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548B1 -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548B1
KR101162548B1 KR1020100077894A KR20100077894A KR101162548B1 KR 101162548 B1 KR101162548 B1 KR 101162548B1 KR 1020100077894 A KR1020100077894 A KR 1020100077894A KR 20100077894 A KR20100077894 A KR 20100077894A KR 101162548 B1 KR101162548 B1 KR 10116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vegetation
mesh
reinforcement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669A (ko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성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5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용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면 그물망(11)과 후면 그물망(12), 측면 그물망(13, 13'), 바닥 그물망(14) 및 덮개 그물망(15)으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상의 개비온 본체(10)와; 칸막이 보강 그물망(20)과; 다수의 식생백 수납부(30)와; 제 1잡석층(40)과; 다수의 식생백(50)과; 보강 그물망(60)과; 제 2잡석층(70)과; 보강 그물망(60')과; 제 3잡석층(80)으로 구성되어 적층되는 각 개비온중 외향하는 개비온의 측단부에 식생백 수납용 공간부를 형성하여 적층되는 각 개비온의 측단부를 녹화하기에 용이하고,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망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킨후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삽입공에 결합바를 간단히 삽입하여 보강망의 설치를 완료함으로써 강도 보강 및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망의 설치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감소할 수 있고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도 빠른 작업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바가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강도 보강 및 배부름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비온 내부의 수분 및 영양분을 보유하고 제공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식생백에 함유된 식물 종자의 발아를 양호하게 함과 더불어 발아된 식물의 성장을 안정적으로 탁월하게 하는 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Reinforcement gabion for afforestation environment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제방이나 축대, 옹벽, 절개지 등에 녹화용으로 구축하는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방이나 축대, 옹벽, 절개지 등에서 발생하는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친환경적으로 녹화할 수 있는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이나 축대, 옹벽, 절개지 등 경사면의 침식을 방지하고 녹화하기 위해 종래부터 다양한 구조의 구조물 구축 및 시공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호안 경사면에 구조물 구축 및 시공방법으로는 ①전석 쌓기 공법, ②호안 식생 블럭 공법, ③자연석형 호안블럭 공법, ④크로스 판넬 공법, ⑤식생 보강매트 개비온 공법 등 다양한 방법이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①전석 쌓기 공법은 내구성이 뛰어나 반 영구적이고, 외관이 자연형으로 경관이 양호하며, 자연석에 의한 하안부 및 하상부 보호기능을 가지고, 자연석을 메쌓기 하여 틈이 많아 어류나 수생 곤충의 흡족한 생식장 및 피난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연석 쌓기 틈새에 식생이 가능하여 자연경관 보존 창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나, 쌓기에 있어 숙련공이 필요하고, 공사비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다소 길고, 재료의 수급이 용이하지 못하며, 품질관리 및 공정관리에 어려움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②호안 식생 블럭 공법은 규격화된 블럭 사용으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이 양호하고, 연결구로 간결하게 체결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돌출부위는 자연석 모양으로 설치되어 경관이 수려하며, 일체 구조를 이루어 법면 기울기가 1 : 1 이상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극률이 크기 때문에 식생 활착이 유리한 장점이 있는데 반하여, 곡선부 구간에는 정밀 시공이 필요하고, 콘크리트 제품의 사용으로 수해시 세굴에 의한 붕괴 우려가 상존할 뿐만 아니라 하폭이 좁은 소하천에는 적용이 다소 곤란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③자연석형 호안블럭 공법은 자연석 형상의 블록으로 공간의 복토가 지면과 연결되어 꽃씨 파종 등 수초 서식공간이 조성되고, 모든 블럭 상호간에는 'ㄷ'형과 'U'볼트로 연결 시공되므로 구조의 일체감이 형성되며, 재료구입 및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나, 곡선부 구간에는 정밀 시공이 필요하고, 하폭이 좁은 소하천에는 적용이 다소 곤란하며, 콘크리트 제품의 사용으로 수해시 세굴에 의한 붕괴 우려가 상존할 뿐만 아니라 블럭 면적이 넓어 식생 활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공사비가 다소 고가라고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④크로스 판넬 공법은 뒷면을 콘크리트로 차단하지 않으므로 생태계 파괴를 방지하고, 식생낭과 사석채움을 통해 생물의 서식처 제공 및 세굴방지 효과가 증대하며, 블럭의 이음매가 자유로워 곡선부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이 빠르고 전용볼트로 부재를 연결하므로 일체화된 견고한 구조물이 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블록제품에 비해 콘크리트 중량을 감소시켜 경제적인 장점이 있는데 반하여, 사석부설시 주의를 요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⑤식색 보강매트 개비온 공법은 기존 개비온의 장점을 이용 수해나 급류지역의 제방을 보호할 수 있고, 성토변을 보강핀과 개비온 뚜껑을 이용 녹화 사면의 안정을 기할 수 있으며, 녹화 후 초본류의 뿌리와 개비온이 결합, 구조물의 안전성과 치수방재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타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나, 하천 골재 채취 불가능 시 채움재 수급이 다소 불편하고, 곡선부 구간에는 정밀시공이 필요하며, 동절기 공사시 다소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호안 경사면에 구조물을 구축하는 각 공법들이 갖는 장점들과 단점들이 상이하므로 이러한 장단점 들은 충분히 분석하여 시공할 호안 경사면에 적합한 공법을 선택하여 시공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통상적인 개비온을 적층하여 호안 경사면에 구조물을 구축할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부름 현상"이 야기 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서부터 다수의 개비온(1)을 복수단으로 적층하여 일정한 높이를 갖는 개비온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축조된 개비온 옹벽의 경우, 위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누르는 수직압력에 의해 옹벽의 외측면에 놓여진 개비온(1)에서는 점선 표시부분처럼 일측면이 외측방향으로 튀어나오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절성토 사면보호 및 옹벽공사 등에 활용되는 개비온 옹벽의 축조과정 또는 축조후 개비온 옹벽의 옹벽 높이가 높아질수록 옹벽 하부에 가해지는 수직압력의 크기가 커져서, 개비온(1)의 측면이 과도한 수평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야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비온 옹벽에 축조되는 개비온(1) 중 옹벽의 내측방향에 놓여진 개비온(1)의 경우 이웃하는 개비온(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축조된 개비온 옹벽의 외측면에 놓여진 개비온(1)에서 배부름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일반인들로서는 개비온 옹벽이 붕괴될것 같은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또한 배부름 현상과 같은 변형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경우엔 개비온 옹벽 자체의 안정성에도 안좋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의 보강 개비온(1)으로 옹벽을 축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한 "보강 개비온"이 특허등록 제0763476호로서 특허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출원인의 선 특허등록 제0763476호의 "보강 개비온"을 적층하여 시공할 경우 외향하는 각 개비온의 측단부를 녹화하기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 특허등록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층되는 각 개비온중 외향하는 개비온의 측단부에 식생백 수납용 공간부를 형성하여 적층되는 각 개비온의 측단부를 녹화하기 용이한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망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킨후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삽입공에 결합바를 간단히 삽입하여 보강망의 설치를 완료함으로써 강도 보강 및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망의 설치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감소할 수 있고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도 빠른 작업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바가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강도 보강 및 배부름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비온 내부의 수분 및 영양분을 보유하고 제공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식생백에 함유된 식물 종자의 발아를 양호하게 함과 더불어 발아된 식물의 성장을 안정적으로 탁월하게 하는 식물의 서식공간을 갖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은 전면 그물망(11)과 후면 그물망(12), 측면 그물망(13, 13'), 바닥 그물망(14) 및 덮개 그물망(15)으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상의 개비온 본체(10)와; 상기 개비온 본체(10)를 구획하는 칸막이 보강 그물망(20)과; 상기 개비온 본체(10)와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으로 형성되는 상하 다수의 식생백 수납부(30)와;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하부에 채워지는 제 1잡석층(40)과; 상기 다수의 식생백 수납부(30)에 채워지는 식생백(50)과; 상기 제 1잡석층(40) 윗면 상의 칸막이 그물망(2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강 그물망(60) 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채워지는 제 2잡석층(70)과; 상기 제 2잡석층(70) 윗면 상의 칸막이 그물망(2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강 그물망(60')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채워지는 제 3잡석층(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방법은 녹화용 보강 개비온을 시공할 구간에 법면 규준틀을 설치, 구배 및 선형에 맞추어 설치 후 법면부 토사를 정리하는 전처리 공정(S1단계)과; 법면과 선형에 따라 기초 터파기를 한 후 개비온의 기초 즉, 개비온 본체(10)와 자연석 기초 또는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하는 기초공정(S2단계)과; 되메우기 후 되메우기 부분의 토사를 충분히 다져주는 토사 다짐공정(S3단계)와; 법면의 구배를 기초 부분과 맞도록 정리한 후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법면 다짐을 실시하는 법면 다짐공정(S4단계)과; 상기 법면 다짐공정(S4단계)의 실시 완류 후 법면 상에 개비온 본체(10)를 위치시켜 고정하는 개비온 정렬공정(S5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의 내부에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개비온 본체(10)의 내부를 구획하여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을 설치하는 칸막이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6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하부에 제 1잡석층(40)을 채우는 제 1잡석층 형성공정(S7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의 하부 식생백 수납부(30)에 내부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는 제 1식생백 설치공정(S8단계)과; 상기 제 1잡석층(40) 윗면 상에 수평으로 보강 그물망(60)을 설치하는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9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제 2잡석층(70)을 채우는 제 2잡석층 형성공정(S10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의 식생백 수납부(30)에 내부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는 제 2식생백 설치공정(S11단계)과; 상기 상기 제 2잡석층(70) 윗면 상에 수평으로 보강 그물망(60')을 설치하는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12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제 3잡석층(80)을 채우는 제 3잡석층 형성공정(S13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의 식생백 수납부(30)에 내부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는 제 3식생백 설치공정(S14단계)과; 덮개 그물망(15)을 덮고 보강봉을 삽입하여 개비온 본체(10)를 고정하여 칸막이 그물망(20)과 덮개 그물망(15)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마무리 공정(S15단계) 및; 상기 S1단계 내지 S15단계의 공정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개비온을 적청하는 개비온 적층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층되는 각 개비온중 외향하는 개비온의 측단부에 식생백 수납용 공간부를 형성하여 적층되는 각 개비온의 측단부를 녹화하기에 용이하고,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망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킨후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삽입공에 결합바를 간단히 삽입하여 보강망의 설치를 완료함으로써 강도 보강 및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망의 설치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감소할 수 있고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도 빠른 작업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바가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강도 보강 및 배부름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비온 내부의 수분 및 영양분을 보유하고 제공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식생백에 함유된 식물 종자의 발아를 양호하게 함과 더불어 발아된 식물의 성장을 안정적으로 탁월하게 하는 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각 박스형태의 개비온을 이용하여 개비온 옹벽을 축조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 특허등록 받은 개비온을 채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전개상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그물망과 칸막이 보강 그물망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보강 그물망의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보강 그물망이 없는 개비온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일부 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방법으로 시공하는 공정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 상태도 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전개상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그물망과 칸막이 보강 그물망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보강 그물망의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보강 그물망이 없는 개비온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일부 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방법으로 시공하는 공정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 상태도로서, 본 발명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은 전면 그물망(11)과 후면 그물망(12), 측면 그물망(13, 13'), 바닥 그물망(14) 및 덮개 그물망(15)으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상의 개비온 본체(10)와; 상기 개비온 본체(10)를 구획하는 칸막이 보강 그물망(20)과; 상기 개비온 본체(10)와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으로 형성되는 상하 다수의 식생백 수납부(30)와;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하부에 채워지는 제 1잡석층(40)과; 상기 다수의 식생백 수납부(30)에 채워지는 식생백(50)과; 상기 제 1잡석층(40) 윗면 상의 칸막이 그물망(2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강 그물망(60) 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채워지는 제 2잡석층(70)과; 상기 제 2잡석층(70) 윗면 상의 칸막이 그물망(2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강 그물망(60')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채워지는 제 3잡석층(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비온 본체(10)를 이루는 전면 그물망(11)과 후면 그물망(12), 측면 그물망(13, 13'), 바닥 그물망(14), 덮개 그물망(15) 및 보강 그물망(60)은 아연도금 철선 또는 아연 도금 후 PVC를 코팅한 철선으로 육각형 타입의 메쉬(mesh) 형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철망이고, 상기 철망의 망눈(mesh size)은 7.5 ~ 8.5 × 9.5 ~ 10.5㎝ 이며, 상기 철망의 선지름은 2.2 ~ 4.0㎜(오차 ± 0.05 ~ 0.07)이고, 인장강도 380N/㎜2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은 가로 철망(21)과 세로 철망(22)을 교차시켜 격자상 그물망을 형성하되 상기 세로 철망(22)의 양단을 링상으로 삽입공(22a)을 이루고, 상기 삽입공(22a)에 결합바(23)를 삽입함으로써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식생백(50)은 제 1식생용지(51)와; 상기 제 1식생용지(51) 상에 적층되는 종자 및 비료층(52)과; 상기 종자 및 비료층(52) 상에 적층되는 제 2식생용지(52) 및; 상기 제 2식생용지(52) 상에 적층되는 네트층(54)로 이루어져 하나의 매트리스 상으로 일체화된 구조체로 포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시공시에는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개비온 본체(10)의 내부 일측 식생백 수납부(30)에 채워지는 것이다.
상기 보강 그물망(60)과 보강 그물망(6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가로 철망(61)과 세로 철망(62)을 교차시켜 격자상 그물망을 형성하되 상기 가로 철망(61)의 양단을 링상으로 삽입공(61a)을 이루고, 상기 삽입공(61a)에 결합바(63)를 삽입함으로써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 그물망(60)과 보강 그물망(60')은 식생백 수납부(30)에 위치하게 되는 가로 철망(61)에 비해 그 외의 가로 철망(61)을 조밀하게 설치하고, 식생백 수납부(30)에는 세로 철망(62)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방법은 녹화용 보강 개비온을 시공할 구간에 법면 규준틀을 설치, 구배 및 선형에 맞추어 설치 후 법면부 토사를 정리하는 전처리 공정(S1단계)과; 법면과 선형에 따라 기초 터파기를 한 후 개비온의 기초 즉, 개비온 본체(10)와 자연석 기초 또는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하는 기초공정(S2단계)과; 되메우기 후 되메우기 부분의 토사를 충분히 다져주는 토사 다짐공정(S3단계)와; 법면의 구배를 기초 부분과 맞도록 정리한 후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법면 다짐을 실시하는 법면 다짐공정(S4단계)과; 상기 법면 다짐공정(S4단계)의 실시 완류 후 법면 상에 개비온 본체(10)를 위치시켜 고정하는 개비온 정렬공정(S5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의 내부에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개비온 본체(10)의 내부를 구획하여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을 설치하는 칸막이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6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하부에 제 1잡석층(40)을 채우는 제 1잡석층 형성공정(S7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의 하부 식생백 수납부(30)에 내부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는 제 1식생백 설치공정(S8단계)과; 상기 제 1잡석층(40) 윗면 상에 수평으로 보강 그물망(60)을 설치하는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9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제 2잡석층(70)을 채우는 제 2잡석층 형성공정(S10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의 식생백 수납부(30)에 내부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는 제 2식생백 설치공정(S11단계)과; 상기 상기 제 2잡석층(70) 윗면 상에 수평으로 보강 그물망(60')을 설치하는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12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제 3잡석층(80)을 채우는 제 3잡석층 형성공정(S13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의 식생백 수납부(30)에 내부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는 제 3식생백 설치공정(S14단계)과; 덮개 그물망(15)을 덮고 보강봉을 삽입하여 개비온 본체(10)를 고정하여 칸막이 그물망(20)과 덮개 그물망(15)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마무리 공정(S15단계) 및; 상기 S1단계 내지 S15단계의 공정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개비온을 적청하는 개비온 적층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사 다짐공정(S3단계)에는 토사 다짐 후 2 ~ 3회 물뿌림하여 토양의 안정화를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비온 정렬공정(S5단계)에는 개비온 본체(10)의 바닥 그물망(14)에 전면 그물망(11)과 후면 그물망(12), 측면 그물망(13, 13')을 수직으로 세워 결속용 철선으로 조립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9, S12단계)에서의 보강 그물망(60, 60')은 개비온 본체(10)의 높이 30 ~ 35㎝ 마다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경사 45°호안 경사면에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을 적층하여 시공하고, 그 작용 및 효과를 점검하였다.
먼저 전처리 공정으로 상기 호안 경사면의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을 시공할 구간에 법면 규준틀을 설치, 구배 및 선형에 맞추어 설치 후 법면부 토사를 정리하고(S1단계), 기초공정에서 법면과 선형에 따라 기초 터파기를 한 후 개비온의 기초 즉, 개비온 본체(10)와 자연석 기초 또는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하였다(S2단계).
이어서 토사 다짐공정에서 토사의 침하에 따른 하자를 고려하여 되메우기 후 되메우기 부분의 토사를 충분히 다져준 다음 2회 물뿌림하여 토양의 안정화를 기하고(S3단계), 법면 다짐공정에서 법면의 구배를 기초 부분과 맞도록 정리한 후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법면 다짐을 실시하였다(S4단계).
계속하여 개비온 정렬공정에서 법면 상에 개비온 본체(10)를 위치시켜 고정한 다음 개비온 본체(10)의 바닥 그물망(14)에 전면 그물망(11)과 후면 그물망(12), 측면 그물망(13, 13')을 수직으로 세워 결속용 철선으로 조립하고(S5단계), 칸막이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에서 상기 개비온 본체(10)의 내부에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개비온 본체(10)의 내부에 1m 간격을 두고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을 설치하였다(S6단계).
여기서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은 개비온 본체(10)의 조립시 결속력을 증가시키고 개비온 본체(10)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하중의 분산을 극대화하여 개비온 본체(10) 구조물의 미관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하였다.
다음으로 제 1잡석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하부에 제 1잡석층(40)을 높이 30㎝ 로 채웠다(S7단계).
이어서 제 1식생백 설치공정에서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상기 개비온 본체(10)의 하부 식생백 수납부(30)에 채우고(S8단계),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에서 상기 제 1잡석층(40) 윗면 상에 수평으로 보강 그물망(60)을 설치한(S9단계) 다음 제 2잡석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제 2잡석층(70)을 채워 제 2잡석층(70)의 높이가 30㎝가 되도록 하였다(S10단계).
여기서 상기 보강 그물망(60)은 개비온 본체(10) 조립시 결속력을 증가시키며, 개비온 본체(10)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하중의 분산을 극대화하여 개비온 본체(10) 구조물의 미관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하였다.
계속하여 제 2식생백 설치공정에서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의 식생백 수납부(30)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고(S11단계),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에서 상기 제 2잡석층(70) 윗면 상에 수평으로 보강 그물망(60')을 설치한(S12단계) 다음 제 3잡석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제 3잡석층(80)을 채워 제 3잡석층(80)의 높이가 30㎝가 되도록 하였다(S13단계).
여기서 상기 보강 그물망(60')은 보강 그물망(60)과 마찬가지로 개비온 본체(10) 조립시 결속력을 증가시키며, 개비온 본체(10)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하중의 분산을 극대화하여 개비온 본체(10) 구조물의 미관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하였다.
계속하여 제 2식생백 설치공정에서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의 식생백 수납부(30)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고(S11단계),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에서 상기 제 2잡석층(70) 윗면 상에 수평으로 보강 그물망(60')을 설치한(S12단계) 다음 제 3잡석층 형성공정에서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제 3잡석층(80)을 채워 제 3잡석층(80)의 높이가 30㎝가 되도록 하였다(S13단계).
다음으로 제 3식생백 설치공정에서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의 식생백 수납부(30)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고(S14단계), 마무리 공정에서 덮개 그물망(15)을 덮고 보강봉을 삽입하여 개비온 본체(10)를 고정하여 칸막이 보강 그물망(20)과 덮개 그물망(15)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고정하고(S15단계), 개비온 적층공정에서 상기 S1단계 내지 S15단계의 공정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개비온을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을 종료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시공 완료된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상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고, 이를 일정한 기간이 지날 때마다 점검하여 본 결과 시공된 개비온에서는 배부름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구조물이 안전성이 뛰어나고, 식생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미관이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의 시공을 다른 시공방법과 비교하여본 결과 본 발명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이 기타 다른 시공방법에 비해 공사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개비온 본체 11 : 전면 그물망
12 : 후면 그물망 13, 13' : 측면 그물망
14 : 바닥 그물망 15 : 덮개 그물망
20 : 칸막이 보강 그물망 21 가로 철망
22 : 세로 철망 22a : 삽입공
23 : 결합바 30 : 식생백 수납부
40 : 제 1잡석층 50 : 식생백
51 : 제 1식생용지 52 : 종자 및 비료층
53 : 제 2식생용지 54 : 네트층
60, 60' : 보강 그물망 61 : 가로 철망
61a : 삽입공 62 : 세로 철망
63 : 결합바 70 : 제 2잡석층
80 : 제 3잡석층

Claims (12)

  1. 전면 그물망(11)과 후면 그물망(12), 측면 그물망(13, 13'), 바닥 그물망(14) 및 덮개 그물망(15)으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상의 개비온 본체(10)와; 상기 개비온 본체(10)를 구획하는 칸막이 보강 그물망(20)과; 상기 개비온 본체(10)와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으로 형성되는 상하 다수의 식생백 수납부(30)와;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하부에 채워지는 제 1잡석층(40)과; 상기 다수의 식생백 수납부(30)에 채워지는 식생백(50)과; 상기 제 1잡석층(40) 윗면 상의 칸막이 그물망(2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강 그물망(60) 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채워지는 제 2잡석층(70)과; 상기 제 2잡석층(70) 윗면 상의 칸막이 그물망(2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강 그물망(60')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채워지는 제 3잡석층(80)으로 구성된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 본체(10)를 이루는 전면 그물망(11)과 후면 그물망(12), 측면 그물망(13, 13'), 바닥 그물망(14), 덮개 그물망(15) 및 보강 그물망(60)은 아연도금 철선 또는 아연 도금 후 PVC를 코팅한 철선으로 육각형 타입의 메쉬(mesh) 형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의 망눈(mesh size)은 7.5 ~ 8.5 × 9.5 ~ 1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의 선지름은 2.2 ~ 4.0㎜(오차 ± 0.05 ~ 0.07)이고, 인장강도 380N/㎜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은 가로 철망(21)과 세로 철망(22)을 교차시켜 격자상 그물망을 형성하되 상기 세로 철망(22)의 양단을 링상으로 삽입공(22a)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22a)에 결합바(23)가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백(50)은 제 1식생용지(51)와; 상기 제 1식생용지(51) 상에 적층되는 종자 및 비료층(52)과; 상기 종자 및 비료층(52) 상에 적층되는 제 2식생용지(53) 및; 상기 제 2식생용지(53) 상에 적층되는 네트층(54)로 이루어져 하나의 매트리스 상으로 일체화된 구조체로 포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시공시에는 내부에 토사가 채워져 개비온 본체(10)의 내부 일측 식생백 수납부(30)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그물망(60)과 보강 그물망(60') 각각은 가로 철망(61)과 세로 철망(62)을 교차시켜 격자상 그물망을 형성하되 상기 가로 철망(61)의 양단을 링상으로 삽입공(61a)을 이루고, 상기 삽입공(61a)에 결합바(63)를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그물망(60)과 보강 그물망(60') 각각은 식생백 수납부(30)에 위치하게 되는 가로 철망(61)에 비해 그 외의 가로 철망(61)이 조밀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생백 수납부(30)에는 세로 철망(62)이 설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9. 녹화용 보강 개비온을 시공할 구간에 법면 규준틀을 설치, 구배 및 선형에 맞추어 설치 후 법면부 토사를 정리하는 전처리 공정(S1단계)과; 법면과 선형에 따라 기초 터파기를 한 후 개비온의 기초 즉, 개비온 본체(10)와 자연석 기초 또는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하는 기초공정(S2단계)과; 되메우기 후 되메우기 부분의 토사를 충분히 다져주는 토사 다짐공정(S3단계)와; 법면의 구배를 기초 부분과 맞도록 정리한 후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법면 다짐을 실시하는 법면 다짐공정(S4단계)과; 상기 법면 다짐공정(S4단계)의 실시 완류 후 법면 상에 개비온 본체(10)를 위치시켜 고정하는 개비온 정렬공정(S5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의 내부에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개비온 본체(10)의 내부를 구획하여 칸막이 보강 그물망(20)을 설치하는 칸막이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6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하부에 제 1잡석층(40)을 채우는 제 1잡석층 형성공정(S7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의 하부 식생백 수납부(30)에 내부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는 제 1식생백 설치공정(S8단계)과; 상기 제 1잡석층(40) 윗면 상에 수평으로 보강 그물망(60)을 설치하는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9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제 2잡석층(70)을 채우는 제 2잡석층 형성공정(S10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의 식생백 수납부(30)에 내부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는 제 2식생백 설치공정(S11단계)과; 상기 상기 제 2잡석층(70) 윗면 상에 수평으로 보강 그물망(60')을 설치하는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12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에 제 3잡석층(80)을 채우는 제 3잡석층 형성공정(S13단계)과; 상기 개비온 본체(10) 내부 보강 그물망(60') 위의 식생백 수납부(30)에 내부에 토사를 채운 식생백(50)을 채우는 제 3식생백 설치공정(S14단계)과; 덮개 그물망(15)을 덮고 보강봉을 삽입하여 개비온 본체(10)를 고정하여 칸막이 그물망(20)과 덮개 그물망(15)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마무리 공정(S15단계) 및; 상기 S1단계 내지 S15단계의 공정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개비온을 적청하는 개비온 적층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 다짐공정(S3단계)에는 토사 다짐 후 2 ~ 3회 물뿌림하여 토양의 안정화를 기하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 정렬공정(S5단계)에는 개비온 본체(10)의 바닥 그물망(14)에 전면 그물망(11)과 후면 그물망(12), 측면 그물망(13, 13')을 수직으로 세워 결속용 철선으로 조립하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의 시공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그물망 설치공정(S9단계)에서의 보강 그물망(60, 60')은 개비온 본체(10)의 높이 30 ~ 35㎝ 마다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의 시공방법.
KR1020100077894A 2010-08-12 2010-08-12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162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894A KR101162548B1 (ko) 2010-08-12 2010-08-12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894A KR101162548B1 (ko) 2010-08-12 2010-08-12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669A KR20120021669A (ko) 2012-03-09
KR101162548B1 true KR101162548B1 (ko) 2012-07-09

Family

ID=4612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894A KR101162548B1 (ko) 2010-08-12 2010-08-12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944B1 (ko) * 2012-06-08 2013-01-15 박이근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
KR101301915B1 (ko) * 2013-01-08 2013-08-30 박이근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KR101385021B1 (ko) * 2013-05-14 2014-04-14 박이근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KR101385025B1 (ko) * 2013-05-14 2014-04-14 박이근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CN108585212A (zh) * 2018-05-03 2018-09-28 山东省环科院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潜流人工湿地的石笼构筑方法
KR102251750B1 (ko) * 2021-01-27 2021-05-14 우현명 다기능 플라스틱 상자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023A (ja) 2002-02-07 2003-08-19 Free Kogyo Kk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100763476B1 (ko) 2007-04-16 2007-10-08 성지금속산업 주식회사 보강 개비온
KR100821351B1 (ko) 2006-12-29 2008-04-11 변우일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100995659B1 (ko) 2008-01-30 2010-11-24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식생용 시트, 이를 포함하는 식생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식생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023A (ja) 2002-02-07 2003-08-19 Free Kogyo Kk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100821351B1 (ko) 2006-12-29 2008-04-11 변우일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100763476B1 (ko) 2007-04-16 2007-10-08 성지금속산업 주식회사 보강 개비온
KR100995659B1 (ko) 2008-01-30 2010-11-24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식생용 시트, 이를 포함하는 식생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식생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669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231040B1 (ko)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JP2003232023A (ja)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20100119853A (ko) 환경 친화형 조립식 돌망태
KR101334975B1 (ko)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KR100821351B1 (ko)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100864813B1 (ko) 함체형 타공철판 유니트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 구조 및그 축조방법
KR100753214B1 (ko) 절개지 보수 백과,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26934A (ko) 식생 흙벽돌 및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법
JP2023544968A (ja) 擁壁構造物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KR20120057407A (ko) 식생포대 고정장치
KR101162842B1 (ko) 하천둑 및 그 축조방법
KR20140123350A (ko)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
KR100733005B1 (ko) 이불형 망태를 이용한 친환경 제방 시공방법
KR20090104213A (ko)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KR101348538B1 (ko) 식생용 철근 블럭 백 및 철근 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 옹벽
KR101005826B1 (ko) 철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시공방법
KR102549947B1 (ko) 사면 보강 및 복구를 위한 친환경 식생철망 복합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490289B1 (ko) 매트리스형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843331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