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270A - 황토패널의 구조 - Google Patents

황토패널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270A
KR20070009270A KR1020050064404A KR20050064404A KR20070009270A KR 20070009270 A KR20070009270 A KR 20070009270A KR 1020050064404 A KR1020050064404 A KR 1020050064404A KR 20050064404 A KR20050064404 A KR 20050064404A KR 20070009270 A KR20070009270 A KR 20070009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cher
main frame
loess
pan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234B1 (ko
Inventor
오종철
Original Assignee
오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철 filed Critical 오종철
Priority to KR102005006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2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combinations of materials fully covered by groups E04C2/04 and E04C2/08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프레임을 용접 및 볼트로 고정한 사각형 형태의 패널의 내부에 채움재를 넣어 제조된 황토패널을 공장 제작하고, 이 황토패널을 시공현장으로 이동시켜 조립함으로써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의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황토에 의해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공기정화 및 보온성이 뛰어나도록 하는 조립식 황토패널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해주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패널부재 및 제2패널부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대응되도록 이격하여 채움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연결바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구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채움공간에 채워져 벽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황토, 왕겨, 맥반석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채움재와, 상기 패널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하는 마감재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황토, 패널, 금속망, 대나무, 맥반석, 원적외선, 왕겨

Description

황토패널의 구조{A loess well panel}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에 연결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황토패널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황토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황토패널의 내부에 왕겨블록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황토패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황토패널 (20) : 패널
(30) : 제1패널부재 (31) : 제2패널부재
(32) : 주프레임 (33) : 보조프레임
(34) : 수평프레임 (35) : 연결바
(36) : 수평보강프레임 (40) : 마감재
(50) : 바닥판 (51) : 받침대
(60) : 채움재 (61) : 왕겨블록
(62) : 황토 (70) : 측면연결부재
(71) : 상부연결부재
본 발명은 황토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채움공간이 구비된 패널을 제조하고, 이 패널의 외면을 마감재로 마감한 후 채움공간에 황토를 주원료로 하는 채움재를 채워 황토패널을 대량으로 제작하여 필요한 시공현장으로 이송시켜 손쉽게 조립함으로써 구조물을 완성하도록 하며, 패널이 하중에 견뎌주고 황토를 주원료로 하는 채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보온, 단열, 방음 효과가 뛰어난 황토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벽체는 시멘트나 벽돌로 시공한 다음 그 외면에 미장을 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되나 상기 시멘트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독소가 많이 방출되어, 근래에는 친환경적이 황토를 건축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상기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복사되어 인체에 흡수됨으로 신진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져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방지, 각종 성인병 예방, 화상에 효과는 물론 적조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황토를 이용한 건축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멘트나 벽돌로 시공을 한 다음 그 위에 황토 모르타르를 덧입히거나 황토의 효과를 위해 간단히 황토 페인트를 칠하는 방법으로 황토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라한 방법은 황토의 두께에 한계가 있어 황토의 충분한 효과를 살릴 수가 없고 시공에 있어서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규격화된 황토패널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 시공하였으나, 이 규격화된 황토패널을 공장 제작이 되지 않아 일일이 작업자가 황토패널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매끄러운 외부 마감면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황토패널의 경우 패널의 내부 모두에 황토와 같은 충진재가 채워지게 되어 그 무게가 매우 무거워지고 지지력과 강도도 낮아 현장 사용시 벽체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다수의 프레임을 용접 및 볼트로 고정한 사각형 형태의 패널의 내부에 채움재를 넣어 제조된 황토패널을 공장 제작하고, 이 황토패널을 시공현장으로 이동시켜 조립 함으로써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의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황토에 의해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공기정화 및 보온성이 뛰어나도록 하는 황토패널의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해주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패널부재 및 제2패널부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대응되도록 이격하여 채움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연결바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구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채움공간에 채워져 벽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황토, 왕겨, 맥반석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채움재와, 상기 패널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하는 마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패널부재는 C형강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위치한 두개의 주프레임 및 상기 주프레임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주프레임의 상하 양단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주프레임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하단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는 다수의 보조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의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의 대응되는 어느 한 쪽의 주프레임 사이에,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면연결부재 측면연결부재를 더 설치하여 측면으로 결합되는 황토패널의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의 다른 한 쪽의 주프레 임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좌우로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패널의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바 중 중앙에 위치한 최상단의 연결바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하연결부재를 더 설치하여 상부에서 조립되는 황토패널의 대응되는 주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상하로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는 상기 패널의 외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되는 금속망 또는 나사 고정되는 대나무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에 연결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황토패널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황토패널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황토패널(10)은 골조를 담당하는 패널(20)과, 상기 패널(20)의 내부에 채워져 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채움재(60)와, 상기 패널(2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채움재(60)가 패널(20)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거푸집 형태의 마감재(40)로 구성되어 공장에서 대량생산 한 후 시공현장으로 이동시켜 조립함 으로써 건축물의 내, 외벽 및 바닥, 천정 등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패널(20)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며 수직하게 위치한 두개의 주프레임(32)과, 상기 주프레임(32)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주프레임(32)의 상하 양단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34)과, 상기 주프레임(32)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하단이 상기 수평프레임(34)에 고정되어 주프레임(32)과 수평프레임(34)의 휨과 뒤틀림을 방지하는 다수의 보조프레임(33)으로 구성된 사각틀 형상의 제1패널부재(30) 및 제2패널부재(31)를 소정의 간격으로 마주보며 대응되도록 이격시켜 채움재가 채워지는 공간을 확보하고, 연결바(35)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 고정 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프레임(32), 수평프레임(34), 보조프레임(33)은 용접 또는 볼트결합으로 결합하여 제1,2패널부재(30)(31)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바(35)를 이용하여 제1,2패널부재(30)(31)를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한다.
상기 주프레임(32)은 C형강으로서, 이격되는 다른 하나의 주프레임(32)과 C형강의 개방된 부분이 마주보도록 위치시켜주고, 상기 수평프레임(34)은 L형강으로서 상기 주프레임(32) 상하단의 일측면 모서리가 덮여지도록 설치하여 용접이나 볼트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바(35)는 제1패널부재(30)와 제2패널부재(31)의 대응되는 각각의 주프레임(32) 및 보조프레임(33)을 연결해주는 것으로서, 상기 주프레임(32)과 보조프레임(33)의 높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제1패널부재(30)와 제2패널부재(31)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2패널부재(30)(31) 각각의 주프레임(32) 외측면에 주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수평보강프레임(36)을 더 설치하여 패널(20)의 뒤틀림을 방지하며, 이 수평보강프레임(36)은 상기 제1,2 패널부재(30)(31)의 어느 한 곳 또는 양측모두에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황토패널(10)의 각 프레임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조립하여도 무관하다. 즉, 대나무를 프레임으로 형성된 황토패널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을 축조하더라도, 건축구조물의 하중은 대부분 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황토패널 자체에는 많은 하중이 전달되지 않아 대나무를 프레임을 사용하여도 건축물이 붕괴되거나 하는 위험이 없다.
한편 상기 마감재(40)는 철, 아연 등을 이용한 금속망 또는 대나무를 사용하며, 패널(2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마감재(40)가 설치되어 마감재(40)의 가장자리 부분과 패널(20)이 용접 또는 나사 고정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대나무는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이 패널을 향해 부착되도록 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대나무를 매우 가늘게 절개하고 절개된 대나무를 직조 형태로 서로 엮어 망형태로 형성한 후 패널에 설치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이고 금속망에 비해 저렴하며, 열손실이 적어 보온 및 단열 효과가 뛰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채움재(60)는 황토를 주 원료로 하고, 이 황토에 왕겨 및 맥반석분말을 더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왕겨를 황토와 혼합함으로써 황토패널 자체의 무게가 매우 가벼워지고, 보온 및 단열성이 뛰어나게 되는 한편, 원적외선을 방사해주는 맥반석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원적외선에 의해 항균 및 탈취기능이 우수하게 되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황토패널(10)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채움재(60)는 도 7 에서와 같이 패널(20)의 내부에 소정의 두께로 황토(62)를 채워 넣고, 그 상부에 미리 제작되어 있는 왕겨블록(61)을 안착시킨 후 다시 그 상부 및 측면에 다시 황토(62)를 채워 넣어 구성된다.
상기 왕겨블록(61)은 왕겨를 주 원료로 하고 황토 및 맥반석 분말이 혼합되어 미리 제작한 후 패널의 내부의 크기에 맞도록 절개하여 패널(20)의 내부에 넣는 것으로, 왕겨를 주 원료로 하기 때문에 그 무게가 매우 가벼워 황토패널(10)의 무게가 가벼워지도록 하여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황토패널(10)의 하중은 제1,2패널부재(30)(31)로 이루어진 패널(20)이 지지해 주기 때문에 패널(20)의 내부에 주입되는 채움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구조물의 구조가 안전하고, 왕겨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보온, 단열, 방음 효과까지 뛰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황토패널(10)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의 벽체를 형성할 경우 황토패널(10)을 상하, 좌우 연속으로 결합시켜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황토패널(10)의 제1패널부재(30)와 제2패널부재(31)의 대응되는 주프레임(32) 사이 공간에 황토패널(10)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면연결부재(70)를 더 설치하여, 인접하여 조립되는 다른 황토패널(10)의 제1패널부재(30)와 제2패널부재(31)의 대응되는 주프레임(32) 사이 공간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황토패널(10)의 측면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황토패널(10)의 중심부에 위치한 최상단의 연결바(35)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연결부재(71)를 더 설치하여 황토패널(10)의 격자조립시 상부에 조립되는 두개의 황토패널(10)에 제공된 제1,2패널부재(30)(31)의 주프레임(32) 사이 공간부에 상부연결부재(71)가 끼워지도록 하여 황토패널(10)이 상하 높이방향으로의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황토패널 제조방법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결합으로 고정시켜 제1패널부재(30)와 제2패널부재(31)를 조립하고, 상기 제1,2패널부재(30)(31)를 소정의 간격으로 마주보도록 이격한 후 연결바(35)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벽체두께의 패널(2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널(20)의 외면을 따라 마감재(40)를 용접 또는 볼트고정하되, 패널(20)의 내부에 채움재(60)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패널(20)의 전면부에는 마감재(40)를 설치하지 않고 개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패널(20)에 마감재(40)가 설치되면 상기 패널(20)을 바닥판(50)에 눕혀 눕혀주고, 마감재(40)가 설치되지 않은 전면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위치시켜 채움재(60)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50)에는 상기 패널이 안착되는 받침대(51)가 1.5~2cm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패널(20)이 받침대(51)상에 안착되어 바닥판(50)에서 1.5~2cm 높이로 띄워진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된 패널(20)의 내부에 채움재(60)를 채워 넣어주면, 채움재(60)는 바닥판(50)까지 주입됨으로써 패널 후면에 설치된 마감재가 덮여지게 되어 황토패널(10)의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한편 채움재(60)의 주입이 완료되면 패널(20)의 전면부에 마감재(40)를 덮어 용접 또는 나사고정한 후 채움재(60)를 마감재(40)의 상부에 더 포설하여 마감재(40)가 덮여지도록 한 후 그 상부에 바닥판(50)을 올려놓음으로써 전, 후면 모두 매끄럽게 형성된 황토패널(10)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50)을 진동기(도시없음) 위에 설치하고, 채움재(60)를 주입함으로써 채움재(60) 주입과 동시에 진동을 주어 패널(20)의 내부에 공극이 없이 채움재(60)가 골고루 주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황토패널(10)이 형성되면 건조를 위해 별도의 바닥판(50)으로 이동시키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황토패널(10) 다수개를 수직하게 다단 축조하여 건조한다. 즉, 황토패널과 바닥판을 번갈아 가면서 쌓아감으로써 황토패널(10)의 전, 후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황토패널(10)의 전, 후면에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황토패널(10)의 하부에 놓여지는 바닥판(50)의 상부면 및 황토패널(10)의 상부에 놓여지는 바닥판(50)의 하부면에 회사의 로고나 마크 등을 형성함으로써, 황토패널(10)의 전, 후면에 음각 또는 음각 형태로 문양이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어 건조된 본 발명의 황토패널(10)을 시공현장으로 이동 시켜 조립함으로써 건축구조물의 벽체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크레인 등의 대형 건설 장비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빠르게 황토패널(10)을 운반, 조립함으로써, 종래의 작은 크기의 블록을 쌓아 벽체를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시공시간이 매우 단축되고, 블록을 쌓는 작업인원의 수가 줄어들어 시공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황토패널(10)을 측면으로 조립할 경우에는, 황토패널(10)의 측면에 설치된 측면연결부재(70)가 인접한 황토패널(10)의 제1패널부재(30)와 제2패널부재(31)의 대응되는 주프레임(32) 사이 공간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황토패널(10)의 측면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황토패널(10)을 상하로 엇갈리도록 축조할 경우에는, 상부에 조립되는 인접한 두개의 황토패널(10)의 제1패널부재(30)와 제2패널부재(31)의 대응되는 주프레임(32) 사이 공간부에 상기 상부연결부재(71)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부에 위치한 두개의 황토패널(10)이 상하 높이방향으로의 조립된다.
한편 상기 황토패널(10)의 양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미장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황토패널(10)과 다른 황토패널(10)의 연결부위에만 코킹하거나 황토몰탈로 미장하여 마감해 줌에 따라 미장작업에 필요한 별도의 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패널의 내부에 인체에 유익한 황토, 왕겨, 맥반석 등을 혼합하여 채워넣어 황토패널을 제작함으로써 패널에 의해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건축물의 벽체나 바닥재 사용시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인체 매우 유익하여 환경친화적이며, 공장에서 대량생산 후 시공현장으로 이동시켜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하여 시공기간이 줄어들어 공사비용이 저렴하며, 시공 후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미장이 필요 없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해주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패널부재 및 제2패널부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대응되도록 이격하여 채움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연결바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구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채움공간에 채워져 벽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황토, 왕겨, 맥반석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채움재와,
    상기 패널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하는 마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2패널부재는 C형강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위치한 두개의 주프레임 및 상기 주프레임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주프레임의 상하 양단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주프레임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하단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는 다수의 보조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의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의 대응되는 어느 한 쪽의 주프레임 사이에,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면연결부재 측면연결부재를 더 설치하여 측면으로 결합되는 황토패널의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의 다른 한 쪽의 주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좌우로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패널의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바 중 중앙에 위치한 최상단의 연결바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하연결부재를 더 설치하여 상부에서 조립되는 황토패널의 대응되는 주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상하로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상기 패널의 외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되는 금속망 또는 나사 고정되는 대나무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의 구조.
KR1020050064404A 2005-07-15 2005-07-15 황토패널의 구조 KR100751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404A KR100751234B1 (ko) 2005-07-15 2005-07-15 황토패널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404A KR100751234B1 (ko) 2005-07-15 2005-07-15 황토패널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270A true KR20070009270A (ko) 2007-01-18
KR100751234B1 KR100751234B1 (ko) 2007-08-23

Family

ID=3801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404A KR100751234B1 (ko) 2005-07-15 2005-07-15 황토패널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2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57B1 (ko) * 2008-06-20 2010-09-16 (주)케이에스텍 화재 차단용 소화캡
KR20160124021A (ko) * 2015-04-17 2016-10-26 구병회 시공이 간편한 황토 벽체와 이의 시공방법
KR101714637B1 (ko) * 2016-08-22 2017-03-09 구병회 내진 기능을 갖는 황토 벽체 구조물
KR101861063B1 (ko) * 2016-11-02 2018-05-28 문선호 황토 판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황토 판넬
KR20210125667A (ko)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글로벌이앤씨 변형 방지 개비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564Y1 (ko) 2002-03-14 2002-06-24 오덕수 조립식 황토 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57B1 (ko) * 2008-06-20 2010-09-16 (주)케이에스텍 화재 차단용 소화캡
KR20160124021A (ko) * 2015-04-17 2016-10-26 구병회 시공이 간편한 황토 벽체와 이의 시공방법
KR101714637B1 (ko) * 2016-08-22 2017-03-09 구병회 내진 기능을 갖는 황토 벽체 구조물
KR101861063B1 (ko) * 2016-11-02 2018-05-28 문선호 황토 판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황토 판넬
KR20210125667A (ko)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글로벌이앤씨 변형 방지 개비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234B1 (ko)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291B2 (en) Stronger wall system
CN1981102A (zh) 具有可变长度墙连接件的隔离混凝土成形方法
KR20090108258A (ko) 건축물의 내외장용 석재패널 시공구조
KR100751234B1 (ko) 황토패널의 구조
US20070039265A1 (en) Prefabricated masonry covered structural wall panel
KR100994783B1 (ko)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CN110607853A (zh) 一种保护建筑的防火复合墙体
KR20110104589A (ko)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방법
CN101122148A (zh) 以钢结构为主的房屋建筑结构
KR20110108104A (ko) 왕겨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황토주택 건축공법
KR100881063B1 (ko) 목재 패널을 이용한 황토 벽체
KR100647557B1 (ko)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US20180030718A1 (en) Concrete modular element for use in building applications
CN101481928A (zh) 以钢混网状结构为主的房屋建筑结构
KR2007005337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제조 및시공방법
KR100622018B1 (ko) 건축물의 구축방법 및 이로부터 구축된 건축물
RU2393307C2 (ru) Деревогипсобетонная панель
KR100647559B1 (ko) 현장조립형 친환경재료 벽체구축방법
US20060096222A1 (en) Multi-use walls comprising tongue-and-groove tiles and a metal structure which is intended for, for example, floors, walls fences and steps
RU176827U1 (ru) Брус строительный сборный
CA2926949A1 (en) Construction structure for houses and buildings
KR100605149B1 (ko) 황토/목재 주택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68273A (ko) 조립식 임시 숙소 구조물
RU2435913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101241302B1 (ko) 경량 기포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한 벽체의 동절기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