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213A -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 Google Patents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213A
KR20090104213A KR1020080029526A KR20080029526A KR20090104213A KR 20090104213 A KR20090104213 A KR 20090104213A KR 1020080029526 A KR1020080029526 A KR 1020080029526A KR 20080029526 A KR20080029526 A KR 20080029526A KR 20090104213 A KR20090104213 A KR 20090104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soil
vegetation
bloc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성민
Priority to KR102008002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213A/ko
Priority to PCT/KR2009/001596 priority patent/WO2009145432A1/ko
Publication of KR2009010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의 비탈면, 제방, 하안 및 아파트 단지 조경 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을 지탱하고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적층되되 식생이 가능하고 다양한 경사 각도로 쌓아 올려지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흙과 식물의 씨앗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 물을 공급해주는 수로를 상기 옹벽블럭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식재된 식물에 의해 적층된 옹벽 전체가 녹화가 조성되고 주변의 녹지부분과 조화를 이루게 하여 도시미관을 조성 및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옹벽블럭들의 적층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인 인터록킹 핀 및 블릿을 구비함으로써 적층되는 상·하층열 간의 옹벽블럭들이 다양한 적층 경사각을 갖도록 하고 토질의 경사면이나 법면에 대응되게 용이하게 적층각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옹벽블럭, 식생, 경사면, 보강토, 인터록킹 핀, 지오그리드

Description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Ply-angle adjustable,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of reinforced earth}
본 발명은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을 지탱하고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적층되되 식생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경사 각도로 쌓아 올려지게 하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의 비탈면, 제방, 하안 및 아파트 단지 조경 벽면 등에는 토사가 전단되거나 외압에 의해 변형되어 토압을 이기지 못하고 변형 또는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된 옹벽블럭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축조하고 있다.
상기의 옹벽블럭들은 통상적으로 상층열과 하층열이 지그재그방식으로 서로 엇갈리게 구축되며, 이때 구축되는 옹벽블럭들 사이에는 그 후방에 성토된 흙을 지지하기 위한 지오그리드와 같은 별도의 보강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축된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로 성형된 블럭에 의한 지지력과, 보강재가 흙과 결속되어 하나의 큰 중력식 구조체가 되기 때문에 전단저항과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 부등침하에 잘 적응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옹벽블럭은 블럭들을 일렬로 적층되는 수직축조뿐만 아니라, 상단으로 갈수록 적층되는 블럭들이 조금씩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상부후퇴축조도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상부후퇴축조 과정에서 블럭의 채움공에 흙을 투입하여 복토층을 형성함으로써 잔디나 야생초목류 등의 식물이 자생하도록 하고 동물들의 서식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옹벽블럭들을 상부후퇴축조하는 과정에서 상층열과 하층열에 적층되는 블럭들 간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하나의 정해진 경사각만을 갖도록 되어 있어, 적층 경사각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그를 조절하거나 정밀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상기와 같은 옹벽블럭에는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공간 없이 옹벽만의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 식물의 식생과 전혀 관계가 없는 구조물들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의 식생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빠른 시간 내에 식재된 식물에 의해 적층된 옹벽 전체가 녹화가 조성될 수 있게 하고, 적층되는 상·하층열 간의 옹벽블럭들이 다양한 적층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서 토질의 경사면이나 법면에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의 비탈면, 제방, 하안 및 아파트 단지 조경 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을 지탱하고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적층되되, 식생이 가능하고 다수의 경사 각도로 쌓아 올려지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에 있어서, 흙과의 마찰력, 인발저항력 및 전단응력을 발생시키는 지오그리드(Geogrid)를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럭에는, 전방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연통되게 형성된 수로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공과, 상기 옹벽블럭의 상면 양측에 형성되되 옹벽블럭의 적층시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핀홀이 구비되며,
흙과 식물의 씨앗의 배합물이 담기게 하며 상기 옹벽블럭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옹벽블럭의 수로를 관통하여 뒷채움토에 매설되는 꼬리부로 이루어진 토낭(土囊); 및 상기 결합공과 핀홀에 삽입되어서 상기 옹벽블럭의 적층 각도를 다수의 각도로 조절되게 하는 인터록킹 핀(Inter locking P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록킹 핀의 상부체에 구비된 삽설공에 결합되어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되 상기 옹벽블럭의 적층 각도가 다수 개로 조절되게 하는 블릿(bullet)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구축하게 되면, 옹벽블럭의 식생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식재된 식물에 의해 적층된 옹벽 전체가 녹화가 조성되어 흉물스러운 구조체에 의한 혐오감을 없앨 수 있게 하고, 적층되는 상·하층열 간의 옹벽블럭들이 다양한 적층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서 토질의 경사면이나 법면에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일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다른 일례와 블 릿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또 다른 일례에 대한 절단사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블릿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B-B에 대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일례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d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다른 일례와 블릿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로변의 비탈면, 제방, 하안 및 아파트 단지 조경 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을 지탱하고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적층되되 식생이 가능하고 다수의 경사 각도로 쌓아 올려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오그리(Geogrid, 5), 옹벽블럭(10), 토낭(土囊, 20) 및 인터록킹 핀(Inter locking Pin, 30)을 구비하고, 추가로 블릿(bullet, 40)이 구비된다.
상기 지오그리드(5)는 토압방지용으로서 일반적인 제품이 이용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가로바(5-1)와 세로바(5-2)를 연결하여 타원형 체결공(5-3)을 형성하여서 다음에 기술될 인터록킹 핀(30)을 삽입 밀착시켜 흙과의 마찰력, 인발저항력 및 전단응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오그리드(5)는 옹벽블럭(10)의 적층 높이와 토질 및 하중 등을 적용 한 구조역학 계산을 통해 그의 규격과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옹벽블럭(10)은 지오그리드(5)를 사이에 두고 적층되며, 그의 전체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태기모양으로 다음에 기술될 토낭(20)을 담을 수 있게 끔 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즉, 상기 옹벽블럭(10)의 전방부에는 토낭(2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2)를 구비하되, 상기 수용부(12)는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2)에 담긴 토낭(20)으로부터 식생되는 식물이 옹벽블럭(10)의 전방과 상부로 돋아나게 하여 빠른 시간 내에 축조된 옹벽 전체를 덮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옹벽블럭(10)의 후방부에는 수용부(12)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수로(14)가 구비된다.
상기 수로(14)는 토낭(20)과 옹벽 후반부에 채워진 뒷채움토 사이에 물이 흐를 수 있게 하는 통로를 만들고, 그 위에 토낭(20)의 제조시 구비되는 꼬리부(24)를 올려놓음으로써 뒷채움토에 있는 물을 토낭(20) 쪽으로 유도하여 토낭(20)에 충분한 물이 공급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옹벽블럭(10)의 수용부(12)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6)은 옹벽블럭(10)의 적층시 하부에 놓인 옹벽블럭(10)에 결합된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가 그에 관통 장착되게 함으로써 옹벽블럭(10)들 상호간의 인터록킹을 이루게 하며, 또한 하부의 옹벽블럭(10)의 토낭(20)으로 물이 흘러 내려가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의 후방면(16-1)은 원주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옹벽블럭(10)들의 결합시 인터록킹 핀(30)이 후방면(16-1)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하부에 놓인 옹벽블럭(10)과 상부에 놓인 옹벽블럭(10) 사이의 적층 경사각이 다양한 형태로 정밀하게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옹벽블럭(10)의 상부 양측에는 옹벽블럭(10)들의 적층시 결합공(16)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핀홀(18)이 구비되며, 상기 핀홀(18)에는 인터록킹 핀(30)의 하부체(32)가 삽설된다.
상기 핀홀(18)은 옹벽블럭(10)들의 결합시 하부에 놓인 옹벽블럭(10)과 상부에 놓인 옹벽블럭(10)의 상하좌우를 인터록킹 핀(30)에 의해 인터록킹되게 함과 동시에 지오그리드(5)와 결속되어서 축조된 옹벽이 토압에 견딜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낭(20)은 옹벽블럭(10)의 수용부(12)에 수용되어서 흙과 식물의 씨앗이 옹벽블럭(10)에 머무를 수 있게 해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22)와 꼬리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22)는 흙과 식물의 씨앗이 배합되어 담기게 하며, 옹벽블럭(10)의 수용부(12)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꼬리부(24)는 머리부(22)와 연결되어서 옹벽블럭(10)의 수로(14)를 관통하여 뒷채움토에 매설되며, 상술된 바와 같이 뒷채움토에 있는 물을 머리부(22) 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낭(20)은 영구적으로 변질되지 않으며 식물 씨앗의 발아에 지장을 주지않은 특수재질의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흙과 식물의 씨앗을 배합하여 넣을 수 있게 하는 자루다.
또한, 상기 토낭(20)은 옹벽블럭(10)의 수용부(12)에 수용될 때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인터록킹 핀(Inter locking Pin, 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놓인 옹벽블럭(10)의 핀홀(18)과 상부에 놓인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삽입 및 결합되게 하여서 적층되는 상하좌우 옹벽블록(10)들을 상호 인터록킹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터록킹 핀(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32)와 상부체(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하부체(32)는 중간부에서 전후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도록 하는 사면(斜面)을 형성하여서 옹벽블럭(10)의 핀홀(18)에 삽입되되 핀홀(18)의 공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인터록킹 핀(30)의 하부체(32)가 핀홀(18)의 공간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한 이유는, 그의 상부체(34)가 지오그리드(5)의 타원형 체결공(5-3)에 삽입 체결될 때 가로바(5-1) 및 세로바(5-2)와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는 하부체(32)의 상부에 결합되 되 하부체(32)로부터 전후방부의 돌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하부체(32)로부터 돌출되는 상부체(34)의 길이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과 T2로 다르게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게 하여 옹벽블럭(10)들의 적층시 인터록킹 핀(30)을 전후방으로 교대로 핀홀(18)에 삽설되게 함으로써 하부에 놓인 옹벽블럭(10)과 상부에 놓인 옹벽블럭(10) 간의 적층 각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대해서는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체(34)의 전후방면은 원주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서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삽입될 때에 결합공(16)의 후방면(16-1)을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하여 결합되게 한다.
이 또한, 옹벽블럭(10)들이 적층될 때에 상부체(34)의 결합공(16)과 상부체(34)가 각도 조절가능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옹벽블럭(10)들 간의 적층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저지턱(38)이 구비된 삽설공(36)이 형성되게 하여 다음에 기술될 블릿(bullet, 40)이 삽설되게 함으로써 옹벽블럭(10)의 적층 각도를 추가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삽설공(36)에 구비된 저지턱(38)은 그의 상부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삽설공(3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관통되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삽설공(36)을 관통되게 형성함으로써 블릿(40)의 삽입시 서로 다른 돌출 길이(T1, T2)에 의하여 옹벽블럭(10)의 적층시 각도를 더욱 다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블릿(bullet, 40)은 인터록킹 핀(30)이 가지고 있는 T1 및 T2의 두 개의 옹벽블럭(10)들의 적층 각도 외에 더욱 완만한 적층 각도가 필요할 경우 추가적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블릿(bullet, 4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에 구비된 삽설공(36)에 결합되어서 결합공(16)에 삽입되되 상기 옹벽블럭(10)의 적층 각도를 다수 개로 조절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블릿(40)에 의한 옹벽블럭(10)들의 적층 각도의 변화에 대하여는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블릿(40)은, 직사각형상(도 9 참조)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면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끼움공(43)이 구비되어서 인터록킹 핀(30)의 삽설공(36)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체(42)와, 상기 삽설공(36)에 끼워져 삽입될 때에 완전한 삽입을 방지하는 방지턱(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옹벽블럭(10)들의 추가적인 적층 각도는 블릿(40)의 삽입체(42)가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에 형성된 삽설공(36)에 삽입되는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삽입 정도는 삽입체(42)가 삽설공(36)에 삽입될 때에 삽입을 저지하는 저지턱(38)에 의해 결정되고, 이러한 삽입 정도는 삽입체(42)에 끼움공(4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42)의 끼움공(4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방지턱(44) 사이의 거리인 P1, P2, P3 및 P4에 의해 알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먼저, 도 12 및 도 13을 통해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설치한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배수성이 좋은 기초 저면에 상기 옹벽블럭(10)의 제1 층을 위치시켜 놓는다.
상기 옹벽블럭(10)이 적절한 위치에 놓였다 생각하면 수용부(12)에 흙과 씨앗의 배합물로 채워진 토낭(20)의 머리부(22)를 수용부(12)에 넣고 꼬리부(24)는 수로(14)를 따라 길게 늘어뜨린다.
그리고, 상기 옹벽블럭(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핀홀(18)들 내부로 인터록킹 핀(30)들의 하부체(32)를 각각 삽설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인터록킹 핀(30)의 전후방부는 토사의 경사면 또는 법면에 맞게 작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놓는다.
그 다음, 상기 지오그리드(5)의 타원형 체결공(5-3)으로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가 밀착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옹벽블럭(10)의 후방으로부터 늘어뜨려진 토낭(20)의 꼬리부를 뒷채움토로 덮는다.
그런 후, 제1 층의 옹벽블럭(10)들 사이의 상면에 제2 층의 옹벽블럭(10)을 쌓는다.
이때,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는 적절한 적층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게 제2 층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삽설되되 결합공(16)의 후방면(16-1)을 따라 적절한 위치에 있게 하여 각도 변화를 제공한다.
또한, 더욱 완만한 옹벽블럭(10)들의 적층 각도를 갖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의 삽설공(36)에 블릿(40)을 결합시켜서 제2 층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삽설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3 층, 제4 층, 제5층…… 등을 순차적으로 쌓으면 된다.
실시예 2
다음, 상기 옹벽블럭(10)들의 적층시 인터록킹 핀(30)에 의한 적층 각도 변화를 도 10a 및 도 10b를 통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10)들을 적층 각도 T1으로 적층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제1 층의 옹벽블럭(10)들 사이의 상면에 제2 층의 옹벽블럭(10)을 쌓기 위해서 인터록킹 핀(30)의 하부체(32)를 제1 층의 핀홀(18)에 삽입하되 상기의 적층 각도 T1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체(34)의 설치 방향을 조절한다.
즉,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에 의한 적층 각도 T1이 전방으로 향 하도록 한다.
상기 인터록킹 핀(30)이 제1 층의 옹벽블럭(10)에 결합된 후, 작업자는 제2 층의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상부체(34)가 삽입되도록 하되, 결합공(16)의 전방면이 상부체(34)와 접촉되게 한다.
따라서, 제1 층의 옹벽블럭(10)과 제2 층의 옹벽블럭(10) 간의 적층각도는 T1이 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10)들을 적층 각도 T2로 적층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제1 층의 옹벽블럭(10)들 사이의 상면에 제2 층의 옹벽블럭(10)을 쌓기 위해서 인터록킹 핀(30)의 하부체(32)를 제1 층의 핀홀(18)에 삽입하되 상기의 적층 각도 T2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체(34)의 설치 방향을 조절한다.
즉,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에 의한 적층 각도 T2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한다.
상기 인터록킹 핀(30)이 제1 층의 옹벽블럭(10)에 결합된 후, 작업자는 제2 층의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상부체(34)가 삽입되도록 하되, 결합공(16)의 전방면이 상부체(34)와 접촉되게 한다.
따라서, 제1 층의 옹벽블럭(10)과 제2 층의 옹벽블럭(10) 간의 적층각도는 T2가 된다.
실시예 3
다음, 상기 옹벽블럭(10)들의 적층시 인터록킹 핀(30) 및 블릿(40)의 결합에 의한 적층 각도 변화가 더욱 완만한 경사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11a 내지 도 11d를 통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단, 여기서는 인터록킹 핀(30)에 의한 적층 각도 T1 및 T2 중에서 T2 하나만을 이용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10)들을 적층 각도 T2+P1으로 적층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제1 층의 옹벽블럭(10)들 사이의 상면에 제2 층의 옹벽블럭(10)을 쌓기 위해서 인터록킹 핀(30)의 하부체(32)를 제1 층의 핀홀(18)에 삽입하되 상기의 적층 각도 T2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체(34)의 설치 방향을 조절하고, 그 다음 상기 블릿(40)을 상부체(34)의 삽설공(36)에 삽입하되 그의 삽입 길이가 P1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릿(40)이 결합된 인터록킹 핀(30)이 제1 층의 옹벽블럭(10)에 결합된 후, 작업자는 제2 층의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상부체(34)및 블릿(40)이 삽입되도록 하되, 결합공(16)의 전방면이 블릿(40)의 방지턱(44)과 접촉되게 한다.
따라서, 제1 층의 옹벽블럭(10)과 제2 층의 옹벽블럭(10) 간의 적층각도는 T2+P1이 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10)들을 적층 각도 T2+P2로 적층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제1 층의 옹벽블럭(10)들 사이의 상면에 제2 층의 옹벽블럭(10)을 쌓기 위해서 인터록킹 핀(30)의 하부체(32)를 제1 층의 핀홀(18)에 삽입하되 상기의 적층 각도 T2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체(34)의 설치 방향을 조절하고, 그 다음 상기 블릿(40)을 상부체(34)의 삽설공(36)에 삽입하되 그의 삽입 길이 가 P2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릿(40)이 결합된 인터록킹 핀(30)이 제1 층의 옹벽블럭(10)에 결합된 후, 작업자는 제2 층의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상부체(34)및 블릿(40)이 삽입되도록 하되, 결합공(16)의 전방면이 블릿(40)의 방지턱(44)과 접촉되게 한다.
따라서, 제1 층의 옹벽블럭(10)과 제2 층의 옹벽블럭(10) 간의 적층각도는 T2+P2가 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10)들을 적층 각도 T2+P3으로 적층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제1 층의 옹벽블럭(10)들 사이의 상면에 제2 층의 옹벽블럭(10)을 쌓기 위해서 인터록킹 핀(30)의 하부체(32)를 제1 층의 핀홀(18)에 삽입하되 상기의 적층 각도 T2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체(34)의 설치 방향을 조절하고, 그 다음 상기 블릿(40)을 상부체(34)의 삽설공(36)에 삽입하되 그의 삽입 길이가 P3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릿(40)이 결합된 인터록킹 핀(30)이 제1 층의 옹벽블럭(10)에 결합된 후, 작업자는 제2 층의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상부체(34)및 블릿(40)이 삽입되도록 하되, 결합공(16)의 전방면이 블릿(40)의 방지턱(44)과 접촉되게 한다.
따라서, 제1 층의 옹벽블럭(10)과 제2 층의 옹벽블럭(10) 간의 적층각도는 T2+P3이 된다.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10)들을 적층 각도 T2+P4로 적층 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제1 층의 옹벽블럭(10)들 사이의 상면에 제2 층의 옹벽블럭(10)을 쌓기 위해서 인터록킹 핀(30)의 하부체(32)를 제1 층의 핀홀(18)에 삽입하되 상기의 적층 각도 T2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체(34)의 설치 방향을 조절하고, 그 다음 상기 블릿(40)을 상부체(34)의 삽설공(36)에 삽입하되 그의 삽입 길이가 P4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릿(40)이 결합된 인터록킹 핀(30)이 제1 층의 옹벽블럭(10)에 결합된 후, 작업자는 제2 층의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에 상부체(34)및 블릿(40)이 삽입되도록 하되, 결합공(16)의 전방면이 블릿(40)의 방지턱(44)과 접촉되게 한다.
따라서, 제1 층의 옹벽블럭(10)과 제2 층의 옹벽블럭(10) 간의 적층각도는 T2+P4가 된다.
한편,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삽설공(36)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다른 실시예(도 7 참조)에 의한 옹벽블럭(10)들의 적층 각도 변화는 상기에 설명된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는 해안, 강변 및 하천 등의 수중에 옹벽을 축조할 경우 생태환경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식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옹벽의 적당한 위치에 있는 블럭에서 토낭을 제거하여 속이 빈 블럭 상태로 두면 물고기들의 서식처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의 용도를 살펴보면, 산지를 절개하여 평지를 조성할 때 생기는 절개면의 토압방지 용의 옹벽, 상부토지와 하부토지를 받치기 위해 구축해야 하는 옹벽, 및 강이나 하천의 제방축조시 축조해야 하는 옹벽 등으로 적용되어 구조체로서의 안전성은 물론 수중에서 까지도 식생이 가능한 구조를 해결함으로써 지상과 수중에서 안전성 및 미관과 물속의 어류를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 수륙양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일례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다른 일례와 블릿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또 다른 일례에 대한 절단사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블릿에 대한 측면도.
도 9는 도 5의 B-B에 대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일례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옹벽블럭 조립체의 인터록킹 핀의 다른 일례와 블릿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5: 지오그리드 5-1: 가로바
5-2: 세로바 5-3: 체결공
10: 옹벽블럭 12: 수용부
14: 수로 16: 결합공
16-1: 후방면 18: 핀홀
20: 토낭 22: 머리부
24: 꼬리부 30: 인터록킹 핀
32: 하부체 34: 상부체
36: 삽설공 38: 저지턱
40: 블릿 42: 삽입체
43: 끼움공 44: 방지턱

Claims (7)

  1. 도로변의 비탈면, 제방, 하안 및 아파트 단지 조경 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을 지탱하고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적층되되, 식생이 가능하고 다수의 경사 각도로 쌓아 올려지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에 있어서,
    흙과의 마찰력, 인발저항력 및 전단응력을 발생시키는 지오그리드(Geogrid, 5)를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럭(10)에는, 전방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부(12)와, 상기 수용부(12)의 후방에 연통되게 형성된 수로(14)와, 상기 수용부(12)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공(16)과, 상기 옹벽블럭(1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되되 옹벽블럭(10)의 적층시 상기 결합공(16)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핀홀(18)이 구비되며,
    흙과 식물의 씨앗의 배합물이 담기게 하며 상기 옹벽블럭(10)의 수용부(12)에 수용되는 머리부(22)와, 상기 머리부(22)와 연결되며 상기 옹벽블럭(10)의 수로(14)를 관통하여 뒷채움토에 매설되는 꼬리부(24)로 이루어진 토낭(20); 및
    상기 결합공(16)과 핀홀(18)에 삽입되어서 상기 옹벽블럭(10)의 적층 각도를 다수의 각도로 조절되게 하는 인터록킹 핀(Inter locking Pin, 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10)의 결합공(16)의 후방면(16-1)은 원주 형 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핀(30)은,
    중간부에서 전후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도록 사면(斜面)을 형성하여서 상기 옹벽블럭(10)의 핀홀(18)에 삽입되는 하부체(32)와,
    상기 하부체(32)의 상부에 결합되되 전후방부의 돌출 길이가 다르게 결합되게 하고 전후방면을 원주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결합공(16)에 삽입되는 상부체(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에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저지턱(38)이 구비된 삽설공(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삽설공(36)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상부체(34)에 구비된 삽설공(36)에 결합되어서 상기 결합공(16)에 삽입되되 상기 옹벽블럭(10)의 적층 각도를 다수 개로 조절되게 하는 블릿(bullet, 4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릿(40)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면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끼움공(43)이 구비되어서 상기 인터록킹 핀(30)의 삽설공(36)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체(42)와,
    상기 삽설공(36)에 끼워져 삽입될 때에 완전한 삽입을 방지하는 방지턱(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KR1020080029526A 2008-03-31 2008-03-31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KR20090104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26A KR20090104213A (ko) 2008-03-31 2008-03-31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PCT/KR2009/001596 WO2009145432A1 (ko) 2008-03-31 2009-03-30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26A KR20090104213A (ko) 2008-03-31 2008-03-31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13A true KR20090104213A (ko) 2009-10-06

Family

ID=4137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526A KR20090104213A (ko) 2008-03-31 2008-03-31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104213A (ko)
WO (1) WO2009145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7871B (zh) * 2018-08-17 2020-11-10 河海大学 一种管式泥沙侵蚀试验装置中泥沙表面切应力确定方法
ES2919335B2 (es) * 2021-01-22 2023-03-16 Univ Cordoba Pieza para la ejecucion de diques para el control de la erosion en carcava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183A (ja) * 1998-09-30 2000-04-18 Takeshige Shimonohara 中空ブロックに利用される植栽ネット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505127B1 (ko) * 2003-09-16 2005-07-29 김진웅 보강토 옹벽용 조립체
JP2007303251A (ja) * 2006-05-15 2007-11-22 Landes Co Ltd 緑化促進擁壁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バイパス部材
KR100660394B1 (ko) * 2006-07-28 2006-12-22 (주)이젠바텀 보강토 옹벽용 식생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5432A1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US5064313A (en) Embankment reinforcing structures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US20070053752A1 (en) Sandbag retaining walls adapted for plant growth
US20070110522A1 (e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sandbags
KR101221944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92836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20100119853A (ko) 환경 친화형 조립식 돌망태
KR20110047424A (ko)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식생공간부를 이용한 식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3232023A (ja)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20100092837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20090104213A (ko)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KR100350423B1 (ko) 식생 흙벽돌 및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법
KR2009001959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0662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526753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자연형 하천의 비탈면 축조구조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0946224B1 (ko) 전면식생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KR101225457B1 (ko) 식생상자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514086B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371808B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보호환경 조성용 식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