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6757A -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 Google Patents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757A
KR20050106757A KR1020040031785A KR20040031785A KR20050106757A KR 20050106757 A KR20050106757 A KR 20050106757A KR 1020040031785 A KR1020040031785 A KR 1020040031785A KR 20040031785 A KR20040031785 A KR 20040031785A KR 20050106757 A KR20050106757 A KR 2005010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inverted
connecting unit
retaining wall
type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836B1 (ko
Inventor
전일성
Original Assignee
파센리테이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센리테이닝(주) filed Critical 파센리테이닝(주)
Priority to KR102004003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3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에 대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쌓게 되는 포대를 6면체의 형태로 만들고, 상기의 토사가 들어있는 6면체 포대와 포대 사이에 역T형 연결유닛을 사용하여 각 6면체 포대가 역T형 연결유닛과 상하 및 좌우가 동시에 맞물려 포대의 이탈과 틀어짐을 방지, 보강하여 틀의 형태를 이루게 하여 옹벽시공 후 옹벽이 안정한 형태가 되도록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에 대한 발명으로서, 상기 포대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포대들이 상하 및 좌우로 역T형 연결유닛으로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서, 축조된 옹벽이 종래의 옹벽보다 더욱더 견고하게 축조되며, 뿐만 아니라 상기 축조된 옹벽의 포대가 식생기반이 되어 내부에 씨앗을 넣어 발아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를 취부작업등을 통해 녹화가 가능하여 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어 축조된 옹벽이 보다 수려하며 친환경적인 미관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with inverted T-shape}
본 발명은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에 대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쌓게 되는 포대를 6면체의 형태로 만들고, 상기 6면체 포대와 포대 사이에 역T형 연결유닛을 사용하면 상하 및 좌우가 동시에 맞물려 포대의 이탈과 틀어짐을 방지, 보강하여 틀의 형태를 이루게 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각도의 옹벽 축조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연결유닛의 수평과 수직방향의 요철에 의하여 포대간의 마찰력과 결속력이 더욱 증대되어 옹벽시공 후 옹벽이 안정한 형태가 되도록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한 발명이다.
종래부터 옹벽공사를 행할 때에는 포대를 사용하여 옹벽공사를 행하여 왔다. 이러한 포대를 쌓을 때 틈이 생기게 되며, 이러한 틈으로 인하여 포대 배면부의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는 지지력이 줄어들게 되어, 결합력이 떨어지고 뒷채움재의 유출등으로 인하여 옹벽이 무너지게 되는 단점을 제공하며, 단순히 포대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정 높이 이상의 높은 옹벽과 급한 경사의 옹벽은 쌓기가 어려워 별도의 보완장치를 해오던 것이 옹벽공사의 관행이었다.
이러한 옹벽공사에 대한 별도의 보완장치로서 옹벽에 일정 높이마다 지오그리드를 넣어 토체내에서 일정한 지지력 혹은 유지 저항력을 제공하여 옹벽을 높고 가파르게 조성할 수 있고, 또한 토사의 흘러내림에 의한 무너짐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완장치 뿐 아니라, 층층이 쌓는 포대를 보강하는 방식도 있다. 선행출원 10-2000-0002413과 10-2000-7005623이 상기 방식에 의한 보강방법에 대한 출원이다.
각각 살펴보면, 우선, 10-2000-0024130(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2000년 1월 19일 출원)은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모래자루나 포대를 상하로 부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며, 상하로 부착시 돌출부로 부착되도록 하는 데, 상기 돌출부는 포대를 뚫을 수 있도록 고안된 뾰족한 돌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는 그냥 쌓는 포대보다는 마찰력 및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방식이나, 단순히 포대에 뾰족한 돌기를 넣는 것에 불과하여 마찰력과 지지력의 보강에 한계가 있으며, 포대가 돌기에 의하여 훼손되어 추후 포대내부에서의 토사 유출로 인한 옹벽전체에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좌우연결성이 없어 결속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옹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역T형 형태의 연결유닛을 포대와 포대 사이를 연결하는데 제공하여 상하 및 좌우가 동시에 맞물려 포대의 이탈과 틀어짐을 방지, 보강하여 틀의 형태를 이루게 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각도의 옹벽 축조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연결유닛의 수평과 수직방향의 요철에 의하여 포대간의 마찰력과 결속력이 더욱 증대되어 옹벽시공 후 구조체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토사 유실을 최대한 억제 방지하여 보다 견고한 옹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역T형 연결유닛(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역T형 연결유닛(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또 다른 형태의 역T형 연결유닛(2)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역T형 연결유닛(2)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한 부분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A의 결합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역T형 연결유닛으로 포대를 연결하고 지오그리드를 연결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6면체의 포대를 연결하여 보다 견고한 옹벽을 쌓는데 사용되는 역T형 연결유닛에 대한 것으로, 특히 식생백(즉 상기 포대에 토사 뿐 아니라 씨앗종자를 함께 넣어서 상기 씨앗종자의 발아가 가능한 포대)을 본 발명인 역T형 연결유닛을 사용하여 연결, 옹벽이 조성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내부에서 씨앗이 발아되며, 외부를 취부작업등을 통하여 녹화가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게 되어 미관이 보다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옹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기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대가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역T형 연결기구라는 점이 특징이다.
즉 옹벽축조시 종래의 포대와 달리 6면체 형태를 가지는 포대를 사용함으로서 격자틀의 형태를 이루게 하여 포대와 포대간의 틈을 최소화하고, 결속력을 강화시켜 이를 통하여 포대가 가지는 옹벽의 지지력을 강화한다. 본 6면체 형태를 가지는 포대는 도 6에 간접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대 또는 식생백은 일반적으로 토목섬유로 제조되나 그 형태가 상기와 같이 6면체 형태를 가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역T형 연결유닛(10)에 대하여 살펴보자.
역T형 연결유닛(10)은 도 1과 도 2, 도 3, 도 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의 표면에는 요철(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역T형 연결유닛(10)의 상부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뻗은 부분의 양면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요철(11)은 그 형태에 제약이 없으며, 6면체의 포대와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의 상부에 있는 요철는 8~1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 역T형 연결유닛(10)의 수직부분에 형성된 요철의 개수는 각 면당 6~10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요철의 개수는 본 발명의 핵심이 아니며, 그 개수는 무관하다.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이 포대를 연결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 포대와 포대를 쌓을 때 있어서 아래층과 그 위층은 포대가 서로 엇갈리게 되도록 쌓게 되는데, 이때 역T형 연결유닛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어 지는 것이다. 즉 아래층의 포대위에 역T형연결유닛(10)의 수평부분의 아랫부분이 위치하게 되며, 그 윗층의 포대와 포대사이에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의 수직부분이 삽입되어 격자틀의 형태로 결합하도록 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한편 옹벽의 축조시 옹벽이 무너짐을 막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마다 삽입하는 지오그리드(30)가 역T형 연결유닛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된다. 도 1에 도시된 역T형 연결유닛을 사용하는 방법과 도 3에 도시된 역T형 연결유닛을 사용하는 방법, 두가지이다. 먼저 도 1과 도 3에 상기 역T형 연결유닛의 수평부분에는 요철(11)뿐만 아니라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B(12)와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A(13)가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오그리드가 상기 고리에 걸리는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역T형 연결유닛의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5)는 단면이 화살촉 모양을 가지며 본 연결기구에서 일반적으로 연결기구에 함께 형성된다. 즉 지오그리드와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5)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A(13)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A(13)를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5)와 결합하여 지오그리드(30)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A(13)와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5)간의 결합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5)를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A(13)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서 고정할 수 있는 방식을 취한다. 이 두가지 방법으로 연결된 지오그리드(30)는 본 역T형 연결유닛과 결합함으로서, 상기 지오그리드(30)가 결과적으로는 포대와 연결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서 보다 견고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은 그 재질은 옹벽의 지지를 위해 일정한 인장강도를 가져야 되며, 일반적으로는 플라스틱(폴리머) 또는 보강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보강 목재 등을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인 역T형 연결유닛(10)을 T형 연결유닛의 형태로 사용하여 포대를 축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수직부를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포대를 축조하는 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사가 들어간 포대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으로서, 상기 포대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포대의 상하 및 좌우가 동시에 맞물려 포대의 이탈과 틀어짐을 방지, 보강하여 격자틀의 형태를 이루게 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각도의 옹벽 축조가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서, 축조된 옹벽이 종래의 옹벽보다 더욱 더 견고하게 축조되며, 또한 상기 축조된 옹벽의 포대가 식생기반이 되어 내부에 씨앗을 넣어 발아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를 취부작업등을 통해 녹화가 가능하여 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어 축조된 옹벽이 보다 수려하며 친환경적인 미관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역T형 연결유닛(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역T형 연결유닛(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또 다른 형태의 역T형 연결유닛(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또 다른 형태의 역T형 연결유닛(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한 부분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A의 결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역T형 연결유닛으로 포대를 연결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생백 10: 역T형 연결유닛
11: 요철 12: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B
13: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A 15: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
30: 지오그리드

Claims (9)

  1. 토사가 들어간 포대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으로서,
    상기 포대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T형 연결유닛을 상하와 좌우측의 다른 포대와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T형 연결유닛에는 수평부와 수직부분에 요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철는 옹벽축조시 아래와 옆에 위치하는 6면체의 포대와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재질 또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철는 옹벽축조시 아래와 옆에 위치하는 6면체의 포대와 맞물려 마찰력을 갖게 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철는 수평부에 1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부에는 각 면당 10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T형 연결유닛의 수평부에는 옹벽의 뒤편에 형성되어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오그리드와 결합할 수 있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고리는 역T형 연결유닛의 상부에 4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고리는 이동이 가능하고, 역T형 연결유닛의 표면과 연결고리를 추가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9. 토사가 들어간 포대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으로서,
    상기 포대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T형 연결유닛을 T자 형태로 거꾸로 배치하여 옆과 위의 다른 포대와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T형 연결유닛
KR1020040031785A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KR100736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85A KR100736836B1 (ko)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85A KR100736836B1 (ko)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57A true KR20050106757A (ko) 2005-11-11
KR100736836B1 KR100736836B1 (ko) 2007-07-10

Family

ID=3728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785A KR100736836B1 (ko)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2155A2 (ko) * 2008-06-30 2010-01-07 Kim Jin Tae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 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130B2 (ja) * 1976-05-07 1984-07-18 マシイネンフアブリ−ク・ラインハウゼン・ゲブリユ−ダ−・シヨイベツク・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タツプ付き変圧器用負荷時タツプ切換え装置の電源切換えスイツチのための切換え装置
JPH10168909A (ja) 1996-12-13 1998-06-2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壁面保護装置
CA2268509A1 (en) * 1999-04-08 2000-10-08 Versa-Lok Asia Inc.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sandbags
KR200185875Y1 (ko) * 2000-01-17 2000-06-15 유근무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2155A2 (ko) * 2008-06-30 2010-01-07 Kim Jin Tae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 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WO2010002155A3 (ko) * 2008-06-30 2010-05-27 Kim Jin Tae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 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836B1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9118B1 (en) Earth-supported structure with fasteners
JP2013521422A (ja) 擁壁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N101484642A (zh) 植物砌块框架及其植物砌块
KR101137323B1 (ko)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0864813B1 (ko) 함체형 타공철판 유니트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 구조 및그 축조방법
KR100736836B1 (ko)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KR20070048511A (ko)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KR100889257B1 (ko)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100843330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KR200440047Y1 (ko) 옹벽용 블록
KR101366837B1 (ko)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JP2023544968A (ja) 擁壁構造物
KR100927819B1 (ko) 토낭 축조식 옹벽 구축용 연결 패널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736839B1 (ko)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KR100736827B1 (ko)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KR101824416B1 (ko) 식생기반체가 설치되는 옹벽
KR100736832B1 (ko)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JP2010148469A (ja) 緑化ブロック
KR200451790Y1 (ko) 적층식 식생 옹벽블록
KR102537825B1 (ko) 흙과 재이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식생 및 인조잔디 개비온 옹벽구조물 및 이를 위한 드레인보드패널
KR100843331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