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095B1 -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095B1
KR102432095B1 KR1020220000770A KR20220000770A KR102432095B1 KR 102432095 B1 KR102432095 B1 KR 102432095B1 KR 1020220000770 A KR1020220000770 A KR 1020220000770A KR 20220000770 A KR20220000770 A KR 20220000770A KR 102432095 B1 KR102432095 B1 KR 10243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vegetation
periosteum
shap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학현
Original Assignee
안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학현 filed Critical 안학현
Priority to KR102022000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ntaining foam or presenting a foam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6Peroxide solu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은 식생포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식생포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가변되는 로프망;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로프망을 일체로 결합하도록,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로프망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클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 {A VEGETATION CHECK-DAM POUCH HAVING VARIABLE SHAPE, AND DEBRIS FLOW BUILD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폭우, 홍수, 국지성 집중 호우 및 여름철 장마 등으로 인한 다량의 빗물에 의해 계곡이나 하천 및 강가 등에 인접한 산림 지역에서 빗물과 토사가 함께 흘러내리는 산사태를 일으켜 막대한 인명 또는 재산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위와 같은 산사태를 방지하고 바위, 흙, 모래나 나무가 빗물과 함께 하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일반적으로 계곡이나 하천 및 강가 등에 콘크리트 구조물, 석축용 돌을 축조하여 댐 구조물인 골막이를 설치한다.
통상 골막이는 중량물인 석축용 돌을 사용하거나 양생되지 않은 콘크리트 반죽을 사용하기 때문에 골막이 구조물을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인력으로 운반해야 하는 바, 산중 계곡, 길이 험준한 하천 및 강가에 골막이 구조물을 시공하는데 시공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석축용 돌 등을 이용하여 골막이를 하는 경우, 석축용 돌의 움직임, 유실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개비온이 사용되되, 개비온은 옹벽, 절토 및 성토 사면 보호 또는 호안 및 세굴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스틸 재질의 폐합된 망체(網體)로 제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사석이 충전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개비온을 이용하여 골막이을 하는 경우, 개비온은 함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지면에 접하는 후면이 각짐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지면의 토사를 굴착하고 개비온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지면을 다듬는 공정을 추가하여 이에 대비할 수 있으나, 시공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양생되지 않은 콘크리드 반죽으로 골막이을 하는 경우, 산중계곡, 길이 험준한 하천 및 강가에서 채움재로 쓰이는 콘크리트 반죽을 제조하거나 목재, 자갈등을 운반하기 곤란한 것을 방지하기위해 식생토낭이 사용되기도 하는 바, 식생토낭은 콘크리트나 철근 등을 사용하고 있는 옹벽이나 하천 제방, 사방사업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섬유 재질의 폐합된 포대로 제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채움재가 충전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마련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반죽, 목재, 자갈등과 같은 충전재를 포함한 식생토낭은 산간지역에 인력으로 운반 및 투입이 어려워 시공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9-0168162 A (2019.12.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산중계곡, 길이 험준한 하천 및 강가와 같은 산간지역에 시공이 용이하도록, 골막이 축조 시 토사 굴착 단계에서 굴착된 토사를 활용할 수 있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굽이진 원지반 능선에 밀착되도록, 외부 압력으로 형상이 원지반 능선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로프망으로 포대를 감싸 형성되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간편한 시공 및 시공비용 절감을 위해 조적된 각각의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을 복수 개의 와이어 클립으로 고정하고, 와이어로프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와이어 클립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은, 식생포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식생포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가변되는 로프망;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로프망을 일체로 결합하도록,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로프망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식생포대는, 복합포 재질로 형성된 포대; 및 토사(土砂) 및 플로랄폼(Floral foam)을 포함하여, 상기 포대의 내부에 충전되는 채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랄폼은, 0.1~1wt% 과산화수소수에 함침되고, 식생재의 일측이 삽목(揷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재는, 일측이 10~50wt%의 발근제 수용액에 함침되어, 상기 플로랄폼에 삽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합포는, 내피층; 상기 내피층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내피층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씨앗; 및 상기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내피층과 본딩 결합되는 외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층은 부직포로 마련되고, 상기 씨앗의 뿌리가 상기 포대 내부에 수용된 상기 채움재로 생장될 수 있도록 상기 내피층은 메쉬가 형성된 직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밀가루풀, 감자풀, 전분, 옻, 녹말풀, 고무풀 및 천연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로프망은 스틸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형상가변 로프가 직조되어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 클립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클립바디; 및 상기 클립바디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형상가변 로프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의 후크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로프망을 일체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클립에는 상기 클립바디의 평면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는 와이어로프링이 마련되고,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와이어로프링을 관통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지면에 고정하는 한 쌍의 앙카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원지반 능선이 노출되도록 현장의 지반 토사를 굴착하는 기초단계; 식생포대를 구성하는 복합포 제조과정 및 플로랄폼을 0.1~1wt% 과산화수소수에 함침하고, 식생재를 10~50wt% 발근제 수용액에 함침하는 함침과정을 포함하는 준비단계; 상기 복합포로 일측이 개구된 포대 프리폼을 제조하고, 상기 포대 프리폼에 토사와 플로랄폼을 포함한 채움재를 충전하고 일측을 봉제하여 식생포대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 포대 제조단계; 로프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식생포대를 감싸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제조단계;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원지반 능선에 조적하는 조적단계; 및 조적된 각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이 서로 인접하는 부위의 로프망 가장자리에 위치한 형상가변 로프를 와이어클립으로 고정 설치하여 골막이를 형성하는 골막이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포 제조과정은, 내피층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면을 형성하고 접착면에 복수의 씨앗을 배치한 후, 접착면 상부에 외피층을 배치하고 압착하여 상기 내피층과 외피층은 접착면을 매개로 본딩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골막이 형성단계 이후에, 골막이 표면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을 통해 내부로 식생재 일측이 삽목된 상기 플로랄폼을 삽입하는 조경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막이 형성단계 이후에, 골막이가 원지반능선의 경사 및 굴곡에 간섭받지 않고 밀착되어 축조되도록, 와이어로프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와이어로프링을 관통하고, 와이어로프의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마련되는 길이조절부로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한 후, 지면에 설치된 앙카에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마무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복합매트 제조 시 환경 친화적인 접착제를 사용함에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씨앗의 고사를 방지하고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과산화수소수에 함침하여 소독한 플로랄폼에 식물의 가지를 삽목시킴에 따라 식물의 가지를 현장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식물의 가지를 발근제 수용액에 함침시킨 후 삽목함에 따라 가지의 생육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포대 제조과정에서 플로랄폼 및 골막이 시공 시 굴착 단계에서 굴착된 현장의 토사를 채움재로 사용함에 따라 자재의 운반 및 투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외압에 의해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로프망을 제조함에 따라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이 원지반 능선의 굴곡에 따라 밀착되고 로프망이 접하는 각각의 접철부를 복수 개의 와이어 클립으로 고정하고, 가로줄에 배치된 와이어 클립을 와이어 로프로 연결하여 양 단이 앙카로 고정설치되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시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골막이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망을 보여주는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가지를 삽목한 플로랄폼의 설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망과 와이어클립의 설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을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은 굴착 단계시 굴착되는 현장의 토사 및 플로랄폼을 충전재로 사용하여 운반 및 투입이 용이하고, 포대를 로프망으로 감싸 굴곡진 원지반 능선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골막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막이는 지면의 토사에 의해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결합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토사를 걷어내는 굴착과정을 거쳐 원지반 능선이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망(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포대(100a, 100b)를 수용하고 있으며, 조적 시 원지반 능선에 보다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상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원지반 능선에 밀착하여 단순 조적되어 있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결합력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클립(300)을 사용해 서로 인접하는 로프망(200)이 접하는 가장자리 부위의 형상가변 로프에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와이어클립(300)을 설치하는 위치는 축조된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각 로프망(200)이 양측 또는 상하로 접하는 부위의 가장자리 및 골막이 전면으로 보이는 부위이며,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한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막이는 축조하는 지역의 지형 및 상황에 따라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에 고정구(400)가 추가될 수 있다.
고정구(400)는 길이조절부(420)가 설치된 와이어로프(410) 및 앙카(430)를 포함하며, 각각의 와이어로프(410) 양 끝은 지면에 설치된 앙카(430)에 고정 설치된다.
와이어로프(410)는 단라인 로프(DANLINE ROPE), 폴리프로필렌 로프(POLYPROPYLENE ROPE), 폴리에틸렌 로프(POLYETHYLENE ROPE), 나일론8연 로프(NYLON8-STRABDROPE ROPE), 비닐론(구라론) 로프(KURALON ROPE), 마닐라 로프(MANILA ROPE) 등 인접하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로프(410)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복수의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을 일체로 결합해야 하는 바, 와이어로프(410)의 질김 및 인장 강도가 적절하도록 경강선, 아연도금강선, 스테인리스 로프 등을 꼬아서 마련한 스틸 재질을 사용한다.
골막이 축조 시 설치된 와이어로프(410)는 바람, 태풍, 우천 등과 같은 외부 환경 및 자극에 의해 느슨해져 고정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식생재(P) 및 씨앗(123)이 자라남에 따라 내부에서 받는 압력으로 인해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부피가 증가하여 와이어로프(410)가 받는 인장력이 증가할 수 있어, 이에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이 압박을 받아 훼손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느슨하거나 팽팽해진 와이어로프(4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진행되는 추가시공의 편의성이 높아지도록, 와이어로프(410)의 일측 및 타측에 길이조절부(420)를 설치한다.
길이조절부(420)는 스텐턴버클, 볼트형 슬리브, 압착형 슬리브, 스텐 와이어클립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앙카(430)에 고정되어 마찰이 잦은 고리 부분을 보호하는 스텐심블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앙카(430)는 와이어로프(4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각각의 와이어로프(410) 양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앙카(4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앙카(430)는 망치, 드릴 등과 같은 연장을 사용하여 지면에 관통 설치되고, 세트 앙카, 스트롱앙카 및 캐미칼 앙카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구(400)를 추가하는 지형 및 상황은, 원지반 능선의 경사가 가파른 경우, 축조된 골막이의 높이가 높아 와이어클립(300)의 지지력만으로는 불안정하게 축조된 경우, 상습 범람 또는 침수 지역으로 골막이 주변의 토사가 유실될 우려가 있는 경우 등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채움재(110)는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토사(111)가 포함되고 운반 및 투입이 용이하도록, 석재, 콘크리트 반죽, 목재, 자갈 등과 같은 종래에 사용되던 개비온의 자재보다 가벼운 플로랄폼(112)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사(111)와 플로랄폼(112)의 비율을 조절하여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으며 씨앗(123) 및 식생재(P)가 생장하기에 용이하도록, 토사(111)의 비율은 6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토사(111)의 품질이 식물의 식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식물의 식생에 도움을 주는 비료, 퇴비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포대 프리폼은 내피층(121)의 일면에 접착제(122)를 도포하여 접착면을 형성하고 접착면에 복수의 씨앗(123)을 배치한 후, 접착면 상부에 외피층(124)을 배치하고 압착하여 상기 내피층(121)과 외피층(124)은 접착면을 매개로 본딩 결합된 복합포(120)를 제조한 후, 복합포(120)를 재단 및 봉제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된 포대 프리폼으로 가공하는 바, 채움재(110)가 충전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망(200)은 작업자가 중장비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상부에 압력을 가하여 원지반 능선에 조적하는 바, 원지반 능선에 밀착되도록, 상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가변된 형상으로 유지되는 스틸 재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로프망(200)은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수분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망(200)은 세로 500~5000㎜, 가로 300~5000㎜, 폭 200~5000㎜ 정도의 크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포대(100a, 100b)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가 형성되어 될 수 있다.
이때, 로프망(200)은 식생포대(100a, 100b)의 외측면을 감싸 설치되기 위해 와이어 로프망, 스텐 와이어 로프망, 섬유 로프망, 그리드망,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로프망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로프망, 강성 지오그리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로프망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로프망(200)의 형상이 외압에 의해 변형되어 유지되기 용이하도록, 스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쉬의 크기는 식생재(P)가 삽목된 플로랄폼(112)이 삽입공에 억지끼움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지름 2~2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포대가 수용되는 로프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망(200)에 수용되는 식생포대(100a, 100b)는 작업 조건에 따라 일 실시예 식생포대(100a), 다른 실시예 식생포대(100b)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에 도시된 일 실시예 식생포대(100a)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을 시공하기위해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투입이 가능한 지역에서 사용되며, 로프망(200)의 내주면 크기와 대응하여 수용되는 크기를 갖는 형상으로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비 투입이 가능한 지역으로는 집중호우 시 상습적으로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는 지역, 우수관로 배수로 통수단면 부족 및 집중호우 시 만조 시간대가 겹치면서 내수배제 불량에 따른 상습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 식생포대(100b)는 산중계곡, 길의 폭이 좁아 장비의 통행이 어려운 지역, 산악지역과 같이 시공 장소에 중장비의 투입이 어려워 인력으로 골막이 시공을 해야 하는 지역에서 사용되며, 복수 다른 실시예 식생포대(100b)가 로프망(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제조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포(120)는 일면에 접착제(122)가 도포되는 내피층(121), 접착제(122)를 매개로 내피층(121)에 본딩 결합되는 외피층(124) 및 내피층(121)과 외피층(124)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씨앗(123)을 포함한다.
내피층(121)은 씨앗(123)이 발아함에 따라 뿌리가 뻗어 나오도록 소정 크기의 메쉬가 형성되되, 메쉬공의 크기는 채움재(110)가 유실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접착제(122)는 내피층(121)의 일면에 도포하며, 배치되는 씨앗(123)의 발아율이 향상되도록, 밀가루풀, 감자풀, 전분, 옻, 녹말풀, 고무풀 및 천연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친환경 접착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층(124)은 내부에 씨앗(123)의 발아 및 식생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면서, 채움재(11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분의 유입은 가능하되 내부에 충전된 토사(111) 및 플로랄폼(112)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는 크기의 메쉬가 형성된 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5는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가지를 삽목한 플로랄폼의 설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재(P)를 삽목한 플로랄폼(112)은 각 형상 가변형 식생 골막이낭(10)이 외측에 노출된 부위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삽입공을 형성하고, 삽입공을 관통하여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식생포대(100a, 100b)를 감싸고 있는 로프망(200)의 와이어가 훼손되어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내구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로프망(200)의 와이어를 절단하여 훼손하지 않고 억지끼움으로 메쉬를 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생포대(100a, 100b)를 형성하는 복합포(120)는 파종기, 삽, 낫 등과 같은 공구 및 농기구로 삽입공을 형성한다.
삽입공을 통해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내부로 식생재(P)가 삽목된 플로랄폼(112)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식생재(P)가 고사하는 것을 막기 위해 플로랄폼(112)을 0.1~1 wt%의 과산화수소수에 함침 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장의 오염으로 인한 식생재(P)가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랄폼(112)을 과산화수소수에 함침시켜 소독하는 바, 0.1wt% 이하의 질량비를 갖는 경우 현장의 오염을 소독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1% 이상의 질량비를 갖는 경우 오히려 과산화수소수가 독성 물질로 작용하여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식생재(P)는 플로랄폼(112)에 삽입되는 일측이 10~50 wt%의 발근제 수용액에 3~5초 동안 3cm 정도 함침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호르몬제이기 때문에 장시간 함침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작용은 식생재(P)가 생장함에 따라 발근 지점이 연약해 뿌리무름병이 생길 수 있고, 뿌리가 약해지는 폭염엔 줄무름병이 생길 수 있다.
이때 발근제는 루톤(백색가로) 루톤이나 옥시베론, IAA(β인돌 초산, 헤테로 오옥신), IBA(β인돌 낙산, 인돌 부틸렌산), NAA(α-나프탈린 초산), NAD(α-나프타린 아세트아미드) 및 2,4,5-TP(2,4,5 -트리 클로루 페노옥시플러피온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망과 와이어클립의 설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클립(30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클립바디(320), 클립바디(320)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로프망(200)의 형상가변 로프를 결합하는 후크가 포함된 한 쌍의 결합편(310) 및 클립바디(320)의 외측 평면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는 와이어로프링(330)이 마련된다,
또한, 와이어클립(300)은 축조된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이 외부로 노출되어, 서로 인접하는 로프망(200)이 접하는 부위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형상가변 로프에 설치된다.
결합편(310)은 서로 인접한 로프망(200)이 접하는 부위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한 쌍의 형상가변 로프를 일체로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상가변 로프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의 후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형상가변 로프가 후크에 위치하였을 때 한 쌍의 결합편(310) 외면을 가압하여 결합편(310)을 봉쇄함에따라 형상가변 로프가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결합편(310)을 가압하는 바, 펜치, 플라이어, 니퍼 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링(330)은 와이어로프(4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4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중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로프(410)의 지름이 1.0㎜인 경우, 1.5㎜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로프(410) 지름이 10.0㎜인 경우 11㎜의 중공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을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의 토사를 굴착하여 원지반 능선을 노출하는 기초단계는 여름 장마 또는 국지성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로 인해 쓸려 내려가는 토사로 인한 골막이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하며, 이때 굴착된 토사(111)는 플로랄폼(112)과 함께 식생포대(100a, 100b)의 채움재(11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에 포함된 씨앗(123) 및 식생재(P)가 식생하기 위해 토사(111)가 필요하기 때문에, 채움재(110)로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굴착된 토사(111)를 사용함에 따라 골막이 축조 시 운반되는 자재가 줄어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채움재(110)는 식생 식물의 생장이 원활하도록, 현장의 토사(111) 품질에 따라 비료, 퇴비 등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준비단계에는 복합포(120) 제조과정 및 플로랄폼을 과산화수소수에 함침하는 함침 과정이 포함된다.
복합포(120) 제조과정은 내피층(121)의 일측면에 접착제(122)를 도포한 다음, 접착제(122)가 도포된 내피층(121)의 일면에 복수의 씨앗(123)을 배치한 후, 내피층(121) 일면에 외피층(124)을 밀착시켜 내피층(121)과 외피층(124)이 일체로 결합된 복합포(120)를 제조한다.
함침 과정은 현장의 오염으로 인해, 삽목되는 식생재(P)가 고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0.1~1wt% 과산화수소수에 플로랄폼(112)을 함침시켜 소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생포대(100a, 100b) 제조단계에는 포대 프리폼을 제조하는 과정 및 포대 프리폼에 채움재(110)를 충전하여 식생포대(100a, 100b)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식생포대(100a, 100b)는 복합포(120)를 재단 및 봉제하여 일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으로 포대 프리폼을 제조하고, 포대 프리폼의 일측을 통해 내부에 채움재(110)를 투입한 후 개구된 일측을 봉제하여 제조한다.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 제조 단계는 원지반 능선에 대응하여 형상이 가변될 수 있도록 로프망(200)으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식생포대(100a, 100b)를 감싼다.
포대 프리폼의 크기는 현장에서 중장비 통행이 가능한 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생포대(100a, 100b)를 원지반 능선으로 운반할 수 있는 장비의 통행이 가능할 경우, 로프망(20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크기인 일 실시예 식생포대(100a)를 제조하여 장비로 일 실시예 식생포대(100a)를 운반하고, 통행이 불가능할 경우엔 로프망(200)에 복수 개의 다른 실시예 식생포대(100b)가 수용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제조하여 작업자가 운반한다.
조적단계에서는 원지반 능선에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을 조적하는데, 이때 원지반 능선의 굴곡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상부를 가압하면서 조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막이 형성단계에서는 골막이의 결합력이 높아지도록, 조적된 각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이 서로 인접하는 부위의 로프망(200) 가장자리를 와이어클립(300)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이 서로 결합되어, 골막이 주변 토사의 쓸림으로 인한 골막이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클립(300)은 골막이 전면에 보이는 로프망(200) 가장자리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한다.
골막이 형성단계 이후에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 전면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식생재(P)가 삽목된 플로랄폼(112)을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공을 형성하기 위해 로프망(200)은 억지끼움으로 삽입공을 형성하고 복합포(120)는 공구 및 농기구를 사용하여 삽입공을 형성하며, 10~50wt% 발근제 수용액에 3~5초간 함침된 식생재(P)를 0.1~1wt% 과산화수소수에 함침시켜 소독한 플로랄폼(112)에 삽목하고, 이렇게 제조된 플로랄폼(112)을 삽입공을 통해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골막이 형성단계 이후에 골막이가 축조되는 지형의 조건에 따라 와이어로프(41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410)는 조적된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10)을 고정하도록 설치된 와이어클립(300)에 형성된 와이어로프링(330)을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동일 선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와이어클립(300)의 와이어로프림(330)을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100a, 100b: 식생포대 110: 채움재
111: 토사 112: 플로랄폼
120: 복합포 121: 내피층
122: 접착제 123: 씨앗
124: 외피층 200: 로프망
300: 와이어클립 310: 결합편
320: 클립바디 330: 와이어로프링
400: 고정구 410: 와이어로프
420: 길이조절부 430: 앙카
P: 식물의 가지

Claims (13)

  1. 식생포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식생포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가변되는 로프망;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로프망을 일체로 결합하도록,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로프망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로프망은 스틸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형상가변 로프가 직조되어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클립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클립바디; 및
    상기 클립바디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형상가변 로프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의 후크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로프망을 일체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클립에는 상기 클립바디의 외측 평면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는 와이어로프링이 마련되고,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와이어로프링을 관통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지면에 고정하는 한 쌍의 앙카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대는,
    복합포 재질로 형성된 포대; 및
    토사(土砂) 및 플로랄폼(Floral foam)을 포함하여, 상기 포대의 내부에 충전되는 채움재;를 포함하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로랄폼은,
    0.1~1wt% 과산화수소수에 함침되고, 식생재의 일측이 삽목(揷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식생재는,
    일측이 10~50wt%의 발근제 수용액에 함침되어, 상기 플로랄폼에 삽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포는,
    내피층;
    상기 내피층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내피층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씨앗; 및
    상기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내피층과 본딩 결합되는 외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층은 부직포로 마련되고, 상기 씨앗의 뿌리가 상기 포대 내부에 수용된 상기 채움재로 생장될 수 있도록 상기 내피층은 메쉬가 형성된 직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밀가루풀, 감자풀, 전분, 옻, 녹말풀, 고무풀 및 천연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7. 삭제
  8. 삭제
  9. 원지반 능선이 노출되도록 현장의 지반 토사를 굴착하는 기초단계;
    복합포 제조과정 및 플로랄폼에 과산화수소수를 함침하는 함침과정을 포함하는 준비단계;
    상기 복합포로 일측이 개구된 포대 프리폼을 제조하고, 상기 포대 프리폼에 토사와 플로랄폼을 포함한 채움재를 충전하고 일측을 봉제하여 식생포대를 제조하는 식생포대 제조단계;
    형상가변 로프가 직조되어 마련된 로프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식생포대를 감싸는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제조단계;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원지반 능선에 조적하는 조적단계; 및
    조적된 각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이 서로 인접하는 부위를 와이어클립으로 고정 설치하여 골막이를 형성하는 골막이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골막이 형성단계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와이어클립에 각각 마련된 와이어로프링을 관통하여 와이어로프를 설치하는 과정;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길이조절부를 설치하는 과정;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앙카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과정; 및
    상기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골막이를 지면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마무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막이 축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합포 제조과정은,
    직포로 마련된 내피층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복수의 씨앗을 배치한 후, 상기 내피층의 일면에 부직포로 마련된 외피층을 배치하고 압착하고 상기 내피층과 외피층은 접착제를 매개로 본딩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막이 축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로랄폼 함침과정은,
    플로랄폼을 0.1~1wt% 과산화수소수에 함침시켜 소독한 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막이 축조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골막이 형성단계 이후에,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표면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을 통해 일측이 10~50wt% 발근제 수용액에 함침된 식생재가 삽목된 상기 플로랄폼을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의 내부로 삽입하는 조경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막이 축조방법.
  13. 삭제
KR1020220000770A 2022-01-04 2022-01-04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 KR10243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70A KR102432095B1 (ko) 2022-01-04 2022-01-04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70A KR102432095B1 (ko) 2022-01-04 2022-01-04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095B1 true KR102432095B1 (ko) 2022-08-12

Family

ID=8280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770A KR102432095B1 (ko) 2022-01-04 2022-01-04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0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340U (ko) * 1986-07-24 1988-02-16
JPH0925631A (ja) * 1995-07-10 1997-01-28 Tokyo Seiko Co Ltd マツト式緑化植生工法及びその緑化植生用マツト
KR200247032Y1 (ko) * 2001-06-14 2001-10-29 대원산업 주식회사 녹화 시공용 마대
KR20070078318A (ko) * 2006-01-26 2007-07-31 (주)리버앤텍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JP2009034055A (ja) * 2007-08-02 2009-02-19 Taiyo Kogyo Co Ltd 育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育苗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340U (ko) * 1986-07-24 1988-02-16
JPH0925631A (ja) * 1995-07-10 1997-01-28 Tokyo Seiko Co Ltd マツト式緑化植生工法及びその緑化植生用マツト
KR200247032Y1 (ko) * 2001-06-14 2001-10-29 대원산업 주식회사 녹화 시공용 마대
KR20070078318A (ko) * 2006-01-26 2007-07-31 (주)리버앤텍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JP2009034055A (ja) * 2007-08-02 2009-02-19 Taiyo Kogyo Co Ltd 育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育苗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3071B2 (ja) 自然生態自己復元式法面工法および法面構造
US8740503B1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stabilizing earth
KR101157531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잔디식재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KR100830150B1 (ko)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WO2008026855A1 (en) A seed line net for greening
KR102310272B1 (ko) 식생토낭과 타공 금속판을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방법 및 사면 보강 구조물
JP3083250B2 (ja) 法面の補強・緑化工法
KR102432095B1 (ko) 형상 가변 및 토석류 억지 기능을 갖는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축조방법
KR100671902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KR100518943B1 (ko)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KR200412817Y1 (ko)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KR102334930B1 (ko) 매트리스 개비온을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CN216194816U (zh) 一种土质坡面加固支护结构
KR100621174B1 (ko) 녹지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네트
KR102569995B1 (ko) 형상 가변형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시공방법
KR20060011929A (ko) 토사면의 녹지화촉진 요철매트활용 식생공법
JP2912938B1 (ja) 耐波浪性・耐水性に優れた竹材を使用主材とした湛水法面の緑化方法
JP3880673B2 (ja) 切土法面の緑化装置及び緑化工法
JP4220613B2 (ja) 法面、壁面、岸面等の保護緑化構造
JP3452185B2 (ja) 植生工法
KR100583700B1 (ko) 종자가 섞인 식생기반재와 충전식 섬유대를 이용한사면보호공법
KR20160128778A (ko) 황마네트를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및 그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KR102472349B1 (ko) 매트리스 개비온 철망조립체를 이용한 친환경 시공방법
JP2865624B2 (ja) 法面保護緑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