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303A -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303A
KR20200020303A KR1020180095853A KR20180095853A KR20200020303A KR 20200020303 A KR20200020303 A KR 20200020303A KR 1020180095853 A KR1020180095853 A KR 1020180095853A KR 20180095853 A KR20180095853 A KR 20180095853A KR 20200020303 A KR20200020303 A KR 20200020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inding
soil
ton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809B1 (ko
Inventor
최훈식
Original Assignee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8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생토낭 결속구(10)의 토양 결속부(200)가 절개지의 토양에 결속되어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생토낭 결속구(10)는 배수관통부(300)를 구비하여 절개지의 침출수가 식생토낭옹벽으로 배수되도록 하므로 절개지의 수평토압을 감소시켜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A Coupling Device of Soil Sa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사면 절개지 및 하천의 절개지는 토양이 그대로 드러나 강수나 불어난 강물에 의해 유실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절개지는 토양이 햇빛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척박한 토양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물의 활착으로 인한 자연적인 유실 및 붕괴 방지 및 녹화는 기대하기 어렵다. 최근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식물의활착이 가능한 식생토낭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아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녹화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식생토낭은 흙의 팽창에 의한 변형을 구속하여 지반보강에 효과적임을 입증되었다. 식생토낭을 사용함으로서 마찰성분만 있는 재료의 성질이 점착력과 마찰각성분이 있는 성질로 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식생토낭에 가해지는 연직하중 및 수평하중은 식생토낭에 발생한 구속응력으로 인한 응력을 유발되어 내하능력이 증진되므로 외력에 대한 안정성을 지니게 된다. 식생토낭 옹벽은 식생토낭에 현장토를 채운 후 이를 옹벽형식으로 쌓아 올리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식생토낭 옹벽은 절개지 경사면의 흙으로부터 발생하는 수평토압을 극복하여 흙이 흘러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시공된 식생토낭 옹벽은 수평토압으로 인한 발생한 과부합 압력과 반복적인 습윤 및 건조에 의해 발생한 인장 균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식생토낭의 층간접촉면이 파괴되거나 식생토낭 옹벽이 전체적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파괴된다. 기존의 식생토낭 옹벽 시공방법은 이러한 층간접촉면의 파괴 및 옹벽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생토낭의 쌓는 방법에 변형을 주어 층간접촉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지오그리드의 길이를 늘려 전체적인 식생토낭 옹벽의 압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예보없이 폭우 수준의 집중적인 강우가 국지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우로 인해 빗물이 스며들면 침출수로 인한 수평토압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기존의 식생토낭을 쌓는 방법으로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집중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급격한 토압증가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실정이며 식생토낭 옹벽에 설치하는 지오그리드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지오그리드의 늘어난 길이만큼 절개지를 더 정리하여야 하므로 시공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한국등록특허 10-1698455 한국등록특허 10-187013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토낭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고 침출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식생토낭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판(100);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식생토낭 결속구(10)를 토양에 결속시키는 토양결속부(200); 상기 연결판(100)에 구비되어 침출수 및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관통하여 이동하는 배수관통부(300); 상기 연결판(10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쐐기형식으로 식생토낭(20)에 삽입되는 돌기부(400); 상기 연결판(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비료보관부(500); 및 상기 연결판(100)에 식생의 뿌리가 통과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공(600); 을 포함하는 법면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면을 정리하고 식생철망(30)을 설치한 후 상기 식생철망(30)상에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를 배치하는 제1단계;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상에 식생토낭(20)을 배치하고 상기 식생토낭(20)의 뒷공간에 현장토를 채우는 제2단계; 상기 식생토낭(20)상에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를 배치하는 제3단계;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상에 식생토낭(20)을 배치하고 상기 식생토낭(20)의 뒷공간에 현장토를 채우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 및 제4단계를 반복하여 식생토낭옹벽(1)을 설치하는 제5단계; 상기 식생토낭옹벽(1)을 상기 식생철망(30)으로 덮는 제6단계; 상기 식생토낭 결속구(10)에 항타기구(40)를 결합시켜 토양결속부(200)를 설치하는 제7단계; 상기 토양결속부(200)의 스트랩(230)에 결속부재(240)를 결합시키고 상기 결속부재(240)를 식생토낭옹벽(1) 방향으로 밀어 넣어 상기 식생철망(30)을 상기 식생토낭옹벽(1)에 결합시키는 제8단계; 및 상기 식생토낭용벽(1)의 외부에 남아 있는 스트랩(230)을 제거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법면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를 이용한 식생토낭 법면보강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생토낭 결속구(10)의 토양 결속부(200)가 절개지의 토양에 결속되어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생토낭 결속구(10)는 배수관통부(300)를 구비하여 절개지의 침출수가 식생토낭옹벽으로 배수되도록 하므로 절개지의 수평토압을 감소시켜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식생토낭 결속구(10)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2는 항타기구(40)가 결합된 식생토낭 결속구(10)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3은 식생토낭 결속구(10)의 연결판(100)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4은 식생토낭 결속구(10)의 연결판(100)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3의 연결판(100)을 180도 회전시킨 것이다.
도 5는 항타기구(40)가 결합된 식생토낭 결속구 토양결속부(200)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6은 식생토낭 결속구 토양결속부(200)의 토양침투부(210) 및 토양결속날개(220)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7은 식생토낭 결속구(10)를 이용하여 시공된 식생토낭옹벽(1)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식생토낭 결속구(10)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식생토낭 결속구(1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판(100);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식생토낭 결속구(10)를 토양에 결속시키는 토양결속부(200); 상기 연결판(100)에 구비되어 침출수 및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관통하여 이동하는 배수관통부(300); 상기 연결판(10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쐐기형식으로 식생토낭(20)에 삽입되는 돌기부(400); 상기 연결판(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비료보관부(500); 및 상기 연결판(100)에 식생의 뿌리가 통과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공(600);을 포함하므로 상기 식생토낭 결속구의 법면결속력을 향상시키고 침출수를 배수하여 상기 결속구가 시공된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연결판(100)은 판상으로 구비되어 식생토낭(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식생토낭(20)은 상기 연결판(100)과 동일한 넓이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판(100)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식생토낭(20)이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도 있다. 상기 연결판(100)은 식생토낭 결속구(10)를 법면의 토양에 결속시키는 토양 결속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결속부(200)는 조개 형상을 가져 토양에 용이하게 침투되도록 하는 토양 침투부(210); 서로 대면되도록 연결되고 날개변이 외측으로 벌어진 “V” 형상을 가지는 토양 결속 날개(220); 상기 토양침투부(210)에 연결되고 상기 토양 침투부(210) 방향으로 돌기(231)가 형성된 스트랩(230); 및 상기 스트랩(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생토낭(20)과 상기 연결판(100)을 결속하는 결속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결속부(200)는 상기 연결판(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배수관통부(300)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상기 배수관통부(300)는 항타기구(40)가 관통할 수 있는 직경을 가져 상기 항타기구(40)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결속부(200)를 법면의 토양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항타기구(4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단면이 “C” 형상을 가져 상기 토양결속부(200)의 스트랩(2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조되며 상기 토양결속부(200)를 설치한 후 제거된다. 상기 항타기구(40)가 제거되면 상기 배수관통부(300)에는 상기 스트랩(230)만이 남게 되므로 법면의 침출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기존의 식생토낭옹벽은 강수 등에 의해 스며든 물로 인해 수평토압이 증가하여 식생토낭옹벽이 붕괴될 염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식생토낭 결속구(10)를 이용하면 법면의 침출수가 식생토낭옹벽의 식생토낭 사이에 위치하는 식생토낭 결속구(10)의 배수관통부(30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므로 강수에 의한 수평토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배수관통부(300)는 상기 토양 결속부(200)가 결합되는 부위가 상기 토양 결속부(200)의 토양 결속 날개(220)와 완벽히 결합되도록 아래 부분 및 윗부분이 깎여 있는것이 확인된다. 상기 배수관통부(300)에 결합된 상기 토양 결속부(200)가 상기 항타기구(40)에 의해 상기 법면의 토양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토양 결속 날개(220)와 결합한 부위는 침출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된다. 상기 결합부위는 상기 토양 결속 날개(220)의 결합을 위하여 아래 부분과 윗부분이 깎여 있으므로 일단이 비스듬히 잘린 빨대의 유입구와 같이 더 많은 침출수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토양 결속부(200)의 토양 침투부(210)는 조개모양의 유선형을 가지고 있어 법면의 토양 뿐 아니라 암석이 포함된 토양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양 결속부(200)의 토양 결속 날개(220)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날개로 구성된다. 상기 두 개의 날개는 길이가 다른 두 개의 날개 즉, 제1 날개(221)와 상기 제 1 날개(221)에 대비하여 길이가 1.5 내지 2배 긴 제 2 날개(2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상기 항타기구(40)에 의해 상기 법면 토양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후 연결된 스트랩(230)을 식생토낭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더 큰 저항을 받는 제 2 날개 (222)방향으로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토양결속부(200)의 옆면이 식생토낭(20)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이로인해 토양결속부(200)가 받게 되는 저항에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상기 법면의 토양 내부에 단단히 박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트랩(230)에는 토양침투부(210)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2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230)의 돌기(231)는 상기 스트랩(230)에 결합하여 이동하는 결속부재(240)의 이동방향을 상기 토양침투부(210)방향으로 한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랩(230)의 돌기(231)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토양 침투부(410) 방향으로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는 형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스트랩(230)에 결합된 결속부재(240)가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식생토낭 방향)으로만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결속부재(240)는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상기 법면의 토양 내부에 설치된 후 상기 스트랩(230)에 결합시켜 식생토낭(20) 방향으로 밀어넣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상기 결속부재(240)는 식생토낭옹벽(1)의 식생토낭(20)과 식생토낭(20)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식생토낭(20)상에 설치된 식생철망(30)을 상기 식생토낭(20)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재(240)는 쐐기형식으로 상기 식생토낭(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돌기(241)를 포함한다. 식생토낭옹벽(1)에 식생철망(30)을 덮어주면 상기 식생철망(30)이 식생토낭(20)을 잡아주기 때문에 상기 식생토낭(20) 사이의 저항을 증가시켜 식생토낭옹벽(1) 전체에 걸쳐 수평토압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식생철망(30)을 이용한 공법에서는 상기 식생철망(30)이 상기 식생토낭(20)과 완벽히 밀착되지 않아 상기 식생철망(30)에 의한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 향상 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식생철망(30)이 상기 식생토낭(20)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므로 작업자의 이동을 불편하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결합부재(240)는 돌기(241)을 가져 상기 식생철망(30)을 상기 돌기(241)에 거치한 상태로 상기 식생토낭(20)에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되므로 식생철망(30)과 식생토낭(20)을 밀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240)를 이용하면 상기 색생철망(30)을 상기 식생토낭(20)에 단단히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식생철망(30)의 사용으로 인한 안정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100)에는 다수의 돌기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400)는 상기 연결판(100)에 위치하여 식생토낭(20)을 쐐기형식으로 침투하므로 상기 식생토낭(20)을 연결판(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판(100)은 하나 이상의 비료보관부(500)을 구비한다. 상기 비료보관부(500)에는 비료가 구비되어 식생토낭용벽(1)이 시공된 후 뿌려준 물이나 강수 등에 의해 비료가 녹아 식생토낭(20)으로 스며들게 된다. 상기 식생토낭(20)에 씨앗이 구비된 경우, 상기 비료보관부(500)에서 공급된 비료에 의해 상기 씨앗의 발아가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판(100)은 식생의 뿌리가 통과되어 지지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통공(600)을 포함한다. 상기 통공(600)은 식생의 뿌리가 통과하여 자랄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연결판(100)의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로서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600)을 통해 식생의 뿌리가 자라나면 상기 식생토낭 결속구(10)에 의해 결속되는 것에 추가로 식생토낭(20)의 결속을 보강하므로 상기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식생토낭 결속구(10)를 이용하여 시공된 식생토낭옹벽(1)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식생토낭 결속구(10)를 이용한 식생토낭 옹벽은 기초면을 정리하고 식생철망(30)을 설치한 후 상기 식생철망(30)상에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를 배치하는 제1단계;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상에 식생토낭(20)을 배치하고 상기 식생토낭(20)의 뒷공간에 현장토를 채우는 제2단계; 상기 식생토낭(20)상에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를 배치하는 제3단계;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상에 식생토낭(20)을 배치하고 상기 식생토낭(20)의 뒷공간에 현장토를 채우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 및 제4단계를 반복하여 식생토낭옹벽(1)을 설치하는 제5단계; 상기 식생토낭옹벽(1)을 상기 식생철망(30)으로 덮는 제6단계; 상기 식생토낭 결속구(10)에 항타기구(40)를 결합시켜 토양결속부(200)를 설치하는 제7단계; 상기 토양결속부(200)의 스트랩(230)에 결속부재(240)를 결합시키고 상기 결속부재(240)를 식생토낭옹벽(1) 방향으로 밀어 넣어 상기 식생철망(30)을 상기 식생토낭옹벽(1)에 결합시키는 제8단계; 및 상기 식생토낭용벽(1)의 외부에 남아 있는 스트랩(230)을 제거하는 제9단계;로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생토낭 결속구(10)를 이용한 식생토낭옹벽(1) 시공방법은 상기 식생토낭 결속구(10)를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지오그리드(60)를 더 설치하여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오그리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핀(50)을 더 설치하여 식생토낭옹벽(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 식생토낭옹벽 10: 식생토낭 결속구
20: 식생토낭 30: 식생철망
40: 항타기구 50: 지오그리드 고정핀
60: 지오그리드 100: 연결판
200: 토양결속부 210: 토양침투부
220: 토양결속날개 221: 제 1 날개
222: 제 2 날개 230: 스트랩
231: 돌기 240: 결속부재
241: 돌기 300: 배수관통부
400: 돌기부 500: 비료보관부
600: 통공

Claims (7)

  1.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판(100);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식생토낭 결속구(10)를 토양에 결속시키는 토양결속부(200);
    상기 연결판(100)에 구비되어 침출수 및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관통하여 이동하는 배수관통부(300);
    상기 연결판(10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쐐기형식으로 식생토낭(20)에 삽입되는 돌기부(400);
    상기 연결판(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비료보관부(500); 및
    상기 연결판(100)에 식생의 뿌리가 통과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공(600);
    을 포함하는 법면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결속부(200)는
    조개 형상을 가져 토양에 용이하게 침투되도록 하는 토양 침투부(210);
    서로 대면되도록 연결되고 날개변이 외측으로 벌어진 “V” 형상을 가지는 토양 결속 날개(220);
    상기 토양 침투부(210)에 연결되고 상기 토양 침투부(210) 방향으로 돌기(231)가 형성된 스트랩(230); 및
    상기 스트랩(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생토낭(20)과 상기 연결판(100)을 결속하는 결속부재(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결속 날개(220)는 제 1 날개(221) 및 제 2날개(222)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날개(221)의 길이가 상기 제 2 날개(222)의 길이에 대비하여 1.5 내지 2배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230)은 상기 결속부재(240)와 결합하며 상기 결속부재(240)가 상기 식생토낭(20)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240)는 쐐기형식으로 상기 식생토낭(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기(2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결속부(20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단면이 “C” 형상을 가져 상기 토양결속부(200)의 스트랩(2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조된 항타기구(40)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7. 식생토낭(20)을 이용한 법면보강공법에 있어서,
    기초면을 정리하고 식생철망(30)을 설치한 후 상기 식생철망(30)상에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를 배치하는 제1단계;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상에 식생토낭(20)을 배치하고 상기 식생토낭(20)의 뒷공간에 현장토를 채우는 제2단계;
    상기 식생토낭(20)상에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를 배치하는 제3단계;
    상기 토양결속부(200)가 구비된 식생토낭 결속구(10)상에 식생토낭(20)을 배치하고 상기 식생토낭(20)의 뒷공간에 현장토를 채우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 및 제4단계를 반복하여 식생토낭옹벽(1)을 설치하는 제5단계;
    상기 식생토낭옹벽(1)을 상기 식생철망(30)으로 덮는 제6단계;
    상기 식생토낭 결속구(10)에 항타기구(40)를 결합시켜 토양결속부(200)를 설치하는 제7단계;
    상기 토양결속부(200)의 스트랩(230)에 결속부재(240)를 결합시키고 상기 결속부재(240)를 식생토낭옹벽(1) 방향으로 밀어 넣어 상기 식생철망(30)을 상기 식생토낭옹벽(1)에 결합시키는 제8단계; 및
    상기 식생토낭용벽(1)의 외부에 남아 있는 스트랩(230)을 제거하는 제9단계;
    를 포함하는 법면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를 이용한 식생토낭 법면보강공법.
KR1020180095853A 2018-08-17 2018-08-17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69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53A KR102169809B1 (ko) 2018-08-17 2018-08-17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53A KR102169809B1 (ko) 2018-08-17 2018-08-17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03A true KR20200020303A (ko) 2020-02-26
KR102169809B1 KR102169809B1 (ko) 2020-10-26

Family

ID=6963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853A KR102169809B1 (ko) 2018-08-17 2018-08-17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943B1 (ko) * 2021-09-10 2022-02-16 윤윤종 식생토낭용 듀얼유공 배수 결속재 및 그를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67B1 (ko) * 2014-12-03 2015-10-13 (주)영앤핀치 토낭 연결 및 보강 부재
KR20160107888A (ko) * 2015-03-06 2016-09-19 영원산업 주식회사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KR101870137B1 (ko) 2017-10-25 2018-07-19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식생토낭을 이용한 사면보강 및 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67B1 (ko) * 2014-12-03 2015-10-13 (주)영앤핀치 토낭 연결 및 보강 부재
KR20160107888A (ko) * 2015-03-06 2016-09-19 영원산업 주식회사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KR101698455B1 (ko) 2015-03-06 2017-01-20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KR101870137B1 (ko) 2017-10-25 2018-07-19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식생토낭을 이용한 사면보강 및 녹화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943B1 (ko) * 2021-09-10 2022-02-16 윤윤종 식생토낭용 듀얼유공 배수 결속재 및 그를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809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984Y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20200020303A (ko)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8119B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100935176B1 (ko) 도로사면 보호용 친환경 식생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211498731U (zh) 河道边坡防护结构
KR101382179B1 (ko) 식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201258489Y (zh) 用于加固边坡的盲沟排水拱梁
KR20060011929A (ko) 토사면의 녹지화촉진 요철매트활용 식생공법
KR100910736B1 (ko) 식생관을 이용하여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KR200454179Y1 (ko) 어스와이어앵커
KR101519230B1 (ko) 강재 사면 보호책
KR100979949B1 (ko) 지오그리드가 자체부착된 식생백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CN115233621A (zh) 一种基于生态文明的小流域水土流失治理方法
KR101664736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식생토낭
KR20120038665A (ko)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KR102083348B1 (ko)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매트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32095B1 (ko)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
CN216948354U (zh) 一种用于陡峭岩质边坡的生态防护结构
JP2865624B2 (ja) 法面保護緑化構造
KR102602839B1 (ko) 식생토낭 고정장치
CN220598332U (zh) 柔性生态驳岸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CN208293606U (zh) 一种生态挡土构造
JP7138860B2 (ja) 植栽受圧板及び斜面緑化工法
JP5699291B2 (ja) 植生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