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368B1 -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368B1
KR101334368B1 KR1020120009178A KR20120009178A KR101334368B1 KR 101334368 B1 KR101334368 B1 KR 101334368B1 KR 1020120009178 A KR1020120009178 A KR 1020120009178A KR 20120009178 A KR20120009178 A KR 20120009178A KR 101334368 B1 KR101334368 B1 KR 101334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xtension
stopper
coupl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917A (ko
Inventor
정제원
Original Assignee
정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제원 filed Critical 정제원
Priority to KR102012000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3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유와 같은 유체가 수용된 용기에 설치되어 유체를 쉽게 외부로 따라 낼 수 있는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스파우트 캡은, 용기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내부마개,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며,
내부 마개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용기 고정부, 용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 그리고 굴신부에 연결되어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외부마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굴신부는 굴신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연장부,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신 상태로 배치되는 제3 연장부, 제3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4 연장부, 제4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5 연장부, 그리고 제5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외부마개 고정부의 저면측에 연결되는 제6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Spout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용유와 같은 유체가 수용된 용기에 설치되어 유체를 쉽게 외부로 따라 낼 수 있는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파우트 캡은 유지나 식용유와 같은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에 결합되어 용기의 마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유체를 용기의 외부로 쉽게 따라 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파우트 캡은 용기에 결합된 내부마개,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 그리고 외부마개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조캡을 포함한다.
내부마개에는 용기의 내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屈伸部)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보조캡을 외부마개에서 분리시킨 후 외부마개를 위쪽으로 당기면 외부마개와 연결된 굴신부를 용기의 외부 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부마개를 돌려서 내부마개와 분리시키고 용기를 기울이면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굴신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이때 내부마개의 내부에 유체배출차단용 내부캡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내부캡을 제거한 후 용기를 기울여 유체를 외부로 따라낼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파우트 캡은 부품의 수가 많아 제조 비용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파우트 캡은 굴신부가 용기의 외부 측으로 인출시킬 때 굴신부가 찌그러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큰 힘을 주어야 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파우트 캡은 굴신부가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굴신부의 하부측 주위에 있는 홈이 생기고 이 홈에 흘러내린 식용유와 같은 유체가 고이거나 외부의 먼지 등이 쌓여 청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 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파우트 캡은 굴신부의 길이를 최대로 늘려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굴신부를 용기의 외부 측으로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신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굴신부 외주측 저면에 홈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신부의 크기를 최대로 늘려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도모하는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용기 고정부, 상기 용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 그리고 상기 굴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외부마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신부는 상기 굴신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신 상태로 배치되는 제3 연장부, 상기 제3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5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5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의 저면측에 연결되는 제6 연장부를 포함하는 스파우트 캡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제4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3 연장부, 상기 제5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6 연장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두께가 더 두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직경이 더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고정부는 상면부가 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상면부와 동일한 면을 이루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에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내벽면 중간부에 유체배출차단막이 제공되고, 상기 유체배출차단막에는 내부캡이 제공되며, 상기 내부캡의 가장자리에는 절단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외벽에는 나사산이 제공되며, 상기 외부마개에는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의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마개는 3~4회전을 하여 상기 내부마개와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와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외벽과 상기 덮개부의 아랫면이 만나는 부분에는 복수의 보강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는 외주의 일부가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용기 고정부, 상기 용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 상기 굴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외부마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고정부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며,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용기 고정부의 평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어 연결되는 스파우트 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수용되며 공기 배출구와 유체 배출구가 제공된 용기,
상기 공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폐쇄하거나 오픈시키는 공기 배출캡,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용기 고정부, 상기 용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 상기 굴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외부마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신부는 상기 굴신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신 상태로 배치되는 제3 연장부, 상기 제3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5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5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의 저면측에 연결되는 제6 연장부를 포함하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수용되며 공기 배출구와 유체 배출구가 제공된 용기, 상기 공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폐쇄하거나 오픈시키는 공기 배출캡,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용기 고정부, 상기 용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 상기 굴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외부마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고정부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며,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용기 고정부의 평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면서 연결되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파우트 캡을 이루는 부품이 내부마개와 외부마개가 2개의 세트로 이루어져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신부가 용기 고정부 측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지고 밴딩부와 굴신부를 이루는 연장부가 용기 고정부 측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구성적 특징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마개를 잡고 굴신부를 용기의 외측으로 쉽게 인출할 수 있고 굴신부가 찌그러짐이 없이 순차적으로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마개의 용기 고정부가 평면을 이루어 배치되고, 용기 고정부가 이루는 평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며 굴신부가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굴신부가 용기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굴신부와 용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홈이 생기지 않아 외부의 이물질이 고이는 일이 없고 이 부분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고정부의 상부에 굴신부가 연결되므로 굴신부가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최대의 길이를 가질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파우트 캡이 설치된 용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내부마개의 굴신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파우트 캡의 내부마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파우트 캡의 외부마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도면에서 굴신부를 용기의 외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하고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로, 스파우트 캡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용기(1)에는 공기 배출구(도시생략)와 식용유와 같은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는 유체 배출구(1a, 도 2에 도시하고 있음)가 제공된다. 공기 배출구에는 공기 배출캡(3)이 결합되고, 유체 배출구(1a)에는 스파우트 캡(5)이 결합된다.
공기 배출캡(3)은 스파우트 캡(5)을 통해 유체를 배출할 때 용기(1)의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도록 하여 유체를 용기(1)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기 배출캡(3)은 공기 구멍이 제공될 수 있으며 공기 구멍을 폐쇄하거나 오픈시킬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캡(3)은 공기 구멍을 폐쇄하거나 오픈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파우트 캡(1)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마개(7)와 외부마개(9)를 포함한다. 내부마개(7)는 용기(1)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외부마개(9)는 내부마개(7)에 결합된다.
내부마개(7)는 용기 고정부(11), 굴신부(屈伸部, 13), 그리고 외부마개 고정부(15)를 포함한다.
용기 고정부(11), 굴신부(13), 그리고 외부마개 고정부(15)는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고정부(11)는, 도 2를 기준으로 상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기 고정부(11)는 하면 측에 끼움홈(11a)이 제공된다. 따라서 용기 고정부(11)의 하면에 제공된 끼움홈(11a)은 용기(1)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1a)에 끼움 결합된다.
굴신부(13)는 용기 고정부(11)에 연결되어 용기(1)의 내부에 배치된다. 굴신부(13)는 사용자가 굴신부(13)와 연결된 외부마개 고정부(15)를 용기(1)의 외측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용기(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굴신부(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용기 고정부(11)를 기준으로 용기 고정부(11)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7), 제1 연장부(17)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는 제2 연장부(19), 제2 연장부(19)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는 제3 연장부(21), 제3 연장부(21)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는 제4 연장부(23), 제4 연장부(23)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는 제5 연장부(25), 그리고 제5 연장부(25)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외부마개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6 연장부(27)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1)는 굴신부(13)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및 도 3 참조).
그리고 제1 연장부(17)와 제2 연장부(19) 사이에는 제1 밴딩부(29)가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제2 연장부(19)와 제3 연장부(21) 사이에는 제2 밴딩부(31)가 제공되고, 제3 연장부(21)와 제4 연장부(23) 사이에는 제3 밴딩부(33)가 제공되며, 제4 연장부(23)와 제5 연장부(25) 사이에는 제4 밴딩부(35)가 제공되고, 제5 연장부(25)와 제6 연장부(27) 사이에는 제5 밴딩부(37)가 제공되며, 제6 연장부(27)와 외부마개 고정부(15) 사이에는 제6 밴딩부(39)가 제공된다.
즉, 굴신부(13)는 제1 연장부(17), 제2 연장부(19), 제3 연장부(21), 제4 연장부(23), 제5 연장부(25), 제6 연장부(27), 제1 밴딩부(29), 제2 밴딩부(31), 제3 밴딩부(33), 제4 밴딩부(35), 제5 밴딩부(37), 그리고 제6 밴딩부(39)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굴신부(13)의 제2 연장부(19)와 제4 연장부(23)들은 제1 연장부(17), 제3 연장부(21), 제5 연장부(25), 그리고 제6 연장부(27)에 비해 더 길게 이루어진다.
또한, 굴신부(13)의 제2 연장부(19)와 제4 연장부(23)들은 제3 연장부(21) 및 제5 연장부(25)에 비해 용기 고정부(1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경사진 각도가 더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굴신부(13)는 용기 고정부(11)에 가까운 방향으로 근접할수록 더 큰 직경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굴신부(13)는 용기 고정부(11)에 가까운 방향으로 근접할수록 두께가 더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2 연장부(19)의 두께(t1)는 제4 연장부(23)의 두께(t2) 보다 더 두껍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굴신부(13)의 제1 밴딩부(29), 제2 밴딩부(31), 제3 밴딩부(33), 제4 밴딩부(35), 제5 밴딩부(37), 그리고 제6 밴딩부(39)는 굴신부(13)가 용기(1)의 외측으로 인출될 때 밴딩되는 방향이 바뀌어 굴신부(13)를 이룰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술한 제2 연장부(19), 제3 연장부(21), 제4 연장부(23), 제5 연장부(25), 그리고 제6 연장부(27)는 외부마개 고정부(15)의 중심선 방향(용기(1)의 내측으로 연장된 외부마개 고정부(15)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및 도 3 기준).
이러한 굴신부(13)의 구조는 굴신부(13)를 용기(1)의 외측으로 인출할 때 원활하게 밴딩되어 굴신부(13)의 인출이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연장부(17)는 평면을 이루는 용기 고정부(15)의 상면에서 동일한 면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제1 연장부(17)의 상면과 용기 고정부(15)의 상면은 동일한 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마개 고정부(15)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외벽에는 나사산(15a)이 제공된다. 그리고 외부마개 고정부(15)의 저면(도 2 및 도 3 기준)측에 상술한 제6 밴딩부(39)가 연결된다.
외부마개 고정부(15)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내벽면 중간부에 유체의 배출을 차단하는 유체배출차단막(41)이 일체로 제공된다. 그리고 유체배출차단막(41)에는 내부캡(43)이 제공된다. 내부캡(43)의 가장자리에는 절단홈(43a)이 제공된다. 그리고 내부캡(43)은 유체배출차단막(41)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캡(43)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당길 수 있는 고리부(45)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리부(45)를 손가락으로 잡고 위로 당기면 절단홈(43a)이 절단되면서 내부캡(43)이 외부마개 고정부(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내부캡(43)의 가장자리에 제공된 절단홈(43a)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부(45)가 결합된 부분은 작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리부(45)가 연결되지 아니한 반대편은 고리부(45)가 결합된 부분 보다 더 큰 반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내부캡(43)의 절단홈(43a)의 형상은 대략 은행잎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하나로 연결되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외부마개(9)는 내부마개(7)의 외부마개 고정부(15)에 결합되는 결합부(47)와 결합부(47)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덮개부(49)를 포함한다.
외부마개(9)의 결합부(47)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벽에 내부마개(7)의 외부마개 고정부(15)에 제공된 나사산(15a)에 결합되는 나사홈(47a)이 제공된다.
외부마개(9)의 덮개부(49)는 측면에서 보면 수평을 이루고 위에서 본 면이 대략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외부마개(9)는 사용자가 3~4회전을 돌리면 내부마개(7)의 외부마개 고정부(15)에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부마개(9)와 내부마개(7)의 나사결합 구조는 내부캡(43)이 제거된 상태에서 용기(1)에 있는 유체가 쉽게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견고하게 외부마개(9)와 내부마개(7)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49)에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주의 일부가 분리되어 손잡이(51)가 제공된다. 손잡이(51)는 서로 대응하는 일부분이 덮개부(49)에 연결되어 상부로 꺽일 수 있다.
한편, 결합부(47)의 외벽과 덮개부(49)의 아랫면이 만나는 부분에는 복수의 보강부(53)가 제공된다. 보강부(53)는 사용자가 손잡이(51)를 위로 꺽은 상태에서 잡고 위로 당길 때, 결합부(47)와 덮개부(49)가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큰 힘을 주어도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파우트 캡(5)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외부마개(9)에 제공된 손잡이(51)를 잡고 상부로 당긴다.
그러면 내부마개(7)의 외부마개 고정부(15)가 용기(1)의 외측(도 2에서 위쪽 방향)으로 당겨진다. 외부마개 고정부(15)가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제6 밴딩부(39), 제5 밴딩부(37), 제4 밴딩부(35), 제3 밴딩부(33), 제2 밴딩부(31), 그리고 제1 밴딩부(29)가 순차적으로 기존에 밴딩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밴딩되면서 굴신부(13) 전체가 용기(1)의 외측으로 인출된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제6 밴딩부(39), 제5 밴딩부(37), 제4 밴딩부(35), 제3 밴딩부(33), 제2 밴딩부(31), 그리고 제1 밴딩부(29)가 순차적으로 위쪽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은 제1 밴딩부(29)에서부터 제6 밴딩부(39)까지 두께가 순차적으로 커짐과 동시에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게 외부마개 고정부(15)를 용기(1)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외부마개(9)를 3~4 회전시켜 내부마개(7)의 외부마개 고정부(15)에서 외부마개(9)를 분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내부캡(43)에 연결된 고리부(45)를 힘껏 당기면 내부캡(43)의 절단홈(43a) 부분이 절단되면서 내부캡(43)이 유체배출차단막(41)에서 분리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용기(1)를 기울여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식용유와 같은 유체를 외부로 따라 낼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고정부(11)의 상면과 굴신부(13)의 제1 연장부(17) 사이에는 홈이 생기지 않게 되어 이부분에 이 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고정부(11)의 상면과 굴신부(13)의 제1 연장부(17)가 연결된 부분이 이물질이 묻는다 해도 외부에서 쉽게 닦아낼 수 있어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기 고정부(11)의 상면에 굴신부(13)의 제1 연장부(17)가 결합되므로 용기 고정부(11)의 중간부분에 굴신부(13)의 제1 연장부(17)가 결합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외부마개 고정부(15)를 최대의 높이로 용기(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굴신부(13)의 전체 길이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용기(1)의 외부로 굴신부(13)가 인출될 때 그 길이가 증가될 수 있어 용기(1)의 내부에 있는 유체를 외부로 쉽게 따라 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용기(1)에 있는 유체를 외부로 인출할 때 외부로 흘리지 않고 더욱 안전하게 따라낼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파우트 캡(5)이 2개의 부품 즉, 내부마개(7)와 외부마개(9)로 구성되어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굴신부(13)의 용기(1)의 내측으로 수용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설명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용기, 1a. 유체 배출구, 3. 공기 배출캡,
5. 스파우트 캡, 7. 내부마개,
9. 외부마개, 11. 용기 고정부, 11a. 끼움홈,
13. 굴신부, 15. 외부마개 고정부, 15a. 나사산,
17. 제1 연장부, 19. 제2 연장부,
21. 제3 연장부, 23. 제4 연장부,
25. 제5 연장부, 27. 제6 연장부
29. 제1 밴딩부, 31. 제2 밴딩부,
33. 제3 밴딩부, 35. 제4 밴딩부,
37. 제5 밴딩부, 39. 제6 밴딩부,
41. 유체배출 차단막, 43. 내부캡, 43a. 절단홈,
45. 고리부, 47. 결합부, 47a. 나사홈,
49. 덮개부, 51. 손잡이,
53. 보강부

Claims (17)

  1. 용기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용기 고정부,
    상기 용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 그리고
    상기 굴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외부마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신부는
    상기 굴신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신 상태로 배치되는 제3 연장부,
    상기 제3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5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5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의 저면측에 연결되는 제6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내부마개와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외벽과 상기 덮개부의 아랫면이 만나는 부분에는 복수의 보강부가 제공되는 스파우트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제4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3 연장부, 상기 제5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6 연장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길게 이루어지는 스파우트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두께가 더 두꺼워지는 스파우트 캡.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직경이 더 커지는 스파우트 캡.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고정부는
    상면부가 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상면부와 동일한 면을 이루어 연장되는 스파우트 캡.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에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내벽면 중간부에 유체배출차단막이 제공되고,
    상기 유체배출차단막에는 내부캡이 제공되며, 상기 내부캡의 가장자리에는 절단홈이 제공되는 스파우트 캡.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외벽에는 나사산이 제공되며,
    상기 외부마개에는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홈이 제공되는 스파우트 캡.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는
    3~ 4회전을 하여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와 분리되는 스파우트 캡.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외주의 일부가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스파우트 캡.
  11. 용기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용기 고정부,
    상기 용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
    상기 굴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외부마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고정부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며,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용기 고정부의 평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어 연결되며,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내부마개와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외벽과 상기 덮개부의 아랫면이 만나는 부분에는 복수의 보강부가 제공되는 스파우트 캡.
  12. 유체가 수용되며 공기 배출구와 유체 배출구가 제공된 용기,
    상기 공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폐쇄하거나 오픈시키는 공기 배출캡,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용기 고정부,
    상기 용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
    상기 굴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외부마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신부는
    상기 굴신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신 상태로 배치되는 제3 연장부,
    상기 제3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5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5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외부마개 고정부의 저면측에 연결되는 제6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내부마개와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외벽과 상기 덮개부의 아랫면이 만나는 부분에는 복수의 보강부가 제공되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제4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3 연장부, 상기 제5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6 연장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길게 이루어지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
  14. 청구항 12 있어서,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두께가 더 두꺼워지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직경이 더 커지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
  16. 청구항 12 있어서,
    상기 용기 고정부는
    상면부가 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상면부와 동일한 면을 이루며 연장되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
  17. 유체가 수용되며 공기 배출구와 유체 배출구가 제공된 용기,
    상기 공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폐쇄하거나 오픈시키는 공기 배출캡,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결합되는 용기 고정부,
    상기 용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는 굴신부,
    상기 굴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외부마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고정부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며,
    상기 굴신부는
    상기 용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용기 고정부의 평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면서 연결되며,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내부마개와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외벽과 상기 덮개부의 아랫면이 만나는 부분에는 복수의 보강부가 제공되는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
KR1020120009178A 2012-01-30 2012-01-30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1334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178A KR101334368B1 (ko) 2012-01-30 2012-01-30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178A KR101334368B1 (ko) 2012-01-30 2012-01-30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917A KR20130087917A (ko) 2013-08-07
KR101334368B1 true KR101334368B1 (ko) 2013-11-29

Family

ID=4921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178A KR101334368B1 (ko) 2012-01-30 2012-01-30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3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34B1 (ko) * 2014-01-27 2014-04-07 주식회사 대륙제관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KR200477016Y1 (ko) * 2013-12-02 2015-04-29 평안제관주식회사 캔 용기용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020B1 (ko) * 2014-12-09 2016-08-26 (주)신한테크 포장용 캔 용기의 마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753U (ja) * 1993-12-31 1995-08-11 山村硝子株式会社
JPH09290848A (ja) * 1996-04-25 1997-11-11 Kichinosuke Nagashio 液体の注ぎ口
KR200184508Y1 (ko) * 1999-07-12 2000-06-01 윤한영 유류캔 용기 마개
JP2006016019A (ja) 2004-06-30 2006-01-19 Yoshino Kogyosho Co Ltd プルトップ式中栓及び、それを備える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753U (ja) * 1993-12-31 1995-08-11 山村硝子株式会社
JPH09290848A (ja) * 1996-04-25 1997-11-11 Kichinosuke Nagashio 液体の注ぎ口
KR200184508Y1 (ko) * 1999-07-12 2000-06-01 윤한영 유류캔 용기 마개
JP2006016019A (ja) 2004-06-30 2006-01-19 Yoshino Kogyosho Co Ltd プルトップ式中栓及び、それを備えるキャ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16Y1 (ko) * 2013-12-02 2015-04-29 평안제관주식회사 캔 용기용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KR101382634B1 (ko) * 2014-01-27 2014-04-07 주식회사 대륙제관 캔 용기용 스파우트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917A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4130B2 (en) Disinfecting wipes dispenser
US9532671B2 (en) Carafe
JP5501380B2 (ja) 飲料容器用閉鎖体及び閉鎖体を備えた飲料容器
KR101334368B1 (ko)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JP6319999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構成体の製造方法
CN205513841U (zh) 新型水杯
CN209171541U (zh) 一种运动水杯
CN220588019U (zh) 一种带有滤茶杯的通用速开杯盖
JP5506044B2 (ja) ブラシ付き注出容器
KR20080029988A (ko)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KR200461043Y1 (ko) 세척이 용이한 물통
CN210055496U (zh) 一种锁紧结构简单无螺纹扣玻璃杯的冷水壶
KR200470203Y1 (ko) 흘러내림 방지 및 잔류액 회수가 가능한 푸어러 캡
CN109081296A (zh) 一种带滤网的漏斗
CN202341614U (zh) 一种便于清洗的杯子
KR102302775B1 (ko) 캔용기용 스파우트 캡
CN213097363U (zh) 一种无螺纹杯盖
KR200430258Y1 (ko) 어깨커버를 가지는 용기
CN209863160U (zh) 一种茶杯
CN201403956Y (zh) 双口过滤网茶杯
CN206641698U (zh) 饮水杯
CN208372162U (zh) 一种拼接式多功能奶瓶盖
KR20180002566U (ko) 바닥이 열리는 형태의 용기구조
KR200477016Y1 (ko) 캔 용기용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KR101776595B1 (ko)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