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379B1 -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 Google Patents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379B1
KR102279379B1 KR1020200064794A KR20200064794A KR102279379B1 KR 102279379 B1 KR102279379 B1 KR 102279379B1 KR 1020200064794 A KR1020200064794 A KR 1020200064794A KR 20200064794 A KR20200064794 A KR 20200064794A KR 102279379 B1 KR102279379 B1 KR 10227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ne
protrusion
fastening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연
Original Assignee
김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연 filed Critical 김두연
Priority to KR102020006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04F13/12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평면, 제2 평면 및 상기 제1 평면과 제2 평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블록본체;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의 표면에 함몰 형성된 결합함몰부; 및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상기 결합함몰부가 형성되는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결합함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결합함몰부에 물림 삽입되어 결합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콘크리트블록{Concrete block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축조에 사용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는 건축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벽체에 균열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경량 블록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량 블록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적층하여 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량 블록들을 축조함에 있어 인접한 블록들과의 결합력이 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량 블록들 간의 상하좌우 방향의 정렬이 어려우므로 작업에 대한 시간과 인력소요가 많아지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들간의 결합력이 개선되며 간단한 방법으로 축조 가능한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제1 평면, 제2 평면 및 상기 제1 평면과 제2 평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블록본체;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의 표면에 함몰 형성된 결합함몰부; 및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상기 결합함몰부가 형성되는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결합함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결합함몰부에 물림 삽입되어 결합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체결함몰부; 및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상기 결합함몰부가 형성되는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함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함몰부는 상기 측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함몰부는 상기 체결함몰부 또는 상기 체결돌출부와 간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체결돌출부 또는 상기 체결함몰부와 간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함몰부에 의해 상기 체결함몰부 또는 상기 체결돌출부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상기 측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체결함몰부 또는 상기 체결돌출부가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에 의해 상기 체결돌출부 또는 상기 체결함몰부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상기 측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출부 또는 상기 체결함몰부가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에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거나,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설치홈이 요입 형성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요입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관통홀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의 내부와 연통되며,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요입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설치홈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홀의 내부와 연통되며,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선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는 커버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보드는 CRC 보드로서 제공되는,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는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알루미늄 시트로서 제공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함몰부와 상기 결합돌출부 상호의 결합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가이드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가이드부와, 상기 돌출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결합함몰부의 함몰된 표면 상에 요입 형성된 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가 다른 인접한 콘크리트블록의 상기 결합함몰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수평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함몰부와 결합돌출부가 상호 물림 삽입 결합되게 함으로써 결합력이 향상되고 간단하게 블록들을 축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면을 축조한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블록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콘크리트블록이 인접한 다른 콘크리트블록과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결합돌출부와 결합함몰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결합돌출부와 결합함몰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의 결합돌출부와 결합함몰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고정',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 고정,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콘크리트블록(1)은 측면을 통해 겹겹이 쌓여서 건물의 외벽, 내벽, 천정면, 바닥면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접착제 등이 사용됨이 없이, 콘크리트블록(1)의 형상에 의해 상호간에 형합을 이루는 방식으로 축조될 수 있어 콘크리트블록(1)을 이용한 건물의 축조 공사가 간소화되면서도 견고하게 축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콘크리트블록(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건축용 콘크리트블록(1)은 블록본체(10), 결합함몰부(20), 결합돌출부(30), 체결함몰부(40), 체결돌출부(50), 관통홀(60), 전선수용홈(70), 정렬가이드부(80), 스토퍼(90) 및 이탈방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본체(10)는 제1 평면(11), 제1 평면(11)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2 평면(12) 및 제1 평면(11)과 제2 평면(12)을 연결하는 측면(13)을 갖는다. 블록본체(10)는 제1 평면(11)과 제2 평면(12)을 양 면으로 하고, 측면(13)의 폭에 해당되는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블록본체(10)가 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측면(13)은 네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측면(131), 제2측면(132), 제3측면(133) 및 제4측면(1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함몰부(20)는 네 개의 측면(13) 중 제1측면(131)의 표면에 함몰 형성되는 요입홈 형상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함몰부(20)는 블록본체(10)의 제1측면(131)의 두께방향과 길이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측면(131)의 "두께방향"이라 함은 제1 및 제2 평면(11, 12)의 법선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하고, 제1 측면(131)의 "길이방향"이라 함은 제1 측면(131)과 제1 평면(11) 또는 제2 평면(12)이 만나는 모서리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하, 제1 내지 제4 측면(131, 132, 133, 134)에 대하여도 이러한 정의가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결합함몰부(20)의 표면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각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함몰부(20)가 제1결합함몰부(21)와 제2결합함몰부(22)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러한 결합함몰부(20)의 개수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돌출부(30)는 제1측면(131)에 대향한 제3 측면(133)의 표면으로부터 결합함몰부(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여 결합되는 두 개의 콘크리트블록(1) 중 어느 하나의 결합돌출부(30)는 다른 하나의 결합함몰부(20)에 물림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출부(30)는 블록본체(10)의 두께방향과 길이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두께는 적어도 블록본체(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출부(30)가 제1결합돌출부(31)와 제2결합돌출부(32)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러한 결합돌출부(30)의 개수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함몰부(40)는 제1측면(131) 및 제1 측면(131)에 인접한 제2 측면(132)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측면(131) 및 제2 측면(132)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프로파일로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함몰부(40)는 단면적이 좁은 긴 막대 형상의 함몰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측면(131)과 제2 측면(13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함몰부(40)는 제1측면(131) 및 제2 측면(132) 각각에 대하여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측면(131) 및 제2 측면(132) 각각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체결함몰부(40)의 형상으로써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체결함몰부(40)는 함몰방향을 따라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후술할 체결돌출부(50)가 삽입되면서 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체결함몰부(40) 각각은 그 함몰 깊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돌출부(50)는 제1 측면(131) 및 제2 측면(132) 각각에 대향하는 제3 측면(133) 및 제4 측면(134)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측면(133) 및 제4 측면(134)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프로파일로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돌출부(50)는 상술한 체결함몰부(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서로 인접하여 결합되는 두 개의 콘크리트블록(1) 중 어느 하나의 체결돌출부(50)는 다른 하나의 체결함몰부(40)에 물림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돌출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및 제2 평면(11, 12)의 두 개의 인접한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131)에 형성된 체결함몰부(40)는 제4 측면(134)에 형성된 체결돌출부(50)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2 측면(132)에 형성된 체결함몰부(40)는 제3 측면(133)에 형성된 체결돌출부(50)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131) 및 제2 측면(132)에 형성된 체결함몰부(40)는 제3 측면(133) 및 제4 측면(134)에 형성된 체결돌출부(50)와 각각 동일 평면 상에서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결합함몰부(20)는 체결함몰부(40)와 간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결합함몰부(20)에 의해 체결함몰부(40)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제1 측면(13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체결함몰부(40)가 결합함몰부(20)에 의해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돌출부(30)는 체결돌출부(50)와 간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결합돌출부(30)에 의해 체결돌출부(50)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제3 측면(13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체결돌출부(50)가 결합돌출부(30)에 의해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합함몰부(20)가 제3 측면(133)에 형성되어 체결돌출부(50)와 간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돌출부(30)가 제1 측면(131)에 형성되어 체결함몰부(40)와 간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되, 공통되는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블록(1')의 블록본체(10)의 제1 평면(11)과 제2 평면(12)을 관통하는 관통홀(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60)은 조명기기, 전원 공급 장치 등의 외부기구(미도시)가 설치되기 위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평면(11)과 제2 평면(12)의 중앙영역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60)은 건축 설계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도 조절 가능하다.
또한, 제1 평면(11) 및/또는 제2 평면(12)의 표면상에는 전선수용홈(70)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수용홈(70)은 일단이 관통홀(60)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관통홀(6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고, 타단이 일 측면(13)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수용홈(70)은 외부기구가 설치된 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등이 삽설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 5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평면(11) 및 제2 평면(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60) 대신 제1 평면(11) 및/또는 제2 평면(12)의 표면 상에 소정 깊이로 요입된 설치홈(62)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관통홀(60)과 설치홈(62)이 혼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설치홈(62)은 외부기구가 설치되기 위해 제1 평면(11)과 제2 평면(12)의 중앙영역에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평면(11) 및/또는 제2 평면(12)의 표면상에는 전선수용홈(70)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수용홈(70)은 일단이 설치홈(62)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설치홈(62)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고, 타단이 일 측면(13)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수용홈(70)은 외부기구가 설치된 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등이 삽설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5및 도6에서는 결합함몰부(20) 및 결합돌출부(30)가 생략되고 체결함몰부(40) 및 체결돌출부(50)만 형성된 구성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결합함몰부(20) 및 결합돌출부(30)가 본 실시예에서도 포함되어 실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7에는 도 6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설치홈(62)의 반대측 면에 직경이 작은 소형 홀(622)들이 하나 이상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홈(62) 내에 설치된 조명기구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이러한 소형 홀(622)을 통해 반대측 면으로 통과하여 조사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결합함몰부(20)와 결합돌출부(30) 상호의 결합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가이드부(8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가이드부(80)는 돌출가이드부(81)과 삽입가이드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가이드부(81)는 결합돌출부(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가이드부(82)는 돌출가이드부(8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결합함몰부(20)의 함몰된 표면 상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가이드부(81)가 삽입가이드부(82)에 삽입되면서 결합함몰부(20)와 결합돌출부(30) 상호간의 결합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출가이드부가 결합함몰부 상에 형성됨과 동시에, 삽입가이드부가 결합돌출부 상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콘크리트블록(1)의 결합돌출부(30)가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블록(1)의 결합함몰부(2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돌출부(30)가 결합함몰부(20)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00)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00)는 결합돌출부(30)의 표면 상에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출부(101) 및 결합함몰부(20)의 표면 상에서 이탈방지돌출부(10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탈방지함몰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출부(30)가 결합함몰부(20)에 삽입되는 경우에 이탈방지돌출부(101)와 이탈방지함몰부(102)가 상호 물림 결합됨으로써 결합돌출부(30)가 결합함몰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콘크리트블록(1)의 결합돌출부(30)가 다른 인접한 콘크리트블록(1)의 결합함몰부(2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돌출부(30)의 길이방향으로의 수평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90)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90)는 결합함몰부(20) 및 결합돌출부(30)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블록(1'')이 도시된다. 콘크리트블록(1'')은 블록본체(10)의 제1 및 제2 평면(11, 12)을 커버하는 커버 보드(1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보드(110)는 일 예로 CRC(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보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보드(110)는 제1 평면(11) 및 제2 평면(12)에 대하여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커버 보드(110)는 제1 평면(11) 및 제2 평면(12)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만 접착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커버 보드(110)는 제1 평면(11) 및 제2 평면(12)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커버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고, 일부 면적에 대해서만 커버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버 보드(110)로 인해, 콘크리트블록(1'')의 내구성이 한층 더 강화될 수 있으며, 커버 보드(110)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 또는 모양을 표현할 수 있어서 미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블록(1''')이 도시된다. 콘크리트블록(1''')은 블록본체(10)의 제1 및 제2 평면(11, 12)을 커버하는 커버 패널(12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 패널(120)은 일 예로 알루미늄 시트를 가공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시트부재(210)는 제1 평면(11) 및 제2 평면(12)을 각각 커버하도록 측면(13)에 대하여 볼트 등의 체결 부재(124)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패널(120)은 제1 및 제2 평면(11, 12)에 밀착되는 커버면(121)과 커버면(121)의 모서리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측면(13)과 접촉되는 테두리면(122)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테두리면(122)에는 체결 부재(124)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측면(13) 부분에도 체결 부재(124)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커버 패널(120)은 제1 평면(11) 및 제2 평면(12)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만 접착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커버 패널(120)로 인해, 콘크리트블록(1''')의 내구성이 한층 더 강화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커버 패널(120)이 외측에 노출됨으로써 금속성을 갖는 벽면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은 원료투입 및 혼합단계, 혼합물배출단계, 혼합물주입단계, 바이브레이션단계, 양생단계, 거푸집해제단계, 세척단계 및 조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원료투입 및 혼합단계는 블록의 원재료를 고르게 혼합하기 위한 단계로, 원료저장부는 각 원료별 저장탱크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저장탱크로부터 양만큼의 물, 공기연행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 시멘트, 유동화제, 규산소다, 석회 및 세라믹실리카를 배출시켜 혼합기에 공급하되 물, 공기연행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 시멘트, 유동화제, 규산소다, 석회 및 세라믹실리카의 혼합비율이 중량비로 42.0~45.5중량% : 19.0~28중량% : 2.8~3.6중량% : 40~42중량% : 12~13.5중량% : 2~3.5중량% : 1~1.5중량% : 12~13.5중량%으로 혼합한다.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기는 길다랗게 횡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며, 혼합기에 투입되는 원료의 총량은 혼합기전체 내부 용량의 30~60% 한도에서 혼합기를 운전하는 것이 최적의 혼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투입되는 원료의 총량이 혼합기 전체 내부 용량의 30~60%에 미달하거나 또는 용량의 30~60%를 넘을 경우 원료 혼합이 적합하게 고루 섞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되는 조성물이 정확하게 공급되게 하기 위해 조성물들은 각각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고, 각 저장탱크에는 배출되는 혼합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를 구비하여 해당 원료가 정해진 일정양만 배출 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다수의 원료 중 어느 한쪽의 배출 원료를 측정하는 센서에 이상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무선으로 제어부(미도시)에 통보하고 제어부는 몇 번째 배출 원료 센서 동작에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관리실 에 통보하고 관리실(미도시)에서는 제어부를 통해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때까지 다수의 모든 원료 배출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제어를 하게 되며, 이는 어느 하나의 원료 배출 센서가 이상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어느 한쪽에서 센서가 정상으로 작동하여 원료가 배출되면, 원료 혼합 순서 및 혼합량이 맞지 않아 원료의 일부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제품이 불량하게 생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원료투입 및 혼합단계는, 1~5차 혼합단계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1차혼합단계는 10~25℃의 물과 공기 연행제를 혼합기에 넣고 15분간 혼합하고, 2차혼합단계에서는 입도 0.05mm 이상의 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 넣고 10분간 혼합하고, 3차혼합단계는 상온(20±5℃)에 보관한 시멘트를 세라믹 실리카 및 석회와 함께 혼합기에 넣고 15분간 혼합하고, 4차혼합단계는 유동화제를 넣고 10분간 혼합하며, 5차혼합단계는 규산소다를 넣고 10분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한 2차혼합단계에서 발포폴리스티렌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물이 고밀도로 분사될 수 있다.
1~5차 혼합단계에서 순서를 변경하거나 조건을 벗어날 경우, 조성물의 혼합 분포가 균일하게 나타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1차 혼합단계에서 물과 공기연행제는 16~32℃의 물과 10분간의 혼합시간에 서 최적의 미세 기포가 발생되며, 물의 온도가 16~32℃ 높거나 낮을 경우 미세 기포 발생이 원활하지 않고, 혼 합시간도 10분 이하이면 미세 기포 발생이 원활하지 않으며 10분 이상이면 미세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적합하지 않다.
2차혼합단계는 1차혼합단계의 상태에 입도 0.05mm이상의 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 넣고 5~7분간 혼합하는 것이 발포폴리스티렌 비드와 기 발생된 미세 기포가 최적의 혼합상태를 나타내고, 발포폴리스티렌 비드의 입자 크기가 0.05mm이상으로 설정됨으로써, 경량블록양생 후 제품면이 고르게 될 수 있다. 혼합시간도 5~7분 이하이면 혼합상태가 거칠게 나타나고 5~7분 이상 혼합하더라도 혼합상태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3차혼합단계는 2차혼합단계의 상태에서 상온에서 보관한 시멘트와 숯을 넣고 12분간 혼합하는 것이 발포폴리스티렌 비드와 시멘트 및 숯이 최적의 혼합상태를 나타내고, 혼합시간이 12분 이하이면 혼합상태가 원활하지 않고 12분 이상이면 혼합상태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시멘트를 상온에서 보관하는 것은, 시멘트가 발포폴리스티렌 비드와 잘 혼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시멘트를 별도로 차게 하거나 뜨겁게 할 필요는 없지만, 1차 혼합단계에서 물의 온도인 16~32℃에 맞추어야 혼합 상태가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숯은 고운 분말의 파우다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고, 숯은 습도 조절, 음이온 발생, 탈취기능, 전자파 차단 등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상기 블록은 건물내에 사람들의 생활공간에서 사용하는 것이어서, 인체내에 유해한 환경을 조금이라도 개선하고자 혼합물에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4차혼합단계는 3차혼합단계의 상태에 유동화제를 넣고 5분간 혼합하는 것이 시멘트의 유동성 상태가 최적의 상태로 나타나고, 혼합시간이 5분 이하이면 유동성 상태가 원활하지 않고 5분 이상이면 유동성 상태에 큰 변 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5차혼합단계는 4차혼합단계의 상태에 규산소다를 넣고 10분간 혼합하는 것이 1~5차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의 부착성능 상태가 최적의 상태로 나타나고, 혼합시간이 10분 이하이면 부착성능 상태가 원활하지 않고 10분 이상이면 부착성능 상태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렇게 블록 원료의 혼합 순서 및 혼합 비율을 기준에 맞추어 혼합하고 공정을 진행함에 따라 혼합물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원료투입 및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은 2개의 호퍼로 분할되어 배출되어 임시 저장하게 되며, 1개 호퍼의 임시 저장 용량은 1개 거푸집에 담을 혼합물 양과 동일하므로, 혼합기에서의 혼합물 용량은 호퍼 갯수를 n 개라고 하면 1개의 호퍼 용량 x n개 만큼의 혼합물 용량을 가지게 된다.
지나치게 많은 양을 혼합할 경우 남아있는 혼합물이 방치됨에 의해 경화되어 거푸집에 공급할 수 없고, 지나치게 적을 경우 거푸집에 채워지는 양이 적어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혼합물배출단계는 혼합된 원료를 분배호퍼로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혼합물배출단계는 한 번에 많은 거푸집에 동시에 혼합물을 공급할 수도 있고, 일정한 개수의 거푸집 또는 호퍼수에 따라 한정하여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혼합물배출단계에서 배출되는 혼합물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호퍼는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주입단계는 분배호퍼로 이동한 혼합물을 거푸집에 공급하는 단계로, 2개 이상의 호퍼에 동시 또는 교차로 거푸집에 혼합물을 공급한다.
혼합물배출단계에서는 원료혼합기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한번은 일측 호퍼에 저장하고, 다음에는 다른 호퍼에 저장하는 형태로 교대로 번갈아 가며 저장할 수 있다.
거푸집 내부에 혼합물이 주입된 후, 상면프레임을 닫고 클램프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혼합물이 거푸집내부에서 충분히 혼합되고 기포가 제거되도록, 거푸집에 진동을 주어 혼합물이 거푸집의 내부에 촘촘이 채워지 고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송컨베이어 롤러 하단에 바이브레터를 설치하여 바이브레이션을 가하여 바이브레이션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면프레임을 닫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브레이션단계는 혼합물이 주입된 거푸집을 진동시켜 혼합물 중의 공기를 제거하고 혼합물의 입자들이 고루 잘 섞이고 다져지는 단계이다.
양생단계는 다져진 혼합물이 채워진 거푸집을 이송컨베이어로 양생장으로 이동시킨 후 상온에서 7 ~ 9시간양생한다.
양생장은 가능한 햇빛이 가려진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원활한 공기 흐름과 가능한 상온에서 양생되도록 하여 수분의 증발과 양생이 잘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푸집해체단계는 양생된 블록을 거푸집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으로, 혼합물이 양생된 거푸집을 해체장으로 이동시킨 후, 유압자동 개폐기에 의해 클램프 및 6면을 해체한 후, 경량내화 단열블록과 분리격판을 동시 에 크레인으로 길다란 압착바를 통해 고정한 후 적재 이송판에 옮긴후에 분리격판을 분리하여, 해체된 거 푸집은 세척장으로, 분리된 블록은 상품적재 대기장으로 이송하게 되고, 길다란 압착바는 내부에 고무 등의 탄 성재질을 부착하여 단열블록과 분리격판을 동시에 크레인으로 압착하더라도 단열블록과 분리격판이 훼손 되지 않고 압착바에 잘 고정되도록 한다.
거푸집해체단계에서 해체된 거푸집은 블록 제조 및 양생과정에서 이물질이 잔류할 수 있으므로, 세척장을 통과하면서 공기세척, 물세척, 브러시 세척 후, 이형제를 도포하게 된다.
물론 세척단계에서 세척 순서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공기세척은 양생과정에서 발생된 가벼운 입자를 공기로 세척하고, 물세척은 거푸집 내면에 붙은 이물질을 물로 세척하며(고압 호스를 이용할 수도 있음), 브러시 세척은 거푸집 내면에 물로 씻기지 않는 이물질을 세척하고, 이형제는 혼합물이 거푸집 내면 및 외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거푸집 양쪽에는 입구가 넓고 출구는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이격공간을 갖는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을 통과한 거푸집이 가이드바 사이를 지나면서 정면프레임 및 배면프레임이 점차적으로 닫혀져 수직으로 세워지고, 이어서 측면프레임이 닫혀지고 수직으로 세워지면 정면프레임 및 배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을 클램프로 채워 고정하는 거푸집 조립단계가 완성된다.
측면프레임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정면프레임및 배면프레임을 측면프레임과 결합되도록 클램프로 채워 고정하는 과정은 자동로봇 또는 수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거푸집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분리격판은 자동로봇에 의해 동시 또는 개별로 순차적으로 삽입되거나,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거푸집은 다시 혼합물주입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건축용 콘크리트블록(1)으로 인하여, 결합함몰부(20)와 결합돌출부(30)가 상호 물림 삽입 결합되게 함으로써 결합력이 향상되고 간단하게 블록들을 축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체결함몰부(40) 및 체결돌출부(50)로 인하여 인접한 블록들과도 견고한 결합을 함으로써 건축물의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다. 외부기구가 설치되기 위해 상면(11)과 하면(12)의 중앙영역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60)을 더 포함하여 조명등, 스피커 등의 외부기구를 설치하기 편하므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홀(60)과 측면(13)을 연결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전선수용홈(70)을 더 포함하여 조명등, 스피커 등의 외부기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수용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므로 외관을 미련하게 할 수 있다.
외부기구가 설치되기 위해 상면(11)과 하면(12)의 중앙영역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62)을 더 포함하여 조명등, 스피커 등의 외부기구를 설치하기 편하므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합함몰부(20)와 결합돌출부(30) 상호의 결합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가이드부를 더 가지어 블록을 축조하는 경우 간단하게 블록들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정렬가이드부(80)는 결합함몰부(20)와 결합돌출부(3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가이드부(81)와 삽입가이드부(82)를 가지어 블록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돌출가이드부(81)가 삽입가이드부(82)에 수용되면서 간단하게 결합위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결합돌출부(30)가 결합되는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결합함몰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함몰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수평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90)를 더 포함하여 블록의 축조작업 시 블록이 수평이동으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1' : 콘크리트블록 10 : 블록본체
11 : 제1 평면 12 : 제2 평면
13 : 측면 20 : 결합함몰부
30 : 결합돌출부 40 : 체결함몰부
50 : 체결돌출부 60 : 관통홀
62 : 설치홈 70 : 전선수용홈
80 : 정렬가이드부 81 : 돌출가이드부
82 : 삽입가이드부 90 : 스토퍼
100 : 이탈방지부 110: 커버 보드
120: 커버 패널 131 : 제1측면
132 : 제2측면 133 : 제3측면
134 : 제4측면

Claims (10)

  1.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제1 평면, 제2 평면 및 상기 제1 평면과 제2 평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블록본체;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의 표면에 함몰 형성된 결합함몰부; 및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상기 결합함몰부가 형성되는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결합함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체결함몰부; 및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상기 결합함몰부가 형성되는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함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결합함몰부에 물림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체결함몰부는 상기 측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함몰부는 상기 체결함몰부 또는 상기 체결돌출부와 간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체결돌출부 또는 상기 체결함몰부와 간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함몰부에 의해 상기 체결함몰부 또는 상기 체결돌출부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상기 측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체결함몰부 또는 상기 체결돌출부가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에 의해 상기 체결돌출부 또는 상기 체결함몰부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상기 측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출부 또는 상기 체결함몰부가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3.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제1 평면, 제2 평면 및 상기 제1 평면과 제2 평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블록본체;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의 표면에 함몰 형성된 결합함몰부; 및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상기 결합함몰부가 형성되는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결합함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결합함몰부에 물림 삽입되어 결합되고,
    외부기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에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거나,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설치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요입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관통홀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의 내부와 연통되며,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요입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설치홈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홈의 내부와 연통되며, 타단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선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는 커버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보드는 CRC 보드로서 제공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는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알루미늄 시트로서 제공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6. 건축용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제1 평면, 제2 평면 및 상기 제1 평면과 제2 평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블록본체;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의 표면에 함몰 형성된 결합함몰부;
    복수의 상기 측면 중 상기 결합함몰부가 형성되는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결합함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 및
    상기 결합함몰부와 상기 결합돌출부 상호의 결합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블록의 결합함몰부에 물림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정렬가이드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가이드부와, 상기 돌출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결합함몰부의 함몰된 표면 상에 요입 형성된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다른 인접한 콘크리트블록의 상기 결합함몰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수평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64794A 2020-05-29 2020-05-29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KR10227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94A KR102279379B1 (ko) 2020-05-29 2020-05-29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94A KR102279379B1 (ko) 2020-05-29 2020-05-29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379B1 true KR102279379B1 (ko) 2021-07-19

Family

ID=7712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794A KR102279379B1 (ko) 2020-05-29 2020-05-29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3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44B1 (ko) * 2006-10-20 2007-08-30 문기명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KR20180134445A (ko) * 2017-06-08 2018-12-1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44B1 (ko) * 2006-10-20 2007-08-30 문기명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KR20180134445A (ko) * 2017-06-08 2018-12-1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80299A1 (en) Utility materials incorporating a microparticle matrix formed with a setting agent
US8997924B2 (en) Utility materials incorporating a microparticle matrix
RU2465415C1 (ru) Стенов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материал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и поточная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KR101967334B1 (ko) 경량내화블록 제조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US20120148831A1 (en) Wallboard materials incorporating a microparticle matrix
WO2003038206B1 (en) In situ molded thermal barriers
CN111877578A (zh) 一种用于尾矿的环保吸音板
US5806264A (en) Multi-cellular wall structure
KR101401748B1 (ko)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복합패널
KR102279379B1 (ko) 건축용 콘크리트블록
CN107587437B (zh) 复合式声屏障板及其制造方法
KR10069007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건축물의 벽체시공방법
KR20070009270A (ko) 황토패널의 구조
KR20070104818A (ko)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경량패널 및 이를 이용한차음바닥구조
KR100354059B1 (ko) 건축 내장용 황토 패널 및 패널 제조방법
CN210622023U (zh) 一种隔声墙
RU9460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2443735B1 (ko) 내화 구조체로 형성된 불연경량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연경량블록
KR20060107480A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RU101722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иванова-слоеный пирог
CN206319482U (zh) 内隔墙板
CN218597520U (zh) 一种隔音钢构墙板
WO2011128812A1 (en) Vertical thermal-acoustic enclosure, constructed from building blocks
CN112681606A (zh) 一种装配式组合内隔板及施工方法
JP2001152570A (ja) 型枠材兼用断熱性パネル及び型枠材兼用断熱性パネルの製造方法並びに型枠材兼用断熱性パネル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