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225Y1 -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225Y1
KR200224225Y1 KR2020000037237U KR20000037237U KR200224225Y1 KR 200224225 Y1 KR200224225 Y1 KR 200224225Y1 KR 2020000037237 U KR2020000037237 U KR 2020000037237U KR 20000037237 U KR20000037237 U KR 20000037237U KR 200224225 Y1 KR200224225 Y1 KR 200224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losure
auxiliary handle
handle portion
mai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림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림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림정공
Priority to KR2020000037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2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225Y1/ko

Links

Abstract

용기 마개를 개시한다. 용기 마개는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를 포함한다. 마개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 절취 가능하게 덮개부가 결합된다. 덮개부의 밑면에는 용기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가 형성된다. 덮개부의 외주면에는 메인 손잡이부가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고, 메인 손잡이부가 마개 본체에 또한 절취 가능하게 연결된다. 절취선이 없는 부분인 연결부를 통해서 덮개부와 메인 손잡이부가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연결부로부터 180° 위치인 메인 손잡이부에는 연직 하방으로 보조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보조 손잡이부가 수용되는 절개부를 마개 본체가 갖는다. 보조 손잡이부의 양측면이 마개 본체의 절개부 양측면에 절취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개 본체의 내주면에는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원주형 걸림돌기부가 형성된다. 또한, 보다 손쉬운 개방을 위해, 보조 손잡이부에 수직선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는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용기 마개{BOTTLE CAP}
본 고안은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 개방되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용기 마개는 용기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용기 마개를 통해서 용기내의 물질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 마개는 용기에 매우 강하게 나사 결합되어야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악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는 마개를 회전시키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손이나 용기 마개에 기름 혹은 비눗물이 묻거나 손에 땀이 났을 경우에는, 용기 마개를 회전시키기가 더욱 힘들어진다. 또한, 마개가 용기에서 공회전되는 경우도 있고, 마개를 완전히 개방하더라도 절취부가 잔류하거나, 절취부가 절취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개가 쉽게 빠지기도 한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절취식으로 용기 입구를 개방하는 방식의 용기 마개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용기 마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중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 입구에 마개 본체가 결합되어 있다. 마개 본체는 상하가 개구된 형상이고, 마개 본체의 상부에 덮개부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는 마개 본체에 수지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덮개부와 마개 본체가 접하는 각각의 주면은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덮개부를 잡고 위로 당기면, 절취선을 따라 덮개부가 마개 본체로부터 절취되어서, 용기 입구가 개방되어진다. 젖혀진 덮개부는 마개 본체에 수지 경첩식으로 연결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용기 마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 번의 동작으로 덮개부 전체를 마개 본체로부터 절취시켜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개방시키기가 힘이 든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악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는 여전히 부담스러운 면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용기 마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번의 동작에 걸쳐 개방되도록 하여, 용기 입구를 보다 수월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시도.
도 2는 덮개부가 마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 손잡이부 20 ; 고리부
30,35 ; 절취선 40 ; 밀봉부
50 ; 연결부 60 ; 보조 손잡이부
100 ; 덮개부 200 ; 마개 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를 포함한다. 마개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 절취 가능하게 덮개부가 결합된다. 덮개부의 밑면에는 용기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가 형성된다. 덮개부의 외주면에는 메인 손잡이부가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고, 메인 손잡이부가 마개 본체에 또한 절취 가능하게 연결된다. 덮개부와 메인 손잡이부간의 절취선은 원주 형태이고, 이러한 원주 형태의 절취선은 완전한 원주를 이루지 않고 어느 한 부분이 서로 이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절취선이 없는 부분인 연결부를 통해서 덮개부와 메인 손잡이부가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연결부로부터 180° 위치인 메인 손잡이부에는 연직 하방으로 보조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손잡이부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마개 본체는 양단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형상이고, 양단 사이에 보조 손잡이부가 수용된다. 보조 손잡이부의 양측면이 마개 본체의 양단에 절취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개 본체의 내주면에는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원주형 걸림돌기부가 형성된다.
또한, 보다 손쉬운 개방을 위해, 보조 손잡이부에 수직선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는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고리부를 잡고 연결부 방향을 향해 위로 들어올리면서 회전시키면, 보조 손잡이부와 메인 손잡이부가 마개 본체로부터 연결부까지 절취된다. 그런 다음, 메인 손잡이부를 잡고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덮개부 전체가 용기 입구로부터 분리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마개 본체로부터 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 입구(미도시)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200)를 포함한다. 마개 본체(200)는 상하가 개구되면서 일부분이 절개되어 서로 연결되지 않는 원통 형상이다. 마개 본체(200)의 내주면 하부에는 2개의 걸림돌기부(210)가 형성되어서, 이 걸림돌기부(210)가 용기 입구에 형성된 돌기부(미도시)에 결합되어진다. 따라서, 일부 절개된 형상의 마개 본체(200)에 어느 정도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도, 쉽게 용기 입구로부터 분리되지는 않는다.
용기 입구를 밀봉하는 덮개부(100)가 마개 본체(200) 상부에 설치된다. 덮개부(100)의 밑면 중앙에는 용기 입구에 끼워지는 밀봉부(40)가 형성된다. 덮개부(100)는 메인 손잡이부(10)를 갖는다. 메인 손잡이부(10)는 덮개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링 형상으로서, 덮개부(100)의 외주면에 절취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부호 35가 덮개부(100)와 메인 손잡이부(10)간의 절취선을 나타낸다. 한편, 35번의 절취선은 완전한 원주 형태가 아니라 양단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다. 이격된 위치는 마개 본체(200)의 절개된 부분과 180° 간격을 이룬다. 따라서, 메인 손잡이부(10)는 절취선이 연결되지 않은 부분, 즉 연결부(50)를 통해서 덮개부(100)에 일체로 연결된다. 메인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이 마개 본체(200)의 상단 내주면에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러한 절취선이 도면부호 30번이다. 특히, 내측 절취선(35)은 밀봉부(40)의 외곽에 배치되어야만, 이후에 메인 손잡이부(10)의 절취가 가능해진다.
한편, 마개 본체(200)의 개구된 부분은 여전히 빈 공간으로 남게 된다. 메인 손잡이부(100)의 하단으로부터 보조 손잡이부(60)가 연직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이 보조 손잡이부(60)가 마개 본체(200)의 이격된 부분에 배치된다. 보조 손잡이부(60)의 양단이 마개 본체(200)의 양단에 메인 손잡이부(10)와 마찬가지로 절취 가능하게 연결된다.
메인 손잡이부(10)를 마개 본체(200)와 덮개부(100)로부터 보다 손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고리부(20)가 보조 손잡이부(60)에 형성된다. 고리부(20)는 보조 손잡이부(60)의 외면 하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고리부(20)를 이러한 방향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고리부(20)와 보조 손잡이부(60) 사이를 통해서 손가락을 집어넣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고리부(20)는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손잡이부(60)와 함께 직육면틀 형상을 이루어서, 그 내부 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가 있게 된다. 물론, 고리부(20)의 형상이 직육면틀 형상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 공간이 존재하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삼각형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 마개를 개방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마개가 용기 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1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00)는 마개 본체(200)의 상부면을 덮고 있고, 보조 손잡이부(60)는 마개 본체(200)의 양단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리부(20)는 보조 손잡이부(60)의 외측면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내의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고리부(20)와 보조 손잡이부(60) 사이로 검지 손가락을 진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엄지 손가락을 고리부(20)의 외측에 위치시켜서, 고리부(20)내의 공간을 통해서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맞댄다.
그런 다음, 고리부(20)를 연결부(50) 방향으로 젖히면, 도 2와 같이 메인 손잡이부(10)가 내외 절취선(35,30)을 따라 절취되므로써, 메인 손잡이부(10)는 마개 본체(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덮개부(100)에는 연결부(50)를 통해서만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때, 마개 본체(200)는 걸림돌기부(210)가 용기 입구의 돌기부와 견고히 결합된 상태이므로, 젖히는 힘이 작용해도 마개 본체(200)가 용기 입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은 방지된다.
이어서, 두 손가락으로 고리부(20)를 계속 잡고 있는 상태에서 이번에는 위와는 반대 방향으로 고리부(20)를 당긴다. 그러면, 절취된 메인 손잡이부(10)도 위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므로써, 용기 입구에 끼워져 있던 밀봉부(40)가 용기 입구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연결부(50) 부근에서 밀봉부(40) 개방을 위한 힘보다 멀리 떨어진 고리부(20)로부터 메인 손잡이부(10)를 통한 밀봉부(40) 개방을 위한 힘이 당연히 작게 들므로, 종래의 마개보다 본 고안에 따른 마개를 보다 수월하게 개방시킬 수가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마개는 일측 방향으로 한 번 젖히고, 다시 타측 방향으로 젖히는 2회 동작으로 용기 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음용 후에는, 완전 분리된 덮개부(100)를 용기 입구에 씌워서, 밀봉부(40)가 용기 입구를 밀봉하도록 하여, 용기내의 물질 누설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마개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손잡이부(10)가 보조 손잡이부(60) 및 고리부(20)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메인 손잡이부(10)가 보조 손잡이부(60)와 고리부(20)를 가질 필요는 없다.
즉, 메인 손잡이부(10)가 보조 손잡이부(60)와 고리부(20)를 갖지 않는 단순한 링 형상이 될 수 있다. 메인 손잡이부(10)가 이러한 링 형상이 되면, 보조 손잡이부(60)를 수용시키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마개 본체(200)도 끊어지지 않는 일체의 링 형상이 될 것이다. 다만, 메인 손잡이부(10)를 위로 젖히기 용이하도록, 메인 손잡이부(10)에 손잡이용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손잡이부(10)가 고리부(20)는 갖지 않고 보조 손잡이부(60)만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마개 본체(200)는 실시예와 같이 양단이 이격된 형상이 될 것이다. 마개를 열기 위해서는, 보조 손잡이부(60)의 하단을 잡고 위로 들어올려서, 각 절취선(30,35)을 따라 메인 손잡이부(10)를 절취하면 된다. 그러나, 보조 손잡이부(60)가 반드시 마개 본체(200) 사이에 수용될 필요는 없으므로, 마개 본체(2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대신에 보조 손잡이부(60)가 고리부(20)와 같이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추구하는 목적이 개방에 필요한 힘을 최대한 적게하는 것이므로, 실시예와 같이 메인 손잡이부(10)가 보조 손잡이부(60)와 고리부(20)를 모두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입구가 원통형의 실시예를 갖는 것으로 도면에서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마개 본체(200)와 덮개부(100)도 원통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용기 입구의 형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마개도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개 전체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종이 등과 같은 다른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를 먼 거리에서 힘을 가하여 개방시키게 되므로써, 덮개부 개방을 위한 직접적인 힘보다 매우 적은 힘으로 마개 개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개는 절취전에는 마개 본체와 덮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생산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결합된 마개 본체; 및
    상기 마개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 입구를 밀봉하고, 상기 마개 본체의 상단과 절취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손잡이부를 가지며, 상기 메인 손잡이부와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일부는 일체화된 덮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연결된 부분과 180°를 이루는 메인 손잡이부 부분에 손으로 잡기 용이한 보조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는 양단이 연결되지 않는 절단부를 갖고, 상기 보조 손잡이부가 절단부에 수용되어 상기 마개 본체의 양단에 절취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갖는 마개 본체의 내주면에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손잡이부에 손가락으로 잡기 용이한 고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보조 손잡이부의 외측면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보조 손잡이부와 함께 직육면틀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용기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입구는 원통형이고, 상기 용기 입구의 형상에 따라 상기 마개 본체와 덮개부도 원통형이며, 상기 메인 손잡이부는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KR2020000037237U 2000-12-30 2000-12-30 용기 마개 KR200224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37U KR200224225Y1 (ko) 2000-12-30 2000-12-30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37U KR200224225Y1 (ko) 2000-12-30 2000-12-30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225Y1 true KR200224225Y1 (ko) 2001-05-15

Family

ID=7309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237U KR200224225Y1 (ko) 2000-12-30 2000-12-30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2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0207A (en) Container and heat-resistant cap for use with same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US6079588A (en) Resealable container cover
EP3766797B1 (en) Stopper for container with easy opening and retention of the cap once opened
GB2255083A (en) Closures
KR200224225Y1 (ko) 용기 마개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JP3124569U (ja) 容器の口栓装置
JPH1191779A (ja) 飲料缶
JPH11240552A (ja) 飲料用容器のふた
JPS6333821Y2 (ko)
JP45166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RU222008U1 (ru) Закрывающий колпачок на шарнире с защитой от брызг
JPS5916245Y2 (ja) 果実酒用広口壜
KR200374679Y1 (ko) 튜브용기 뚜껑
KR940002881Y1 (ko) 용기의 뚜껑부 회전 개폐장치
JP7062538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532425Y2 (ko)
RU67551U1 (ru) Крышка для укупорки сосуда и сосуд, снабженный такой крышкой
JP2004010073A (ja) 容器の封緘具
KR200244521Y1 (ko) 이중개폐가능한캡
KR20000041528A (ko) 상면부에 별도의 당김고리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KR200308955Y1 (ko) 운반과 개폐가 간편한 음료용기의 마개
JP6434358B2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213038Y1 (ko) 병체와 뚜껑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