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634B1 -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 Google Patents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634B1
KR101382634B1 KR1020140009914A KR20140009914A KR101382634B1 KR 101382634 B1 KR101382634 B1 KR 101382634B1 KR 1020140009914 A KR1020140009914 A KR 1020140009914A KR 20140009914 A KR20140009914 A KR 20140009914A KR 101382634 B1 KR101382634 B1 KR 10138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stopper
region
area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1020140009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은 캔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으로서, 상기 주입구의 굴곡된 결합단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단 영역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절취부를 갖는 마개가 마련되는 연장 배출부와, 상기 연장 배출부를 상부로 당길 때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도록 상기 연장 배출부의 하단 영역과 상기 결합부의 내측 상단 영역을 연결하는 굴곡 변형부를 구비한 내부마개와, 상기 연장 배출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단 가장자리에는 사용시 세워지도록 된 한 쌍의 손잡이가 눕혀진 상태로 마련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는 걸림홈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홈들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마개의 저면 영역에는 상기 외부마개의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을 방지하고 잠기는 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굴곡 변형부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변형 영역, 상기 연장 배출부의 하단 영역과 연결되는 제3 변형 영역 그리고 제1 변형 영역과 제3 변형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3 변형 영역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제2 변형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 변형 영역에 접한 상기 제2 변형 영역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와 제3 변형 영역 사이에는 상기 제2 변형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의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 배출부가 상기 외부마개에 의해 상부로 당겨질 때,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변형 영역과 제2 변형 영역이 차례로 변형된 후 최종적으로 제3 변형 영역이 변형되면서 상기 굴곡 변형부가 상향으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우트 캡을 이루는 내부마개의 변형 굴곡부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연장 배출부를 당겨 펼치는 작업이 작은 힘으로도 이루어져 연장 배출부를 돌출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뽑아 올려진 내부마개가 일정하고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와, 손잡이를 세워 파지할 때 파지면적이 확장되어 안정된 파지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특히 연장 배출부의 하부 내주면에 결합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성형이 완료된 내부마개의 성형 후 이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SPOUT 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꼭지부재와 마개부재로 구성되고, 꼭지부재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개부재를 당겨 꼭지부재를 뽑아 올릴 때 꼭지부재의 변형부가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하여 마개부재를 당기는 작업이 용이하고 뽑아 올려진 꼭지부재의 높이가 일정하면서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 용기는 각종 액체류 등을 담아두는 용기로서, 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캔 용기의 배출구에는 개폐가능한 마개가 장착된다.
특히, 윤활유 또는 식용유 등을 담는 캔 용기에는 위조방지 및 밀봉 기능을 구비하는 스파우트 캡(spout cap)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파우트 캡은 캔 용기의 주둥이로서, 밀어 넣거나 당겨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밀봉 및 밀봉해제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한 예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164409호(공고일 : 2012.07.12)에는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스파우트 캡은, 내부마개(210)와 외부마개(220) 및 내부마개(210)를 캔 용기(100)의 배출구(114)에 결합하기 위한 보호캡(230)으로 이루어진다.
내부마개(210)는 용기(100)의 배출구(114)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100)의 수용공간 내에서 포개지도록 접히며, 상기 용기(100)의 외부로 인출되면 접힌 부분(211)이 펴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내부마개(210)의 외주가 배출구(114)에 안착되고, 내부마개(210)의 바디가 외주로부터 수용공간(S)을 향하여 연장되다가 접힘에 의하여 수용공간(S)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내부마개(210)에는 절취가능한 내부 캡(212)이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내부 캡(212)이 제거되면, 제거된 부분이 액체용기의 배출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외부마개(220)는 내부마개(210)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예를 들어, 외부마개(220)는 내부마개(210)의 돌출된 부분을 수용하며, 외부마개(220)와 내부마개(210)에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외부마개(220)는 내부마개(210)와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보호캡(230)은 외부마개(2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용기(100)의 배출구(114)에 장착되는 것으로, 보호캡(230)에는 후크(232a)가 형성되고, 용기의 상판(112)에는 후크(232a)에 걸림되도록 권취단(115)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스파우트 캡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스파우트 캡이 외부마개와 내부마개 및 보호캡으로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승하였으며, 사출성형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내부마개의 굴곡 변형부가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만곡지게 형성되고, 굴곡 변형부 전체가 같은 두께로만 형성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상태에서 펴지면서 외부쪽으로 돌출될 때, 굴곡 변형부(A)가 다각형으로 접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접히는 영역의 피로가 누적될 경우에 굴곡 변형부(A)가 찢어지고, 뽑아 올려진 꼭지부재의 높이도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164409호(공고일 : 2012.07.12)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파우트 캡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스파우트의 꼭지부재를 당기는 작업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캔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으로서, 상기 주입구의 굴곡된 결합단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단 영역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절취부를 갖는 마개가 마련되는 연장 배출부와, 상기 연장 배출부를 상부로 당길 때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도록 상기 연장 배출부의 하단 영역과 상기 결합부의 내측 상단 영역을 연결하는 굴곡 변형부를 구비한 내부마개와, 상기 연장 배출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단 가장자리에는 사용시 세워지도록 된 한 쌍의 손잡이가 눕혀진 상태로 마련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는 걸림홈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홈들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마개의 저면 영역에는 상기 외부마개의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을 방지하고 잠기는 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굴곡 변형부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변형 영역, 상기 연장 배출부의 하단 영역과 연결되는 제3 변형 영역 그리고 제1 변형 영역과 제3 변형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3 변형 영역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제2 변형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 변형 영역에 접한 상기 제2 변형 영역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와 제3 변형 영역 사이에는 상기 제2 변형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의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 배출부가 상기 외부마개에 의해 상부로 당겨질 때,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변형 영역과 제2 변형 영역이 차례로 변형된 후 최종적으로 제3 변형 영역이 변형되면서 상기 굴곡 변형부가 상향으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손잡이의 중앙 영역에는 파지면이 형성되되, 상기 파지면은, 상기 내부마개를 상향으로 당긴 후 상기 연장 배출부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사용자 손가락과의 접촉 면적이 넓도록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두께보다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면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눕혀진 상태에서 세워질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기 위한 세움돌기가 중앙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 변형부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1 - 4°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내부마개가 상기 주입구에 결합될 때, 상기 주입구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내 경사단이 상기 변형 굴곡부 쪽으로 경사지게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경사단에는, 상기 내부마개의 성형 후 하부금형과의 이탈시 상기 안내부의 하부 영역 확장을 유도하여 하부금형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유도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배출부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들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마개를 성형한 후 성형된 상기 내부마개를 상부금형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내부마개가 상기 하부금형과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상부금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하부금형과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수단들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부금형에 걸리도록 하부 내주면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2 - 4개의 걸림용 환형돌기; 및 상기 하부금형에 걸리도록 하부 내주면 하단 영역에 형성되는 환형의 걸림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우트 캡을 이루는 내부마개의 변형 굴곡부의 두께가 다르고, 특히 하단 변형 영역의 굴곡 방향을 바꾸어 형성됨으로써 연장 배출부를 당겨 펼치는 작업이 작은 힘으로도 이루어져 연장 배출부를 돌출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손잡이를 세워 파지할 때 파지면적이 확장되어 파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연장 배출부의 하부 내주면에 결합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성형이 완료된 내부마개의 성형 후 이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형 굴곡부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변경 굴곡부가 다각형으로 변형됨으로써 발생되는 피로누적으로 인한 찢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뽑아 올려진 꼭지부재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파우트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파우트 캡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파우트 캡의 굴곡 변형부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파우트 캡의 내부마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외부마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7b,7c,7d,7e,7f는 도 4에 도시된 스파우트 캡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내부마개와 외부마개의 회전방지구조를 도시한 일부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내부마개의 성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파우트 캡의 내부마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외부마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스파우트 캡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캔 용기(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S)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S)은 주입구(12)의 굴곡된 결합단(14)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22)와, 결합부(22)의 내측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부(24)와, 상단 영역 외주면에 나사산(26C)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절취부(26A)를 갖는 마개(26B)가 마련되는 연장 배출부(26)와, 연장 배출부(26)를 상부로 당길 때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도록 연장 배출부(26)의 하단 영역과 결합부(22)의 내측 상단 영역을 연결하는 굴곡 변형부(28)를 구비한 내부마개(20)와, 연장 배출부(26)를 개폐하도록 나사산(26C)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단 가장자리에는 사용시 세워지도록 된 한 쌍의 손잡이(32)가 눕혀진 상태로 마련되는 외부마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마개(20)는, 결합부(22)의 상면에 걸림홈(22A)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걸림홈(22A)들은 후술할 외부마개(30)의 걸림돌기(34)들이 풀림방향으로 걸리도록 하여 외부마개(30)의 손잡이(32)를 이용하지 않고는 외부마개(30)를 내부마개(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이송 중 흔들림 등의 충격에 대해 외부마개(30)가 회전하여 풀리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걸림홈(22A)들은 외부마개(30)의 풀림방향으로는 수직벽(34A)을 형성하고, 잠김방향으로는 경사면(34B)을 형성한다. 따라서, 걸림돌기(34)는 풀림방향으로는 수직벽(34A)에 간섭되어 외부마개(30)의 회전을 방지하고, 잠김방향으로는 경사면(34B)을 따라 회전을 허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굴곡 변형부(28)는, 연장 배출부(26)가 외부마개(30)에 의해 상부로 당겨질 때 결합부(22)와 연결되는 제1 변형 영역(28A)과 연장 배출부(26)의 하단 영역과 연결되는 제3 변형 영역(28C)과 중간 영역인 제2 변형 영역(28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굴곡 변형부(28)는, 수직선(V)을 기준으로, 1 - 4°각도로 내측(연장 배출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굴곡 변형부(28)가 50% 이상 펼쳐졌을 때, 자체 탄성에 의해 펼쳐짐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1°이하로 경사진 경우에, 연장 배출부(26)의 당김에 많은 힘이 소요되고, 4°이상으로 경사진 경우에,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굴곡 변형부(28)의 외주면에 다각형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2- 3°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굴곡 변형부(28)는, 결합부(22)와 연결되는 제1 변형 영역(28A)과 제3 변형 영역(28C)의 두께(t1,t3)가 중간 영역인 제2 변형 영역(28B)의 두께(t2)보다 더 얇게 형성된다. 이는 연장 배출부(26)가 상부로 당겨져 굴곡 변형부(28)가 펴질 때, 결합부(22)와 연결되는 제1 변형 영역(28A)과 제3 변형 영역(28C)이 먼저 변형되어 당김에 의한 변형이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연장 배출부(26)를 상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1 변형 영역(28A)이 먼저 변형되고, 제2 변형 영역(28B)이 변형되면서 굴곡 변형부(28)가 상향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어서 제3 변형 영역(28C)도 같이 변형되면서 굴곡 변형부(28)가 상향으로 펼쳐져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 변형 영역(28B)의 하부 영역, 즉, 제3 변형 영역(28C)에 근접한 하부 영역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나사산이 형성된 방향)을 오목하게 형성된 굴곡부(R)가 형성되고, 굴곡부(R)의 중심과 제3 변형 영역(28C) 사이에는 보강부(28D)가 형성된다. 이 보강부(28D)의 두께(t4)는 제1,2,3 변형 영역(28A,28B,28C)의 두께(t1,t2,t3)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변형 영역(28A)과 제3 변형 영역(28C)의 두께(t1,t3)가 0.5mm이고, 제2 변형 영역(28B)의 두께(t2)가 0.6mm이며, 제4 변형 영역(28D)의 두께(t4)가 0.7mm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굴곡 변형부(28)는 제3 변형 영역(28C)와 굴곡부(R) 및 보강부(28D)에 의해 하부 영역(제3 변형 영역과 굴곡부 및 보강부가 형성된 영역)이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3 변형 영역(28C)과 제2 변형 영역(28B) 사이에 굴곡부(R)와 보강부(28D)가 형성됨으로써, 굴곡 변형부(28)가 상향으로 펼쳐지는 변형이 진행될 때 제2 변형 영역(28B)이 2/3 정도까지 변형될 때까지 제3 변형 영역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며, 제2 변형 영역(28B)이 2/3 이상으로 변형될 때 제2 변형 영역(28B)이 상향으로 펴지면서 탄성에 의해 확실하게 일정한 높이로 뽑아 올려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3 변형 영역(28C)의 두께(t3)가 보강부(28D)의 두께(t4)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굴곡 변형부(28)가 상향으로 펴질 때 제2 변형 영역(28B)의 변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다른 부분의 두께(t1,t2,t3)보다 두껍게 형성된 보강부(28D)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펼쳐지게 되어 제3 변형 영역(28C)이 탄력적으로 펴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뽑아 올려진 내부마개(20)(꼭지부재)의 높이가 일정하고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안내부(24)는, 결합부(22)의 내측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마개(20)가 주입구(12)에 결합될 때, 결합단(14)이 결합부(22)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안내부(24)의 하단 영역이 변형 굴곡부(28) 쪽으로 경사지게 굴곡진 안내 경사단(24A)이 형성된다. 이 안내 경사단(24A)는 안내부(24)가 주입구(12)의 결합단(14)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안내 경사단(24A)을 구비한 안내부(24)에 의해 내부마개(20)를 주입구(12)에 삽입할 때, 결합단(14)이 내부마개(20)의 끼움홈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내 경사단(24A)에는, 내부마개(20)의 성형 후 하부금형(80)과의 이탈시(탈형) 안내부(24)의 하부 영역 확장을 유도하여 하부금형(8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유도홈(24B)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가 형성된다. 이 변형유도홈(24B)은 하부금형(80)으로부터 탈형될 때, 안내부(24)가 쉽게 외측으로 변형되어 탈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안내부(24)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고, 안내 경사단(24A)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금형(80)으로부터 탈형될 때 하부금형(80)에 안내 경사단(24A)이 간섭되어 탈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나, 안내부(24)의 하단부 즉, 안내 경사단(24A)에 상향으로 만곡진 변형유도홈(24B)들이 형성됨으로써, 탈형시 안내부(24)의 내경이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탈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연장 배출부(26)는, 외부마개(30)가 결합되어 그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70)과 하부금형(80)들을 이용하여 내부마개(20)를 성형한 후 성형된 내부마개(20)를 상부금형(70)으로부터 분리할 때 내부마개(70)가 하부금형(80)과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상부금형(7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부금형(80)과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수단들을 구비한다. 이 결합수단은, 하부금형(80)에 걸리도록 하부 내주면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2 - 4개의 걸림용 환형돌기(26D)와, 하부금형(80)에 걸리도록 하부 내주면 하단 영역에 형성되는 환형의 걸림턱(26E)으로 이루어진다. 즉, 결합수단은 상부금형(70)과 하부금형(80)이 분리될 때, 내부마개(20)가 하부금형(80)과 충분한 결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부금형(70)으로부터의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내부마개(20)의 성형시 나사산(26C)에 의해 내부마개(20)가 상부금형(70)으로부터 쉽게 탈형되지 않음으로써, 하부금형(80)과 상부금형(70)의 분리시 굴곡 변형부(28) 등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나사산(26)에 의한 상부금형(70)과의 결합력보다 걸림용 환형돌기(26D)와 걸림턱(26E)에 의한 하부금형(80)과의 결합력이 더 크게 되므로, 상부금형(70)과 하부금형(80)이 분리될 때, 내부마개(20)가 상부금형(7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형될 수 있게 된다.
외부마개(30)는, 가장자리 저면, 즉 전술한 걸림홈(22A)에 대응되는 저면 영역에 외부마개(30)의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을 방지하고 잠기는 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기 위하여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34)를 구비한다. 이 걸림돌기(34)는 손잡이(32)가 형성되지 않은 저면 양쪽에서 각각 직하방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마개(30)의 풀림 회전방향(도 8의 일점쇄선 화살표)으로는 수직벽(34A)이 형성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경사면(34B)이 형성되어, 걸림홈(22A)의 수직벽과 맞물리게 되므로, 외부마개(30)의 임의 풀림방향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외부마개(30)에 구비되는 손잡이(3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중앙 영역에 파지면(32A)이 형성된다. 이 파지면(32A)는 내부마개(20)를 상향으로 당긴 후 연장 배출부(26)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눕혀진 손잡이(32)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사용자 손가락과의 접촉 면적이 넓도록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두께(t5)보다 폭(W)이 더 크게 형성되고, 파지면(32A)은 세워졌을 때를 기준으로 양쪽 끝단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는 파지면(32A)의 모서리에 각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파지감을 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손잡이(32)에는, 눕혀진 상태에서 세워질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기 위한 세움돌기(32B)가 중앙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눕혀진 최초 상태에서 연결리브에 의해 손잡이 본체와 연결된 각 손잡이(32)를 손가락으로 상부로 들어올릴 때, 손가락에 세움돌기(32B)가 용이하게 걸리도록 함으로써 손잡이(32)를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파단하고 용이하게 상부로 들어 올려 세우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캡(S)의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내부마개(20)의 성형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한 상부 금형(70)과 좌측에 위치한 하부금형(80)이 결합된 상태에서, 마개(26B)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수지를 주입하게 되면, 상,하부 금형(70,80) 사이에서 내부마개(20)가 성형된다. 이어서 상부금형(70)과 하부금형(80)을 분리시키게 되면, 성형된 내부마개(20)가 하부금형(80)에 결합된 상태로 상부금형(70)으로부터 탈형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용 환형돌기(26D)들과 걸림턱(26E)에 의한 하부금형(80)과의 결합력이 나사산(26C)에 의한 상부금형(70)과의 결합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부마개(20)가 상부금형(7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형되므로, 내부마개(2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내부마개(20)를 구비한 스파우트 캡(S)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마개(30)와 결합된 내부마개(20)를 주입구(12)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내부마개(20)의 안내부(24)를 주입구(12)에 삽입한다. 이때 안내 경사단(24A)이 굴곡 변형부(28) 쪽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안내부(24)가 주입구(12)의 결합단(14)에 간섭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결합단(14)이 결합부(22)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과정으로 스파우트 캡(S)은 캔 용기(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캔 용기(10)에 결합 설치된 스파우트 캡(S)의 외부마개(30)는 걸림돌기(34)가 걸림홈(22A)에 걸려 있기 때문에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마개(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세움돌기(32B)에 손가락을 걸어 각 손잡이(32)를 상향으로 들어 올린다.
이때, 손잡이(32)를 외부마개(30) 본체와 연결하는 연결리브가 파단되면서 손잡이(32)는 세워지게 된다.
손잡이(32)가 세워지면, 만곡지고 두께(t5)보다 폭(W)이 더 크게 형성된 파지면(32A)이 손가락에 접촉되므로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파지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32)가 세워지면 양쪽의 손잡이(32)를 파지한 후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변형부(28)가 변형되면서 연장 배출부(26)는 상향으로 펼쳐진다. 즉, 손잡이(32)를 상향으로 당김에 의해 가장 먼저 제2 변형 영역(28B)의 두께(t2)보다 얇은 두께(t1)로 형성된 제1 변형 영역(28A)이 가장 먼저 변형되면서 굴곡 변형부(28)가 펼쳐진다. 이때, 제1 변형 영역(28A)의 두께(t1)와 동일한 두께(t3)로 형성된 제3 변형 영역(28C)은 보강부(28D)가 지지하므로 변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변형 영역(28A)이 먼저 변형되므로, 굴곡 변형부(28)를 초기 변형시키기 위해서 당기는 작업이 적은 힘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손잡이(32)를 계속 상향으로 당기게 되면, 굴곡 변형부(28)가 펼쳐지면서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변형되는 영역이 제2 변형 영역(28B)에 이르게 되고, 굴곡 변형부(28)는 자체 탄성에 의해 자력으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32)를 추가로 당기지 않거나, 최소한의 당김 힘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굴곡 변형부(28)가 수직선(V)에 대하여 1 - 4°의 각도로 거의 수직선(V)에 가깝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7e,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변형부(28)의 제2 변형 영역(28B)이 변형 완료될 때, 굴곡부(R)와 보강부(28D)가 제3 변형 영역(28C)의 변형을 탄력지지 함으로써 굴곡 변형부(28)의 최종 변형, 즉 제3 변형 영역(28C)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굴곡 변형부(28)의 제2 변형 영역(28B)이 수직선(V)에 가깝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부영역(제3 변형 영역 및 보강부 등)이 제2 변형 영역(28B)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변형부(28)가 모두 펴지더라도 그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접히는 현상이 방지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연장 배출부(26)가 손잡이(32)의 당김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 되면서 펼쳐지게 되면, 손잡이(32)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연장 배출부(26)를 개방하고, 마개(26B)를 당겨 제거하여 캔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캔 용기 12 : 주입구
14 : 결합단 20 : 내부마개
22 : 결합부 22A : 걸림홈
24 : 안내부 24A : 안내 경사단
24B : 변형유도홈 26 : 연장 배출부
26A : 절취부 26B : 마개
26C : 나사산 26D : 걸림용 환형돌기
26E : 걸림턱 28 : 변형 굴곡부
28A : 제1 변형 영역 28B : 제2 변형 영역
28C : 제3 변형 영역 28D : 보강부
30 : 외부마개 32 : 손잡이
32A : 파지면 32B : 세움돌기
34 : 걸림돌기 S : 스파우트 캡
V : 수직선 t1,t2,t3,t4,t5 : 두께
W : 폭 R : 굴곡부

Claims (8)

  1. 캔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으로서,
    상기 주입구의 굴곡된 결합단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단 영역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절취부를 갖는 마개가 마련되는 연장 배출부와, 상기 연장 배출부를 상부로 당길 때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도록 상기 연장 배출부의 하단 영역과 상기 결합부의 내측 상단 영역을 연결하는 굴곡 변형부를 구비한 내부마개와, 상기 연장 배출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단 가장자리에는 사용시 세워지도록 된 한 쌍의 손잡이가 눕혀진 상태로 마련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는 걸림홈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홈들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마개의 저면 영역에는 상기 외부마개의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을 방지하고 잠기는 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굴곡 변형부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변형 영역, 상기 연장 배출부의 하단 영역과 연결되는 제3 변형 영역 그리고 제1 변형 영역과 제3 변형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3 변형 영역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제2 변형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 변형 영역에 접한 상기 제2 변형 영역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와 제3 변형 영역 사이에는 상기 제2 변형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의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 배출부가 상기 외부마개에 의해 상부로 당겨질 때,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변형 영역과 제2 변형 영역이 차례로 변형된 후 최종적으로 제3 변형 영역이 변형되면서 상기 굴곡 변형부가 상향으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중앙 영역에는 파지면이 형성되되,
    상기 파지면은,
    상기 내부마개를 상향으로 당긴 후 상기 연장 배출부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사용자 손가락과의 접촉 면적이 넓도록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두께보다 폭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면은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눕혀진 상태에서 세워질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기 위한 세움돌기가 중앙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변형부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1 - 4°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내부마개가 상기 주입구에 결합될 때, 상기 주입구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내 경사단이 상기 변형 굴곡부 쪽으로 경사지게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사단에는,
    상기 내부마개의 성형 후 하부금형과의 이탈시 상기 안내부의 하부 영역 확장을 유도하여 하부금형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유도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배출부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들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마개를 성형한 후 성형된 상기 내부마개를 상부금형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내부마개가 상기 하부금형과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상부금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하부금형과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수단들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부금형에 걸리도록 하부 내주면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2 - 4개의 걸림용 환형돌기; 및
    상기 하부금형에 걸리도록 하부 내주면 하단 영역에 형성되는 환형의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KR1020140009914A 2014-01-27 2014-01-27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KR10138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14A KR101382634B1 (ko) 2014-01-27 2014-01-27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14A KR101382634B1 (ko) 2014-01-27 2014-01-27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634B1 true KR101382634B1 (ko) 2014-04-07

Family

ID=5065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914A KR101382634B1 (ko) 2014-01-27 2014-01-27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209A (ko) * 2014-12-09 2016-06-20 (주)신한테크 포장용 캔 용기의 마개
KR102302775B1 (ko) 2020-04-16 2021-09-15 신대명산업 주식회사 캔용기용 스파우트 캡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565A (ja) * 1993-09-09 1995-04-04 Hirohisa Nagashima スパウト栓
KR19990027719U (ko) * 1997-12-24 1999-07-15 염돈희 분리가 용이한 위조방지용 캔마개
KR200308969Y1 (ko) * 2002-12-11 2003-03-31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마개
KR100863424B1 (ko) * 2008-04-15 2008-10-16 주식회사 대륙제관 이단 굴신부를 구비한 스파우트 캡
KR101164409B1 (ko) * 2010-04-30 2012-07-12 주식회사 승일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101334368B1 (ko) * 2012-01-30 2013-11-29 정제원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565A (ja) * 1993-09-09 1995-04-04 Hirohisa Nagashima スパウト栓
KR19990027719U (ko) * 1997-12-24 1999-07-15 염돈희 분리가 용이한 위조방지용 캔마개
KR200308969Y1 (ko) * 2002-12-11 2003-03-31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마개
KR100863424B1 (ko) * 2008-04-15 2008-10-16 주식회사 대륙제관 이단 굴신부를 구비한 스파우트 캡
KR101164409B1 (ko) * 2010-04-30 2012-07-12 주식회사 승일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101334368B1 (ko) * 2012-01-30 2013-11-29 정제원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209A (ko) * 2014-12-09 2016-06-20 (주)신한테크 포장용 캔 용기의 마개
KR101651020B1 (ko) 2014-12-09 2016-08-26 (주)신한테크 포장용 캔 용기의 마개
KR102302775B1 (ko) 2020-04-16 2021-09-15 신대명산업 주식회사 캔용기용 스파우트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83920B (zh) 具有保持开放状态功能的容器盖
AU2019204130B2 (en) Disinfecting wipes dispenser
US3135441A (en) Spout type container closure
JP6793263B2 (ja) 多目的エコキャップ
JP5876035B2 (ja) キャップを用いて引っ込められる飲み口をボト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ボトル付属品
JP6370161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6602233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382634B1 (ko)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KR20190066602A (ko) 무결성 보장 요소를 갖는 플라스틱 마개
JP6044899B2 (ja) 詰め替え容器
JP5681033B2 (ja) 蓋体付き注出容器
JP6469478B2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JP6340727B2 (ja) 詰め替え容器
JP5220547B2 (ja) 注出容器
JP4704765B2 (ja) 開口時の液飛びが防止さ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7246831B2 (ja) 注出キャップ
JPH04118348U (ja) 中 栓
EP2263947A1 (en) Container with hermetic seal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JP5220548B2 (ja) 注出容器
JP6994985B2 (ja) 収納容器
KR102146008B1 (ko) 용기캡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JP726695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7062538B2 (ja) 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