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198B1 - 거푸집 연결체 - Google Patents

거푸집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198B1
KR102446198B1 KR1020220028801A KR20220028801A KR102446198B1 KR 102446198 B1 KR102446198 B1 KR 102446198B1 KR 1020220028801 A KR1020220028801 A KR 1020220028801A KR 20220028801 A KR20220028801 A KR 20220028801A KR 102446198 B1 KR102446198 B1 KR 10244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corner
formwork
conn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웅
Original Assignee
배용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웅 filed Critical 배용웅
Priority to KR1020220028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결형연결구와 코너형연결구 및 인코너형연결구에 의해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을 매꾸어 줌은 물론 합판을 끼워주는 것으로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꿀 수 있음에 따라,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의 넓이에 관계없이 현장에서 시공이 가능하며, 거푸집 시공에 대한 시공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유로폼과 알루미늄폼을 겸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끼워지는 합판의 지지성이 크게 향상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합판의 끼움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작업성이 크게 향상되고,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을 매꾸어 주는 거푸집 연결체를 잉여공간에 따라 달라지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에 관계없이 시공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동일한 고정핀으로 체결 및 해체를 반복할 수 있어 깨끗한 벽면과 시공을 단축할 수 있으며, 거푸집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설치 시공시간을 단축하여 공사기간을 최소화하고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거푸집 연결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거푸집 연결체{panel type connecting body of concrete form}
본 발명은 거푸집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이나 아파트 등 건축물 시공시 설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을 연결하는 것으로, 동일한 고정핀으로 체결 및 해체를 반복할 수 있어 깨끗한 벽면과 시공을 단축할 수 있고, 거푸집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푸집 설치 시공시간을 단축하여 공사기간을 최소화하고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거푸집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 철근골조의 바깥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의 골조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건물의 한층을 시공하기 위해 복수개 거푸집이 연결구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 거푸집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앵글형 연결구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앵글형 연결구는, 2개의 평판부가 상호 직각되도록 연결되어 단면이 L자인 앵글형상으로 구성되며 평판부에는 쐐기형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것으로,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는 거푸집의 코너부분 외측에 결합되어, 거푸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종래 거푸집 연결체는 길이가 긴 강철재 스트립의 측면을 상호 용접하여 제작되며, 체결구멍은 별도의 가공을 통해 형성되고 거푸집은 둘레면에 체결구멍과 대응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된 유로폼을 조립하여 제작된다.
이에 따라, 거푸집 연결체의 평판부 외측면이 거푸집의 코너부분에 밀착되도록 배치하고, 거푸집을 이루는 유로폼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거푸집 연결체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관통하도록 쐐기형체결구를 끼운 후, 별도의 보조쐐기형체결구를 쐐기형체결구의 관통공에 끼워 고정하여, 거푸집과 커푸집 연결구가 상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거푸집 연결체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을 매꾸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잉여공간을 매꾸기 위해서는 합판에 구멍을 내서 반생이로 불리우는 철선으로 설치되는 거푸집과 연결하기 때문에, 벽면이 고르게 유지되지 않으며, 거푸집이 상승할 때마다 합판을 풀었다가 다시 연결해야 작업을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 저하는 물론 작업시간을 지연시켜 전체 공사기간을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거푸집 연결체는, 강철로 제작되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서 운반이나 취급이 매우 어렵고,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측면에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체결구멍에 끼워진 쐐기형체결구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고정하기 때문에 체결구멍에 하중이 집중되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체결구멍을 중심으로 파열이 발생되어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쐐기형체결구가 거푸집 연결체의 평판부 내측에서 구비되는 체결구멍을 관통하도록 끼워지기 때문에, 거푸집에 밀착된 거푸집 연결체를 거푸집으로부터 분리해내기 위해 쐐기형체결구를 잡기 어려워 시공성 및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10-2010-0033810호인 거푸집 코너연결용 앵글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2개의 평판부가 상호 직각되도록 연결되어 단면이 L자인 앵글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평판부에는 쐐기가 삽입되는 쐐기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평판부의 외측면이 거푸집의 코너부분에 밀착되도록 고정설치되는 거푸집 코너연결용 앵글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코너연결용 앵글은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한 후, 평판부에 상기 쐐기공을 형성하여 제작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무게가 가볍고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거푸집 코너연결구에 구비되는 쐐기공 내측면에 돌출부가 구비되어 쐐기공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알루미늄 재질에 의해 무게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는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합성수지로 된 거푸집 연결체를 이용하여 잉여공간을 매꿈작업하고는 있으나, 합판과의 밀착을 위해 삽입구가 너무 좁아 합판 삽입을 돕기 위해 도구 등으로 삽입구를 확개시키는 과정에서 벽이 파손되거나 지나친 끼임으로 시공이 더디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10-0805193호인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소재 패널로 구조체접촉부와 유로폼 등의 일반 패널과 연결되는 패널접촉부를 구성하되, 상기 패널접촉부에는 상기 일반패널의 내외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엇물리는 형태로 접촉하는 저항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조립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할 경우 외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저항하는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강직성이 떨어지는 합성수지 소재로 되어 있어도 조립된 거푸집의 형상유지력을 보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삽입구를 벌려주는 동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합판 삽입방식이 아닌 연결구 자체체 의해 잉여공간이 매꾸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현장에 따라 거푸집과 거푸집의 사이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잉여공간에 맞는 거푸집 연결체를 각각 구비해야 함에 따라 비용적인 측면에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비용부담의 가중에 의해 건물의 시공비용이 증가되고 크기가 서로 다른 거푸집 연결체를 각각 구비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보관성은 물론 운반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033810호(2010.03.31.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05193호(2008.02.13. 등록)
본 발명은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을 매꾸어 주는 거푸집 연결체를 잉여공간에 따라 달라지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에 관계없이 시공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동일한 고정핀으로 체결 및 해체를 반복할 수 있어 깨끗한 벽면과 시공을 단축할 수 있으며, 거푸집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설치 시공시간을 단축하여 공사기간을 최소화하고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유로폼과 알루미늄폼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거푸집 연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는, 수평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꿈하는 직결형연결구와, 직각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꿈하는 코너형연결구와, 직각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꿈하되 인코너를 매꿈하는 인코너형연결구와, 상기 직결형연결구와 코너형연결구 및 인코너형연결구를 각각 연결하는 합판을 포함하는 거푸집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직결형연결구는, 거푸집과 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쐐기형체결구가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직결연결체결구멍이 복수개 구비되는 직결연결밀착부와; 상기 직결연결밀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합판이 삽입되고 삽입된 합판이 밀착되는 제1밀착바닥면을 갖는 직결연결합판삽입부와;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측으로 합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1계단식인입면과;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의 제1밀착바닥면으로부터 직각 연장되어 직결연결합판삽입부에 합판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합판 삽입이 완료되어 합판이 상기 제1밀착바닥면에 밀착되면 삽입된 합판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직결연결대각돌기를 갖는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와; 상기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의 내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에 밀착되는 합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직결연결탄성요철지지홈과;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측으로 합판이 삽입될 때 상기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의 벌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의 제1밀착바닥면에 구비되는 직결연결보강탄성홈으로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코너형연결구는, 거푸집과 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쐐기형체결구가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코너연결체결구멍이 복수개 구비되는 코너연결밀착부와; 상기 코너연결밀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합판이 삽입되고 삽입된 합판이 밀착되는 제2밀착바닥면을 갖는 코너연결합판삽입부와;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측으로 합판이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2계단식인입면과;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의 제2밀착바닥면으로부터 직각연장되어 코너연결합판삽입부에 합판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합판 삽입이 완료되어 합판이 상기 제2밀착바닥면에 밀착되면 삽입된 합판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코너연결대각돌기를 갖는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와; 상기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의 내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에 밀착되는 합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코너연결탄성요철지지홈과;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측으로 합판이 삽입될 때 상기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의 벌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의 제2밀착바닥면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보강탄성홈과; 상기 코너연결밀착부와 코너연결합판삽입부를 연결하는 코너연결보강부와; 상기 코너연결보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코너연결밀착부에 밀착되는 거푸집의 지지강도와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에 삽입되는 합판의 지지강도를 보강하는 코너연결보강대 및 상기 코너연결보강대에 구비되는 복수개 코너연결보강돌부로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인코너형연결구는, 제1합판이 삽입되되 제1합판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1인코너계단식인입면이 구비되고 삽입된 제1합판이 밀착되는 제1합판밀착면을 갖는 제1합판인코너삽입부와; 상기 제1합판인코너삽입부의 제1합판밀착면으로부터 직각연장되어 제1합판인코너삽입부에 제1합판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제1합판 삽입이 완료되어 제1합판밀착면에 제1합판이 밀착되면 삽입된 제1합판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제1인코너대각돌기가 구비되며 내면을 따라 복수개 인코너연결제1탄성요철지지홈을 갖는 제1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와; 상기 제1합판인코너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복수개 제1인코너연결보강돌부를 갖는 제1인코너연결보강대와; 제2합판이 삽입되되 제2합판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2인코너계단식인입면이 구비되고 삽입된 제2합판이 밀착되는 제2합판밀착면을 갖는 제2합판인코너삽입부와; 상기 제2합판인코너삽입부의 제2합판밀착면으로부터 직각연장되어 제2합판인코너삽입부에 제2합판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제2합판 삽입이 완료되어 제2합판밀착면에 제2합판이 밀착되면 삽입된 제2합판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제2인코너대각돌기가 구비되며 내면을 따라 복수개 인코너연결제2탄성요철지지홈을 갖는 제2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와; 상기 제2합판인코너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인코너연결보강대와 직각연결되고 복수개 제2인코너연결보강돌부를 갖는 제2인코너연결보강대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직결형연결구와 코너형연결구 및 인코너형연결구에 의해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을 매꾸어 줌은 물론 합판을 끼워주는 것으로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꿀 수 있음에 따라,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의 넓이에 관계없이 현장에서 시공이 가능하며, 거푸집 시공에 대한 시공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유로폼과 알루미늄폼을 겸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끼워지는 합판의 지지성이 크게 향상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합판의 끼움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작업성이 크게 향상되고,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을 매꾸어 주는 거푸집 연결체를 잉여공간에 따라 달라지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에 관계없이 시공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동일한 고정핀으로 체결 및 해체를 반복할 수 있어 깨끗한 벽면과 시공을 단축할 수 있으며, 거푸집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설치 시공시간을 단축하여 공사기간을 최소화하고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직결형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직결형연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직결형연결구를 세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코너형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코너형연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코너형연결구를 세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코너형연결구 다른 실시예를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직결 연결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코너연결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거푸집 연결체의 인코너형연결구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꿈하는 직결형연결구(10)와, 직각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꿈하는 코너형연결구(20)와, 직각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꿈하되 인코너를 매꿈하는 인코너형연결구(30)와, 상기 직결형연결구(10)와 코너형연결구(20) 및 인코너형연결구(30)를 각각 연결하는 합판을 포함하는 거푸집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결형연결구(10)와 코너형연결구(20) 및 인코너형연결구(3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합성수지로 직결형연결구(10)와 코너형연결구(20) 및 인코너형연결구(30)가 구비됨에 따라 중량 감소에 의한 운반 및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물론, 본 발명의 직결형연결구(10)와 코너형연결구(20) 및 인코너형연결구(30)의 재질을 합성수지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존 유로폼은 물론 알루미늄폼에 겸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결형연결구(10)는, 거푸집(F1)과 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쐐기형체결구(101)가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직결연결체결구멍(11a)이 복수개 구비되는 직결연결밀착부(11)와, 상기 직결연결밀착부(11)의 일측에 구비되어 합판(P1)이 삽입되고 삽입된 합판(P1)이 밀착되는 제1밀착바닥면(12a)을 갖는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와,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측으로 합판(P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1계단식인입면(13)과,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의 제1밀착바닥면(12a)으로부터 직각 연장되어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에 합판(P1)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삽입된 합판(P1)이 상기 제1밀착바닥면(12a)에 밀착되면 삽입된 합판(P1)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직결연결대각돌기(14a)를 갖는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와, 상기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의 내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에 밀착되는 합판(P1)의 측면을 지지하는 직결연결탄성요철지지홈(15)과,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측으로 합판(P1)이 삽입될 때 상기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의 벌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의 제1밀착바닥면(12a)에 구비되는 직결연결보강탄성홈(16)으로 구비된다.
상기 직결연결밀착부(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수평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F1)과 거푸집(F1)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을 연결하여 매꿔주는 것으로, 거푸집(F1)이 상기 직결연결밀착부(11)에 밀착된 후 쐐기형체결구(101)가 직결연결체결구멍(11a)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거푸집과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는, 합판(P1)이 끼워져 삽입되는 것으로 합판(P1)이 삽입될 때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의 일측에 위치 구비되는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에 의해 삽입된 합판(P1)이 견고히 지지됨은 물론, 합판(P1)의 끼움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즉,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와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 사이로 합판(P1)이 삽입되는 바, 이 때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1계단식인입면(13)에 의해 합판(P1)이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와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 사이로 가이드되어 삽입되기 때문에, 합판(P1)의 끼움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합판(P1)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삽입된 합판(P1)이 상기 제1밀착바닥면(12a)에 밀착되면 합판(P1)의 측면측으로 상기 벌어졌던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가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의 내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된 직결연결탄성요철지지홈(15)이 합판(P1)의 측면을 밀착 지지함에 따라, 끼워진 합판(P1)의 지지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측면이 들쑥날쑥한 합판(P1)의 측면을 상기 복수개 직결연결탄성요철지지홈(15)이 밀착함에 따라 합판(P1)이 빠져나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합판(P1)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어 합판(P1)에 대한 지지성이 더욱 향상되며, 끼워진 합판(P1)의 측면에 상기 직결연결대각돌기(14a)가 밀착되어 있음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끼워진 합판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너형연결구(20)는, 거푸집(F2)과 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쐐기형체결구(102)가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코너연결체결구멍(21a)이 복수개 구비되는 코너연결밀착부(21)와, 상기 코너연결밀착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합판(P2)이 삽입되고 삽입된 합판(P2)이 밀착되는 제2밀착바닥면(22a)을 갖는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와,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측으로 합판(P2)이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2계단식인입면(23)과,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의 제2밀착바닥면(22a)으로부터 직각연장되어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에 합판(P2)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삽입된 합판(P2)이 상기 제2밀착바닥면(22a)에 밀착되면 삽입된 합판(P2)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코너연결대각돌기(24a)를 갖는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와, 상기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의 내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에 밀착되는 합판(P2)의 측면을 지지하는 코너연결탄성요철지지홈(25)과,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측으로 합판(P2)이 삽입될 때 상기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의 벌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의 제2밀착바닥면(22a)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보강탄성홈(26)과, 상기 코너연결밀착부(21)와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를 연결하는 코너연결보강부(27)와, 상기 코너연결보강부(27)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코너연결밀착부(21)에 밀착되는 거푸집(F2)의 지지강도와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에 삽입되는 합판(P2)의 지지강도를 보강하는 코너연결보강대(28) 및 상기 코너연결보강대(28)에 구비되는 복수개 코너연결보강돌부(28a)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코너형연결구(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F1)과 거푸집(F2)의 코너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을 매꿔주는 것으로,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결형연결구(10)를 거푸집(F1)에 연결하여 시공하거나 또는 코너형연결구(20)를 거푸집(F1)과 거푸집(F2)에 각각 연결하여 시공하여도 된다.
상기 코저연결밀착부(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F2)에 밀착된 쐐기형체결구(102)가 코너연결체결구멍(21a)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거푸집(F2)과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는, 합판(P2)이 끼워져 삽입되는 것으로 합판(P2)이 삽입될 때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의 일측에 위치 구비되는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에 의해 삽입된 합판(P2)이 견고히 지지됨은 물론, 합판(P2)의 끼움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즉,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와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 사이로 합판(P2)이 삽입되는 바, 이 때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2계단식인입면(23)에 의해 합판(P2)이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와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 사이로 가이드되어 삽입되기 때문에, 합판(P2)의 끼움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합판(P2)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삽입된 합판(P2)이 상기 제2밀착바닥면(22a)에 밀착되면 합판(P2)의 측면측으로 상기 벌어졌던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가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의 내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된 코너연결탄성요철지지홈(25)이 합판(P2)의 측면을 밀착 지지함에 따라, 끼워진 합판(P2)의 지지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측면이 들쑥날쑥한 합판(P2)의 측면을 상기 복수개 코너연결탄성요철지지홈(25)이 밀착함에 따라 합판(P2)이 빠져나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합판(P2)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어 합판(P2)에 대한 지지성이 더욱 향상되며, 끼워진 합판(P2)의 측면에 상기 코너연결대각돌기(24a)가 밀착되어 있음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끼워진 합판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코너연결보강부(27)로부터 연장되고 복수개 코너연결보강돌부(28a)가 구비되는 코너연결보강대(28)에 의해 상기 합판(P2)과 거푸집(F2) 사이의 지지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합판(P2)이 끼워진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와 거푸집(F2)이 연결된 코너연결밀착부(2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코너연결보강부(27)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연장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코너연결보강부(27)의 길이연장에 의해 상기 코너연결보강부(27)로부터 연장되고 복수개 코너연결보강돌부(28a)가 구비되는 코너연결보강대(28) 갯수 역시 한정되지 않고, 연장되는 코너연결보강부(27)에 대해 다양한 갯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코너형연결구(30)는, 제1합판(103)이 삽입되되 제1합판(103)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1인코너계단식인입면(31a)이 구비되고 삽입된 제1합판(103)이 밀착되는 제1합판밀착면(31b)을 갖는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와, 상기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의 제1합판밀착면(31b)으로부터 직각연장되어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에 제1합판(103)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제1합판(103) 삽입이 완료되어 제1합판밀착면(31b)에 제1합판(103)이 밀착되면 삽입된 제1합판(103)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제1인코너대각돌기(32a)가 구비되며 내면을 따라 복수개 인코너연결제1탄성요철지지홈(32b)을 갖는 제1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2)와, 상기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로부터 연장되고 복수개 제1인코너연결보강돌부(33a)를 갖는 제1인코너연결보강대(33)와, 제2합판(104)이 삽입되되 제2합판(104)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2인코너계단식인입면(34a)이 구비되고 삽입된 제2합판(104)이 밀착되는 제2합판밀착면(34b)을 갖는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와, 상기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의 제2합판밀착면(34b)으로부터 직각연장되어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에 제2합판(104)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제2합판(104) 삽입이 완료되어 제2합판밀착면(34b)에 제2합판(104)이 밀착되면 삽입된 제2합판(104)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제2인코너대각돌기(35a)가 구비되며 내면을 따라 복수개 인코너연결제2탄성요철지지홈(35b)을 갖는 제2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5)와, 상기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인코너연결보강대(33)와 직각연결되고 복수개 제2인코너연결보강돌부(36a)를 갖는 제2인코너연결보강대(36)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인코너형연결구(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합판(103)과 제2합판(104)을 연결하여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인코너를 연결하여 잉여공간을 매꿔주는 것으로, 상기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와 제1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2) 사이로 제1합판(103)이 끼워져 삽입 연결되고, 상기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와 제2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5) 사이로 제2합판(104)이 끼워져 삽입 연결된다.
상기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와 제1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2) 사이로 제1합판(103)이 끼워지고, 상기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와 제2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5) 사이로 제2합판(104)이 끼워질 때, 상기 제1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2)와 제2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5)가 각각 벌어졌다가 삽입된 제1합판(103)과 제2합판(104)이 각각 상기 제1합판밀착면(31b)와 제2합판밀착면(34b)에 밀착되면, 벌어졌던 상기 제1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2)와 제2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5)가 각각 제1합판(103)과 제2합판(104)의 측면에 밀착되어 지지함에 따라 끼워진 합판(103)(104)에 대한 지지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측면이 들쑥날쑥한 합판(103)(104)의 측면을 각각 상기 복수개 인코너연결제1탄성요철지지홈(32b)과 인코너연결제2탄성요철지지홈(35b)이 밀착함에 따라 합판(103)(104)이 각각 빠져나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합판(103)(104)이 유격을 방지할 수 있어 지지성이 더욱 향상되며, 끼워진 합판(103)(104)의 측면에 상기 제1인코너연결대각돌기(32a)와 제2인코너연결대각돌기(35a)가 각각 밀착되어 있음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끼워진 합판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인코너연결보강대(33)와 제2인코너연결보강대(36)에 각각 구비된 제1인코너연결보강돌부(33a)와 제2인코너연결보강돌부(36a)에 의해 상기 합판(103)과 합판(104)과의 지지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합판(103)(104)이 각각 끼움 연결된 제1인코너삽입부(31) 및 제1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2)와 제2인코너삽입부(34) 및 제2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5)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직결연결체구멍(11a)과 코너연결체구멍(2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원형구멍과 양측에 사각형 구멍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시된 쐐기형체결구(101)(102)는 물론, 봉형체결구를 겸용하여 체결할 수 있어, 기존 유로폼은 물론 알루미늄폼에 겸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직결형연결구 11 : 직결연결밀착부
11a : 직결연결체결구멍 12 : 직결연결합판삽입부
12a : 제1밀착바닥면 13 : 제1계단식인입면
14 :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 14a : 직결연결대각돌기
15 : 직결연결탄성요철지지홈 16 : 직결연결보강탄성홈
20 : 코너형연결구 21 : 코너연결밀착부
21a : 코너연결체결구멍 22 : 코너연결합판삽입부
22a : 제2밀착바닥면 23 : 제2계단식인입면
24 :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 24a : 코너연결대각돌기
25 : 코너연결탄성요철지지홈 26 : 코너연결보강탄성홈
27 : 코너연결보강부 28 : 코너연결보강돌부
30 : 인코너형연결구 31 ; 제1합판인코너삽입부
31a : 제1인코너계단식인입면 31b : 제1합판밀착면
32 : 제1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 32a : 제1인코너대각돌기
32b : 인코너연결제1탄성요철지지홈 33 : 제1인코너연결보강대
33a : 제1인코너연결보강돌부 34 : 제2합판인코너삽입부
34a : 제2인코너계단식인입면 34b : 제2합판밀착면
35 : 제2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 35a : 제2인코너대각돌기
35b : 인코너연결제2탄성요철지지홈 36 : 제2인코너연결보강대
36a : 제2인코너연결보강돌부

Claims (3)

  1. 수평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꿈하는 직결형연결구(10)와, 직각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꿈하는 코너형연결구(20)와, 직각선상으로 위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잉여공간을 매꿈하되 인코너를 매꿈하는 인코너형연결구(30)와, 상기 직결형연결구(10)와 코너형연결구(20) 및 인코너형연결구(30)를 각각 연결하는 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직결형연결구(10)는, 거푸집(F1)과 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쐐기형체결구(101)가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직결연결체결구멍(11a)이 복수개 구비되는 직결연결밀착부(11)와, 상기 직결연결밀착부(11)의 일측에 구비되어 합판(P1)이 삽입되고 삽입된 합판(P1)이 밀착되는 제1밀착바닥면(12a)을 갖는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와,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측으로 합판(P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1계단식인입면(13)과,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의 제1밀착바닥면(12a)으로부터 직각 연장되어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에 합판(P1)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삽입된 합판(P1)이 상기 제1밀착바닥면(12a)에 밀착되면 삽입된 합판(P1)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직결연결대각돌기(14a)를 갖는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와, 상기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의 내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에 밀착되는 합판(P1)의 측면을 지지하는 직결연결탄성요철지지홈(15)과,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측으로 합판(P1)이 삽입될 때 상기 직결연결합판탄성지지부(14)의 벌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직결연결합판삽입부(12)의 제1밀착바닥면(12a)에 구비되는 직결연결보강탄성홈(16)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인코너형연결구(30)는,
    제1합판(103)이 삽입되되 제1합판(103)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1인코너계단식인입면(31a)이 구비되고 삽입된 제1합판(103)이 밀착되는 제1합판밀착면(31b)을 갖는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와;
    상기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의 제1합판밀착면(31b)으로부터 직각연장되어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에 제1합판(103)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제1합판(103) 삽입이 완료되어 제1합판밀착면(31b)에 제1합판(103)이 밀착되면 삽입된 제1합판(103)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제1인코너대각돌기(32a)가 구비되며 내면을 따라 복수개 인코너연결제1탄성요철지지홈(32b)을 갖는 제1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2)와;
    상기 제1합판인코너삽입부(31)로부터 연장되고 복수개 제1인코너연결보강돌부(33a)를 갖는 제1인코너연결보강대(33)와;
    제2합판(104)이 삽입되되 제2합판(104)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2인코너계단식인입면(34a)이 구비되고 삽입된 제2합판(104)이 밀착되는 제2합판밀착면(34b)을 갖는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와;
    상기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의 제2합판밀착면(34b)으로부터 직각연장되어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에 제2합판(104)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제2합판(104) 삽입이 완료되어 제2합판밀착면(34b)에 제2합판(104)이 밀착되면 삽입된 제2합판(104)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제2인코너대각돌기(35a)가 구비되며 내면을 따라 복수개 인코너연결제2탄성요철지지홈(35b)을 갖는 제2인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35)와;
    상기 제2합판인코너삽입부(34)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인코너연결보강대(33)와 직각연결되고 복수개 제2인코너연결보강돌부(36a)를 갖는 제2인코너연결보강대(36)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연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연결구(20)는, 거푸집(F2)과 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쐐기형체결구(102)가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코너연결체결구멍(21a)이 복수개 구비되는 코너연결밀착부(21)와, 상기 코너연결밀착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합판(P2)이 삽입되고 삽입된 합판(P2)이 밀착되는 제2밀착바닥면(22a)을 갖는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와,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측으로 합판(P2)이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2계단식인입면(23)과,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의 제2밀착바닥면(22a)으로부터 직각연장되어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에 합판(P2)이 삽입될 때 벌어졌다가 삽입된 합판(P2)이 상기 제2밀착바닥면(22a)에 밀착되면 삽입된 합판(P2)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고 끝단에 코너연결대각돌기(24a)를 갖는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와, 상기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의 내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에 밀착되는 합판(P2)의 측면을 지지하는 코너연결탄성요철지지홈(25)과, 상기 코너연결밀착부(21)와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를 연결하는 코너연결보강부(27)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측으로 합판(P2)이 삽입될 때 상기 코너연결합판탄성지지부(24)의 벌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의 제2밀착바닥면(22a)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보강탄성홈(26)과;
    상기 코너연결보강부(27)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코너연결밀착부(21)에 밀착되는 거푸집(F2)의 지지강도와 상기 코너연결합판삽입부(22)에 삽입되는 합판(P2)의 지지강도를 보강하는 코너연결보강대(28) 및 상기 코너연결보강대(28)에 구비되는 복수개 코너연결보강돌부(28a)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연결체.
  3. 삭제
KR1020220028801A 2022-03-07 2022-03-07 거푸집 연결체 KR10244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01A KR102446198B1 (ko) 2022-03-07 2022-03-07 거푸집 연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01A KR102446198B1 (ko) 2022-03-07 2022-03-07 거푸집 연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198B1 true KR102446198B1 (ko) 2022-09-21

Family

ID=8345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01A KR102446198B1 (ko) 2022-03-07 2022-03-07 거푸집 연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1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388A (ko) * 2006-06-22 2007-12-27 임정순 저항부재를 갖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0805193B1 (ko) 2006-06-22 2008-02-21 임정순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구
KR20100033810A (ko)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창건 거푸집 코너연결용 앵글
KR20120002152A (ko) * 2010-06-30 2012-01-05 강선중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102009839B1 (ko) * 2018-04-17 2019-08-13 주식회사블루폼 길이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388A (ko) * 2006-06-22 2007-12-27 임정순 저항부재를 갖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0805193B1 (ko) 2006-06-22 2008-02-21 임정순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구
KR20100033810A (ko)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창건 거푸집 코너연결용 앵글
KR20120002152A (ko) * 2010-06-30 2012-01-05 강선중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102009839B1 (ko) * 2018-04-17 2019-08-13 주식회사블루폼 길이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439B1 (ko) 유로폼 고정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의 일체적 지지구조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849940B1 (ko) 브래킷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2000534B1 (ko) 거푸집 겸용 고내구성 텍스타일 보강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55723Y1 (ko) 하이브리드 철골보
KR101194681B1 (ko) 보조 판넬 결합용 클램프
KR101022708B1 (ko) 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
KR101308053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2446198B1 (ko) 거푸집 연결체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110068685A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20100004638U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US11761164B2 (en) Method for forming a foundation wall
KR101039876B1 (ko)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
JP2010168877A (ja) 残存型枠、およびこれに用いる型枠パネル
KR20190046336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KR20000061241A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101350797B1 (ko) 강연선 위치 고정수단을 가진 pc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1방향 장선 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20190001131U (ko)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