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339B1 -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339B1
KR100940339B1 KR1020090042598A KR20090042598A KR100940339B1 KR 100940339 B1 KR100940339 B1 KR 100940339B1 KR 1020090042598 A KR1020090042598 A KR 1020090042598A KR 20090042598 A KR20090042598 A KR 20090042598A KR 100940339 B1 KR100940339 B1 KR 10094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horizontal member
rubble
inclined surface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택
Original Assignee
조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에 설치되는 시공이 용이한 옹벽 구조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로 걸림홈(131)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옹벽블록(130)과, 상기 걸림홈(131)에 안착하며 상기 옹벽블록(130)의 양측으로 노출되는 제1 가로부재(111)와, 상기 제1 가로부재(111)로부터 경사면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며 옹벽블록(130)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제2 가로부재(113)와, 상기 옹벽블록(130)의 측방에 위치하고 양 단부가 상기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의 상부에서 위치하며 세로부재(120)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옹벽 유닛이 수평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반복되어 설치되며; 상기 옹벽 유닛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잡석부(140)를 구비하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100)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다양한 경사면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며, 배수가 용이하므로 배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로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며, 외관이 양호하게 되며, 옹벽블록과 제2 가로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잡석부에서 옹벽블록과 제2 가로부재로 작용하는 양방향 하중에 의하여 구조가 더욱더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경사면, 옹벽, 구조

Description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REINFORCED RETAINAING WALL EASILY CONSTRUCTED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다양한 경사면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며, 배수가 용이하므로 배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로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Reinforced Retaining Wall)은 흙을 쌓아 올리거나 산을 깎아 내거나 해안을 메울 때 등과 같이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벽체로서, 산악지는 물론 아파트 단지조성과 사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그밖에 수로공사 등에 널리 축조하며, 콘크리트, 석조, 벽돌 및 석재나 콘크리트로 된 블록 등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 및 방법으로 구축된다. 상기 블록은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횡렬로, 그리고 서로 위로 겹치게 축조되어 땅깎기 또는 흙 쌓기를 한 비탈 면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한 벽체를 이루는 요소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옹벽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건축단지 주변의 비탈면 하단에 'ㄴ'형상으로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10)를 설치한다.
건축단지 주변의 비탈면 하단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10)의 전면 중앙에는 안착홈(11)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각기 다른 크기의 다수의 걸림턱(12)을 단이 지게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형성하며, 그 걸림턱(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13)에는 각종 배수를 위한 쇄석(14)을 삽입하되, 그 삽입홈(13)의 하단에는 배수공(15)을 형성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0) 상부면에 형성되는 안착홈(11)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대각선방향으로는 돌출턱(21)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옹벽블록(20)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안착되게 설치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0)의 안착홈(11)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안착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옹벽블록(20)의 사이의 안착홈(11)에는 안착홈(11)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옹벽블록(20)의 형상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블록(30)을 안착되게 설치하여 옹벽블록(20)과 서로 면접촉이 되도록 연결설치 하되, 그 연결블록(30)의 대각선 방향의 상부면의 수평부(31)에 형성되는 결합홈(32)에는 'ㄷ'자형의 걸림고리(33)를 끼움 결합하고, 그 옹벽블록(20)의 돌출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걸림고리(33)가 끼움결합토록 한다.
상기 연결블록(30) 상부의 결합홈(32)에 끼움 결합함과 아울러 옹벽블록(20)의 돌출턱(21)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끼움 결합하는 걸림고리(33)에는 상부에 요입형성되는 식재홈(41)에 각종 조경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나무재질의 식재틀(40)을 결합하되, 양측에 결합고정되는 반원형의 걸고리(42)를 걸림고리(33)에 걸림 고정 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에 의하면, 건축단지 주변의 흙을 쌓아 올리거나 산을 깎아낼 때 등과 같이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는 것으로, 건축단지 주변의 비탈면 하단에 기초콘크리트(10)를 설치한 다음, 그 기초콘크리트(10) 상부면에 형성되는 안착홈(11)에 옹벽블록(20)과 연결블록(30)을 서로 면 접촉되도록 하여 안착되게 설치하여 계단형상으로 적층되도록 하되, 기초콘크리트(10) 상부면의 후방에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단이 지게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턱(12) 상부에 적층되는 옹벽블록(20) 및 연결블록(30)의 배면이 안착되도록 하여 계단형상의 적층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옹벽구조물의 상부로 흘러내리는 빗물 등은 대부분이 기초콘크리트(10) 상에 계단형상으로 적층되는 옹벽블록(20) 및 연결블록(30)을 통해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그 중 일부는 기초콘크리트(10)의 후방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12) 사이의 삽입홈(13)을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그 삽입홈(13)으로 흘러들어간 빗물 등은 삽입홈(13) 하단의 배수공(15)을 통해 지면으로 스며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옹벽 구조는 계절 변화에 따른 열 팽창 수축을 수용할 수 없으며, 형태가 복잡하여 제조 및 시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배수를 위하여 배수공(15)과 같은 별도의 구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다양한 경사면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며, 배수가 용이하므로 배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로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를 수용할 수 있으며, 옹벽블록과 제2 가로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잡석부에서 옹벽블록과 제2 가로부재로 작용하는 양방향 하중에 의하여 구조가 더욱더 견고하게 되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사면에 설치되는 시공이 용이한 옹벽 구조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로 걸림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옹벽블록과, 상기 걸림홈에 안착하며 상기 옹벽블록의 양측으로 노출되는 제1 가로부재와, 상기 제1 가로부재로부터 경사면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며 옹벽블록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제2 가로부재와, 상기 옹벽블록의 측방에 위치하고 양 단부가 상기 가로부재와 제2 가로부재의 상부에서 위치하며 세로부재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옹벽 유닛이 수평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반복되어 설치되며; 상기 옹벽 유닛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잡석부를 구비하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로부재 및 제2 가로부재는 세로부재와 결합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로부재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 림홈은 상기 제1 가로부재의 단면 중 2면이 접촉하면서 안착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부재의 단면 중 1면은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노출되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로부재, 제2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는 목재이며, 옹벽블록은 석재인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경사면을 포함하여 옹벽 구조를 설치할 경사면의 전방 지면을 덮는 부직포를 설치하는 부직포설치단계와; 상기 부직포 위로 잡석을 도포하여 잡석부를 형성하는 잡석도포단계와; 상기 잡석부 위로 경사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하여 제1 가로부재와 제2 가로부재를 위치시키는 가로부재설치단계와; 하부의 일부는 경사면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1 가로부재에 접하고 하부의 일부는 잡석부에 접하며 상기 제2 가로부재로부터는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옹벽블록을 설치하는 옹벽블록설치단계와; 상기 옹벽블록의 측방에 양단부가 상기 제1 가로부재와 제2 가로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세로부재를 설치하는 세로부재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옹벽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로부재설치단계 후 상기 옹벽블록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잡석을 투입하는 잡석투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옹벽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로부재설치단계, 옹벽블록설치단계, 세로부재설치단계를 차례로 반복하여 다층의 옹벽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옹벽을 형성하는 옹벽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로부재설치단계와 상기 옹벽블록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잡석을 투입하는 잡석투입단계 사이에, 상기 세로부재를 제1 가로부재 및 제2 가로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옹벽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구조가 간단하고, 다양한 경사면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며, 배수가 용이하므로 배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로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며, 외관이 양호하게 되며, 옹벽블록과 제2 가로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잡석부에서 옹벽블록과 제2 가로부재로 작용하는 양방향 하중에 의하여 구조가 더욱더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옹벽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옹벽 구조의 개략적이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옹벽 구조의 개략적이 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옹벽 구조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며, 이하에서 경사면은 경사면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수직면까지 포함하는 의미이 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는 제1 가로부재(111), 제2 가로부재(113), 세로부재(120), 옹벽블록(130) 및 잡석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가로부재(111), 제2 가로부재(113), 세로부재(120) 및 옹벽블록(130)은 옹벽 유닛을 이루며, 상기 옹벽 유닛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하나 이상 반복 설치되며 잡석부(140)와 함께 옹벽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옹벽블록(13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31)은 경사면(B)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하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블록(130)은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석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는 수평 방향으로 경사면(B)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가로부재 중 경사면(B)에 가깝게 위치한 가로부재를 제2 가로부재(113)로, 경사면(B)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가로부재를 제1 가로부재(111)로 한다. 상기 경사면(B)이 평면인 경우 상기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는 경사면(B)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는 상기 옹벽블록(130)보다 약한 재질로서, 바람직하게는 목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옹벽블록(130)은 상기 제1 가로부재(111)의 상부로 위치하며, 상기 옹벽블록(130)과 제2 가로부재(113)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가로부재(111)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로부재(111)의 단면 중 2면이 상기 걸림홈(131)은 접촉하면서 안착하는 형태로 상기 걸림홈(1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31)에 안착한 상기 가로부재(111)의 단면 중 1면은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1개의 제1 가로부재(111)의 상부로 복수의 옹벽블록(130)이 위치할 수 있으며, 반드시 1개의 제1 가로부재(111)의 상부로 1개의 옹벽블록(130)이 위치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로부재(120)의 양단부는 옹벽블록(130)의 양측으로 노출된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세로부재(120)는 옹벽블록(130)의 측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세로부재(120)의 양단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수단(160)에 의하여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160)은 못이나 볼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1 가로부재(111), 제2 가로부재(113), 세로부재(120) 및 옹벽블록(130)에 의하여 옹벽 유닛이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옹벽 유닛이 하나 이상 가로 방향 및/또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옹벽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를 길게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120)와 복수의 옹벽블 록(130)으로 옹벽 유닛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옹벽 유닛이 하나 이상 가로 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옹벽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세로부재(120)는 수평 방향에서 옹벽블록(1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 가로부재(111)는 수직 방향에서 옹벽블록(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옹벽블록(130)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세로부재(120)와 제1 가로부재(111)가 옹벽블록(130) 사이에 위치하므로, 옹벽블록(13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옹벽블록(130)이 열 팽창 또는 수축하는 경우 변형량을 세로부재(120)와 제1 가로부재(111)가 흡수하게 되어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의하여 옹벽블록(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옹벽 유닛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잡석을 투입하여 잡석부(140)를 형성한다. 상기 잡석부(140)에 의하여 작용하는 하중은 일측으로는 옹벽블록(130)으로 타측으로는 제2 가로부재(113)로 작용하여 내부에서 양측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옹벽블록(130)이 제1 가로부재(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제1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20)는 옹벽블록(130)과 접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서 도면부호 150은 하나 이상의 옹벽 유닛으로 옹벽 시공을 한 후, 가장 상부의 세로부재(120)를 가로 지러 세로부재(120)의 상부로 결합수단(160)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부가로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상부가로부재(150)를 구비함으로써 가장 상층의 옹벽블록(13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옹벽 유닛을 상하로 적층하는 경우 도 4의 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30)이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30)이 계단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가장 하부의 옹벽블록(130)의 전방으로 잡석부(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물(17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수로 등에 대칭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구조물(170)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옹벽 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B)을 포함하여 옹벽 구조를 설치할 경사면(B)의 전방 지면(C)을 덮는 부직포(101)를 설치한다(부직포설치단계)(ST-110). 도 11에서 도면부호 103은 부직포(101)를 경사면(B)과 지면(C)에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으로, 못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101) 위로 잡석을 도포하여 대략 상부면이 수평면을 이루는 잡석부(140)를 형성한다(잡석도포단계)(ST-120). 그리고 도 8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잡석부(140) 위로 경사면(B)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하여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를 위치시킨다(가로부재설치단계)(ST-130). 상기에서 경사면(B)이 평면인 경우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는 경사면(B)과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의 상부는 수평 상태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일부는 경사면(B)으로 부터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1 가로부재(111)에 접하고 하부의 일부는 잡석부(140)에 접하며 상기 제2 가로부재(113)로부터는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옹벽블록(130)을 설치한다(옹벽블록설치단계)(ST-140).
그리고 도 9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록(130)의 측방에 양단부가 상기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세로부재(120)를 설치한다(세로부재설치단계)(ST-150).
도 9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부재설치단계(ST-150) 후 상기 옹벽블록(130)과 경사면(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잡석을 투입하는 잡석투입단계(ST-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부재설치단계(ST-150)와 상기 옹벽블록(130)과 경사면(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잡석을 투입하는 잡석투입단계(ST-160) 사이에, 상기 세로부재(120)를 제1 가로부재(111) 및 제2 가로부재(113)와 결합하는 결합단계(ST-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부재설치단계(ST-130), 옹벽블록설치단계(ST-140), 세로부재설치단계(ST-150)를 차례로 반복하여 다층의 옹벽블록(130)으로 이루어지는 옹벽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층의 옹벽블록(130)으로 이루어지는 옹벽을 형성한 후 상기 복수의 옹벽블록(130)과 경사면(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잡석을 투입하여 잡석부(1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옹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옹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옹벽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옹벽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옹벽 구조의 개략적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옹벽 구조의 개략적이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옹벽 구조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Claims (8)

  1. 경사면에 설치되는 시공이 용이한 옹벽 구조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로 걸림홈(131)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옹벽블록(130)과, 상기 걸림홈(131)에 안착하며 상기 옹벽블록(130)의 양측으로 노출되는 제1 가로부재(111)와, 상기 제1 가로부재(111)로부터 경사면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며 옹벽블록(130)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제2 가로부재(113)와, 상기 옹벽블록(130)의 측방에 위치하고 양 단부가 상기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의 상부에서 위치하며 세로부재(120)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옹벽 유닛이 수평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반복되어 설치되며; 상기 옹벽 유닛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잡석부(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부재(111) 및 제2 가로부재(113)는 세로부재(120)와 결합 수단(160)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부재(111)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31)은 상기 제1 가로부재(111)의 단면 중 2면이 접촉하면서 안착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부재(111)의 단면 중 1면은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100).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부재(111), 제2 가로부재(113) 및 세로부재(120)는 목재이며, 옹벽블록(130)은 석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100).
  5. 경사면(B)을 포함하여 옹벽 구조를 설치할 경사면(B)의 전방 지면(C)을 덮는 부직포(101)를 설치하는 부직포설치단계(ST-110)와; 상기 부직포(101) 위로 잡석을 도포하여 잡석부(140)를 형성하는 잡석도포단계(ST-120)와; 상기 잡석부(140) 위로 경사면(B)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하여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를 위치시키는 가로부재설치단계(ST-130)와; 하부의 일부는 경사면(B)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1 가로부재(111)에 접하고 하부의 일부는 잡석부(140)에 접하며 상기 제2 가로부재(113)로부터는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옹벽블록(130)을 설치하는 옹벽블록설치단계(ST-140)와; 상기 옹벽블록(130)의 측방에 양단부가 상기 제1 가로부재(111)와 제2 가로부재(1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세로부재(120)를 설치하는 세로부재설치단계(ST-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설치단계(ST-150) 후 상기 옹벽블록(130)과 경사면(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잡석을 투입하는 잡석투입단계(ST-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시공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설치단계(ST-130), 옹벽블록설치단계(ST-140), 세로부재설치단계(ST-150)를 차례로 반복하여 다층의 옹벽블록(130)으로 이루어지는 옹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시공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설치단계(ST-150)와 상기 옹벽블록(130)과 경사면(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잡석을 투입하는 잡석투입단계(ST-160) 사이에, 상기 세로부재(120)를 제1 가로부재(111) 및 제2 가로부재(113)와 결합하는 결합단계(ST-1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시공 방법.
KR1020090042598A 2009-05-15 2009-05-15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94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598A KR100940339B1 (ko) 2009-05-15 2009-05-15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598A KR100940339B1 (ko) 2009-05-15 2009-05-15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339B1 true KR100940339B1 (ko) 2010-02-04

Family

ID=4208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598A KR100940339B1 (ko) 2009-05-15 2009-05-15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362B1 (ko) * 2010-07-02 2012-05-30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계단형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36A (ja) * 1994-11-30 1996-06-11 Higashikanbaragun Shinrin Kumiai 土留め、護岸等の建設用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3676860B2 (ja) * 1995-08-17 2005-07-27 有限会社ゼム技術士事務所 土止擁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36A (ja) * 1994-11-30 1996-06-11 Higashikanbaragun Shinrin Kumiai 土留め、護岸等の建設用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3676860B2 (ja) * 1995-08-17 2005-07-27 有限会社ゼム技術士事務所 土止擁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362B1 (ko) * 2010-07-02 2012-05-30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계단형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523B1 (ko)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615614B1 (ko)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US20130214227A1 (en) Fence
KR101345183B1 (ko) 우수 저류조
KR101487814B1 (ko)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JP6196088B2 (ja) 一体式基礎型枠および基礎型枠連結構造
KR101084615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0940339B1 (ko)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750703B1 (ko)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절토부 축조방법
RU108473U1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US2006023978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ping concrete slab-on-ground foundations
KR20070102775A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US10648148B2 (en) Sheet for use in ground works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100884391B1 (ko) 옹벽 상단의 배수기능을 보강한 보강토 옹벽 및 이 시공방법
KR101201796B1 (ko) 빗물 저류조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JP4528176B2 (ja) 浮力対策構造を備えた軽量盛土構造体
JP6279892B2 (ja) 壁面構築用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の構築方法
KR101647089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KR102600811B1 (ko)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쌓기 시공방법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