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52U - 식생토낭 연결판 - Google Patents

식생토낭 연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52U
KR20180000352U KR2020160004291U KR20160004291U KR20180000352U KR 20180000352 U KR20180000352 U KR 20180000352U KR 2020160004291 U KR2020160004291 U KR 2020160004291U KR 20160004291 U KR20160004291 U KR 20160004291U KR 20180000352 U KR20180000352 U KR 201800003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torage tank
connecting plate
moisturizing agen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순
Original Assignee
사해통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해통상(주) filed Critical 사해통상(주)
Priority to KR2020160004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352U/ko
Publication of KR20180000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A01G1/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01G9/108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토낭을 사용하여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을 축조할 때 좌우로 인접한 식생토낭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연결하거나 절토부와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연결판 자체에 수분 보유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장기간의 가뭄에도 불구하고 식생토낭에서 생장중인 식물이 말라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곽에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12)가 형성되고 바닥면(14)은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트레이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의 스파이크(20)와; 상기 몸체(10)의 중심부에 구비된 저장조(30)와; 상기 저장조(30)에 담기는 토양보습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생토낭 연결판{CONNECTING PLATE FOR SOIL BAG}
본 고안은 식생토낭을 사용하여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을 축조할 때 좌우로 인접한 식생토낭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연결하거나 절토부와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연결판 자체에 수분 보유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장기간의 가뭄에도 불구하고 식생토낭에서 생장중인 식물이 말라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이 가능한 토낭을 사용하여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을 축조할 때에는 식생토낭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판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4가 있는데, 특허문헌 1의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은 식생 가능한 토낭들 사이에 연결부재를 위치시키고 토낭들을 적층하되 연결부재에 다수에의 원뿔형 돌출부들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뿌리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식생 및 녹화된 식물들의 뿌리가 다수개의 뿌리 관통공을 관통하여 적층된 다른 토낭이나 배면토로 뻗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 특허문헌 2의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는 연결체를 연결재와 덮개판의 2단 형태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보강재를 연결함으로써 연결재와 보강재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의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은 명칭 그대로 흙, 식생 씨앗이 충진될 수 있도록 메인 주머니 전면에 식생주머니를 형성한 식생포대와 상하면으로 결속구가 돌출된 결속판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도록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4의 자연녹자화용 보조구 및 그를 이용한 적층방법은 박막 본체의 상하부에 요홈부와 지지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제방, 축대 구축시 흙자루 사이에 고정시킴으로써 제방, 축대를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특허문헌 1 내지 4 등에 개시된 기술에도 불구하고 식생토낭으로 축조된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에 있어서는 식생토낭에서 수분의 충분한 보유능력이 없고 및 수분의 방출이 서서히 이루어지지 않고 급속하게 방출되어 건조되게 되어 가뭄이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될 경우나 건조지역에 시공시 식생토낭에서 자라던 식물이 생존하지 못하고 고사하게 되어 녹화에 실패하게 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48511호(2007.05.09.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753958호(2007.08.24.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137323호(2012.04.10.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559826호(2006.03.06.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생토낭을 연결해주기 위한 식생토낭 연결판이 자체 수분 보유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의 뿌리가 식생토낭에서 안정적으로 활착할 수 있도록 해주며, 장기간의 가뭄에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수분을 서서히 방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을 형성하는 식생토낭에서 자라는 식물이 고사되지 않고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곽에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가 형성되고 바닥면은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의 스파이크와; 상기 몸체 바닥의 중심부에 구비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에 담기는 토양보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생토낭 연결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저장조에는 토양보습제를 통수성이 있는 종이나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팩에 담아서 저장하고, 토양보습제에 저장된 수분은 하방으로도 방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조의 바닥이 그물눈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조는 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파이크는 식생토낭에 박힌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중심부로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을 갖는 몸체의 저장조에 토양보습제를 담아서 인접하는 식생토낭 사이에 설치하게 되므로 토양보습제가 보유하고 있는 수분은 식생토낭이 충분한 수분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며, 건조기 즉, 가뭄이 오래 지속되어 식생토낭에 담긴 흙이 보유하고 있는 수분이 마르게 되면 토양보습제가 보유하고 있는 수분을 서서히 방출하게 됨으로써 식물이 고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녹화 실패에 이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장마와 같은 우천시 식생토낭에서 수분이 토양보습제로 재공급되는 것에 의해 반복적인 수분의 보유와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식생토낭을 이용한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의 녹화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스파이크에 의해 시공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판이 식생토낭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식생토낭으로 축조된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생토낭 연결판의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식생토낭 연결판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식생토낭 연결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생토낭 연결판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연결판을 사용하여 식생토낭이 연결되고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생토낭 연결판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연결판(1)은 외곽에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12)가 형성되고 바닥면(14)은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트레이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의 스파이크(20)와; 상기 몸체(10)의 중심부에 구비된 저장조(30)와; 상기 저장조(30)에 담기는 토양보습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0), 스파이크(20) 및 저장조(30)는 합성수지 소재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토양보습제(40)는 통수성이 있는 종이나 부직포 등의 백 내부에 담긴 상태로 상기 저장조(30)에 채워진다.
상기 몸체(10)는 그 외곽이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12)가 형성되고 바닥면(14)은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져서 상기 저장조(30)를 향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게 되면 저장조(30)에 고이게 되며, 저장조(30)에 채워진 토양보습제(40)가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식생토낭을 사용하여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을 축조하면서 또는 축조 전에 미리 연결판(1)의 상부에 물을 뿌려주게 되면 토양보습제(40)에 물이 효과적으로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파이크(20)는 단순히 끝부분으로 갈수록 뾰죽하게 형성된 기존의 연결판과는 달리 끝부분이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식생토낭에 박히게 되면 반대로 빠지기가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시공도중에 발로 한쪽을 밟을 경우나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보강재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과 같이 외력을 받게 될 경우 제자리에서 쉽게 이탈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조(30)는 대체로 원형(圓形)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의 바닥면(32)은 종이 백 등에 담긴 토양보습제(40)가 밑으로 빠지지는 않는 대신 수분은 하방으로도 방출이 가능한 그물눈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저장조(30)의 하방으로는 도면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직물재 또는 섬유다발 등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심지를 연결함으로써 저장조에 저장된 수분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토양보습제(40)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상품명 "테라코템", "제바", "WCS(Water Combination Soil)"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식물의 증산 증발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여 건조를 차단하고, 뿌리의 활착 증대를 가속시키며, 자체 무게의 200~500배에 달하는 수분을 보유할 수 있어 최소한 한달정도는 서서히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일반 지면이 아닌 지면에서 멀리 떨어진 옹벽 등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 식재된 식물의 생존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중 강수량이 200mm정도만 되어도 조림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심한 수분장애로부터 고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식생토낭 연결판(1)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의 연결판(1)도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저장조(30)의 형태와 크기가 상이하며, 여기에 담기는 토양보습제(40)의 양도 증대되어 있는 차이점이 있을 뿐이므로,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내용에 대하여는 중복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의 연결판(1)은 저장조의 크기가 증대되고 토양보습제의 양도 증대되어 있으므로 건조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혹독한 장소에서의 사용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연결판(1)을 사용하여 식생토낭(B)이 좌우로 연결되고 상하로 적층되어 옹벽이 축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고안에 의한 식생토낭 연결판(1)은 식생토낭(B)이 좌우로 연결되는 지점의 상부에 올려서 발로 밟게되면 스파이크(20)가 하부의 식생토낭(B)에 박히게 되면서 좌우의 식생토낭이 이격되지 않도록 연결하게 됨으로써 견고한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판 위에 물을 뿌리게 되면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저장조로 흘러들어가게 되면서 저장조의 토양보습제가 수분을 흡수하여 보유하고 있게 되고, 평상시 즉, 식생토낭에 충분한 수분이 있을 경우에는 식물이 식생토낭의 수분을 이용하여 생육하게 되며, 가뭄과 같은 건조기에는 식생토낭의 수분이 모두 소진되게 된 이후에는 연결판의 저장조에 담긴 토양보습제가 품고있던 수분이 서서히 방출되게 됨으로써 방출된 수분을 식물의 뿌리가 흡수하여 생존하게 되는 것이며, 가뭄이 끝나게 되면 다시 잉여의 수분이 토양보습제에 수분을 보충해주게 되어 반복적인 수분의 흡수와 방출이 이루어지게 되어 식생토낭으로 축조된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에서 자라는 식물이 고사하지 않고 생존할 수 있게 되어 친환경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1 : 식생토낭 연결판
10 : 몸체
12 : 테두리
14 : 바닥면
20 : 스파이크
30 : 저장조
32 : 바닥면
40 : 토양보습제
B : 식생토낭

Claims (4)

  1. 외곽에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12)가 형성되고 바닥면(14)은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트레이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의 스파이크(20)와;
    상기 몸체(10)의 중심부에 구비된 저장조(30)와;
    상기 저장조(30)에 담기는 토양보습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 연결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양보습제(40)는 통수성이 있는 종이나 부직포 백 내부에 담긴 상태로 상기 저장조(30)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 연결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20)는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 연결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30)의 바닥면(32)은 종이 백 등에 담긴 토양보습제(40)가 밑으로 빠지지는 않는 대신 수분은 하방으로도 방출이 가능한 그물눈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 연결판.
KR2020160004291U 2016-07-26 2016-07-26 식생토낭 연결판 KR201800003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91U KR20180000352U (ko) 2016-07-26 2016-07-26 식생토낭 연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91U KR20180000352U (ko) 2016-07-26 2016-07-26 식생토낭 연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52U true KR20180000352U (ko) 2018-02-05

Family

ID=6128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91U KR20180000352U (ko) 2016-07-26 2016-07-26 식생토낭 연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35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743A (ko) 2021-09-28 2023-04-05 김대현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826B1 (ko) 2005-04-06 2006-03-10 신윤창 자연녹지화용 보조구 및 그를 이용한 적층방법
KR20070048511A (ko) 2005-11-04 2007-05-09 김윤희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KR100753958B1 (ko) 2007-05-31 2007-09-04 김학은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KR101137323B1 (ko) 2011-09-22 2012-04-19 황익현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826B1 (ko) 2005-04-06 2006-03-10 신윤창 자연녹지화용 보조구 및 그를 이용한 적층방법
KR20070048511A (ko) 2005-11-04 2007-05-09 김윤희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KR100753958B1 (ko) 2007-05-31 2007-09-04 김학은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KR101137323B1 (ko) 2011-09-22 2012-04-19 황익현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743A (ko) 2021-09-28 2023-04-05 김대현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26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ting in arid environments
KR101337425B1 (ko)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US20090013598A1 (en) Device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in Vase and Earth, With Reduced Necessity of Maintenance and Irrigation
JP6325595B2 (ja) 栽培培地及び栽培容器
KR100804756B1 (ko) 뿌리 엉김 기능을 갖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법면 녹화장치및 녹화시공공법
CA2643563C (en) Seed and plant growth medium module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20180000352U (ko) 식생토낭 연결판
KR101337411B1 (ko) 녹화 게비온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18902B1 (ko) 배양체를 구비하는 식생 블럭
CN104969792A (zh) 便于花盆起苗的材料以及种植和起苗方法
JP4050908B2 (ja) 水没する湖岸法面の緑化のためのブロック並びに護岸構築物
KR100840966B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
JP3856998B2 (ja) 切土法面、硬質岩盤法面、モルタル吹付層等の草木苗植栽方法及びその草木苗を植栽した緑化法面並びに草木苗植栽用客土袋
KR200449765Y1 (ko)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JPH09279583A (ja) 植生袋体とそれを使用する法面の植栽工法
KR101042265B1 (ko)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KR100939668B1 (ko) 하천법면 설치용 친환경 식생체와 그 시공방법
KR101003759B1 (ko) 친환경 식생롤 및 그 시공방법
JP2003116357A (ja) 植生用面状材の固定杭
JP3042705U (ja) 擁 壁
JP2009291174A (ja) 軽量土パックおよび栽培容器
KR200433113Y1 (ko) 프랜터형 식생매트
JP2004121103A (ja) 給水板を備えた植木鉢用給水装置及びその給水方法
KR200313046Y1 (ko) 녹화용 마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