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827B1 -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827B1
KR100736827B1 KR1020040031772A KR20040031772A KR100736827B1 KR 100736827 B1 KR100736827 B1 KR 100736827B1 KR 1020040031772 A KR1020040031772 A KR 1020040031772A KR 20040031772 A KR20040031772 A KR 20040031772A KR 100736827 B1 KR100736827 B1 KR 10073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g
retaining wall
geogrid
hexa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6747A (ko
Inventor
전일성
Original Assignee
파센리테이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센리테이닝(주) filed Critical 파센리테이닝(주)
Priority to KR1020040031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2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쌓여지는 식생백을 6면체의 형태로 만들고, 옹벽축조시 6면체의 포대 간에 기본링크유닛을 설치하여 포대가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크기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여 어떠한 환경에서도 상하 및 좌우로 포대의 연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직선 및 곡선 형으로 포대를 연결하되 포대들의 연결강도와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포대와 링크 연결기구의 마찰력과 결속력이 요철부와 다수의 공극에 의하여 상승되어, 옹벽이 더욱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하는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링크형 연결기구는 기본적인 형상을 가지는 링크유닛을 사용하며, 상기 링크유닛을 서로 조립하여 연결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옹벽 즉, 옹벽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식생백과 식생백이 상호 마찰력에 의해 더욱 밀착되어 결속력이 더욱 견고하게 되어 축조된 옹벽이 종래의 옹벽보다 더욱더 견고하게 축조될 뿐만 아니라 상기 축조된 옹벽의 포대가 식생기반이 되어 내부에 씨앗을 넣어 발아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축조된 옹벽의 외부에 지지 수단 취부작업 등을 통해 녹화가 가능하여 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어 축조된 옹벽이 보다 수려하며 친환경적인 미관을 가지게 된다.
링크, 옹벽, 연결기구, 마찰

Description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using linkag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제1 링크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제1 링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제2 링크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제2 링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와 기본 링크유닛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링크연결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링크연결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사각형태 연결된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육각형태 연결된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한 형태인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와 결합되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와 결합되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를 사용한 삼각형태 연결된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와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결합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포대 10: 제1 링크유닛
11: 요철 12: 연결부
15: 제2 링크유닛 20: 지오그리드 연결링크
21: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25: 제2 지오그리드 연결링크
26: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결합부 27: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30: 링크연결핀 40: 지오그리드
본 발명은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쌓여지는 식생백을 6면체의 형태로 만들고, 옹벽축조시 상기 6면체 포대 간에 기본 링크 유닛을 이용하여 一자형 연결 또는 다각형(삼각, 사각, 육각등) 형태로 연결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각도의 옹벽 축조가 가능하게 하며, 부분적 연결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직선 또는 곡선을 갖도록 포대들을 축조하고, 포대들의 연결강도와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포대와 링크 연결기구의 마찰력과 결속력에 의하여 옹벽이 더욱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하는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부터 옹벽공사를 행할 때에는 포대를 사용하여 옹벽공사를 행하여 왔다. 이러한 포대를 쌓을 때 틈이 생기게 되며, 이러한 틈으로 인하여 포대가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결합력이 떨어지고 뒷채움재의 유출등으로 인하여 옹벽이 무너지게 되는 단점을 제공하며, 단순히 포대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정 높이 이상의 높은 옹벽과 급한 경사의 옹벽은 쌓기가 어려워 별도의 보완장치를 해오던 것이 옹벽공사의 관행이었다.
이러한 옹벽조성시 별도의 보완장치로는 옹벽에 일정 높이마다 지오그리드를 넣어 토사에 일정한 지지 저항력을 제공하여 조성된 옹벽에서 토사의 흘러내림에 의한 무너짐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완장치 뿐 아니라, 옹벽조성시 쌓는 포대를 보강하는 방식도 있다. 선행출원 10-2000-0002413과 10-2000-7005623이 상기 방식에 의한 보강방법 에 대한 출원이다. 이하 살펴보면,
선행출원 10-2000-0024130(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2000년 1월 19일 출원)은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모래자루나 포대를 상하로 부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며, 상하로 부착시 돌출부로 부착되도록 하는 데, 상기 돌출부는 포대를 뚫을 수 있도록 고안된 뾰족한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는 그냥 쌓는 포대보다는 마찰력 및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방식이나, 단순히 포대에 뾰족한 고리를 넣는 것에 불과하여 마찰력 과 지지력의 보강에 한계가 있으며, 포대가 고리에 의하여 훼손되어 추후 포대내부에서의 토사 유출로 인한 옹벽전체에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좌우연결성이 없어 결속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또 다른 선행출원 10-2000-7005623(옹벽블록; 1999년 10월 8일 국제출원)은 별도의 블럭을 고안하여 옹벽축조시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본 선행출원과 같이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도 역시 블럭간 상하 연결에 있어서는 보강이 되나, 표면에 식생의 천이가 불가능한 콘크리트 블록이 노출되므로 옹벽의 미관이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질감이 들며, 인위적인 느낌을 받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옹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6면체 포대를 연결하기 위한 링크형 연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대 연결용 링크형 연결기구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포대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형 연결기구는 링크유닛이라는 기본유닛과 링크연결핀을 사용하여 기본유닛에서 확장된 형태인 一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과 다양한 크기로 형성이 된다.
따라서 6면체 포대들은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링크연결기구가 상하 및 좌우에서 연결하며, 링크유닛은 부분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직선 및 곡선을 이루도록 포대들을 연결하여 적층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적층된 포대들의 연결강도와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포대와 링크 연결기구의 마찰력과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요철부와 다수의 공극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옹벽이 더욱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하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제1 링크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제1 링크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제2 링크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제2 링크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링크연결핀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구조인 링크연결핀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삼각형태 연결된 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사각형태 연결된 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육각형태 연결된 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한 형태인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와 결합되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와 결합되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를 사용한 삼각형태 연결된 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와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결합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에 대한 것으로 특히, 식생백(즉, 포대에 토사뿐만 아니라 씨앗종자를 함께 넣어서 씨앗종자의 발아가 가능한 포대)을 연결하여 옹벽이 조성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내부에서 씨앗이 발아되며, 외부에 보조 지지수단 취부작업 등을 통하여 녹화가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게 되어 미관이 보다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옹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포대의 연결기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는 링크유닛이라는 기본형태의 유닛과 링크연결핀을 사용하여 링크유닛을 다수 개를 연결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링크형 연결기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링크형 연결기구가 식생백들의 각 층에 놓여 식생백들 사이의 마찰력과 결속력을 상승시켜 옹벽의 견고성을 높이고, 링크유닛를 링크연결핀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음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옹벽축조가 가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직선 및 곡선으로 포대를 적층하되, 포대들의 연결강도와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옹벽이 더욱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공극과 요철부가 형성되어 포대와 포대 또는 포대와 연결기구의 마찰력과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포대는 종래의 포대와 달리 6면체 형태를 가지는 포대를 사용함으로서 포대와 포대간의 틈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하여 포대가 가지는 옹벽의 지지력을 강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형 연결기구에 의해 연결되는 6면체 형태를 가지는 포대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12에 간접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대 또는 식생백(이하, '포대'라 통칭한다.)은 일반포대와 같은 동일한 소재(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인 토목섬유로 제조되어 그 형태가 상기한 바와 같이 6면체 형태를 가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우선 연결기구를 형성하는 링크유닛에 대해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2가지의 형태를 소개한다. 이는 도 1,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과 도 2는 제1 링크유닛(10)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과 도 4는 제2 링크유닛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각 실시예에 서로 다른 도면부호를 기재하고 링크유닛을 제1링크유닛(10)과 제2링킁닛(15)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링크유닛(10)에 대해서 살펴보면, 링크유닛의 양측 단부는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양측의 원형부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되어있다. 즉, 아령의 단면고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의 원형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연결부(12)를 형성하여 다른 제1링크유닛(10)과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2)는 양측의 원형부 내부에 원형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맞는 링크연결핀(30)을 이용하여 다수의 링크유닛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유닛(10)의 중앙부분에는 요철(11)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기구를 형성한 경우에 연결기구의 상,하에 적층되는 포대(1)가 서로 마찰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요철(1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링크유닛(1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요철(11)은 뾰족한 형태보다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골을 가지도록 형성하였으며, 상기 요철(11) 단부의 넓은 면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시되지 않음)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링크유닛(10)에 형성된 요철(11)은 상기 제1링크유닛(10)의 몸통에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렇게 형성된 요철(11)은 사선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다른 실시예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제2링크유닛(15)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인 제2링크유닛(15)은 상기의 제1링크유닛(10)과 비교하여 그 전반적인 형상과 연결부(12)는 동일하나 요철(11)의 형성방향이 다르다. 즉, 본 제2링크유닛(15)의 요철은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옹벽축조시 상기 요철(11)이 길이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링크유닛의 형상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링크유닛을 이용하여 링크형 연결기구가 구성된다. 다수의 링크유닛을 사용하여 연결기구를 형성하는 것은 하나의 링크유닛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포대(1)에서 연결기구로 받는 힘을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제1 또는 제2링크유닛(10, 15)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링크형 연결기구에 사용되어 지오그리드(40)와 링크유닛들(10, 15)을 연결하는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에도 연결부(12)가 존재하며, 상기 연결부(12)에는 링크연결핀(30)이 삽입되어 제1 또는 제2링크유닛(10, 15)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에 형성된 지오그리드 연결고리(21)를 사용하여 옹벽축조시 지오그리드(40)와 링크형 연결기구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도 역시 링크형으로 형성하고 링크연결핀(30)을 사용하여 계속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제1 및 제2링크유닛(10, 15)과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를 이어주는데 사용되는 링크연결핀(30)을 도 7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7과 도 8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링크연결핀(30)은 전체적으로 둥근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통의 중앙부분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부분이 존재하여, 상기 제1 제2링크유닛(10, 15)과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를 연결시켰을 때 빠지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연결핀(30)은 기존에도 존재하던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것이 외에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제1 , 제2링크유닛(10, 15)과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 그리고 링크연결핀(30)을 사용하여 형성된 연결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결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링크형 연결기구가 가능하며, 또한 다양한 크기의 링크형 연결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상기의 요소들을 연결하여 만든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은 사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를 도시한다. 또한, 도 11은 육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한데, 본 명세서에서는 도 9에 도시된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으며, 나머지 사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와 육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는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를 응용하면 형성이 가능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보면,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하나의 판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링크유닛(10)이 6개와 제2링크유닛(15)이 5개, 그리고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가 1개와 링크연결핀(30)이 7개로 이루어진 것이다.
우선 5개의 제2링크유닛(15)이 도 9에서의 상부와 하부를 이루도록 위치시키며, 상부의 2개의 제2링크유닛(10)은 하부의 3개의 제2링크유닛(15)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위치시킨다. 그 후 6개의 제1링크유닛(10)을 이용하여, 상부의 제2링크유닛(15) 사이의 연결부(12) 3개를 하부의 제1링크유닛(10) 사이의 연결부(12) 4개와 마주하도록 위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링크유닛(10)과 제2 링크유닛(15)의 길이가 같으므로, 도시된 도 9의 형상으로 제1 링크유닛(10)과 제2링크유닛(15)이 위치하게 된다. 그 후 하부의 제2링크유닛(15)에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를 위치시키면 도 9에 도시된 형상으로 각각의 요소가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위치된 상태에서 각 연결부를 링크연결핀(3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도시된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가 형성되게 된다.
본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를 보면, 각 링크유닛(10, 15)의 상부에 형성된 요철(11)이 모두 수평형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렇게 형성함으로서 추후 옹벽을 축조하였을 때, 옹벽의 포대(1)가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기 위하여 형성된 형태이다. 그러나 본 형태 이외로 요철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앞으로의 무너짐을 막기 위하여 현재와 같은 요철의 배열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삼각형태로 연결된 링크형 연결기구의 내부는 삼각형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 데, 이는 상부 포대(1)와 하부 포대(1)가 이 부분을 통하여 상호 접하게 되며, 이 부분도 상부의 포대(1)와 하부의 포대(1) 간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활을 하도록 구성되었다.
한편,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사각형태로 연결된 링크형 연결기구와 육각형태로 연결된 링크형 연결기구는 모두 상기의 삼각형태로 연결된 연결기구를 형성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링크형 연결기구를 확장하여 그 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할 수도 있어서 무한한 길이로 각 포대를 무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삼각형태와 사각형태, 육각형태로 연결된 링크형 연결기구들은 내부의 빈 공간을 하나로 만들어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는 연결기구들의 크기만 조절될 뿐 연결기구의 특성을 갖는 것과는 거의 무관하다고 볼 수 있다.
도 12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실제 용벽축조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함으로서 지오그리드(40)가 옹벽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줄 뿐만 아니라 포대(1)와 포대(1) 사이에도 강력한 마찰력과 결속력을 부여한다.
한편 도 13부터 도 17은 상기에서 설명된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결합부(26)를 가진다. 이는 화살촉 모양을 가지며(도 15, 도 17 참조) 화살촉 모양을 통하여 지오그리드 연결고리(27-도 17 참조)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5)와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결합부(26) 및 지오그리드 연결고리(27)가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링크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연결부분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링크유닛(10, 15),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 링크연결핀(30) 각각의 재질은 옹벽의 지지를 위해 썩지 않으며 일정한 인장 강도를 가져야하므로 일반적으로는 플라스틱(폴리머) 또는 보강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보강 목재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사가 들어간 포대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포대 간에 마찰력과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링크형 연결기구로서 상기 포대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링크형 연결기구는 옹벽을 형성하는 상부의 포대와 하부의 포대 간에 마찰력을 증가시켜주며, 기본적인 형상을 가지는 링크유닛을 사용하며, 상기 링크유닛은 연속성을 가지므로 계속적으로 연결하여 여러 가지 직선 및 곡선이 포함된 포대들의 결속력과 마찰력을 증대시킬수 있으며 또한 요철부와 다수의 공극에 의하여 최대화되어, 축조된 옹벽이 종래의 옹벽보다 더욱더 견고하게 축조되며, 뿐만 아니라 상기 축조된 옹벽의 포대가 식생기반이 되어 내부에 씨앗을 넣어 발아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를 취부작업등을 통해 녹화가 가능하여 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어 축조된 옹벽이 보다 수려하며 친환경적인 미관을 가지게 된다.

Claims (10)

  1. 토사가 들어간 포대(1)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포대(1) 간에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포대(1)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기구는 옹벽을 형성하는 상부의 포대(1)와 하부의 포대(1) 간에 마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요철(11)을 가지는 링크유닛(10, 15)을 사용하며, 상기 링크유닛(10, 15)은 그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12)에 링크연결핀(30)을 설치하여 서로 다른 것과 조립되어 연속성을 가짐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11)은 상부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옹벽축조시 지오그리드(40)와 상기 연결기구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는 상기 링크유닛(10, 15)에 형성된 연결부(12)와 연결되는 연결부(12)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12)는 일정한 크기의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12)에는 링크유닛(10, 15)과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링크연결핀(3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삼각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삼각 형태의 링크형 연결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사각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사각 형태의 링크형 연결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육각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육각 형태의 링크형 연결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옹벽축조시 지오그리드(40)와 상기 연결기구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오그리드 연결고리(21)와 ;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고리(21)가 결합할 수 있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결합부(26)를 가지는 지오그리드 연결링크(2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연결기구.
KR1020040031772A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KR10073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72A KR100736827B1 (ko)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72A KR100736827B1 (ko)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47A KR20050106747A (ko) 2005-11-11
KR100736827B1 true KR100736827B1 (ko) 2007-07-09

Family

ID=3728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772A KR100736827B1 (ko)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210B1 (ko) * 2016-07-12 2017-03-03 (주)우연산림산업 토낭 연결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7832A (en) * 1976-05-07 1976-11-29 Reinhausen Maschf Scheubeck Device for changing over power transfer switch of loading tap switching unit for tapped transformer
JPH02167926A (ja) * 1988-12-20 1990-06-28 Taisei Corp 盛土の耐震構造
JPH10168909A (ja) 1996-12-13 1998-06-2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壁面保護装置
WO2000061880A1 (en) 1999-04-08 2000-10-19 Beon Top Enterprises Ltd.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KR20000071265A (ko) * 1999-04-08 2000-11-25 훈 에스. 김 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축조하는 방법
KR20010073504A (ko) * 2000-01-17 2001-08-01 유근무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7832A (en) * 1976-05-07 1976-11-29 Reinhausen Maschf Scheubeck Device for changing over power transfer switch of loading tap switching unit for tapped transformer
JPH02167926A (ja) * 1988-12-20 1990-06-28 Taisei Corp 盛土の耐震構造
JPH10168909A (ja) 1996-12-13 1998-06-2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壁面保護装置
WO2000061880A1 (en) 1999-04-08 2000-10-19 Beon Top Enterprises Ltd.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KR20000071265A (ko) * 1999-04-08 2000-11-25 훈 에스. 김 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축조하는 방법
KR20010073504A (ko) * 2000-01-17 2001-08-01 유근무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47A (ko)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050265792A1 (en)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MX2011008726A (es) Bloque modular.
AU2003272135A1 (en)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prefabricated reinforc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retaining wall
KR101700830B1 (ko)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736827B1 (ko)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KR102302152B1 (ko)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JP5430912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積み擁壁
KR100927819B1 (ko) 토낭 축조식 옹벽 구축용 연결 패널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885909B1 (ko) 토목 섬유망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옹벽 및 이 시공 방법
KR100736832B1 (ko)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0999185B1 (ko)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KR100736839B1 (ko)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KR102316592B1 (ko)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KR20050106757A (ko)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KR100480249B1 (ko) 중력식 토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89356B1 (ko) 옹벽용 보강토 블럭 및 설치방법
KR100787099B1 (ko) 식생보강토 시공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보강토시공구조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200369484Y1 (ko) 보강 토 옹벽용 블록
KR20060069805A (ko) 보강 토 옹벽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