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557B1 -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 Google Patents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557B1
KR100647557B1 KR1020050110480A KR20050110480A KR100647557B1 KR 100647557 B1 KR100647557 B1 KR 100647557B1 KR 1020050110480 A KR1020050110480 A KR 1020050110480A KR 20050110480 A KR20050110480 A KR 20050110480A KR 100647557 B1 KR100647557 B1 KR 10064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upling portion
assembling
friendly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혁
고성석
송진규
김선우
정우양
박현구
욱 강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1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8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using wire netting, a lattice or the like as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 wire netting, latti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23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and at least one form leaf being monolith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쌍의 벽체결합구(110,120)와, 상기 벽체결합구(110,12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지는 메탈라스(130)와, 상기 메탈라스(130)에 천연재료가 충진되었을 때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폼타이(1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결합구(110,120)는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결합부(111) 또는 오목결합부(121)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부(111)에는 다수개의 걸이구(112)가, 오목결합부(121)에는 상기 걸이구(112)에 대응되도록 걸이구멍(122)이 형성된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벽체구성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벽체를 형성하고, 벽체구성재에 형성된 충진공간에 친환경재료를 채워넣기만 하면 벽이 형성되는 것이어서 전문가가 아니라도 벽구축작업이 가능해지고, 건조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벽의 길이 및 높이, 형태에 상관없이 공사현장에서 자유롭게 변형하면서 작업할 수 있으며, 종래 친환경재료로는 구축하기 힘들었던 벽체의 코너연결부와 중간연결부 등을 벽체결합구에 의해 완벽하게 해결함으로써 친환경재료 를 이용한 벽체구축에 일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친환경재료, 황토, 벽체구성재

Description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Environment-friendly wall components}
도 1 - 본 발명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의 분리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결합된 사시도.
도 3 - 본 발명 벽체구성재들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평면도.
도 4 - 본 발명에 의해 벽이 시공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벽체결합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 도 5의 사용상태도.
도 7 - 본 발명에 있어서 벽체결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 도 7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벽체구성재
110: 벽체결합구 111: 돌출결합부
112: 걸이구 113: 메탈라스 부착판
120,120a,120b: 벽체결합구 121: 오목결합부
122: 걸이구멍 123: 메탈라스 부착판
124: 차단판
130: 메탈라스 140: 폼타이(form-tie)
141: 너트 150: 친환경재료
A: 충진공간 B: 벽체
C: 기초
본 발명은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친환경재료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벽체구성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보다 친환경적인 건축물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기 위해 건축물의 구축재료, 특히 벽체구성재의 경우 황토, 볏짚,조개껍질, 생석회, 옥, 숯, 맥반석, 게르마늄, 화산석, 일라이트, 운모류, 거정석(이들을 통칭하여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재료'로 칭한다) 등과 같은 친환경재료나 천연재료들을 주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중에서도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고, 음이온 생성 및 자체 항온항습 효과, 탈취효과 등이 우수하고, 국내에 대량분포되어 있어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건식시공이 가능해 건강주택의 벽체구성재로는 매우 적당한 재료이나, 공사현장에서 상기 황토로 직접 벽체구성재를 형성하는 것은 결코 용이한 작업이 아니다.
즉 황토는 분말상이어서 물에 개어서 적재하게 되는데, 황토에 짚과 같은 섬유질을 혼합하였다 하더라도 건조되기 전까지는 점도가 약해 흘러내리게 되고, 따라서 황토가 건조되는 것을 작업자들이 기다려 가면서 작업하여야 하므로 엄청난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또한 작업난이도가 높아 고도의 전문가를 필요로하게 되어 공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황토를 재질로 하는 벽돌을 적재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공장에서 직접 황토판넬를 제조한 다음 상기 황토판넬을 건축물 기초 위에 세워 벽체구성재를 형성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완성된 벽체구성재를 공장에서 공사현장까지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운송비용의 소요 및 운송작업이 곤란하고, 중량물이어서 벽체구성재 설치작업도 힘든 단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현장에서 직접 친환경재료로 벽체를 구축하는 경우 가장 곤란한 부분은 벽체구성재와 벽체구성재의 연결부분으로, 벽체의 코너부분 연결 및 벽체와 벽체의 중간부분 연결 등은 마땅한 해결책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황토벽체구성재가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미리 기초콘크리트와 철근이 설치된 공사현장에서 직접 벽체구성재를 사용하여 벽체를 구축하도록 하되, 점도와 경화도가 낮은 친환경재료를 사용하더라도 벽체의 구축이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벽체구성재와 벽체구성재의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벽체구성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벽체구성재(100)는 한쌍의 벽체결합구(110,120)와, 상기 벽체결합구(110,12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지는 메탈라스(130)와, 상기 메탈라스(130)에 천연재료가 충진되었을 때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폼타이(1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결합구(110,120)는 금속판의 절곡에 의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결합부(111) 또는 오목결합부(121)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부(111)에는 다수개의 걸이구(112)가, 오목결합부(121)에는 상기 걸이구(112)에 대응(對應)되도록 걸이구멍(1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벽체결합구(110,120)는 내구성과 제작의 용이성, 비용의 절감을 위해서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금속판을 재질로 하여 이를 프레싱이나 포밍에 의해 절곡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결합구(110,120)는 본 발명 벽체구성재(100)를 형성함에 있어 기본적으로는 벽체(B)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어져 벽체(B)를 연결해갈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지며, 오목결합부(121)에 돌출결합부(111)가 끼워맞춰진 다음 돌출결합부(111)의 걸이구(112)가 오목결합부(121)의 걸이구멍(122)에 걸려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돌출결합부(111)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이구(112)는 오목결합부(121)에 형성된 걸이구멍(122)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걸이구(112)는 "
Figure 112005066294534-pat00001
"자 형상을 갖거나 "
Figure 112005066294534-pat00002
Figure 112005066294534-pat00003
"와 같은 단면형상을, 이에 대응되는 걸이구멍(122)의 형상은 장공(長孔)의 형태이거나,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형상의 통공(通孔)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와 걸이구멍의 구조 및 형태, 위치는 중요하지 않으며, 다만 벽체구성재구성재끼리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걸이구멍(122)에 걸이구(112)가 걸리면 벽체구성재구성재(100)를 수평으로 당겨서는 분리되지만 않는다면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오목결합부(121)에 돌출결합부(111)의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일측에 형성되어진 벽체구성재(100)의 오목결합부(121)에 새롭게 연결하고자 하는 벽체구성재(100)의 돌출결합부(111)를 끼워넣되, 끼우고자 하는 돌출결합부(111)를 살짝 들어올려 걸이구(112)가 걸이구멍(122)에 걸리게 하고 들어올렸던 돌출결합부(111)를 그대로 내려놓기만 하면 결합이 완료되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 벽체구성재(100)에 있어 오목결합부(121)와 돌출결합부(111)는 벽체(B)가 좌우로 어긋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걸이구(112)와 걸이구멍(122)은 전후로 벽체(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결합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오목결합부(121)와 돌출결합부(111)는 벽체결합구(110,120)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결합구(110,120)의 양끝단에는 반드시 메탈라스 부착판(113)이 형성되어 지는데, 상기 메탈라스 부착판(113)은 메탈라스(130)가 벽체결합구(110,120)에 용접 또는 나사, 볼트 등에 의해 부착될 때 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메탈라스(130)는 금속판을 일정간격 및 길이로 절단하면서 잡아당겨 그그물망처럼 펼친 것으로, 따라서 그물테가 상호 엇갈리면서 연속적으로 연이어지고 따라서 각각의 그물테 사이사이에 그물코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토목이나 건축 등에 있어 콘크리트나 시멘트 모르타르 타설시 구조물과 함께 경화됨으로써 구조물의 표면 균열방지 및 하중의 분산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재료를 벽체(B) 내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메탈라스(130)에 의해 유동성의 친환경재료, 특히 짚을 잘게썰어 물에 갠 황토 등이 흘러내리지 않아 아랫부분의 친화경재료가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벽체(B)를 완성할 수 있으며, 벽체(B)가 건조된 상태에서는 친환경재료의 취약한 인장력을 보강해 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 진다.
또 상기 폼타이(140)는 메탈라스(130)의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체(B)의 구축을 위해 천연재료(150)를 채워넣을 때 천연재료(150)의 무게에 의해 벽체결합구(110,120)의 양측면에 부착된 메탈라스(130)가 벌어져 볼록하게 되는 배부름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폼타이(140)의 구조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폼타이로 사용되어지는 앙카록 폼타이, 훅크볼트, 타이로드, 유볼트 중 어느 하 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폼타이(140)의 일측 머리부는 메탈라스(130)의 그물코에 걸려 고정되며, 폼타이(140)의 타측에 고정되는 너트(141)역시 메탈라스(130)의 그물코에 걸려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메탈라스(130)의 그물코의 크기는 폼타이의 머리부나 너트가 걸리지 않을 정도로 크면 곤란하며, 또한 그물코의 크기가 너무 크게되면 벽체구성재의 내부에 충진되는 황토가 흘러내리게 되어 곤란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메탈라스(130)의 그물코 크기는 약 1~3cm가 적당하다.
이때 상기 폼타이(140)를 메탈라스(130)에 관통되도록 결합하되, 메탈라스(130)의 상하좌우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폼타이(1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 벽체구성재(100)는 메탈라스(130)에 의해 양측면이 차단되고, 한쌍의 벽체결합구(110,120)에 의해 양단면이 차단되어져 천연재료 충진공간(A)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천연재료 충진공간(A)에 황토와 같은 천연재료(150)를 채워넣게 되면 도 4와 같은 벽체(B)가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오목결합부(121)를 구비하는 벽체결합구(120)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코너 벽체결합구(120a)와 중간 벽체결합구(120b)의 용도로도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를 위해서 코너 벽체결합구(120a)에는 오목결합부(121)의 일측을 연장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차단판(124)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코너 벽체결합구(120a)의 오목결합부(121)는 벽체(B)의 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진다.
또 중간 벽체결합구(120b)는 차단판(124)의 양측에 한쌍의 오목결합부(121)가 서로 대향(對向)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중간 벽체결합구(120b)의 오목결합부(121)는 벽체(B)의 양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코너 벽체결합구(120a)의 오목결합부(121)에는 돌출결합부(111)를 구비하는 벽체(B)가 결합되어져 "ㄱ"형상의 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중간 벽체결합구(120b)는 "T"형상의 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 벽체구성재(100)를 이용한 벽체(B)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 기초(C) 위에 철근골조를 형성하고, 그 위에 본 발명 벽체구성재(100)를 설치한다. 다음 상기 벽체구성재(100)에 의해 형성되는 천연재료 충진공간(A)에 천연재료(150)을 충진한 다음, 건조시켜 벽체(B)를 구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벽체의 높이 및 길이, 형태들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벽체를 구축할 수 있으며, 또한 벽체결합구와 메탈라스를 공사현장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 벽체가 건조되는 중에도 공사를 계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각각 분리되어 운반된 벽체구성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면서 벽체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체구성재에 형성된 충진공간에 친환경재료를 채워넣고, 이들을 연결시켜주기만 하면 벽이 형성되는 것이어서 벽구축작업이 신속해지고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친환경재료로는 가장 구축하기 힘든 부분인 벽체의 코너연결부와 중간연결부 등을 본 발명에서는 벽체결합구에 의해 완벽하게 해결함으로써 벽의 길이 및 높이, 형태에 상관없이 공사현장에서 자유롭게 변형하면서 작업이 가능해지고, 설치작업 또한 용이해져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친환경재료 벽체를 구축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한쌍의 벽체결합구(110,120)와, 상기 벽체결합구(110,12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지는 메탈라스(130)와, 상기 메탈라스(130)에 천연재료가 충진되었을 때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폼타이(1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결합구(110,120)는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결합부(111) 또는 오목결합부(121)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부(111)에는 다수개의 걸이구(112)가, 오목결합부(121)에는 상기 걸이구(112)에 대응되도록 걸이구멍(122)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결합구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돌출결합부(111) 또는 오목결합부(121)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벽체결합구(110,120)의 양끝단에는 메탈라스 부착판(113)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3. 제 1항에 있어서 벽체결합구(120)는 오목결합부(121)의 일측을 연장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차단판(124)이 더 구비하도록 하거나, 또는 차단판(124)의 양측에 한쌍의 오목결합부(121)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KR1020050110480A 2005-11-18 2005-11-18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KR10064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80A KR100647557B1 (ko) 2005-11-18 2005-11-18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80A KR100647557B1 (ko) 2005-11-18 2005-11-18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557B1 true KR100647557B1 (ko) 2006-11-23

Family

ID=3771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480A KR100647557B1 (ko) 2005-11-18 2005-11-18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5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03B1 (ko) 2013-03-18 2013-06-1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황토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4021A (ko) * 2015-04-17 2016-10-26 구병회 시공이 간편한 황토 벽체와 이의 시공방법
KR20200065983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콘크리트 합성벽체
CN115198922A (zh) * 2022-08-25 2022-10-18 刘杰 一种绿色节能的装配式建筑墙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03B1 (ko) 2013-03-18 2013-06-1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황토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4021A (ko) * 2015-04-17 2016-10-26 구병회 시공이 간편한 황토 벽체와 이의 시공방법
KR101885301B1 (ko) * 2015-04-17 2018-08-03 구병회 시공이 간편한 황토 벽체와 이의 시공방법
KR20200065983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콘크리트 합성벽체
KR102223273B1 (ko) * 2018-11-30 2021-03-0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콘크리트 합성벽체
CN115198922A (zh) * 2022-08-25 2022-10-18 刘杰 一种绿色节能的装配式建筑墙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0817U (ja) 型枠取り外し不要の建築構造
US9194125B1 (en) Construction component having embedded internal support structures to provide enhanced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improved ease of construction therewith
KR100647557B1 (ko)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JP2016500773A5 (ko)
KR101003371B1 (ko) 흙 벽체 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흙 벽체 틀과 흙 구들 틀 그리고 이를 이용한 흙 벽체 축조 방법
RU2293162C1 (ru)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0775631B1 (ko) 조립식 황토벽체
CN208088613U (zh) 一种预制叠合楼板
KR100647559B1 (ko) 현장조립형 친환경재료 벽체구축방법
KR100751234B1 (ko) 황토패널의 구조
CN209293230U (zh) 墙体与基础连接结构及装配式建筑结构体系
KR20110119472A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KR101677467B1 (ko) 건축골격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JP2010222949A (ja) コンクリート基礎梁部材とコンクリート基礎梁部接続用部材の接続によるべた基礎の構築方法の中で、施工効率向上のための縦筋・せん断補強筋の配筋位置及び角パイプ式鋼製脚部、一本足式鋼製脚部、カバープレート式鋼製脚部及び高足式鋼製脚部への改善。
CN106245828A (zh) 保温一体化墙体的建造方法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100650017B1 (ko) 에스아이비공법 건축물 시공방법
KR200265956Y1 (ko) 외장용벽돌
CN204002282U (zh) 一种门窗用蒸压加气混凝土板
CN211313027U (zh) 预制板及应用其的叠合楼板
CN201614686U (zh) 建筑用空心砌块
RU224782U1 (ru) Модульный блок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WO2017016184A1 (zh) 适用于地下室建造的围护桩
KR102415136B1 (ko) 최적화된 양방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럭 슬래브
KR102615726B1 (ko) 기능성 매트리스 개비온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