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658B1 -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658B1
KR101126658B1 KR1020110064156A KR20110064156A KR101126658B1 KR 101126658 B1 KR101126658 B1 KR 101126658B1 KR 1020110064156 A KR1020110064156 A KR 1020110064156A KR 20110064156 A KR20110064156 A KR 20110064156A KR 101126658 B1 KR101126658 B1 KR 10112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main body
prefabricated
drainage mai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이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순 filed Critical 이예순
Priority to KR102011006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658B1/ko
Priority to CN201280031764.6A priority patent/CN103620120A/zh
Priority to US14/130,078 priority patent/US20140147210A1/en
Priority to PCT/KR2012/005014 priority patent/WO201300252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부가 형성된 배수로 본체가 연속 조립되며, 지반에 매립시켜 설치하는 배수로 본체 상부에 덮개부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부 상단부에 보호철망을 설치시키며, 바닥기초를 확장하고 배수로 본체가 지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덮개부 측부와 연계되는 연결부재를 지반 내부에 고정함으로서 배수로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수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나무, 자갈 등을 보호철망에 의해 유입방지함으로서 이에 대한 전체적인 목적 달성을 위하여 배수로 구조물의 자중을 높여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토록 하여 작업 및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ASSEMBLY TYPE OF STRUCTURE FOR DRAIN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부가 형성된 배수로 본체가 연속 조립되며, 지반에 매립시켜 설치하는 배수로 본체 상부에 덮개부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부 상단부에 보호철망을 설치시키며, 바닥기초를 확장하고 배수로 본체가 지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덮개부 측부와 연계되는 연결부재를 지반 내부에 고정함으로서 배수로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수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나무, 자갈 등을 보호철망에 의해 유입방지함으로서 이에 대한 전체적인 목적 달성을 위하여 배수로 구조물의 자중을 높여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토록 하여 작업 및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산, 하천 주변이나 농수로, 산업단지, 주택단지 등에는 빗물 및 배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수로가 설치된다.
이는 산마루 측구, 도수로, 우수용 배수로 용도로 설치하여 빗물이나 우수 등을 원활하게 안내해 배수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배수로는 크게 대별하여 보면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이하 : 현장타설)하거나, 콘크리트 기성품 혹은 합성수지를 이용해 일정길이를 갖는 블록으로 제작된 배수로가 있다.
그러나 이런 시공 방법들 모두가 측벽을 넘어 배수로 안쪽으로 우수가 흘러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콘크리트와 합성수지가 흙과의 물성차이로 배수로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합성수지로 제조된 배수로는 햇볕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장시간이 흐르게 되면 합성수지가 분해되어 배수로의 파손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배수로가 우수로 인해 들뜨거나 원지반이 유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배수로가 설치되는 원지반의 유실을 방지하고, 설치되는 배수로 구조물의 유실 자체를 방지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른 목적은 배수로 구조물이 설치된 배수로 주변의 원지반에 식생 패널을 일체로 형성하여 원지반 및 배수로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절개지 지면에 형성된 배수로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돌출되어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주름부가 형성된 배수로 본체와,
상기 배수로 본체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배수로 본체 상부의 양측단을 각각 결속되도록 “┌┐”형태의 앵글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양측 앵글부를 연결하도록 앵글부 측부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 상부에 보호철망이 더 포함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의 앵글부는 상부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양측단에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는 일/타측의 수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일측 수직부에 관통된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부에 일측 수직부의 체결구와 대면하며 상기 체결구의 직경에 2배가 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절개지의 지반에 “└┘”자 형상의 배수로를 파는 제1단계와,
상기 배수로 내부에 배수로 본체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배수로 본체 상부에 연결판이 형성된 덮개부를 씌워 덮개부의 앵글부에 형성된 삽입구와 체결구를 통해 배수로 본체의 양측단이 체결되도록 스크류볼트를 체결하여 배수로 본체의 양측단에 덮개부를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배수로 본체 외측의 배수로 내부 바닥면에 앵커핀을 지중에 박아 넣고, 상기 앵커핀과 연결된 와이어의 끝단을 상기 덮개부의 앵글부 일측에 설치된 스크류볼트에 고정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배수로 본체 상부에 설치된 덮개부 상부에 보호철망을 씌워 고정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배수로 내에 설치된 배수로 본체 외측에 토사를 유입하여 지반을 다지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6단계 대신에 상기 배수로 본체 양측에 각각 식생매트 일측 끝단을 면접하고, 상기 식생매트의 일측 끝단과 연장된 식생매트를 배수로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철망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배수로 본체 양측에 각각 면접된 식생매트의 일측 끝단과 배수로 내측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채운 후,
상기 보호철망 상면에 안착된 식생매트를 배수로 외측으로 펼쳐 배수로 외측의 지면에 면접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현장에서 조립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로 배수로 본체의 외주면에 주름부를 형성함으로서 토압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고, 지중의 배수로에 배수로 구조물을 설치함에 배수로 본체 내부에 자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호철망을 설치하여 배수로 본체 내부에 막힘현상을 방지하고, 배수로 외측 상단부터 보조수로를 포함하여 본체 바닥까지 흙으로 빈공간을 채워서 전체 중량을 증가시켜 배수로의 변형과 들뜸현상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의 형상을 동일하게 하고 이를 조립해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해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며, 배수로를 곡선을 갖게 조립할 수 있어 다양한 장소에 시공이 가능하고 보수가 용이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배수로 상부가 보호철망으로 씌워져 있어 야생동물의 이동경로를 확보하여 배수로 본체 내에 들어가지 못함으로서 야생동물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을 배수로 설치하는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보호철망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배수로 본체-덮개부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배수로 본체에 앵글부 조립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앵글부에 스크류볼트 체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앵글부에 와이어앵커 체결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보호철망을 체결하는 조립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보호철망이 체결된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또다른 앵글부(310b)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앵글부(310b)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 차단바를 설치한 구조도.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 차단바를 설치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 차단바를 설치한 정면도((a), (b)).
도 16은 도 15의 (a)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의 정면 분리조립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평판형 배수로 본체(200b)를 설치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 평판형 배수로 본체(200b)를 설치한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 평판형 배수로 본체(200b)를 설치한 정면 분리조립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연속적인 배수로 본체 조립시 이음판 조립 구조도.
도 21은 도 20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연속적인 배수로 본체 조립시 이음판 조립 측면도.
도 22는 도 20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연속적인 배수로 본체 조립시 이음판을 체결한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식생매트를 체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식생매트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과 식생매트를 배수로에 설치한 구조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조립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보강부재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서 보강부재를 설치한 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지 지면에 형성된 배수로(10)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100)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0)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돌출되어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주름부(210)가 형성된 배수로 본체(200a)와,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의 양측단을 각각 결속되도록 “┌┐”형태의 앵글부(310a)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양측 앵글부(310a)를 연결하도록 앵글부(310a) 측부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연결판(320)으로 구성되는 덮개부(300)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1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100)은 도 1과 같이 배수로 본체(200a)-덮개부(300)로 구성되어 지며, 하기에 서술되는 덮개부(300) 상부에 보호철망(500)을 더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며, 금속재로 이루어진 배수로 본체(200a)를 배수로(10)에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배수로(10) 지반에 내입시켜 설치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100)로 배수로 본체(200a)의 상부에 빗물을 통해 나뭇가지 또는 큰골재가 투입하지 못하고, 사람이 안전하게 밝고 지나갈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야생동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더구나 주위의 토사가 유실되지 않으면서도 배수로(10)의 변형을 방지해 작업 및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100)은 절개지의 산마루, 법면 절개지 또는 도로변 배수로 등에 배수로(10)를 형성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로(10)에 “└┘”형의 배수로(10)를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10)의 바닥면에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100)을 설치하여 법면 또는 절개지에 시공되어 우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로(10) 단면의 모양이 “└┘”형, “U”형 또는 “V”형중 택일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배수로(10) 형태는 한정되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 본체(200a)에 있어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주름부(210)가 배수로 본체(200a)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외주면에 주름부(210)가 형성됨으로서 토사의 하중에 배수로 본체(200a)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며, 배수로 본체(200a)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름부(210)의 형상은 지그재그형 또는 물결무늬형 등 평판에 요철형태를 가지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면에 형상화된 주름부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토압 또는 우수에 의한 지반 변형에 의해 배수로 본체(200a)가 배수로(10)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배수로 본체(200a)의 주름부(210)가 형성됨으로서 토사와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외부의 충격에 저항력이 발생하여 배수로 본체(200a)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300)는,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의 양측단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결속되도록 “┌┐”형태의 앵글부(310a)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양측 앵글부(310a)를 연결하도록 앵글부(310a) 측부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연결판(3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양측 앵글부(310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부(310a)를 서로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연결판(32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앵글부(310a)의 견고함을 제공하고, 상기 앵글부(310a)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판(320)은 용접 또는 피스결합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상부 양측단에 각각 내속되는 “┌┐”형태의 앵글부(310a)가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310a)는 상부에 수평부(311)와, 상기 수평부(311) 양측단에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는 일/타측의 수직부(312)로 구성되며, 상기 일측 수직부(312)에 관통된 체결구(313)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부(312)에 일측 수직부의 체결구(313)와 대면하며 상기 체결구(313)의 직경에 2배가 되는 삽입구(314)가 형성되며, 이때 배수로 본체(200a) 상부 양측단에 상기 체결구(313)와 삽입구(314)에 연통되는 결속구(211)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앵글부(310a)의 삽입구(314)를 통해 스크류볼트(50a)를 삽입하여 배수로 본체(200a)의 결속구(211)를 통과하여 상기 앵글부(310a)의 체결구(313)에 밀착하여 결속함으로서 덮개부(300)의 앵글부(310a)가 배수로 본체(200a)의 상부 양측단에 결속하여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배수로(10) 바닥면 지중에 박아 고정되는 앵커핀(410)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핀(410)과 연결되어 덮개부(300)의 앵글부(310a) 일측에 돌출된 스크류볼트(50a)에 결속하는 와이어(420)로 구성되는 와이어앵커(400)를 더 설치하여 배수로(10)에 안착된 배수로 본체(200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앵커핀(410)은 수직 단면이 “V”형의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411)에 통공(412)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412)을 통해 와이어(420)가 연계되어 상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앵커(400)를 제공된다.
한편,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00) 상부에 보호철망(500)이 더 포함됨으로서, 배수로 본체(200a) 내부로 우수에 의한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야생동물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덮개부(300) 상부 즉, 덮개부(300) 앵글부(310a)의 수평부(311) 상면에 보호철망(500) 끝단부가 용접 또는 머리부가 둥근 접시형 볼트(50b)를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서 사람이 지나가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공된다.
한편, 도 9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00)의 양측 앵글부(310a) 끝단에 “ㄱ”형 연결바(330)를 더 설치하여 상기 덮개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철망(500)의 전단부가 상기 연결바(330)의 상면 일측에 안착되어 날카로운 보호철망(500)의 전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330)의 상면 타측에는 배수로 본체(200a)에 다른 배수로 본체(200a)가 연결되어 덮개부(300) 상부에 다른 보호철망(500)이 설치될 때 상기 다른 보호철망(500)의 후단부가 안착되어 제공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연속적인 연결시 보호철망(500)의 전/후단부가 덮개부(300)의 연결바(330) 상면에 안착되어 보호철망(500)의 전/후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성을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한편,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00)의 앵글부(310b) 일측 수직부(312)가 소정의 길이로 상향 절곡된 제1차단부(31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315) 끝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다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상향 절곡된 제2차단부(316)로 형성되며, 상기 제1차단부(315)는 앵글부(310b)의 수평부(311) 상면에 안착되는 보호철망(500)의 날카로운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철망(500)의 끝단이 날카로워 사람이 지나가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제1차단부(315)를 형성하여 보호철망(500)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제공된다.
한편, 도 13에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형태의 차단바(22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차단바(220)의 상부인 수평지게 형성된 면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면이 배수로(10) 바닥면을 향하게 설치되어 배수로(10) 바닥면에 배수로 본체(200a)가 이탈되거나 밀려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역할로 작용하게 되며, 배수로(10) 바닥면에 배수로 본체(200a)가 들뜬현상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차단바(220)가 볼트(50c)와 너트(55)로 고정되어 배수로 본체(200a)와 일체로 형성되어 배수로(10) 바닥면에 설치되며, 토압 또는 배수로 본체(200a) 내부에 유입되어 흐르는 우수에 의해 배수로 본체(200a)가 이탈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하부면에 차단바(220)가 설치됨으로서 배수로 본체(200a)의 양측에 설치되는 와이어앵커(400)를 설치하지 않아도 배수로 본체(200a)의 이탈방지의 동일한 효과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단바(220)가 배수로 본체(200a)의 하면에 부착되어 차단바(220)의 양측이 배수로 본체(200a)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체의 형태로 설치되는 반면, 상기 배수로 본체(200a) 하면의 양측에 각각 독립된 형태로 차단바(220)가 설치되며, 이때 차단바(220)의 일측이 배수로 본체(200a)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주름부(210)가 형성된 배수로 본체(200a) 대신에 도 17에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 배수로 본체(200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깊이가 낮은 배수로(10)에 설치될 수 있고, 이는 토압 또는 외부충격에 아무런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배수로(10)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100)을 배수로(10)에 연속적으로 연결시 상기 배수로(10) 내에 일측 배수로 본체(200a)의 끝단과 타측 배수로 본체(200a)의 끝단을 면접하게 하고, 상기 면접된 배수로 본체(200a)의 내주면에 이음판(230)을 안착시켜 스크류볼트(50a)로 체결하여 면접된 배수로 본체(200a)를 이음판(230)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음판(230)의 양측단에 누수되지 않도록 실링부재(미도시)를 설치하여 제공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고무패킹 또는 고분자합성재를 사용하여 밀폐역할을 하도록 제공된다.
한편, 절개지의 지반에 “└┘”자 형상의 배수로(10)를 파는 제1단계와, 상기 배수로(10) 내부에 배수로 본체(200a)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에 앵글부(310a)와 연결판(320)이 형성된 덮개부(300)를 씌워 덮개부(300)의 앵글부(310a)에 형성된 삽입구(314)와 체결구(313)를 통해 배수로 본체(200a)의 양측단이 체결되도록 스크류볼트(50a)를 체결하여 배수로 본체(200a)의 양측단에 덮개부(300)를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외측의 배수로(10) 내부 바닥면에 와이어앵커(400)의 앵커핀(410)을 지중에 박아 넣고, 상기 앵커핀(410)과 연결된 와이어(420)의 끝단을 상기 덮개부(300)의 앵글부(310a) 일측에 설치된 스크류볼트(50a)에 고정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에 설치된 덮개부(300) 상부에 보호철망(500)을 씌워 고정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배수로(10) 내에 설치된 배수로 본체(200a) 외측에 토사를 유입하여 지반을 다지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와이어앵커(400)는 배수로 본체(200a)의 외측 즉, 배수로 본체(200a)가 안착된 배수로(10)의 바닥면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지중에 박아 고정시키며, 배수로 본체(200a)의 일측방향에 사선방향으로 고정된 와이어앵커(400)라면, 배수로 본체(200a)의 타측방향에 고정된 와이어앵커(400)는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일측방향에 설치된 와이어앵커(400)와 좌우대칭의 사선방향으로 지중에 박아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6단계 대신에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양측에 각각 식생매트(600) 일측 끝단을 면접하고, 상기 식생매트(600)의 일측 끝단과 연장된 식생매트(600)를 배수로 본체(200a)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철망(500)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양측에 각각 면접된 식생매트(600)의 일측 끝단과 배수로(10) 내측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채운 후, 상기 보호철망(500) 상면에 안착된 식생매트(600)를 배수로(10) 외측으로 펼쳐 배수로(10) 외측의 지면에 면접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며, 식생매트 시공 후 도 25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23,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일측의 일면을 면접하여 배수로(10)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커버하도록 초본류가 식재된 식생매트(600)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배수로(10) 외측에 상기 식생매트(600)의 초본류가 뿌리내림으로 인해 배수로(10) 외측의 지면에 토착화되어 배수로(10) 주변이 우수에 의해 지반붕괴 또는 토사유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식생매트(600)는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식생매트(600)는 여러 층으로 적층된 구조로 상기 적층된 구조에 초본류 씨앗층이 형성되어 상기 초본류의 씨앗이 발아되어 식물로 성장하게 되며, 씨앗층 외에 다른 층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자연부식되어 식물성장에 퇴비로 사용되게 되고, 일부 적증구조는 지면에 결속되어 토사유출을 막는 지지구조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초본류 씨앗이 적층된 식생매트(600) 대신에 잔디와 같은 뿌리내림이 빠른 초본류 식재가 식재된 식생매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3,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생매트(600)가 배수로(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부에 길이방향으로 “U”형의 고정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610)에 등간격으로 매트고정핀(620)이 형성됨으로서 식생매트(6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이는 초본류의 뿌리내림이 완료될 때까지 우수에 의한 식생매트(6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식생매트(600) 끝단에 “U”형의 고정홈(610)이 형성되어 식생매트(600) 상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식생매트(600) 끝단의 하부 지면으로 우수가 유입되어 지면에 토사를 유실하여 식생매트(6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식생매트(600) 끝단을 “U”형의 고정홈(610)이 형성됨으로서 우수가 지면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고정홈(610)으로 유입되어 식생매트(600) 상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함에 있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600) 끝단을 “U”형의 고정홈(610)이 형성됨이 없이 식생매트(600)가 배수로(10) 외측의 상면에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6,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 본체(200b) 내부의 양면에 면접되어 수평으로 배수로 본체(200b)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에 각각 “ㄴ”형 측면판(71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710)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다수개 조립되는 보강판(720)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700)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로 본체(200b) 내부의 각각 양면에 보강부재(700)의 측면판(710)이 각각 볼트50c)와 너트(55)로 체결되어 조립되며, 상기 보강부재(700)의 설치함에 배수로 본체(200b)의 내부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바닥면 상부에 위치하여 보강부재(700)를 배수로 본체(200b) 내부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700)는 평판형 배수로 본체(200b)에 설치될 수 있고, 상술한 주름부(210)가 형성된 배수로 본체(200a)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주름부(210)가 형성된 배수로 본체(200a)의 내부에 보강부재(700)를 설치되는 구조도 상기 평판형 배수로 본체(200b)와 동일한 설치방법으로 보강부재(700)를 설치하여 제공된다.
상기 보강부재(700)의 설치 위치는 배수로 본체(200b) 내부의 중앙에 수평선상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2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로 본체(200b)의 높이가 클수록 배수로 본체(200b)의 내부 공간의 높이도 크게 됨으로 배수로 본체(200b)의 내부 높이를 기준하여 등간격으로 보강부재(700)를 다수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배수로 : 10, 스크류볼트 : 50a, 접시형 볼트 : 50b, 볼트 : 50c, 너트 : 55,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 100, 배수로 본체 : 200a, 200b, 주름부 : 210, 결속구 : 211, 차단바 : 220, 이음판 : 230, 덮개부 : 300, 앵글부 : 310a, 310b, 수평부 : 311, 수직부 : 312, 체결구 : 313, 삽입구 : 314, 연결판 : 320, 연결바 : 330, 와이어앵커 : 400, 앵커핀 : 410, 날개부 : 411, 통공 : 412, 와이어 : 420, 보호철망 : 500, 식생매트 : 600, 고정홈 : 610, 매트고정핀 : 620, 보강부재 : 700, 측면판 : 710, 보강판 : 720

Claims (15)

  1. 절개지 지면에 형성된 배수로(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돌출되어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주름부(210)가 형성된 배수로 본체(200a)와,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의 양측단을 각각 결속되도록 “┌┐”형태의 앵글부(310a)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양측 앵글부(310a)를 연결하도록 앵글부(310a) 측부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연결판(320)으로 구성되는 덮개부(300)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배수로(10) 바닥면 지중에 박아 고정되는 앵커핀(410)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핀(410)과 연결되어 덮개부(300)의 앵글부(310a) 일측에 돌출된 스크류볼트(50a)에 결속하는 와이어(420)로 구성되는 와이어앵커(400)를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0) 상부에 보호철망(5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0)의 양측 앵글부(310a) 끝단에 “ㄱ”형 연결바(330)를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의 앵글부(310a) 대신에 덮개부(300)의 앵글부(310b) 일측 수직부(312)가 소정의 길이로 상향 절곡된 제1차단부(31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315) 끝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다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상향 절곡된 제2차단부(316)로 형성되는 앵글부(310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수로 본체(200a)의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형태의 차단바(2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220)가 배수로 본체(200a)의 하면에 부착되어 차단바(220)의 양측이 배수로 본체(200a)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체의 형태로 설치되는 대신에 상기 배수로 본체(200a) 하면의 양측에 각각 독립된 형태로 차단바(2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210)가 형성된 배수로 본체(200a) 대신에 평판형 배수로 본체(20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일측의 일면을 면접하여 배수로(10)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커버하도록 초본류가 식재된 식생매트(600)가 설치되고,
    상기 식생매트(600)는 배수로(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부에 길이방향으로 “U”형의 고정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610)에 등간격으로 매트고정핀(6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100)을 배수로(10)에 연속적으로 연결시 상기 배수로(10) 내에 일측단이 서로 면접되는 배수로 본체(200a)의 내주면에 이음판(230)을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판(230)의 양측단에 누수되지 않도록 실링부재를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13. 절개지의 지반에 “└┘”자 형상의 배수로(10)를 파는 제1단계와,
    상기 배수로(10) 내부에 배수로 본체(200a)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에 앵글부(310a)와 연결판(320)이 형성된 덮개부(300)를 씌워 덮개부(300)의 앵글부(310a)에 형성된 삽입구(314)와 체결구(313)를 통해 배수로 본체(200a)의 양측단이 체결되도록 스크류볼트(50a)를 체결하여 배수로 본체(200a)의 양측단에 덮개부(300)를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외측의 배수로(10) 내부 바닥면에 와이어앵커(400)의 앵커핀(410)을 지중에 박아 넣고, 상기 앵커핀(410)과 연결된 와이어(420)의 끝단을 상기 덮개부(300)의 앵글부(310a) 일측에 설치된 스크류볼트(50a)에 고정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상부에 설치된 덮개부(300) 상부에 보호철망(500)을 씌워 고정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배수로(10) 내에 설치된 배수로 본체(200a) 외측에 토사를 유입하여 지반을 다지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 대신에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양측에 각각 식생매트(600) 일측 끝단을 면접하고, 상기 식생매트(600)의 일측 끝단과 연장된 식생매트(600)를 배수로 본체(200a)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철망(500)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배수로 본체(200a) 양측에 각각 면접된 식생매트(600)의 일측 끝단과 배수로(10) 내측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채운 후, 상기 보호철망(500) 상면에 안착된 식생매트(600)를 배수로(10) 외측으로 펼쳐 배수로(10) 외측의 지면에 면접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방법.
  15. 제1항 또는 제9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본체(200b) 내부의 양면에 면접되어 수평으로 배수로 본체(200b)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에 각각 “ㄴ”형 측면판(71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710)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다수개 조립되는 보강판(720)으로 구성되는 보강부재(7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KR1020110064156A 2011-06-30 2011-06-30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2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56A KR101126658B1 (ko) 2011-06-30 2011-06-30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1280031764.6A CN103620120A (zh) 2011-06-30 2012-06-26 组装式排水沟结构物
US14/130,078 US20140147210A1 (en) 2011-06-30 2012-06-26 Prefabricated drain structure
PCT/KR2012/005014 WO2013002527A2 (ko) 2011-06-30 2012-06-26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56A KR101126658B1 (ko) 2011-06-30 2011-06-30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658B1 true KR101126658B1 (ko) 2012-03-29

Family

ID=4614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156A KR101126658B1 (ko) 2011-06-30 2011-06-30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47210A1 (ko)
KR (1) KR101126658B1 (ko)
CN (1) CN103620120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86B1 (ko) 2012-10-05 2013-03-25 주식회사 장원 배수로 개폐장치
WO2015108212A1 (ko) * 2014-01-16 2015-07-23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5172078A1 (en) * 2014-05-09 2015-11-12 Fastditch, Inc Structural lining system
KR20150139160A (ko) * 2014-06-03 2015-12-11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75179A (ko) * 2014-12-19 2016-06-29 서기문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101768903B1 (ko) 2017-03-22 2017-08-30 하정훈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KR101955681B1 (ko) * 2018-04-14 2019-03-07 채상원 도로변의 방초구조
KR102261999B1 (ko) * 2021-03-25 2021-06-07 양기태 친환경 식생 토낭 철망 키트를 이용한 배수로 및 경사면 사방복구 옹벽 쌓기 시공방법
KR102261997B1 (ko) * 2021-03-25 2021-06-07 양기태 친환경 식생 토낭 철망 키트 및 그 제조방법
CN113026691A (zh) * 2021-03-29 2021-06-25 南昌大学 一种防止堵塞的排水渠
ES2891678A1 (es) * 2020-07-17 2022-01-28 Construcciones Urdecon S A Sistema urbano de drenaje
CN114775554A (zh) * 2022-04-20 2022-07-22 河南大学 一种山水林田草全生态循环用进行雨水收集灌溉的节水水渠
KR102518705B1 (ko) * 2021-12-29 2023-04-06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협소 공간용 배수로 보강시설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배수로 보강공법
CN117364563A (zh) * 2023-12-06 2024-01-09 山东中创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装置
USD1021139S1 (en) 2021-06-07 2024-04-02 American Leak Detection Irrigation, Inc. Ditch and canal l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0510B (zh) * 2015-04-23 2016-08-17 朱光顺 一种带坡度的模块组装式排水沟
CN105133721B (zh) * 2015-09-25 2017-11-21 安徽海米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双肢型成品排水沟
CN105804215A (zh) * 2016-03-25 2016-07-27 北京良乡蓝鑫水利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拼接式排水沟
CN109083125A (zh) * 2018-07-18 2018-12-25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软地基条件下临时排水沟施工方法
CN109024842B (zh) * 2018-08-30 2020-10-2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倒梯形明渠施工方法
CN109356259B (zh) * 2018-11-21 2024-05-07 中铁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复合式边坡急流槽结构及施工方法
CN109881647A (zh) * 2019-04-10 2019-06-14 长春市锐达筑路材料有限公司 一种预制渠道伸缩转向节结构
DE202021102026U1 (de) * 2021-04-15 2022-07-18 Richard Brink Gmbh & Co. Kg Entwässerungsrin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125U (ko) * 1976-11-25 1978-06-21
JPS5943529U (ja) * 1982-09-11 1984-03-22 菅野 正一 波付鋼板製の集水路
KR200195765Y1 (ko) * 2000-04-17 2000-09-15 미강건철주식회사 배수로 어셈블리
KR200281576Y1 (ko) 2002-03-05 2002-07-13 (주)신명건설기술공사 비탈면 상류측 산사태 방지 및 이물질 방지용 가로보구조물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0839B2 (ja) * 2003-07-31 2007-06-13 石田鉄工株式会社 路面用排水溝の構造
KR200361653Y1 (ko) * 2004-06-09 2004-09-14 박영수 배수로 구조물
KR100523962B1 (ko) * 2005-01-26 2005-10-25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옹벽 보호 시설물
CN200943203Y (zh) * 2006-06-14 2007-09-05 姚春林 U型节水橡胶渠
KR20090000188U (ko) * 2007-07-03 2009-01-08 유수영 조리실 배수로 구조
KR100964893B1 (ko) * 2008-04-23 2010-06-23 어영자 개수로와 배수재가 결합 형성된 초연약 지반의 집배수장치
CN201245833Y (zh) * 2008-08-18 2009-05-27 郝建忠 组合式节水型灌溉水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125U (ko) * 1976-11-25 1978-06-21
JPS5943529U (ja) * 1982-09-11 1984-03-22 菅野 正一 波付鋼板製の集水路
KR200195765Y1 (ko) * 2000-04-17 2000-09-15 미강건철주식회사 배수로 어셈블리
KR200281576Y1 (ko) 2002-03-05 2002-07-13 (주)신명건설기술공사 비탈면 상류측 산사태 방지 및 이물질 방지용 가로보구조물 설치구조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86B1 (ko) 2012-10-05 2013-03-25 주식회사 장원 배수로 개폐장치
WO2015108212A1 (ko) * 2014-01-16 2015-07-23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5172078A1 (en) * 2014-05-09 2015-11-12 Fastditch, Inc Structural lining system
KR20150139160A (ko) * 2014-06-03 2015-12-11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53722B1 (ko) * 2014-06-03 2016-09-02 (주)자연과학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75179A (ko) * 2014-12-19 2016-06-29 서기문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101663691B1 (ko) * 2014-12-19 2016-10-07 서기문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101768903B1 (ko) 2017-03-22 2017-08-30 하정훈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KR101955681B1 (ko) * 2018-04-14 2019-03-07 채상원 도로변의 방초구조
ES2891678A1 (es) * 2020-07-17 2022-01-28 Construcciones Urdecon S A Sistema urbano de drenaje
KR102261999B1 (ko) * 2021-03-25 2021-06-07 양기태 친환경 식생 토낭 철망 키트를 이용한 배수로 및 경사면 사방복구 옹벽 쌓기 시공방법
KR102261997B1 (ko) * 2021-03-25 2021-06-07 양기태 친환경 식생 토낭 철망 키트 및 그 제조방법
CN113026691A (zh) * 2021-03-29 2021-06-25 南昌大学 一种防止堵塞的排水渠
USD1021139S1 (en) 2021-06-07 2024-04-02 American Leak Detection Irrigation, Inc. Ditch and canal liner
US11959240B2 (en) 2021-06-07 2024-04-16 American Leak Detection Irrigation, Inc. Ditch and canal liner assembly
KR102518705B1 (ko) * 2021-12-29 2023-04-06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협소 공간용 배수로 보강시설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배수로 보강공법
CN114775554A (zh) * 2022-04-20 2022-07-22 河南大学 一种山水林田草全生态循环用进行雨水收集灌溉的节水水渠
CN117364563A (zh) * 2023-12-06 2024-01-09 山东中创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装置
CN117364563B (zh) * 2023-12-06 2024-03-15 山东中创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20120A (zh) 2014-03-05
US20140147210A1 (en)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8651770B2 (en) Erosion control ballast and soil confinement mat
KR102162206B1 (ko)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KR20050113128A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0925886B1 (ko) 생태블록 사방댐.
KR20130131833A (ko)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JP6192763B1 (ja)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KR102219062B1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101963362B1 (ko)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65582B1 (ko) 배수로 구조물
KR102150343B1 (ko) 사면보강용 격자구조틀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구조물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JP6072542B2 (ja) 害獣侵入防止装置
KR101366486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0059246A2 (en) Erosion control panels
JP5211010B2 (ja) 垂直面崩落防止構造
KR101419000B1 (ko)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KR200245925Y1 (ko) 낙석방지터널 설치구조
JP3713688B2 (ja) 堤状構造物
KR20050118070A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