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338B1 - 친환경 목재옹벽 - Google Patents

친환경 목재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338B1
KR101350338B1 KR1020130043468A KR20130043468A KR101350338B1 KR 101350338 B1 KR101350338 B1 KR 101350338B1 KR 1020130043468 A KR1020130043468 A KR 1020130043468A KR 20130043468 A KR20130043468 A KR 20130043468A KR 101350338 B1 KR101350338 B1 KR 10135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taining wall
wood
block
s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광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티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티엔에이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티엔에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목재옹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옹벽에서 전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 배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에 절곡목재부를 설치하여 목재 옹벽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은 물론 목재 옹벽의 시공시 곡선형을 이루는 구간에서도 상기 절곡목재부에 의해 곡선형 구간의 옹벽시공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목재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길이의 단위체가 상호 연결된 옹벽블록이 상부로 적층되어지는 목재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은, 상기 단위체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블록부; 상기 단위체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블록부; 상기 단위체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블록부; 상기 전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와 측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배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와 측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를 상호 연결하는 절곡목재부;로 구성되며, 상기 옹벽블록들 사이에는 상기 단위체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상측과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간격대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면블록부의 결속구와 배면블록부의 결속구에 양측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목재옹벽{ECO FRIENDLY TIMBE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친환경 목재옹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옹벽에서 전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 배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에 절곡목재부를 설치하여 목재 옹벽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은 물론 목재 옹벽의 시공시 곡선형을 이루는 구간에서도 상기 절곡목재부에 의해 곡선형 구간의 옹벽시공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목재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도나 보도 등의 작업도로를 개설하기 위한 공사 및 도로공사, 하안공사, 공원의 계단식 화목식재공사에 있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용으로 절개지의 사면에 석축옹벽, 콘크리트 옹벽등 다양한 종류의 옹벽이 시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 등은 중량물인 파쇄된 석축용 돌을 사용하거나 양생되지 않는 콘크리트 반죽을 사용하므로 그만큼 공사가 어렵고 공기가 길 뿐 아니라 이들 종래의 옹벽은 주로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므로 지나치게 인위적이어서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콘크리트로부터 발생되는 알카리성의 공해물질로 인하여 주위 자연환경이 다시 오염되는 단점을 가지며, 콘크리트에는 식물이 자랄 수 없기 때문에 물을 필요로 하는 모든 생물로부터 격리가 일어나고 점진적으로 생물종이 단절 또는 절멸되는 위기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옹벽의 사면은 태양의 복사열과 반사열을 흡수하는 기능이 떨어지므로 도시열섬현상을 가중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목재를 이용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친환경적인 목재옹벽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목재 옹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횡부재(1), 후면횡부재(2) 및 노치재(3)를 우물 정자형으로 층층이 반복적으로 쌓아올려서 시공하게 된다.
상기 전면횡부재(1), 후면횡부재(2) 및 노치재(3)는 원주목이 사용되므로 그대로 쌓아올리게 되면 원주목이 유동성에 의해 적층강도가 약하게 된다. 때문에, 상기 노치재(3)의 전면횡부재(1) 및 후면횡부재(2)의 안치부위에 안착홈(3a)을 형성하여 이에 전면횡부재(1) 및 후면횡부재(2)를 안착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적층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직경 90mm인 노치재(30)에 깊이(d)가 15mm인 안착홈(3a)을 위아래로 가공할 경우 노치재(30)의 유효두께(d')가 60mm로 감소하게 되므로 안착홈(3a)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노치재(30)가 조기에 파손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목재 옹벽은 다수의 목재를 사용하여 시공하게 되므로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고, 곡선형 구간의 옹벽 시공시 원활한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옹벽에서 전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 배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에 절곡목재부를 설치하여 목재 옹벽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은 물론 목재 옹벽의 시공시 곡선형을 이루는 구간에서도 상기 절곡목재부에 의해 곡선형 구간의 옹벽시공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목재 옹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다수의 옹벽블록을 적층하는 경우 단위체와 단위체가 결합되는 부위가 간격대에 의해 받쳐지도록 설치하여 목재 옹벽이 더욱 견고해 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위체가 목재의 재질로 형성된 경우 단위체와 단위체 사이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햇빛이나 온도, 습도 등으로 인한 단위체의 수축 및 팽창 등의 변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길이의 단위체가 상호 연결된 옹벽블록이 상부로 적층되어지는 목재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은, 상기 단위체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블록부; 상기 단위체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블록부; 상기 단위체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블록부; 상기 전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와 측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배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와 측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를 상호 연결하는 절곡목재부;로 구성되며, 상기 옹벽블록들 사이에는 상기 단위체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상측과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간격대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면블록부의 결속구와 배면블록부의 결속구에 양측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목재부는, 일측단에 판상의 돌출결합구가 형성된 제1회전단위부재, 일측단에 상기 돌출결합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제2회전단위부재로 구성되거나 일측이 상기 전면블록부 또는 배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에 상기 결속구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에는 경사지게 절단된 제1경사절단면이 형성된 제1결합단위목재; 상기 제1결합단위목재의 제1경사절단면에 대응하는 제2경사절단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에 상기 결속구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결합단위목재; 상기 제1,2경사절단면에서 제1,2결합단위목재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양측이 삽입되는 절곡결속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의 단위체와 단위체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되고, 전면블록부를 바라보는 배면블록부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버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 배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에 절곡목재부가 설치됨으로써 목재 옹벽의 시공성이 향상되고, 목재 옹벽의 시공시 곡선형을 이루는 구간에서도 절곡목재부에 의해 곡선 구간의 옹벽 시공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위체와 단위체의 결합부위가 간격대에 받쳐짐으로써 목재 옹벽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게 되고, 단위체와 단위체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에 의해 햇빛이나 온도, 습도 등으로 인한 단위체의 수축 및 팽창 등의 변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단위체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종래 목재 옹벽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도 1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에 의해 단위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목재부의 분리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목재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구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목재부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목재부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팀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목재옹벽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써,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에 의해 단위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목재부의 분리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목재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3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목재옹벽은 일정길이의 단위체(10)가 상호 연결된 옹벽블록이 상부로 적층되어지는 목재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은 전면블록부(100), 측면블록부(200), 배면블록부(300), 절곡목재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체(10)는 콘크리트, 플라스틱, 목재, 석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전면블록부(100)는 상기 단위체(10)가 결속구(2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블록부(200)는 상기 단위체(10)가 결속구(2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배면블록부(300)는 상기 단위체(10)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배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면블록부(100)와 측면블록부(200)가 만나는 지점, 상기 배면블록부(300)와 측면블록부(200)가 만나는 지점은 각을 이루게 되는데, 이렇게 각을 이루는 지점에 상기 절곡목재부(4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절곡목재부(400)는 상기 전면블록부(100)의 선단 단위체와 상기 측면블록부(200)의 선단 단위체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배면블록부(300)의 선단 단위체와 측면블록부(200)의 선단 단위체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절곡목재부(400)는 일측단에 판상의 돌출결합구(411)가 형성된 제1회전단위부재(410)와 일측단에 상기 돌출결합구(4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421)이 형성된 제2회전단위부재(420)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421)에 삽입된 상기 돌출결합구(411)는 핀 결합되는데, 그 핀결합부위를 축으로 상기 제1,2회전단위부재(410,42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곡목재부(400)의 제1회전단위부재(410) 일측에 상기 측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가 결속구(20)에 의해 결합되고, 제2회전단위부재(420) 일측에 상기 전면블록부(100)의 선단 단위체 또는 상기 배면블록부(300)의 선단 단위체가 결속구(2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절곡목재부를 이용하여 곡선 구간의 옹벽 시공을 용이하게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목재부(400)의 제1,2회전단위부재(410,420)는 목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강화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석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20)는 상기 단위체(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일정길이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체(10)의 양측단에는 상기 결속구(20)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 내측으로 일정깊이의 삽입홈(11)이 형성된다.
즉, 단위체와 단위체를 일렬되게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결속구(20)의 양측을 각 단위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각 단위체가 일렬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속구(20)의 형상을 봉형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철근, 강선, 강연서, 철선, 플라스틱, 강화플라스틱,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해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을 상측방향으로 적층하는 경우, 옹벽블록들 사이에는 상기 단위체(10)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510)이 상측과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간격대(50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간격대(500)의 설치위치를 살펴보면 지면과 맞닿는 최하측 옹벽블록을 설치한 상태로 그 상측에 다른 옹벽블록(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적층 옹벽블록"이라하고 함)을 설치사, 상기 간격대(500)의 하측 안착홈은 최하측 옹벽블록의 단위체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안착홈(510)은 적층 옹벽블록에서 단위체와 단위체가 결합되는 부위를 받쳐주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간격대(500)가 단위체와 단위체가 결합되는 부위를 받쳐주도록 설치됨으로써 시공된 상태의 목재 옹벽이 더욱 견고해 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옹벽블록의 내측에는 고정대(60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대(600)는 상기 전면블록부(100)의 결속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배면블록부(300)의 결속구에 타측이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옹벽블록의 내측에 수용되는 토사의 압력으로부터 배면블록부와 전면블록부가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대(600)는 메탈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목재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대(600)에 의해 상기 전면블록부(100)와 배면블록부(300)의 결속구를 연결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내측에 토사나 암석, 석재, 자갈 등과 같은 구성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면블록부(100) 및 배면블록부(300)에 작용하는 압력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상기 전면블록부(100) 및 배면블록부(300)의 손상 및 목재 옹벽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재옹벽에는 전면블록부를 바라보는 배면블록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버팀구(700)가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버팀구(700)는 옹벽블록의 배면블록부(300)에 접촉된 상태로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목재 옹벽의 배면에 형성된 사면에서 목재 옹벽으로 토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버팀구(700)가 상기 배면블록부(300)를 지지하게 되어 그 토압에 의해 목재 옹벽이 파손되거나 도로 방향으로 밀려나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버팀구(700)는 최하측 옹벽블록의 배면블록부만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옹벽블록의 단위체와 단위체사이의 단부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되는데, 상기 완충부재가 단위체와 단위체 사이의 단부에 설치됨으로써 목재의 재질에 의해 상기 단위체를 형성한 경우 그 단위체의 수축이나 팽창 등 변형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단위체(10)가 목재의 재질로 형성된 경우 햇빛이나 온도, 습도 등으로 인하여 수축이나 팽창 등 변형이 생기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위체와 단위체 사이에 완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변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단위체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800)로 인해 우천시 상기 단위체(10)의 삽입홈(11) 내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800)를 상기 옹벽블록의 전면블록부(100) 및 배면블록부(300)에 설치시에는 상기 고정대(600)의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측면블록부(200)에 설치시에는 상기 결속구(2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구(20)의 다른 실시예로써 각 단위체의 일측을 감싼 상태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고정대(600)와 연결된다.
즉, 상기 단위체(10)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일측이 개구된 연결몸체(21)와 상기 연결몸체(2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대(600)의 일측이 안착될 수 있는 물림홈(25)이 형성된 한 쌍의 물림판(23)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몸체(21)에 의해 단위체를 감싼 상태로 상기 물림홈(25)에 상기 고정대(600)의 일측을 안착시킨 후, 결속볼트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물림판(23)을 조여 상기 고정대(600)의 일측을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림홈(25)에 상기 고정대(600)의 일측을 안착시킨 후 결합력의 증대를 위해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대(600)는 일정길이의 봉체로 양측이 상기 물림홈(25)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대(600)는 강선 또는 강연선 재질에 의한 나선형 꼬임구조를 취하거나 파이프구조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곡목재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절곡목재부(400)는, 일측이 상기 전면블록부(100) 또는 배면블록부(300)의 선단 단위체에 상기 결속구(20)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에는 경사지게 절단된 제1경사절단면(431)이 형성된 제1결합단위목재(430)와, 상기 제1결합단위목재(430)의 제1경사절단면(431)에 대응하는 제2경사절단면(441)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블록부(200)의 선단 단위체에 상기 결속구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결합단위목재(440)와, 상기 제1,2경사절단면(431,441)에서 상기 제1,2결합단위목재(430,440)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양측이 삽입되는 절곡결속구(4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절곡결속구(450)의 일측이 상기 제1경사절단면(431)에서 제1결합단위목재(430)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제2경사절단면(441)에서 제2결합단위목재(440)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2결합단위목재(430,440)가 연결된 후, 상기 제1,2경사절단면(431,441)이 면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경사절단면(431,441)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제1,2경사절단면(431,441)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곡선형 구간의 목재 옹벽의 시공시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은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소요되는 목재의 수가 적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 배면블록부와 측면블록부가 만나 각을 이루는 지점에 절곡목재부가 설치되어 목재 옹벽의 시공성이 향상되고, 목재 옹벽의 시공시 곡선형을 이루는 구간에서도 상기 절곡목재부에 의해 곡선형 구간의 옹벽 시공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단위체와 단위체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에 의해 햇빛이나 온도, 습도 등으로 인한 단위체의 수축 및 팽창 등의 변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단위체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단위체 20: 결속구
100: 전면블록부 200: 측면블록부
300: 배면블록부 400: 절곡목재부
410: 제1회전단위부재 420: 제2회전단위부재
430: 제1결합단위목재 440: 제2결합단위목재
450: 절곡결속구 500: 간격대
600: 고정대 700: 버팀구
800: 완충부재

Claims (5)

  1. 일정길이의 단위체가 상호 연결된 옹벽블록이 상부로 적층되어지는 목재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은, 상기 단위체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블록부; 상기 단위체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블록부; 상기 단위체가 결속구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렬되게 결합되어 목재옹벽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블록부; 상기 전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와 측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배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와 측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를 상호 연결하는 절곡목재부;로 구성되며,
    상기 옹벽블록들 사이에는 상기 단위체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상측과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간격대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면블록부의 결속구와 배면블록부의 결속구에 양측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목재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목재부는, 일측단에 판상의 돌출결합구가 형성된 제1회전단위부재, 일측단에 상기 돌출결합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제2회전단위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목재옹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목재부는, 일측이 상기 전면블록부 또는 배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에 상기 결속구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에는 경사지게 절단된 제1경사절단면이 형성된 제1결합단위목재; 상기 제1결합단위목재의 제1경사절단면에 대응하는 제2경사절단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블록부의 선단 단위체에 상기 결속구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결합단위목재; 상기 제1,2경사절단면에서 제1,2결합단위목재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양측이 삽입되는 절곡결속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목재옹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의 단위체와 단위체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목재옹벽.
  5. 제4항에 있어서,
    전면블록부를 바라보는 배면블록부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버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목재옹벽.
KR1020130043468A 2013-02-28 2013-04-19 친환경 목재옹벽 KR101350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2064 2013-02-28
KR1020130022064 2013-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338B1 true KR101350338B1 (ko) 2014-01-10

Family

ID=5014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468A KR101350338B1 (ko) 2013-02-28 2013-04-19 친환경 목재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3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166A (ja) * 1993-10-22 1995-05-09 Morozumi:Kk 土木施工方法および土木施工用枠体
KR100770042B1 (ko) 2007-02-12 2007-10-26 도일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옹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770041B1 (ko) 2007-02-12 2007-10-26 도일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KR100942250B1 (ko) 2008-01-09 2010-02-17 대한민국 조립식 목재블럭을 이용한 목재옹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166A (ja) * 1993-10-22 1995-05-09 Morozumi:Kk 土木施工方法および土木施工用枠体
KR100770042B1 (ko) 2007-02-12 2007-10-26 도일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옹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770041B1 (ko) 2007-02-12 2007-10-26 도일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KR100942250B1 (ko) 2008-01-09 2010-02-17 대한민국 조립식 목재블럭을 이용한 목재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16331U (zh) 一种用于护坡的格构组件
EP1548190A3 (en)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ng I-Type prestressed concrete beams using steel brackets
KR200438912Y1 (ko) 내진설계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조적용 브라켓 장치
JP2015101952A (ja) 根張り杭
KR101350338B1 (ko) 친환경 목재옹벽
KR101360288B1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절토부 보강토 옹벽 설치공법
KR100623581B1 (ko) 조적용 벽돌과 브라켓을 이용한 내진설계용 조적구조
KR100690014B1 (ko)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KR102533318B1 (ko) 기능성 보강토 블럭
KR101205306B1 (ko) 조경석을 이용한 옹벽 구조
CN204401627U (zh) 对拉式预应力管桩基坑支护结构
KR10079776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CN202401824U (zh) 围墙压顶结构
JP3189413U (ja) 残存型枠
KR100511594B1 (ko) 건축물의 티형 결속 블록 결합 구조
CN103410166A (zh) 一种用于固定路灯的基础装置
CN204781428U (zh) 新墙与旧墙连接件
KR10096090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수직 옹벽 설치구조
KR101654655B1 (ko) 뒷돌 고정식 석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N203285142U (zh) 建筑施工用的基坑护栏
CN204691052U (zh) 抗震保温砌体
CN203729469U (zh) 钢竹组合楼板与钢筋混凝土梁的连接结构
JP6522844B1 (ja) 擁壁ブロック
KR101698032B1 (ko) 경관석 연결유닛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방법
JP3222780U (ja) 基礎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