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323B1 -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 Google Patents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323B1
KR101137323B1 KR1020110095572A KR20110095572A KR101137323B1 KR 101137323 B1 KR101137323 B1 KR 101137323B1 KR 1020110095572 A KR1020110095572 A KR 1020110095572A KR 20110095572 A KR20110095572 A KR 20110095572A KR 101137323 B1 KR101137323 B1 KR 10113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ag
vegetation bag
retaining wall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익현
Original Assignee
황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익현 filed Critical 황익현
Priority to KR102011009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식생토 유실을 방지하고, 내구성 및 고정력을 향상한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옹벽 지지 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이 소개된다.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은, 내부에는 흙이 충진된 제1메인주머니(12)와, 흙, 식생 씨앗이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메인주머니(12) 전면에 형성된 제1식생주머니(14)를 포함하는 제1식생포대(10);
내부에는 흙이 충진된 제2메인주머니(22)와, 흙, 식생 씨앗이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메인주머니(22) 전면에 형성된 제2식생주머니(24)를 포함하되, 상기 제1식생포대(10)상에 위치하는 제2식생포대(20); 및 상면은 상기 제2식생포대(20)의 저면에 접하고, 하면은 상기 제1식생포대(10)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제1식생포대(10) 및 제2식생포대(20)를 결속할 수 있도록 그 상, 하면에는 응력 작용 방향에 대한 수직면이 형성된 사면체 형상의 결속구(32)가 돌출 형성된 결속판(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PLANT GERMINATION BAG WITH PLANT GERMINATION POCKE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PACKING PLATE FOR FIXING PLANT GERMINATION BAG}
본 발명은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생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식생포대가 외부의 응력에도 슬라이딩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에 관한 것이다.
강우시 축대가 붕괴하거나, 하천의 범람으로 뚝이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형 포대에 흙을 담아 축대나 뚝을 지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임시 방편으로 축대나 뚝을 지지하는 방법으로, 외부의 작은 응력에도 이를 버티지 못하고 포대가 슬라이딩되어 붕괴되는 바, 임시 방편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영구적으로 축대나 뚝을 지지하는 방법으로는 사용될 수 없었다.
또한, 포대를 아무리 견고하게 쌓더라도 포대 자체가 갖는 외관 및 재질상의 한계 때문에 외관이 그리 아름답지 못한 것은 물론, 날카로운 물체나 불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종래 포대 고정은 물론, 포대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자를 식생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61696호는 '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옹벽을 구성하는 모재자루들이 서로 고정되지 않아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다.
이러한 발명에서는, 모래자루에 모래, 흙, 풀이나 다른 식물 종자를 혼합한 충전물, 진흙 및 시멘트 혼합물을 충전하여 고형화시킨 후에 이를 1, 2층으로 쌓되, 그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각 층을 형성하는 모래자루를 고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연결부재는 상, 하부에 각각 돌출부로 형성되어진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돌출부는 모래자루에 용이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등록특허 제10-0561696호는, 모래 등 충전된 모래자루가 한 겹으로 구성되는 등 단순한 모래자루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날카로운 물체에 긁히면 쉽게 파손되어 모래 등의 충전물이 흘러나오게 되는 바,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여 재공사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래자루는 화기에 취약한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61696호에 따른 연결부재의 돌출부는 원뿔 형상이기 때문에, 어떤 방향에서 외부 응력이 작용하더라도 그러한 응력을 충분히 견디지 못하여, 이러한 연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된 1, 2층 모래자루가 쉽게 슬라이딩,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모래자루에는 풀이나 다른 식생 종자가 흙과 혼합되어 충전되는데, 이러한 종자들이 발아하여 성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충분히 성장하기 전까지는 모래자루만이 시야에 노출되어 미관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풀이나 다른 식생 종자를 모래자루의 표면에 바를 수도 있지만, 이는 비가 오면 쉽게 씻겨나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13136호에서는 '암반사면 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발명은 암반사면이 붕괴하거나 낙성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암반사면을 보호,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암반 표면을 녹화할 수 있도록 암반에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락볼트와 락볼트의 노출된 머리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파이프 부재가 격자형으로 조립된 배면프레임, 배면프레임이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식생백을 쌓아 올려 형성한 식생벽체, 배면프레임에 결속되어 고정되며 식생벽체의 상하에 걸쳐 회측면 전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지오그리드를 포함한다.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한국등록특허 제10-0561696호와 같이, 외관이 불량하고, 불에 취약하며, 식생 사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9826호에서는 '자연녹화용 보조구 및 그를 이용한 적층방법'이 소개하고 있다.
이 발명은 박막본체의 상, 하부에 타원형 또는 사각형의 요홈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요홈부 내에 고인 빗물을 이용하여, 건기시 풀이나 다른 식생 종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발명 역시 식생 종자들 자체는 여전히 흙자루 내부에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바, 식생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요홈부 및 지지부는 그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흙자루를 고정하는 기능도 하게 되는데, 흙자루의 무게 때문에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외부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흙자루가 쉽게 슬라이딩,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25736호에서는 '식생백 제조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발명은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재질의 식생백을 제조하고, 사람이 식생백의 입구를 벌려서 고정시키는 단계와, 다양한 씨앗을 식생백 내부로 투입하는 단계, 유용토를 투입하는 단계 및 식생백 입구를 봉합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발명 역시 씨앗이 식생백 내부에서 식생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오랜 시간 씨앗이 식생백 내부에 있게 되면 발아하지 않고 썩는 것은 물론, 여전히 색생백 자체가 날카로운 물체 및 불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4933호에서는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 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이 발명은 토낭에 흑을 충진하고, 이를 제1열, 제2열층을 쌓은 후에 제1열층 및 제2열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를 타격하는 방법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식생을 위해 야자섬유 또는 대마로 조직된 코아네트를 설치, 씨앗과 흙, 보습재를 일정 비율로 펌핑하여 제공하는 등 수 많은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식생을 위해 별도의 재료 및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6169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1313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5982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2573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24933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색생토의 유실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 및 견고한 고정력을 갖는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의 일 실시예은, 내부에는 흙이 충진된 제1메인주머니와, 흙, 식생 씨앗이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메인주머니 전면에 형성된 제1식생주머니를 포함하는 제1식생포대; 내부에는 흙이 충진된 제2메인주머니와, 흙, 식생 씨앗이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메인주머니 전면에 형성된 제2식생주머니를 포함하되, 상기 제1식생포대상에 위치하는 제2식생포대; 및 상면은 상기 제2식생포대의 저면에 접하고, 하면은 상기 제1식생포대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제1식생포대 및 제2식생포대를 결속할 수 있도록 그 상, 하면에는 응력 작용 방향에 대한 수직면이 형성된 사면체 형상의 결속구가 돌출 형성된 결속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식생주머니의 전면에는 제1보조 식생주머니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식생주머니의 전면에는 제2보조 식생주머니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구의 수직면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구의 수직면은 두 개인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 결속판에는 제1, 2식생주머니에서 식생한 식물 상기 결속판을 관통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은, 상면은 제2식생포대의 저면에 접하고, 하면은 제1식생포대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제1식생포대 및 제2식생포대를 결속할 수 있도록 그 상, 하면에는 응력 작용 방향에 대한 수직면이 형성된 사면체 형상의 결속구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2식생포대에서 식생한 식물이 서로 다른 식생포대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식생토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날카로운 물체 및 화기에 의한 파손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바,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미관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를 갖는 식생포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결속판을 나타낸 도면,
도 3의 (a)는 본 발명의 결속판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의 (b)는 본 발명의 결속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을 설명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10)는, 메인주머니(12)와, 식생주머니(14)를 포함한다.
메인주머니(12)의 내부에는 흙이 충진되고, 이러한 메인주머니(12) 전면에 형성된 식생주머니(14)는 흙과 식생 종자인 씨앗이 충진된다. 식생주머니(14)의 높이는 메인주머니(1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식생 종자의 식생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식생포대(10)는, 식생주머니(10) 전면에 보조 식생주머니(도 1의 (b) 참조)를 형성함으로써, 2중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구조의 식생주머니를 갖는 식생포대는, 식생주머니(14) 및 보조 식생주머니(16)에 충진되는 흙, 수분 등으로, 전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메인주머니(12)를 더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날카로운 물체의 충격에 강하고, 화기에도 강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식생포대(1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식생주머니(14)만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 내부에 흙과 씨앗을 투입할 때, 수분 흡수성이 우수한 보습제나 스펀지를 내장하면, 역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식생주머니(14) 구조는 단일 구조, 2중 구조는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다중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30)은, 그 상, 하면에 사면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구(32)를 포함한다.
결속구(32)는 그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로 인해 결속구(32)는 식생포대의 일측면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속구(32)는 사면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응력 작용 방향을 크게 4 방향으로 상정하여 형성한 것인 바, 응력 작용 방향을 더 세분화, 다양화하여 응력에 버티는 면수를 더 늘이면, 상대적으로 응력에 대향되는 면적이 작아질 수밖에 없어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결속판(30)에는 관통홀(30a)이 형성되는데, 이는 결속판(30)의 상, 하면에 각각 접촉하는 식생포대에서 식생하는 식물이 관통홀(30a)을 통하여 반대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관통홀(30a)을 통해 못, 플라스틱 고정핀을 타격함으로써, 결속판(30)을 더 견고하게 식생포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면체 형상을 갖는 결속구(32)는 2가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에서만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사면체의 일측면을 그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응력 작용 방향과 대향되는 면을 응력 작용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함으로써, 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방향에서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사면체의 양 측면을 그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 이유는 일 방향에서만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를 참조로,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은, 제1식생포대(10), 제2식생포대(20) 및 결속판(30)을 포함한다.
제1, 2식생포대(10,20)는 각각 제1, 2메인주머니(12,22), 제1, 2식생주머니(14,24) 및 제1, 2보조주머니(16,26)를 포함한다.
제1, 2메인주머니(12,22)에는 각각 진흙, 시멘트, 모래, 물 등의 혼합물이 충진되고, 제1, 2식생주머니(14,24) 및 제1, 2보조 식생주머니(16,26)에는 흙, 식생 씨앗이 충진된다. 제1, 2식생주머니(14,24) 혹은 제1, 2보조 식생주머니(16,26)에는 식생 씨앗이 더 효율적으로 발아, 성장할 수 있도록 보습제, 스펀지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습제, 스펀지가 내장되는 경우, 식생 씨앗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시공방법은, 준비과정(S10), 충진과정(S20), 제1고정과정(S30), 제2고정과정(S40), 제3고정과정(S60), 식생토 충진과정(S70)을 포함한다.
준비과정(S10)은 제1식생포대(10)와 제2식생포대(20), 결속판(30) 및 그리드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제1식생포대(10), 제2식생포대(20)로는, 투수계수가 10-1cm/sec 이상인 PET, PP, PE 재질의 포대를 사용할 수 있다.
준비과정(S10)이 완료되면, 제1식생포대(10) 및 제2식생포대(20)에 흙, 모래, 시멘트, 물 등의 혼합물을 충진하는 충진과정(S20)이 진행되는데, 제1식생포대(10) 및 제2식생포대(20)에 혼합물을 충진할 때, 충진 전용 호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 전용 호퍼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바, 호퍼의 하부측에 제1식생포대(10) 및 제2식생포대(20)를 거치하고 혼합물을 호퍼에 담은 후, 호퍼 상부 표면을 매끄럽게 정리하여 혼합물을 계량하고, 호퍼 하부를 개방하여 혼합물을 충진하게 된다. 이러한 혼합물은 각각 제1식생주머니(14) 및 제2식생주머니(24)가 형성된 높이까지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는, 제1고정과정(S30), 제2고정과정(S40), 다짐과정(S50) 및 제3고정과정(S60)이 진행된다.
제1고정과정(S30)은, 혼합물이 충진된 복수 개의 제1식생포대(10)를 가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하고, 결속판(3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사면체 형상의 결속구(32)를 제1식생포대(10)에 삽입 고정시키되, 결속판(30)의 저면과 수직하게 형성된 결속구(32)의 일면이 응력 작용 방향과 대향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과정이다.
제2고정과정(S40)은, 혼합물이 충진된 복수 개의 제2식생포대(20)를 제1식생포대(10)상에 배열하되, 결속판(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사면체 형상의 결속구(32)가 제2식생포대(20)의 제2메인주머니(22)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결속판(30)의 상면과 수직하게 형성된 결속구(32)의 일면이 응력 작용 방향과 대향되도록 배치하는 과정이다.
다짐과정(S50)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2식생포대(10,20) 사이에 형성된 틈새 내지 그 주변을 흙으로 채워 넣고, 콤팩터 또는 로라 중 어느 하나로 다짐하는 과정이다.
이후에는, 제3고정과정(S60)이 진행되는 바, 제1식생포대(10) 및 제2식생포대(20)의 후면에 지오그리드를 배치하되, 지오그리드의 일측은 결속판(30)에 돌출 형성된 결속구(32)에 물려 고정시키고, 지오그리드의 타측은 흙채움으로 매립하여 제1, 2식생포대(10,20)를 고정한다.
제3고정과정(S60)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제1식생포대(10) 및 제2식생포대(20)에 각각 형성된 제1식생주머니(14) 및 제2식생주머니(24)에 흙, 씨앗 등으로 구성된 식생토를 충진하는 식생토 충진과정(S70)이 진행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는, 제1식생포대(10), 제2식생포대(20) 및 철조망(40)을 포함한다.
제1식생포대(10)와 제2식생포대(20)의 외측면은 철조망을 매개로 결합되어 그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식생포대(10)를 위치시키고, 그 상면에 철조망(40)을 위치시킨 후 제2식생포대(20)를 적재하면, 제1식생포대(10)와 제2식생포대(20)는 철조망(40)에 의해 슬라이딩되지 않고 적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철조망(40) 설치 형태 및 방식은 이 발명의 기본 사상을 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가능한 바, 복수 개를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배치하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면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응력에 더욱 효율적으로 결딜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식생포대(10), 제2식생포대(20) 및 묶음띠(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제1식생포대(10)와 제2식생포대(20)를 적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제1식생포대(10)를 위치시키고, 이 제1식생포대(10)상에 고정핀(52)을 박은 후에, 제1식생포대(10) 외측면 둘레를 감싸는 묶음띠(50)의 일측을 고정핀(52)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2식생포대(20)를 제1식생포대(10)상에 적재한 후, 다시 제2식생포대(20)상에 고정핀(52)을 박고, 묶음띠(50)의 일측을 제2식생포대(20)상의 고정핀에 고정시킨다.
묶음띠(50)는 단위 길이별로 나누어 제1식생포대(10) 및 제2식생포대(20)에 개별적으로 묶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묶음띠(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1,2식생포대(10,20)상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 발명의 기본 사상을 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제1식생포대 12 : 제1메인주머니
14 : 제1식생주머니 16 : 제1보조 식생주머니
20 : 제2식생포대 22 : 제2메인주머니
24 : 제2식생주머니 26 : 제2보조 식생주머니
30 : 결속판 30a : 관통홀
32 : 결속구 40 : 철조망
50 : 묶음띠 52 : 고정핀

Claims (12)

  1. 내부에는 흙이 충진된 제1메인주머니(12)와, 흙, 식생 씨앗이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메인주머니(12) 전면에 형성된 제1식생주머니(14)를 포함하는 제1식생포대(10);
    내부에는 흙이 충진된 제2메인주머니(22)와, 흙, 식생 씨앗이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메인주머니(22) 전면에 형성된 제2식생주머니(24)를 포함하되, 상기 제1식생포대(10)상에 위치하는 제2식생포대(20); 및
    상면은 상기 제2식생포대(20)의 저면에 접하고, 하면은 상기 제1식생포대(10)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제1식생포대(10) 및 제2식생포대(20)를 결속할 수 있도록 그 상, 하면에는 응력 작용 방향에 대한 수직면이 형성된 사면체 형상의 결속구(32)가 돌출 형성된 결속판(30)을 포함하는,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식생주머니(14)의 전면에는 제1보조 식생주머니(16)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식생주머니(24)의 전면에는 제2보조 식생주머니(26)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32)의 수직면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32)의 수직면은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판(30)에는 제1, 2식생주머니(14,24)에서 식생한 식물 상기 결속판(30)을 관통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관통홀(3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6. 삭제
  7. 삭제
  8. 상면은 제2식생포대(20)의 저면에 접하고, 하면은 제1식생포대(10)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제1식생포대(10) 및 제2식생포대(20)를 결속할 수 있도록 그 상, 하면에는 응력 작용 방향에 대한 수직면이 형성된 사면체 형상의 결속구(32)가 돌출 형성된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2식생포대(10,20)에서 식생한 식물이 서로 다른 식생포대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통홀(30a)이 형성된,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095572A 2011-09-22 2011-09-22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KR10113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572A KR101137323B1 (ko) 2011-09-22 2011-09-22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572A KR101137323B1 (ko) 2011-09-22 2011-09-22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323B1 true KR101137323B1 (ko) 2012-04-19

Family

ID=4614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572A KR101137323B1 (ko) 2011-09-22 2011-09-22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3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679Y1 (ko) 2012-12-04 2015-01-14 이내성 토낭 결속판
KR101677876B1 (ko) * 2016-03-22 2016-11-21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 및 상기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80000352U (ko) 2016-07-26 2018-02-05 사해통상(주) 식생토낭 연결판
KR20180090170A (ko) 2017-02-02 2018-08-10 안학현 사면 지지 구조물
KR102334297B1 (ko) * 2021-03-08 2021-12-03 주식회사 도건 식생토팩의 정착을 이용한 친환경 사면 급속 보수 녹화 모듈 및 공법
KR102446036B1 (ko) * 2022-01-18 2022-09-22 한기용 식생토낭을 이용한 골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535B1 (ko) * 2005-11-24 2006-08-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천 제방의 누수에 의한 슬라이딩 방지구조
KR100852971B1 (ko) * 2007-05-18 2008-08-19 한창모 옹벽 축조용 토낭 연결 부재
KR20100067565A (ko) * 2008-12-11 2010-06-21 진혜경 에코게비온
KR20110003116U (ko) * 2009-09-21 2011-03-29 김수덕 씨앗수용부가 구비된 식생토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535B1 (ko) * 2005-11-24 2006-08-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천 제방의 누수에 의한 슬라이딩 방지구조
KR100852971B1 (ko) * 2007-05-18 2008-08-19 한창모 옹벽 축조용 토낭 연결 부재
KR20100067565A (ko) * 2008-12-11 2010-06-21 진혜경 에코게비온
KR20110003116U (ko) * 2009-09-21 2011-03-29 김수덕 씨앗수용부가 구비된 식생토낭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679Y1 (ko) 2012-12-04 2015-01-14 이내성 토낭 결속판
KR101677876B1 (ko) * 2016-03-22 2016-11-21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 및 상기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80000352U (ko) 2016-07-26 2018-02-05 사해통상(주) 식생토낭 연결판
KR20180090170A (ko) 2017-02-02 2018-08-10 안학현 사면 지지 구조물
KR102334297B1 (ko) * 2021-03-08 2021-12-03 주식회사 도건 식생토팩의 정착을 이용한 친환경 사면 급속 보수 녹화 모듈 및 공법
KR102446036B1 (ko) * 2022-01-18 2022-09-22 한기용 식생토낭을 이용한 골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323B1 (ko)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0924933B1 (ko)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20050042110A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CN201232190Y (zh) 一种生态护坡
EP2169118B1 (en) Earth-supported structure with fasteners
CA2666659C (en) Slope planting structure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1273514B1 (ko) 암비탈면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US20130097927A1 (en) Reinforced slope planting structure
CA2518571A1 (en) Sandbag retaining walls adapted for plant growth
KR200415273Y1 (ko)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20060108595A (ko) 황마(코코넛)식생포대
US20080247685A1 (en) Constructions and Reinforcement Structures of Connected Sandbags
CA2515927A1 (en) Freestanding wall structures made using sandbags
KR100900478B1 (ko) 고정바를 갖는 식생매트 및 시공방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N106702962A (zh) 一种用于河道水土保持的护岸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80818B1 (ko) 시공성과 생태공간 확보를 위해 개선된 조립식 지주형 보강토 생태옹벽 및 그 구축공법
JP2003232023A (ja)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20100092837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US20130011208A1 (en) Retaining wall systems with sandbag attachment members
KR101482203B1 (ko) 사면 녹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