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101B1 -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 Google Patents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101B1
KR102357101B1 KR1020210136633A KR20210136633A KR102357101B1 KR 102357101 B1 KR102357101 B1 KR 102357101B1 KR 1020210136633 A KR1020210136633 A KR 1020210136633A KR 20210136633 A KR20210136633 A KR 20210136633A KR 102357101 B1 KR102357101 B1 KR 102357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plate
manufacturing modu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숙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그린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그린콘크리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그린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21013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moulding surfaces simulating natural effets, e.g. wood or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3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moulding surfaces simulating assembled bricks or blocks with morta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9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interlocking means, e.g. grooves and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고, 네 개의 측면판이 하부판에 힌지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거푸집으로 이루어지는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서, 하부판 상부에서 지지강재가 결합된 상부판이 배치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최소시간 양생하여 형성된 옹벽블록으로부터 측면판을 제거하고, 하부판으로부터 상부판을 분리하여 측면과 상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양생을 완성하므로 양생속도가 빠르고 상부판을 제외한 옹벽블록제조모듈체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은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A detachabl retaining wall block manufacturing module}
본 발명은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고, 네 개의 측면판이 하부판에 힌지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거푸집으로 이루어지는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서, 하부판 상부에서 지지강재가 결합된 상부판이 배치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최소시간 양생하여 형성된 옹벽블록으로부터 측면판을 제거하고, 하부판으로부터 상부판을 분리하여 측면과 상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양생을 완성하므로 양생속도가 빠르고 상부판을 제외한 옹벽블록제조모듈체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은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공사에서 경사지의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물로써, 도로와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산기슭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압 및 우수 등의 자연조건에 의해 이들이 붕괴를 막는 기능을 한다.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는 거푸집 설치 및 모르타르의 타설을 통한 옹벽 시공 방법과 옹벽 블록을 사용하는 옹벽 시공 방법이 있다.
우선, 거푸집 설치 및 모르타르 타설을 통한 옹벽 시공 방법은 옹벽을 시공하고자 하는 곳에 설치 높이, 폭만큼 거푸집을 설치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모르타르의 양생 후에 거푸집을 해체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옹벽 블록을 사용하는 옹벽 시공 방법은 공장에서 단위 크기의 성형,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의 옹벽 블록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적층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 옹벽 블록의 구조는 종류에 따라, 판 모양을 가지는 패널형 옹벽 블록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식재형 옹벽 블록이 있으며, 이러한 옹벽 블록은 장비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로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옹벽 블록을 형성할 때 거푸집 안에서 콘크리트 양생시 최소 28일이 소요되는데 이 기간동안 옹벽 블록이 양생 중인 거푸집을 사용할 수 없고, 28일 후 거푸집을 제거할 때 옹벽 블록과 거푸집이 일체로 형성되어 거푸집 제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 블록은 운반 및 적층을 위해 중장비가 이용되므로 옹벽 블록의 무게에 따라 시공이 어렵고, 시공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옹벽 블록은 양생기간이 길고, 긴 양생기간으로 옹벽 시공시 대량 공급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
KR 10-0463989 (등록번호) 2004.12.30. KR 10-0696910 (등록번호) 2007.03.20. KR 10-2020-0061685 (공개번호) 2020.06.0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네 개의 측면판이 하부판에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거푸집으로 이루어져, 네 모서리부에 받침부와 다수의 고정부가 형성된 하부판 상부에서 지지강재가 결합된 상부판이 배치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최소시간 양생하여 형성된 옹벽블록으로부터 측면판을 분리하고, 하부판로부터 옹벽블록이 배치된 상부판을 분리하여 상면과 측면이 노출된 상태로 양생을 완성하므로 양생속도가 빠르고 상부판을 분리한 옹벽블록제조모듈체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은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부에 세워지고 양측면에 각각 두 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중간분리대에 의해 두 개의 옹벽블록을 동시에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주보는 옹벽블록의 하면부에 각각 두 개의 결합홈을 형성해 계단식의 옹벽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판에 상부판을 결합시 모서리에 구비된 받침부에 의해 상부판이 안정적으로 받쳐지고, 산모양의 고정부에 의해 지지강재가 미끄러져 안착되어 쉽게 끼움결합 가능하여 상부판과 하부판을 합치할 수 있고, 옹벽블록이 상부판에서 양생되는 중간에 하부판에서 상부판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옹벽블록의 상면부 중심부에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면부 중심부에 제2결합홈과, 제2결합홈에 이격되어 제3결합홈이 형성되어 시공시 하단에 배치되는 옹벽블록 상면부의 제1결합홈에 벽돌을 끼워놓고 상단에 배치되는 옹벽블록 하면부의 제3결합홈으로 삽입하여 별도의 고정부 없이 옹벽블록을 계단식으로 쌓는 것만으로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안정적인 옹벽을 형성할 수 있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판이 지지강재에 의해 하부판으로부터 이격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해 분리시 안정적인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옹벽블록이 완전 양생되기 전에 옹벽블록이 거치되는 상부판을 제외한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옹벽블록에서 제거하여 옹벽블록의 양생을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블록을 쌓았을 때 옹벽블록의 상면부 또는 후면부에서 내측에 삽입된 벽돌이나 고리용 철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블록을 하부에서 거치하는 상부판을 제외하면, 옹벽블록이 완전 양생전에 분리할 수 있어 옹벽블록 제조의 효율을 높이고, 옹벽블록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제1지지강재(111)가 설치되고, 상부의 네 꼭지점에서 받침부(112)가 세워지며, 상기 받침부(112) 주변에 산모양의 경사진 고정부(113)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판(110)과; 상기 하부판(110)의 가장자리에서 힌지결합되고, 상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 네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형성되는 옹벽블록(200)의 측면과 접촉되는 측면판(120)과; 상기 하부판(110)으로부터 받침부(112) 높이만큼 이격되어 놓여지고, 복수개의 제2지지강재(131)가 하부에서 결합되되, 상기 제2지지강재(131)와 제2지지강재(131) 사이에 빈 공간이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판(110)에 설치된 고정부(113) 사이에 상기 제2지지강재(13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강재(131)와 제2지지강재(131) 사이 빈 공간에서의 가압시에 하부판(110)에서 분리되며, 상기 옹벽블록(200)을 아래에서 접촉하며 지지하는 상부판(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판(120)은 마주보는 두 개의 판에는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제1돌출부(121)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개의 판에는 중심부에 고정돌기부(122)와 홈부(123)가 나란히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판(130)의 중심부를 가로 지르며 세워지고, 양측면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141)에 이격된 제3돌출부(142)가 형성되는 중간분리대(14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전 상기 상부판(130) 상부에 배치되어 옹벽블록(200)의 전면부(230) 모양을 형성하는 몰드(150)와, 상기 측면판(120)에서 제1돌출부(121)의 고리용 철근 삽입홈(121a)에 설치되어 옹벽블록(200)에 삽입고정되는 고리용 철근(160)와, 네 개의 측면판(12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측면판(120)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용 각관(17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113)는 하부판(110)의 받침부(112) 및 상부판(130)의 제2지지강재(131)보다 그 높이가 낮고 경사면에 의해 제2지지강재(131)가 미끄러져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강재(131) 사이에는 상기 제2지지강재(131)보다 길이가 긴 제3지지강재(132)가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판(130)과 하부판(110) 사이로 삽입되는 지게차의 포크의 측면을 상기 제2지지강재(131)와 제3지지강재(132)이 지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판(120)은 제1돌출부(121)가 형성되고, 고리용 철근(160)이 고정설치되는 제1측면판(120a)과, 고정돌기부(122)와 홈부(123)가 나란히 형성되어 옹벽블록(200)의 측면부(240)에서 암수로 이루어지는 고정돌기삽입홈(241)과 고정돌기(242)를 형성하는 제2측면판(120b)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판(120)과 하부판(110)은 상기 옹벽블록(200)이 완전 양생하기 전에 상부판(130) 및 옹벽블록(200)에서 분리되고, 상기 상부판(130)은 옹벽블록(200)이 완전 양생된 후에 옹벽분록(200)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상기 옹벽블록(200)은 상기 측면판(120)의 제1돌출부(121)에 의해 상면부(210)에 제1결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분리대(140)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141)와 제3돌출부(142)에 의해 하면부(220)에 제2,3결합홈(221,222)이 형성되며, 바닥에 설치되는 제1옹벽블록(200a)의 상면부(210)의 제1결합홈(211)에 벽돌(300)을 끼워넣고 제1옹벽블록(200a) 상부에 올라가는 제2옹벽블록(200b)의 하면부(220)의 제3결합홈(222)으로 벽돌(300)을 삽입하면 계단식으로 옹벽을 쌓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네 개의 측면판이 하부판에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거푸집으로 이루어져, 네 모서리부에 받침부와 다수의 고정부가 형성된 하부판 상부에서 지지강재가 결합된 상부판이 배치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최소시간 양생하여 형성된 옹벽블록으로부터 측면판을 분리하고, 하부판로부터 옹벽블록이 배치된 상부판을 분리하여 상면과 측면이 노출된 상태로 양생을 완성하므로 양생속도가 빠르고 상부판을 분리한 옹벽블록제조모듈체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부에 세워지고 양측면에 각각 두 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중간분리대에 의해 두 개의 옹벽블록을 동시에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주보는 옹벽블록의 하면부에 각각 두 개의 결합홈을 형성해 계단식의 옹벽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판에 상부판을 결합시 모서리에 구비된 받침부에 의해 상부판이 안정적으로 받쳐지고, 산모양의 고정부에 의해 지지강재가 미끄러져 안착되어 쉽게 끼움결합 가능하여 상부판과 하부판을 합치할 수 있고, 옹벽블록이 상부판에서 양생되는 중간에 하부판에서 상부판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두 개의 옹벽블록의 상면부 중심부에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면부 중심부에 제2결합홈과, 제2결합홈에 이격되어 제3결합홈이 형성되어 시공시 하단에 배치되는 옹벽블록 상면부의 제1결합홈에 벽돌을 끼워놓고 상단에 배치되는 옹벽블록 하면부의 제3결합홈으로 삽입하여 별도의 고정부 없이 옹벽블록을 계단식으로 쌓는 것만으로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안정적인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판이 지지강재에 의해 하부판으로부터 이격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해 분리시 안정적인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옹벽블록이 완전 양생되기 전에 옹벽블록이 거치되는 상부판을 제외한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옹벽블록에서 제거하여 옹벽블록의 양생을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옹벽블록을 쌓았을 때 옹벽블록의 상면부 또는 후면부에서 내측에 삽입된 벽돌이나 고리용 철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옹벽블록을 하부에서 거치하는 상부판을 제외하면, 옹벽블록이 완전 양생전에 분리할 수 있어 옹벽블록 제조의 효율을 높이고, 옹벽블록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 결합용 각관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의 측면판을 펼친상태에서 하부판으로부터 상부판과 몰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서 상부판과 중간분리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서 제1,2지지강재가 배치된 상태의 하부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서 제1측면판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서 제2측면판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 고리용 철근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옹벽블록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의 측면판을 옹벽블록으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의 하부판으로부터 상부판에 배치된 옹벽블록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서 완성된 옹벽블록을 상부와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서 완성된 옹벽블록을 이용해 일자형 옹벽을 쌓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에서 완성된 옹벽블록을 이용해 계단식 옹벽을 쌓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제1지지강재(111)가 설치되고, 상부에 네 꼭지점에서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부(112)가 세워지며, 상기 받침부(112) 주변에 산 모양의 경사진 고정부(113)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판(110)과,
상기 하부판(110)의 가장자리에서 힌지결합되고, 상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 네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되, 마주보는 두 개의 판에는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제1돌출부(121)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개의 판에는 중심부에 고정돌기부(122)와 홈부(123)가 나란히 형성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형성되는 옹벽블록(200)의 측면과 접촉되는 측면판(120)과,
상기 하부판(110)으로부터 받침부(112) 높이만큼 이격되어 놓여지고, 복수개의 제2지지강재(131)가 하부에서 결합되되, 상기 제2지지강재(131)와 제2지지강재(131) 사이에 빈 공간이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판(110)에 설치된 고정부(113) 사이에 상기 제2지지강재(13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강재(131)와 제2지지강재(131) 사이 빈 공간에서의 가압시에 하부판(110)에서 분리되며, 상기 옹벽블록(200)을 아래에서 접촉하며 지지하는 상부판(130)과,
상기 상부판(130)의 중심부를 가로 지르며 수직으로 세워지고, 양측면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141)에 이격된 제3돌출부(142)가 형성되는 중간분리대(140)를 포함하는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는 콘크리트 타설 전 상기 상부판(130) 상부에 배치되어 옹벽블록(200)의 전면부(230)에 모양을 형성하는 몰드(150)와,
상기 측면판(120)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옹벽블록(200)에 삽입되는 고리용 철근(160)과,
네 개의 측면판(12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측면판(120)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용 각관(17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옹벽블록의 측면이 양생되는 최소시간(약 4시간)동안 양생시켜 형성된 옹벽블록(200)으로부터 네 개의 측면판(120)을 분리하고, 상기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의 하부판(110)으로부터 상부판(130)을 분리하여 다시 일정기간(약 28일)동안 양생시킨 후 중간분리대(140)를 제거하면 두 개의 완전 양생된 옹벽블록(200)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인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에서 하부판(110)으로부터 옹벽블록(200)이 놓여지는 상부판(13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에서 형성된 옹벽블록(200)을 거푸집으로부터 분리하여 측면과 상면이 노출된 상태로 양생할 수 있어 양생속도가 빠르고, 상부판(130)이 분리된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에 다른 상부판(130)을 올려놓고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블록(200)을 형성할 수 있어 상부판(130)을 제외한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측면판(120)은 하부판(110)과 결합된 상태이며, 상부판(130)은 하부판(110)의 위쪽 및 측면판(12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부판(130)은 하부판(110)과 볼트 또는 리벳 등으로 결합되지 않고, 하부판의 고정부(113)와 제2지지강재(131)에 의하여 위치 변경이 되지 않고, 투입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하여 하부판 위에 놓여진다. 상기 측면판(120)은 내부에 투입되는 콘크리트가 어느정도 양생되면 옹벽블록(200)에서 분리한다. 이때 하부판(120)도 측면판(120)과 힌지에 의하여 완전 결합된 상태이므로 동시에 옹벽블록(200) 및 상부판(130)과 분리된다. 즉, 상기 측면판(120)과 하부판(110)은 상기 옹벽블록(200)이 완전 양생하기 전에 상부판(130) 및 옹벽블록(200)에서 분리되고, 상기 상부판(130)은 옹벽블록(200)이 완전 양생된 후에 옹벽분록(200)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옹벽블록(200)은 가장자리만 굳으면 측면판(120)이 없는 상태에서 양생이 가능하고, 가장자리가 굳는데 4시간 정도가 필요하므로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에 콘크리트 타설하고 4시간 후에는 측면판(120)을 분리하여 양생하도록 구비된다. 측면판(120)의 제거 또는 분리는 거푸집에서의 완전 분리가 아니고, 하부판(110)과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이런 측면판(120)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부판(130)이 하부판(110)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는 상부판(130)과 하부판(110)이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결합도구 없이 상부판(130)이 하부판(110) 위에 얹쳐진 상태로 상하 배치된 상태이며, 측면판(120)이 옹벽블록(200)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부판(130)의 아래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어 그 측면을 고정시켜 상부로 올리면 하부판(110)과 상부판(130)이 분리된다. 이때 상부판(110) 위에는 측면이 어느 정도 양생된 옹벽블록(200)이 접촉되게 배치되어, 옹벽블록(200)이 완전 양생할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에서 상부판(130)에 놓이는 몰드(150)는 옹벽블록(200)의 전면부(230)(옹벽을 쌓았을 때 앞에서 보이는 부분, 앞면)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제1돌출부(121)가 형성되는 제1측면판(120a)은 옹벽블록(200)의 상면부(210)(윗면)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부(122)와 홈부(123)가 나란히 형성되는 제2측면판(120b)은 옹벽블록(200)의 측면부(240)를 형성하며, 상기 중간분리대(140)는 옹벽블록(200)의 하면부(220)(밑면)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에서는 두 개의 옹벽블록(200)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측면판(120a)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121)에 의해 옹벽블록(200)의 상면부(210)에는 제1결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분리대(140)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141)와, 제3돌출부(142)에 의해 옹벽블록(200)의 하면부(220)는 제2결합홈(221)과, 제3결합홈(2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211)과 제2결합홈(221) 사이에 벽돌(300)을 삽입하며 적층시켜 일자형 옹벽을 쌓거나, 제1결합홈(211)과 제3결합홈(222) 사이에 벽돌(300)을 삽입하며 적층시켜 계단식의 옹벽을 쌓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는 하부판(110)과, 측면판(120)이 힌지결합되도록 상기 하부판(110)에 제1힌지부(114)가 구비되고, 측면판(120)에 제2힌지부(126)가 구비되며, 상기 제1힌지부(114)와 제2힌지부(126)가 결합되면 상기 측면판(120)이 하부판(110)의 가장자리로부터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펼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측면판(120)은 제1돌출부(121)가 형성되고, 제1돌출부(121) 중심측에 고리용 철근(160)이 고정설치되는 고리용 철근 삽입홈(121a)이 형성되는 제1측면판(120a)과, 옹벽블록(200)의 측면부(240)에서 암수로 이루어지는 고정돌기삽입홈(241)과 고정돌기(242)가 나란히 형성되는 제2측면판(120b)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측면판(120a)은 옹벽블록(200)의 상면부(210)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211)을 위한 제1돌출부(121)가 형성되되, 제1돌출부(121) 중심부에 고리용 철근(160)을 옹벽블록(200)에 삽입하기 위한 고리용 철근 삽입홈(121a)이 형성되며, 상기 고리용 철근 삽입홈(121a)은 고리용 철근(160)이 삽입되되 제1측면판(120a)의 외부측에서 철근 고정고리(161)를 이용해 고리용 철근(160)을 고정하고, 옹벽블록(200)이 완성되면 철근 고정고리(161)를 고리용 철근(160)으로부터 제거하여 제1측면판(120a)에서 고리용 철근(160)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측면판(120)이 힌지결합되는 하부판(110)은 하부에 베이스가 되는 제1지지강재(111)가 설치되고, 옹벽블록(200)을 제작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네 꼭지점에서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부(112)가 세워지며, 상기 받침부(112) 주변에 산모양의 고정부(113)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받침부(112)는 하부판(110)의 모서리에서 하부판(110)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판(130)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113)는 상부판(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강재(131)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두 개의 경사면이 꼭지점에서 만나는 산모양으로 이루어져 받침부(112)의 두 면에 이격되어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112) 및 상부판(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강재(131)보다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3)는 상기 제2지지강재(131)가 미끄러져 삽입되도록 제2지지강재(131)의 전방과 후방에서 경사면에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강재(131)의 측면에서도 밀착설치된다. 상부판(110)을 하부판(130) 위에 올려놓을때에 거의 동일한 크기인 상부판에 의하여 하부판이 보이지 않으나, 경사진 고정부(113)에 위하여 대략적인 위치에 상부판(110)을 놓으면 하부판(130) 위에서 미끄러지며 정확한 위치로 놓여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지지강재(131)는 사각형의 각관으로 이루어져 상부판(130)의 하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용접결합되되, 상기 하부판(110)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고정부(113) 사이에서 끼움결합되는 부분으로 상부판(130)의 중심부 근처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지지강재(132)보다 짧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지지강재(132)는 제2지지강재(131)와 마찬가지로 상부판(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2지지강재(131)보다 그 길이가 길게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강재(131)와 제3지지강재(132)가 하부에서 용접결합되는 상부판(130)은 하부판(110)과 동일한 사각형의 옹벽블록(200)을 지지하는 판으로 하부판(110)의 상부에서 결합되되 지게차의 포크를 제2지지강재(131)와 제3지지강재(132) 사이로 삽입하고 상승시켜 하부판(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지게차의 포크는 제2지지강재(131)와 제3지지강재(132)에 의하여 그 측면이 고정되어 상승시에 이동을 제한시켜 안정적인 상승 및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완전 양생되는 시간(약 28일)보다 매우 짧은 일부 양생시간(4시간) 동안만 이동하지 못하고, 측면판(120)과 하부판(110)을 옹벽블록(200)에서 제거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옹벽블록(200)이 완전 양생할 동안 필요한 상부판(130)을 다수 구비하고, 측면판(120)과 하부판(110)을 적게 구비하여도 옹벽블록(200)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옹벽블록(200)의 측면 양생때까지만 이동을 못하고, 측면 양생후에는 이동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도가 매우 높고, 측면이 노출된 상태로 양생하므로 양생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130) 상부에는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중간분리대(140)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분리대(140)에 의해 두 개로 나뉘어진 상면에 몰드(150)가 배치된다.
상기 중간분리대(140)는 상부판(130)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의 내부 공간을 반으로 나눠 두 개의 옹벽블록(200)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두 개의 옹벽블록(200)의 하면부(220)에 각각 제2결합홈(221)과 제3결합홈(222)을 형성하도록 양측면 중심부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41)와, 상기 제2돌출부(141)에 이격된 제3돌출부(14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면판(12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상기 결합용 각관(1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판(120a)의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제1관결합부(125)와, 제2측면판(120b)의 상부측에서 중간분리대 삽입부(124)를 통해 관통결합되는 중간분리대(140)에 형성되는 제2관결합부(144)에 삽입되어 네 개의 측면판(120)을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용 각관(170)은 제1측면판(120a)의 양측에 돌출형성되되, 상부와 하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관결합부(125) 두 군데에서 각각 결합되되 제2측면판(120b)을 가로질러 마주보는 두 개의 제1측면판(120a)에 끼워져 네 개의 측면판(12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 각관(170)은 양측에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171)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171)이 제1관결합부(125)의 외부측에 끼워지고, 일측 고정수단(171)에 결합을 위해 관통형성되는 결합수단(172)을 이용하여 사이간격을 조정하며 측면판(120)에 고정설치된다.
한편, 상기 측면판(120)은 외측면에 사각 각관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127)가 일자형태 또는 격자형태로 용접결합되어 결합용 각관(170)을 분리하여 서로 결합된 측면판(120)을 해체하여 펼쳤을 때 지지부재(127)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측면판(120b)은 중심측에 결합부재 삽입부(128)가 관통형성되어 중간분리대(140)의 양측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부재(143)가 결합부재 삽입부(128)에 삽입되어 중간분리대(140)가 고정설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옹벽블록(200)은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에서 상면부(210), 하면부(220), 전면부(230), 측면부(240)가 형성되며, 옹벽블록제조모듈체(200)의 개방된 상부에서 후면부(2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250)에는 고리용 철근(160)이 삽입되어 옹벽블록(20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이용한 옹벽블록 제조장치는 네 개의 측면판(120)이 하부판(110)에서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거푸집으로 이루어지는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에서, 네 모서리부에 받침부(112)와 다수의 고정부(113)가 형성된 하부판(110) 상부에 제2지지강재(131) 및 제3지지강재(132)가 결합된 상부판(130)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판(130) 중심부를 가로 지르는 중간분리대(140)가 세워지며, 네 개의 측면판(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일정시간 양생하여 형성된 옹벽블록(200)으로부터 측면판(120)을 제거하고, 하부판(110)에 제2지지강재(131) 및 제3지지강재(132)로 이격설치된 상부판(130)을 지게차로 이송하여 하부판(110)으로부터 옹벽블록(200)이 배치된 상부판(130)을 분리하여 양생을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옹벽블록제조모듈체(100)를 이용해 옹벽블록(200)을 제조하며, 제조된 옹벽블록(200)은 도로와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산기슭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기 위해 현장으로 운반하여 적층 시공된다. 이때, 상기 옹벽블록(200)의 하면부(220)에 형성된 제2결합홈(221)과, 제3결합홈(222)을 이용해 옹벽블록(200)을 일자로 적층하거나, 계단식으로 적층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옹벽블록(200)을 일자로 적층하기 위해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제1옹벽블록(200a)의 상면부(2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211)에 벽돌(300)을 끼워넣고 제1옹벽블록(200a) 상부에 올라가는 제2옹벽블록(200b)의 하면부(2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221)으로 벽돌(300)을 삽입하면 반듯한 일자 옹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200)을 계단식으로 적층하기 위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제1옹벽블록(200a)의 상면부(210)의 제1결합홈(211)에 벽돌(300)을 끼워넣고 제1옹벽블록(200a) 상부에 올라가는 제2옹벽블록(200b)의 하면부(220)의 제3결합홈(222)으로 벽돌(300)을 삽입하면 계단식으로 옹벽을 쌓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네 개의 측면판이 하부판에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거푸집으로 이루어져, 네 모서리부에 받침부와 다수의 고정부가 형성된 하부판 상부에서 지지강재가 결합된 상부판이 배치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최소시간 양생하여 형성된 옹벽블록으로부터 측면판을 분리하고, 하부판로부터 옹벽블록이 배치된 상부판을 분리하여 상면과 측면이 노출된 상태로 양생을 완성하므로 양생속도가 빠르고 상부판을 분리한 옹벽블록제조모듈체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부에 세워지고 양측면에 각각 두 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중간분리대에 의해 두 개의 옹벽블록을 동시에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주보는 옹벽블록의 하면부에 각각 두 개의 결합홈을 형성해 계단식의 옹벽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판에 상부판을 결합시 모서리에 구비된 받침부에 의해 상부판이 안정적으로 받쳐지고, 산모양의 고정부에 의해 지지강재가 미끄러져 안착되어 쉽게 끼움결합 가능하여 상부판과 하부판을 합치할 수 있고, 옹벽블록이 상부판에서 양생되는 중간에 하부판에서 상부판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두 개의 옹벽블록의 상면부 중심부에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면부 중심부에 제2결합홈과, 제2결합홈에 이격되어 제3결합홈이 형성되어 시공시 하단에 배치되는 옹벽블록 상면부의 제1결합홈에 벽돌을 끼워놓고 상단에 배치되는 옹벽블록 하면부의 제3결합홈으로 삽입하여 별도의 고정부 없이 옹벽블록을 계단식으로 쌓는 것만으로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안정적인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판이 지지강재에 의해 하부판으로부터 이격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해 분리시 안정적인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옹벽블록이 완전 양생되기 전에 옹벽블록이 거치되는 상부판을 제외한 옹벽블록제조모듈체를 옹벽블록에서 제거하여 옹벽블록의 양생을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옹벽블록을 쌓았을 때 옹벽블록의 상면부 또는 후면부에서 내측에 삽입된 벽돌이나 고리용 철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옹벽블록을 하부에서 거치하는 상부판을 제외하면, 옹벽블록이 완전 양생전에 분리할 수 있어 옹벽블록 제조의 효율을 높이고, 옹벽블록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100 : 옹벽블록제조모듈체
110 : 하부판 111 : 제1지지강재
112 : 받침부 113 : 고정부
114 : 제1힌지부 120 : 측면판
120a : 제1측면판 120b : 제2측면판
121 : 제1돌출부 121a : 고리용 철근 삽입홈
122 : 고정돌기부 123 : 홈부
124 : 중간분리대 삽입부 125 : 제1관결합부
126 : 제2힌지부 127 : 지지부재
128 : 결합부재 삽입부 130 : 상부판
131 : 제2지지강재 132 : 제3지지강재
140 : 중간분리대 141 : 제2돌출부
142 : 제3돌출부 143 : 결합부재
144 : 제2관결합부 150 : 몰드
160 : 고리용 철근 161 : 철근 고정고리
170 : 결합용 각관 171 : 고정수단
172 : 결합수단
200 : 옹벽블록
210 : 상면부 211 : 제1결합홈
220 : 하면부 221 : 제2결합홈
222 : 제3결합홈 230 : 전면부
240 : 측면부 241 : 고정돌기삽입홈
242 : 고정돌기 250 : 후면부
300 : 벽돌

Claims (8)

  1. 하부에 제1지지강재(111)가 설치되고, 상부의 네 꼭지점에서 받침부(112)가 세워지며, 상기 받침부(112) 주변에 산모양의 경사진 고정부(113)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판(110)과;
    상기 하부판(110)의 가장자리에서 힌지결합되고, 상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 네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형성되는 옹벽블록(200)의 측면과 접촉되는 측면판(120)과;
    상기 하부판(110)으로부터 받침부(112) 높이만큼 이격되어 놓여지고, 복수개의 제2지지강재(131)가 하부에서 결합되되, 상기 제2지지강재(131)와 제2지지강재(131) 사이에 빈 공간이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판(110)에 설치된 고정부(113) 사이에 상기 제2지지강재(13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강재(131)와 제2지지강재(131) 사이 빈 공간에서의 가압시에 상기 하부판(110)에서 분리되며, 상기 옹벽블록(200)을 아래에서 접촉하며 지지하는 상부판(130);을 포함하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120)은 마주보는 두 개의 판에는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제1돌출부(121)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개의 판에는 중심부에 고정돌기부(122)와 홈부(123)가 나란히 형성되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30)의 중심부를 가로 지르며 세워지고, 양측면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141)에 이격된 제3돌출부(142)가 형성되는 중간분리대(140);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4.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전 상기 상부판(130) 상부에 배치되어 옹벽블록(200)의 전면부(230) 모양을 형성하는 몰드(150)와,
    상기 측면판(120)에서 제1돌출부(121)의 고리용 철근 삽입홈(121a)에 설치되어 옹벽블록(200)에 삽입고정되는 고리용 철근(160)와,
    네 개의 측면판(12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측면판(120)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용 각관(170)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3)는 하부판(110)의 받침부(112) 및 상부판(130)의 제2지지강재(131)보다 그 높이가 낮고 경사면에 의해 제2지지강재(131)가 미끄러져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강재(131) 사이에는 상기 제2지지강재(131)보다 길이가 긴 제3지지강재(132)가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판(130)과 하부판(110) 사이로 삽입되는 지게차의 포크의 측면을 상기 제2지지강재(131)와 제3지지강재(132)이 지지하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120)은 제1돌출부(121)가 형성되고, 고리용 철근(160)이 고정설치되는 제1측면판(120a)과, 고정돌기부(122)와 홈부(123)가 나란히 형성되어 옹벽블록(200)의 측면부(240)에서 암수로 이루어지는 고정돌기삽입홈(241)과 고정돌기(242)를 형성하는 제2측면판(120b)으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120)과 하부판(110)은 상기 옹벽블록(200)이 완전 양생하기 전에 상부판(130) 및 옹벽블록(200)에서 분리되고,
    상기 상부판(130)은 옹벽블록(200)이 완전 양생된 후에 옹벽분록(200)에서 분리되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200)은 상기 측면판(120)의 제1돌출부(121)에 의해 상면부(210)에 제1결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분리대(140)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141)와 제3돌출부(142)에 의해 하면부(220)에 제2,3결합홈(221,222)이 형성되며, 바닥에 설치되는 제1옹벽블록(200a)의 상면부(210)의 제1결합홈(211)에 벽돌(300)을 끼워넣고 제1옹벽블록(200a) 상부에 올라가는 제2옹벽블록(200b)의 하면부(220)의 제3결합홈(222)으로 벽돌(300)을 삽입하면 계단식으로 옹벽을 쌓을 수 있는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KR1020210136633A 2021-10-14 2021-10-14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KR10235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633A KR102357101B1 (ko) 2021-10-14 2021-10-14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633A KR102357101B1 (ko) 2021-10-14 2021-10-14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101B1 true KR102357101B1 (ko) 2022-02-08

Family

ID=8025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633A KR102357101B1 (ko) 2021-10-14 2021-10-14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2877B1 (ko) * 2023-12-01 2024-08-07 문태식 자연석을 이용한 자연친화적 보강토블록 제조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989B1 (ko) 2002-04-18 2004-12-30 주식회사 삼성산업 콘크리트 침목 제조용 몰드
KR20060011254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KR20110009317U (ko) * 2010-03-25 2011-10-04 조을제 옹벽 블록 제조용 거푸집
KR20200061685A (ko) 2018-11-26 2020-06-03 김부용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989B1 (ko) 2002-04-18 2004-12-30 주식회사 삼성산업 콘크리트 침목 제조용 몰드
KR20060011254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KR100696910B1 (ko) 2004-07-29 2007-03-20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KR20110009317U (ko) * 2010-03-25 2011-10-04 조을제 옹벽 블록 제조용 거푸집
KR20200061685A (ko) 2018-11-26 2020-06-03 김부용 옹벽블록 제작용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2877B1 (ko) * 2023-12-01 2024-08-07 문태식 자연석을 이용한 자연친화적 보강토블록 제조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101B1 (ko) 분리형 옹벽블록제조모듈체
CN109403367B (zh) 一种装配式箱变基础及其现场施工方法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US20110179736A1 (en) Concrete matrix structure
KR20080006425U (ko) 콘크리트 패널 성형장치
KR101084615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206803A (en) Mold for building tile
JP7225356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プレスバーおよびストラット
US8517712B2 (en) Adjustable mold and associated method for making a drainage channel
CN111236300A (zh) 道路或桥梁临时挡土墙的预制基座
AU2016225254A1 (en) Modular shuttering block
KR102209116B1 (ko) 튜브를 이용한 철근이 관통하는 중공형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방법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CN110984693B (zh) 一种在浇筑时保持围墙立柱面板对齐的方法
GB2216921A (en) Building block
KR20120125805A (ko) 분할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제조방법
JP4351331B2 (ja) 層状地下構築物の構築方法
JPH0218123Y2 (ko)
JP7169596B2 (ja) 積みブロック擁壁構造及び積みブロック
KR102144269B1 (ko) 플라스틱 상자 적층형 옹벽 블록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 및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JP3399924B2 (ja) 護岸法覆構造
JP2018062789A (ja) 仕切り壁、支柱、仕切り壁の設置方法、仕切り壁を備える構造物およびこの構造物の構築方法
JP7193078B2 (ja) 多段基礎形成型枠の段積み用パネル及び多段基礎形成型枠
JP4902377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塀の基礎構造及びその塀の施工方法
US1220916A (en) Form for concret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