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667Y1 -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667Y1
KR200425667Y1 KR2020060015364U KR20060015364U KR200425667Y1 KR 200425667 Y1 KR200425667 Y1 KR 200425667Y1 KR 2020060015364 U KR2020060015364 U KR 2020060015364U KR 20060015364 U KR20060015364 U KR 20060015364U KR 200425667 Y1 KR200425667 Y1 KR 200425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iquid container
container
cutt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060015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6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6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with handles or other special means facilitating manu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65D55/08Annular elements encircling container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가 개시된다. 내부마개는 액체용기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액체용기의 결합부 단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게 외주연에 걸림턱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결합부와 연통되는 입출공이 형성된다. 외부마개는 내부마개와 접힘연결부로 연결되고, 내측면에는 입출공의 내측에 결합되는 밀폐돌부가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절취마개는 내부마개의 삽입부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결합부와 연통되는 입출공을 밀봉시키며, 외주면 일측에는 손쉬운 절취를 위해 절취손잡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내용물이 담긴 액체용기가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유통과정에서 내부마개에 형성된 절취마개의 절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액체용기 내부의 내용물의 위조여부를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어 공급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용기 마개가 액체용기의 상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액체용기를 안전하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다.
액체용기, 용기 마개

Description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CONTAINER CAP OF LIQUID RECEPTACL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내부마개와 외부마개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용기 마개의 내부마개와 외부마개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은 용기 마개가 액체용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a,4b,4c는 본 고안의 용기 마개가 액체용기에서 개봉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체용기 102 : 결합부
110 : 용기 마개 120 : 내부마개
122 : 삽입부 122A : 걸림턱
124 : 입출공 130 : 접힘연결부
140 : 외부마개 141 : 밀폐돌부
143 : 손잡이 150 : 절취마개
152 : 절취손잡이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 마개의 구조를 변경하여 용기 마개의 사용이 용이하고, 액체용기 내부의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여 공급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적은 힘으로 덮개를 본체로부터 분리 시킬 수 있는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용기에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수단과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용기(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게 저면에 결합부(22)가 형성된 본체(20), 본체(20)에 연결부(30)로 연결된 덮개(40), 덮개(40)에 다수의 절취편(47)으로 연결된 손잡이부(4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용기 마개(10)는 덮개(40)를 닫은 상태에서 본체(20)를 액체용기에 끼워 설치하게 되며, 내용물을 따라 내기 위해 덮개(40)를 열려고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46)를 들어올려 절취편(47)이 끊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부(46)를 잡아당기면 덮개(40)가 본체(20)에서 분리되어 공기가 액체용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절취편(47)이 끊어졌는지 여부를 보고 용기 마개(10)의 개봉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절취편(47)으로 연결된 손잡이부(46)를 덮개(40)에서 분리시킨 다음 덮개(40)를 본체(20)에서 분리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였고, 절취편(47)이 끊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덮개(40)를 본체(2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용기 마개(10)를 통해 내용물을 위조할 수 있었으며, 용기마개(10)가 액체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용기를 다층으로 적층시 액체용기가 기울어지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용기 마개의 구조를 변경하여 용기 마개의 사용이 용이하고, 액체용기 내부의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여 공급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적은 힘으로 덮개를 본체로부터 분리 시킬 수 있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액체용기의 결합부 단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게 외주연에 걸림턱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결합부와 연통되는 입출공이 형성된 내부마개;
내부마개에 접힘연결부로 연결되며, 일면에는 입출공의 내측에 결합되는 밀폐돌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외부마개; 및
삽입부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입출공을 밀봉시키는 절취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기 마개는 액체용기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액체용기의 적재가 용이하고, 절취마개를 절취 제거한 후 사용해야하므로 액체용기내부의 내용물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내부마개와 외부마개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용기 마개의 내부마개와 외부마개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은 용기 마개가 액체용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마개(110)는 크게 내부마개(120), 외부마개(140) 및 절취마개(150)로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부마개(120)는 액체용기(100)의 결합부(102)에 결합되는 것으로, 액체용기(100)의 결합부(102) 단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게 외주연에 걸림턱(122A)을 갖는 삽입부(122)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결합부(102)와 연통되는 입출공(124)이 형성된다.
외부마개(140)는 액체용기(100)의 결합부(102)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내부마개(120)에 접힘연결부(130)로 연결된다. 내측면에는 입출공(124)의 내측에 결합되는 밀폐돌부(141)가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에는 손잡이(143)가 형성된다.
절취마개(150)는 내부마개(120)의 삽입부(122)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결합부(102)와 연통되는 입출공(124)을 밀봉시킨다. 외주면 일측에는 손쉬운 절취를 위 해 절취손잡이(152)가 형성된다.
본 고안 용기 마개(110)는 액체용기(100)의 결합부(102)에 결합되었을 때 액체용기(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두께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기 마개(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마개(120)에 외부마개(140)를 닫지않은 상태, 즉 외부마개(140)가 내부마개(120)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제공되고, 내부마개(120)의 삽입부(122)에 절취마개(150)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렇게 제공된 용기 마개(110)는 내부마개(120)의 상부로 외부마개(140)를 회전시켜 닫아주게 되면 밀폐돌부(141)가 입출공(124)에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며, 동시에 내부마개(120)와 외부마개(140)를 연결시키는 접힘연결부(130)는 중앙부가 접히게 된다.(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 마개(110)의 내부마개(120)와 외부마개(1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용기 마개(110)를 액체용기(100)의 결합부(102)에 결합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마개(120)의 삽입부(122)를 결합부(102)에 압입 결합시키면, 삽입부(122)에 형성된 걸림턱(122A) 상단부가 결합부(102)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부마개(120)는 삽입부(122)가 결합부(102)에 저지되는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용기 마개(100)에 손상을 주지않고 분해하지 못하게 된다.
액체용기(100)에 용기 마개(110)가 도 3과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액체용기(100)에 담겨진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용기 마개(110)의 외부마개(140)를 열려 고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외부마개(140)에 형성된 손잡이(143)를 잡은 후 손잡이(143)를 상방(화살표방향)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손잡이(143)를 들어올리는 힘에 의해 외부마개(140)가 회동되면서 밀폐돌부(141)가 입출공(124)으로부터 분리되고 접힘연결부(130)가 펼쳐짐으로서 이 접힘연결부(130)를 기점으로 외부마개(140)가 열리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외부마개(140)가 내부마개(120)로부터 열리게 되면, 절취마개(150)의 절취손잡이(152)를 상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절취마개(150)가 내부마개(120)의 삽입부(122)에서 절취되기 시작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절취손잡이(152)를 상방(화살표방향)으로 더 잡아당기면 절취마개(150)가 삽입부(122)에서 절취 제거되고, 이에 따라 내부마개(120)의 입출공(124)을 통해 액체용기(100)의 결합부(102)가 연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체용기(100)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사용하면 되고 내용물의 사용이 완료되면, 외부마개(140)를 내부마개(12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외부마개(140)의 밀폐돌부(141)가 내부마개(120)의 입출공(124)에 끼워지고, 접힘연결부(130)는 원래 상태로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용기 마개(110)는 절취마개(140)의 절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액체용기(100) 내부의 내용물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에 서는, 내용물이 담긴 액체용기가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유통과정에서 내부마개에 형성된 절취마개의 절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액체용기 내부의 내용물의 위조여부를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어 공급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용기 마개가 액체용기의 상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액체용기를 안전하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로서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액체용기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의 결합부 단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게 외주연에 걸림턱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와 연통되는 입출공이 형성된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접힘연결부로 연결되며, 일면에는 상기 입출공의 내측에 결합되는 밀폐돌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외부마개; 및
    상기 삽입부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입출공을 밀봉시키는 절취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마개에는 손쉬운 절취를 위해 절취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2020060015364U 2006-06-08 2006-06-08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200425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364U KR200425667Y1 (ko) 2006-06-08 2006-06-08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364U KR200425667Y1 (ko) 2006-06-08 2006-06-08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667Y1 true KR200425667Y1 (ko) 2006-09-19

Family

ID=4177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364U KR200425667Y1 (ko) 2006-06-08 2006-06-08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66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32Y1 (ko) * 2007-10-24 2010-01-08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101504834B1 (ko) 2013-09-09 2015-03-20 김충구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캡
KR20160003407U (ko) * 2015-03-25 2016-10-06 민미강 수납 케이스
US10207843B2 (en) 2015-01-02 2019-02-19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ntainer stopper having multi-lock structure
KR20210093635A (ko) 2020-01-20 2021-07-28 방경화 액체 용기용 마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32Y1 (ko) * 2007-10-24 2010-01-08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101504834B1 (ko) 2013-09-09 2015-03-20 김충구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캡
US10207843B2 (en) 2015-01-02 2019-02-19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ntainer stopper having multi-lock structure
RU2692433C2 (ru) * 2015-01-02 2019-06-24 СиДжей ЧЕИЛДЗЕДАНГ КОРПОРЕЙШН Пробка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имеющая структуру с множеством запирающих элементов
KR20160003407U (ko) * 2015-03-25 2016-10-06 민미강 수납 케이스
KR200482041Y1 (ko) 2015-03-25 2016-12-08 민미강 수납 케이스
KR20210093635A (ko) 2020-01-20 2021-07-28 방경화 액체 용기용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667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KR200425666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200429144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200439893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20090001986U (ko)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KR200447232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200430277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101382634B1 (ko)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KR20090125397A (ko) 액체용기의 마개
KR200305491Y1 (ko)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102146008B1 (ko) 용기캡
KR20070078675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KR200279690Y1 (ko) 포장용 캔용기의 마개
WO2005002980A2 (en) Wine bottle screw cap
KR200173348Y1 (ko) 분리가용이한위조방지용캔마개
KR200286571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80093352A (ko) 안전덮개를 가진 밀폐 뚜껑
KR100622627B1 (ko) 용기의 마개
KR200425778Y1 (ko) 위조방지를 위한 뚜껑용 마개
KR20070100853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구조 및 이종물질 내입 방법
KR20110049608A (ko) 수용부 교체방식의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265076Y1 (ko) 저장용기의 원터치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