)과 함께 경사면의 표면층을 보강함과 동시에 우천시 경사면의 최상단을 통하여 경사면의 표면층으로 유입되는 침투수를 경사면의 전방측으로 배출시켜 격자구조물(10)에 의한 경사면의 안정적인 지지를 도모하고 침투수에 의한 경사면의 표면활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경사배수구조물(20)을 이루는 각 블록(21)(24)(26)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부품의 경량화와 제조단가의 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배수구조물(30)은 그 몸체가 "∪"형태로 절곡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일자형블록(31)이 동일한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T자형 블록(32)과 십자형 블록(33) 및 "ㄱ"자형 마감블록(34)에 의하여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블록(31)의 양단부에는 연결단부(31a)가 단지게 돌출되고, 십자형블록(33)의 각 단부측에는 상기 연결단부(31a)가 삽입되는 연결홈(33a)이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T자형 블록(32)과 "ㄱ"자형 마감블록(34) 또한 일자형블록(31)의 연결단부(31a)가 삽입되는 동일한 형태의 연결홈이 각 블록(32)(34)의 단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배수구조물(30)은 격자구조물(10)과 경사배수구조물(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경사면 내측의 강도를 보강시킴과 동시에 경사면의 표면층을 통하여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침투수 및 경사면의 내부로 용출되는 지하수를 경사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배수구조물(30)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일자형블록(31)의 선단부 즉, 연결단부(31a)가 경사배수블록(26)의 후방측에 형성된 삽입공(28)을 통하여 경사배수블록(26)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경사배수블록(26)과 연결되는 일자형블록(31)의 선단 내측에는 수평배수구조물(30)로의 토사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배수망(36)을 구비하는 차단판(35)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배수구조물(30)을 이루는 각각의 블록(31)(32)(33)(34) 또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부품의 경량화 및 제조단가의 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수평배수구조물(30)을 보다 견고하게 조립시키기 위하여 각 블록(31)(32)(33)(34)의 연결부위에 체결공을 관통시키므로서 각각의 블록(31)(32)(33)(34)을 볼트와 너트로서 체결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평배수구조물(30)의 후단부에서 수평배수구조물(30)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콘크리트배수로(37)는 수평배수구조물(3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다량의 침투수와 지하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시공 현장에서 거푸집을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배수로(37)를 수평배수구조물(30)과 일체로 타설할 수도 있고, 시공 현장 이외의 장소에서 미리 양생된 콘크리트배수로(37)를 시공 현장에서 수평배수구조물(30)과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수평배수구조물(30)의 일자형블록(31)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을 콘크리트배수로(37)의 일측에 미리 형성시켜 놓아야 한다.
또한, 상기 수평배수구조물(30)의 후방측에 콘크리트배수로(37)를 설치하는 것 이 외에도 상기 경사배수구조물(20)의 받침블록(21) 전방면 즉, 경사면의 하단 전방측에 받침블록(21)과 연결되는 콘크리트배수로(37)(이후에 설명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음)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콘크리트배수로(37)는 침투수와 지하수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경사면 부분에 선택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이 경사면 보강구조물(1)의 전체적인 시공단가를 절감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경사면상에 실질적으로 시공하는 과정 및 그에 따른 작용관계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1)을 적용할 지역을 현장 답사하여, 우천으로 지반이 약해진 장소와 같이 문제점이 노출되는 경사면이나,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조성할 경사면에 대한 지반과 토질조사를 완료하고, 이와 같이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공할 보강구조물(1)의 경사면 구배와, 각종 기자재의 적절한 규격을 결정하여 보강구조물(1)의 시공을 위한 설계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강구조물(1)의 시공을 위한 설계가 완료되면, 굴착기 등을 사용하여 경사면을 일정한 범위만큼 절취해 낸 다음, 절취된 토사는 재성토를 위하여 작업장의 일측에 쌓아 놓고, 절취된 경사면의 바닥층은 진동롤러나 각종 다짐기계를 사용하여 평평하게 고르고 다짐으로서 본 고안의 보강구조물(1)을 설치할 기초지반(2)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초지반(2)을 시공한 후에는, 시공된 기초지반(2)의 전방면에 상기 격자구조물(10)을 설치하게 되는 데, 격자구조물(10)을 설치하기 이전에 경사면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지오그리드 또는 장섬유 부직포를 기초지반(2)의 전반에 걸쳐 덮어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지오그리드 또는 장섬유 부직포가 덮혀진 기초지반(2)의 전방 상면에 격자구조물(10)의 후면보강체(11)를 경사배수구조물(20)의 받침블록(21)과 함께 올려 놓은 다음, 미송각재나 말뚝을 사용하여 후면보강체(11)를 기초지반(2)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받침블록(21)을 후면보강체(11)와 견고하게 결속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경사면의 전방측을 통하여 다량의 침투수가 유입될 우려가 있는 지역의 경우에는 후면보강체(11)와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블록(21)의 전방면에 콘크리트배수로(37)를 선택적으로 타설 및 시공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받침블록(21)의 선단부가 콘크리트배수로(37)의 일측 상면에 놓여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받침블록(21)의 선단부가 콘크리트배수로(39)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기초지반(2)의 전방 상면에 후면보강체(11)와 받침블록(21)을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놓은 다음, 후면보강체(11)의 상면으로 토사를 일차적으로 성토하여 진동롤러와 같은 다짐기계로서 격자구조물(10)의 하단 내측부에 해당하는 후면보강체(11)의 선단부까지 성토된 토사를 견고하게 다짐한 후, 격자구조물(10)의 전면보강체(12)를 연결봉(14)에 의하여 후면보강체(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세로봉(10b)의 선단부에 연결시키므로서 기초지반(2)상에 격자구조물(10)을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면보강체(12)와 후면보강체(11)를 다수 개의 S"후크(15)로 연결하여 격자구조물(10)의 강도를 더욱 보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기초지반(2)상에 격자구조물(10)을 완전하게 조립시킨 다음에는, 격자구조물(10)의 내측으로 토사를 2차적으로 성토하여 받침블록(21)의 높이만큼 토사를 다짐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토사의 다짐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압이 아연도금용접철망(13)을 구비하는 상기 전면보강체(12)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므로서 토압에 의한 격자구조물(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받침블록(21)의 높이까지 토사의 다짐이 완료되면 받침블록(21)의 상단부에 경사배수블록(26)을 이음블록(24)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격자구조물(10)의 전면보강체(12) 상부에 동일한 형태의 전면보강체(12)를 연결봉(14)에 의하여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격자구조물(10)과 경사배수구조물(20)의 조립이 완료된 다음에는, 아연도금용접철망(13)을 구비하는 전면보강체(12)의 내측으로 토사를 다시 성토하여 경사배수블록(26)에 형성된 삽입공(28)의 높이만큼 토사를 다짐하게 되는 데, 본 단계에서의 토사다짐은 수평배수구조물(30)의 설치를 위한 지반을 형성시키는 것이므로 다짐된 토사층이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배수구조물(30)의 설치를 위한 토사의 다짐시공이 완료되면, 성토층의 상면에 수평배수구조물(30)을 설치하게 되는 데, 먼저 배수망(36)을 구비하는 차단판(35)을 일자형블록(31)의 선단 내측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그 연결단부(31a)가 각 경사배수블록(26)의 삽입공(28)을 통하여 삽입되도록 한 다음, 그 일자형블록(31)의 후단부에 T자형블록(32)과 십자형블록(33)을 사용하여 일자형블록(31)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시키고, 그 후단부에는 T자형블록(32)과 "ㄱ"자형 마감블록(34)을 사용하여 각각의 일자형블록(31)을 연결시키므로서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평배수구조물(30)을 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평배수구조물(30)의 조립시 본 고안의 보강구조물(1)이 시공되는 경사면의 내부로 다량의 침투수와 지하수의 유입이 예상될 경우에는, 수평배수구조물(30)의 후단부에 콘크리트배수로(37)를 선택적으로 타설 및 시공하게 되며, 이와 같이 콘크리트배수로(37)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평배수구조물(30)의 설치를 위한 토사의 성토다짐시 콘크리트배수로(37)를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그 후방측에 미리 형성시켜 놓아야 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배수구조물(30)과 콘크리트배수로(37)의 설치가 완료된 다음에는 수평배수구조물(30) 및 콘크리트배수로(37)의 높이까지 토사를 성토 다짐한 후, 수평배수구조물(30)이 형성하는 배수로 및 콘크리트배수로(37)의 내부에 골재(4)를 충진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골재(4)가 충진된 수평배수구조물(30)과 콘크리트배수로(37)의 상면에 각 배수로의 내부로 토사가 유입되어 배수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3)를 덮은 다음 경사배수블록(26)의 최상단부까지 토사를 최종적으로 성토 다짐하므로서 본 고안에 의한 보강구조물(1)을 경사면상에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것은 본 고안의 보강구조물(1)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보강구조층을 형성시키는 과정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격자구조물(10)의 전면보강체(12)를 연결봉(14)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계속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고, 경사배수구조물(20)의 경사배수블록(26) 또한 이음블록(24)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계속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으나, 경사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전면보강체(12)에 의한 경사면의 지지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본 고안의 보강구조물(1)을 사용하여 경사면상에 하나의 보강구조층을 형성하기 위한 최대 높이는 2m 이하(45 ~ 60°각도의 경사면상에 전면보강체를 2 ~ 3개 정도 연결시킨 높이에 해당한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강구조물(1)을 설치하여야 할 경사면의 높이가 2m 이상이 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면의 전체 높이를 약 2m 단위로 분할하여 최하단부에 1차 보강구조층을 형성시킨 다음, 그 보강구조층을 기초지반으로 하여 그 상부에 다시 2차 보강구조층을 형성시키는 식으로 경사면을 따라 보강구조층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면의 표면층 강도보강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 내고자 할 경우에는 1개의 전면보강체(12)와 1개의 후면보강체(11)로 이루어지는 격자구조물(10)을 1개의 보강구조층에 2개 내지 4개 정도로 적층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격자구조물(10)의 적층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토사를 순차적으로 성토 다짐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 격자구조물(10)과 그 상부 격자구조물(10)은 "S"형 후크(15)나 이와 유사한 다른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일체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배수구조물(20)의 경사배수블록(26)은 후면보강체(11)의 가로봉(10a)과 세로봉(10b) 사이로 관통시키므로서 경사배수구조물(20)이 각각의 격자구조물(10)과 더욱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1)을 경사면을 따라 적층식으로 시공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조립식 구조를 가지는 격자구조물(10)에 의하여 격자구조물(10)의 운반성과 시공성이 매우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의 사이에 아연도금용접철망(13)이 일체로 압접 형성된 상기 전면보강체(12)가 토사의 성토 다짐시 발생하는 토압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보강구조층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격자구조물(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격자구조물(10)의 내측으로 토사를 성토 다짐할 경우 진동롤러와 같은 각종 다짐기계를 사용하여 "∠"형태로 절곡된 격자구조물(10)의 하단 내측부까지 토사를 견고하게 다짐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격자구조물(10)의 하단 내측부를 통한 토사의 함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경사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경사면을 따라 시공된 전면보강체(12)측으로 식생토를 취부할 경우 전면보강체(12)의 가로봉(10a)과 아연도금용접철망(13)의 사이에 식생토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우천시에도 식생토 및 그에 함유된 종자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서 경사면의 조기녹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자구조물(1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경사배수구조물(20)이 격자구조물(10)과 함께 경사면의 표면층 강도를 더욱 보강시킬 뿐만 아니라, 우천시에 경사면의 상단부를 통하여 경사면의 표면층으로 유입되려고 하는 침투수를 상기 경사배수구조물(20) 및 그 받침블록(21)과 연결된 콘크리트배수로(37)에 의하여 경사면의 하단 전방측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키므로서 침투수에 의한 경사면의 표면활동을 방지하여 경사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배수구조물(20)이 처리할 수 없는 침투수를 포함하여 경사면의 내부로 용출되는 지하수는 그 내부에 골재(4)가 충진되고 그 상면에 시트(3)가 덮혀진 수평배수구조물(30) 및 콘크리트배수로(37)측으로 유입되어 경사면의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침투수나 지하수에 의한 지층의 괴리와 암석의 산화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배수구조물(30)과 콘크리트배수로(37)가 토사와 함께 다짐되어 경사면의 내측에 대한 지지강도를 보다 향상시키게 되므로서 경사면을 거의 영구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1)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토사를 성토 다짐하는 대신에 토사와 시멘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토사 또는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pH완충제와 완효성비료 성분이 첨가된 시멘트계 경화재(상표명 소일크리트 HS-200으로 하여 제조되는 분말 형태의 제품)를 토사와 일정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토사를 사용하여 성토층을 형성시키는 보강압성토 옹벽공법{일명, 소일캐슬(Soil castle)공법}을 적용시키게 되면, 시멘트 성분에 의한 성토층의 점결력 증대와 완효성비료 성분에 의한 초,목본식물의 영양분 공급 및 pH완충제에 의한 산성토의 객토작용 등으로 인하여 경사면의 조기녹화와 경사면의 안정화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경사면 보강구조물은 기초지반의 전방면에서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형태로 절곡되는 격자구조물의 전면보강체를 연결봉에 의하여 그 후면보강체와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전면보강체를 이루는 가로봉과 세로봉의 사이에 아연도금용접철망을 개재시켜 가로봉과 세로봉 및 아연도금용접철망을 압접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므로서, 격자구조물의 운반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격자구조물의 하단 내측을 통한 토사의 다짐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격자구조물의 하단 내측에서 발생하는 토사의 침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연도금용접철망에 의한 식생토의 용이한 취부 및 장마철이나 우천시 종자의 유실을 방지하여 경사면의 조기녹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경사면 보강구조물은 상기 격자구조물의 내측에 경사면을 따라 연장되는 경사배수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경사배수구조물의 후방측에는 경사배수구조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배수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하므로서, 각 배수구조물에 의한 경사면의 강도보강과 함께 경사면의 표면층 및 그 내부로 유입되는 침투수와 지하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경사배수구조물의 하단부와 수평배수구조물의 후단부에 콘크리트배수로를 설치하므로서 각각의 배수구조물이 콘크리트배수로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다량의 침투수와 지하수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경사면의 반영구적인 안정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이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 기초지반(2)의 전방면에 설치되는 격자구조물(10)과, 상기 격자구조물(10)의 후방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내부로 유입되는 침투수나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격자구조물(10)은 기초지반(2)의 전방 상면에 놓여지는 후면보강체(11)와 상기 후면보강체(11)로부터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상부로 절곡되는 전면보강체(12)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격자구조물(10)의 전면보강체(12)는 그 세로봉(10b)의 하단부가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도록 상부로 돌출되는 후면보강체(11)의 세로봉(10b) 선단부와 연결봉(14)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격자구조물(10)의 전면보강체(12)는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의 사이에 아연도금용접철망(13)이 삽입되어 각각의 가로봉(10a)과 세로봉(10b)이 압접방식에 의하여 아연도금용접철망(13)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구조물(10)의 내측에는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경사배수구조물(20)이 설치되며,
    상기 경사배수구조물(20)은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 형태로 절곡되는 몸체의 선단부가 격자구조물(10)의 하단 세로봉(10b) 사이로 관통되어 후면보강체(11)의 상면에서 지지되는 받침블록(21)과, 상기 받침블록(21)의 상단부에서 연결블록(24)에 의하여 받침블록(21)과 일체로 연결되는 일자형의 경사배수블록(2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블록(21)(24)(26)의 몸체 내부에는 배수통로(22)가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배수구조물(20)의 후방에는 그 몸체가 "∪"형태로 절곡된 일자형블록(31)이 동일한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T자형 블록(32)과 십자형 블록(33)과 "ㄱ"자형 마감블록(34)에 의하여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배수구조물(30)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배수구조물(30)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일자형블록(31)의 선단부는 경사배수블록(26)의 후방측 삽입공(28)을 통하여 경사배수블록(26)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배수구조물(20)의 받침블록(21) 선단부와 수평배수구조물(30)의 후단부에는 콘크리트배수로(37)가 각 구조물(20)(30)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구조물.
KR20-2003-0027497U 2003-08-27 2003-08-27 경사면 보강구조물 KR200334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497U KR200334294Y1 (ko) 2003-08-27 2003-08-27 경사면 보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497U KR200334294Y1 (ko) 2003-08-27 2003-08-27 경사면 보강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536A Division KR20030059037A (ko) 2003-06-18 2003-06-18 경사면 보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294Y1 true KR200334294Y1 (ko) 2003-11-21

Family

ID=4934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497U KR200334294Y1 (ko) 2003-08-27 2003-08-27 경사면 보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2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419B1 (ko) 2018-01-04 2018-10-16 황기원 인장보강재가 결합된 경사면 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419B1 (ko) 2018-01-04 2018-10-16 황기원 인장보강재가 결합된 경사면 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60B1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A2975237C (en) A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CN110042716B (zh) 泡沫轻质土高填方路基拓宽施工方法
JP2006225926A (ja) 流動化処理土、山砂、現地発生土、砕石等の埋め戻し材を利用した盛土工法
CN210216254U (zh) 一种混凝土护栏结构
HU226433B1 (en) Foundation slab of underground passage for road
KR100414779B1 (ko)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CN110939142A (zh) 用于边坡的路基结构
KR200334294Y1 (ko) 경사면 보강구조물
KR20030059037A (ko) 경사면 보강구조물
CN212477800U (zh) 一种锚固格宾挡土墙
CN114086505A (zh) 一种水利工程用河道护坡结构及铺设施工方法
KR200258951Y1 (ko)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KR101020217B1 (ko) 앵커를 이용한 암석 축조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25274B1 (ko) 사면보강용 격자구조틀
KR200223114Y1 (ko)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KR200287888Y1 (ko) 경사면 보강구조물
KR102150343B1 (ko) 사면보강용 격자구조틀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구조물
CN219386394U (zh) 一种微型钢管灌注桩挡墙
CN113403902B (zh) 基于装配式模板新老路基轻质土拼接拓宽结构
KR200321395Y1 (ko) 경사면 배수구조물
KR20030019946A (ko) 경사면 배수구조물 및 그 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CN215594068U (zh) 一种插埋地桩式边坡支护结构
CN217324788U (zh) 一种便于预制安装的陡坡路基结构
CN217378985U (zh) 一种防冻胀重力式挡土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