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595B1 -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595B1
KR101776595B1 KR1020150154726A KR20150154726A KR101776595B1 KR 101776595 B1 KR101776595 B1 KR 101776595B1 KR 1020150154726 A KR1020150154726 A KR 1020150154726A KR 20150154726 A KR20150154726 A KR 20150154726A KR 101776595 B1 KR101776595 B1 KR 10177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using
stopper
outlet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365A (ko
Inventor
이종욱
김윤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102015015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5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적용한 친환경 액체용기는, 하우징의 배출구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내에서 포개지도록 접히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면 접힌 부분이 펴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마개; 및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마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마개가 제거되면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내부마개를 제거하고도 외부마개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어 하우징 내 내용물이 유출되거나 이물질이 하우징 내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ECO SPOUTCAP AND ECO LIQUI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배출구에 장착되며,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친환경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용기는 각종 액체류 등을 담아두는 용기이다. 이 액체용기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구로 배출한다.
액체용기의 배출구에는 개폐 가능한 캡을 장착한다. 특히, 윤활유 또는 식용유 등을 담는 액체용기에는 위조방지 및 밀봉 기능을 구비한 스파우트 캡(spout cap)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파우트 캡은 액체용기의 주둥이로서, 밀어 넣거나 당겨 인출시킬 수 있고, 밀봉 및 밀봉해제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스파우트 캡의 일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및 조립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파우트 캡(20)은 내부마개(21), 외부마개(22) 및 보호캡(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마개(21)는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어 액체용기(10)의 배출구(11)에 안착되어 있다. 내부마개(21)에는 절취가능한 내부 캡(21a)이 구비되어 있다. 내부 캡(21a)이 제거되면, 제거된 부분이 액체용기(10)의 배출 구멍(21b)을 형성하게 된다.
외부마개(22)는 내부마개(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마개(21)의 배출 구멍(21b)은 외부마개(22)에 의해 개폐된다. 외부마개(22)에는 그 외부마개(22)를 돌려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22a)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캡(23)은 액체용기(10)의 배출구(11)에 단단하게 결합되고, 외부마개(22)는 보호캡(23)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보호캡(23)에는 후크(23a)가 형성되고, 액체용기(10)에는 보호캡(23)의 후크(23a)가 걸려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권취된 걸림단(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보호캡(23)에는 외부마개(22)의 손잡이(22a)를 은폐하는 분리마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마개부(23a)는 보호캡(23)의 내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파우트 캡(20)은, 사용자가 보호캡(23)의 분리마개부(23a)를 제거하고, 외부마개(22)의 손잡이(22a)를 파지한 상태에서 돌리면 외부마개(22)가 내부마개(21)와 분리된다.
그러면, 내부마개(21)의 내부 캡(21a)이 노출되고, 사용자가 노출된 내부 캡(21a)을 잡아당겨 제거하면, 내부마개(21)의 배출 구멍(21b)이 열리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액체용기(10)를 기울여 그 안에 담긴 내용물을 내부마개(21)의 배출 구멍(21b)으로 쏟아내 필요한 만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액체용기(10)의 수용공간(S) 안에 담긴 내용물을 모두 배출시킨 후에는 스파우트 캡(20)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액체용기(10)를 폐유 수집용기(이하, 폐유용기로 약칭함)로 재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파우트 캡(20)을 제거할 때에는 보호캡(23)을 액체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내부마개(21)를 외부마개(22)와 함께 제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보호캡(23)은 액체용기(10)의 걸림단(12)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내부마개(21)를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부마개(21)의 중간을 잘라내 액체용기(10)의 배출구(11)를 넓게 확보한 상태에서 폐유를 담아 모으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파우트 캡은, 액체용기(10)의 배출구(11)를 개폐하는 외부마개(22)가 내부마개(21)에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 내부마개(21)를 잘라 완전히 제거하게 되면 본래의 외부마개(22)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액체용기(10)에 담긴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배출구(11)를 종이컵이나 비닐 또는 규격에 맞지 않는 임시 마개를 이용하여 막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하지만, 종이컵이나 비닐 또는 규격이 맞지 않는 임시 마개로 액체용기(10)의 배출구(11)를 막게 되면 임시 마개와 배출구(11)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고, 이 틈새를 통해 액체용기(10) 안의 액체가 흘러나오거나 또는 액체용기(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임시 마개가 탈거되어 내용물이 쏟아질 우려가 있었다. 또, 이물질이 액체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용물을 오염시킬 우려도 있다.
또, 종래의 스파우트 캡(20)은, 내부마개(21)를 절개하여 제거할 경우에는 그 내부마개(21)를 재사용하기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마개를 사용할 필요가 발생하더라도 이미 제거된 내부마개(21)를 사용할 수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마개의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친환경 액체용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봉된 배출구를 견고하게 막을 수 있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친환경 액체용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재활용성 및 범용성이 높은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친환경 액체용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배출구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내에서 포개지도록 접히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면 접힌 부분이 펴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내부마개; 및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마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마개가 제거되면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내부마개를 제거하고도 외부마개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어 하우징 내 내용물이 유출되거나 이물질이 하우징 내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마개와 외부마개에는 상기 배출구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부마개와 외부마개에 구비되는 후크돌기는 상기 배출구의 동일한 부위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마개에 형성되는 후크돌기와 상기 외부마개에 형성되는 후크돌기는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마개는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내부마개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포개어지며 상기 외부마개가 장착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연결하며,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접히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출구의 내주에 삽입되는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1 고정돌기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의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정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돌기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후크 결합되도록 후크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와 대응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마개와 착탈되는 제1 캡부; 및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후크 결합되도록 후크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 상기 제2 캡부의 안쪽에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 내주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제2 실링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마개로 하우징의 배출구를 긴밀하게 실링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면에 배치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배치되며, 내부마개 및 외부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 주변에는 상기 내부마개와 외부마개가 각각 결합되는 공통 걸림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액체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친환경 액체용기는, 내부마개를 제거하고도 외부마개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어 하우징 내 내용물이 유출되거나 이물질이 하우징 내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스파우트 캡의 일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액체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외부마개가 스파우트 캡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외부마개를 상면측 및 하면측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3에서 내부마개를 개방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도들,
도 9는 도 7에서 내부마개가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마개가 액체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액체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액체용기(100)는 배출구(114)를 가지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의 배출구(11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파우트 캡(20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내용물은 예를 들어, 식용유, 윤활유 등의 액체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몸체(111)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는 상부 및 하부 커버(112 및 113)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커버(112 및 113)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10)은 사각기둥 형태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예를 들어 얇은 판재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10)은 동일 체적내에 보다 많은 양의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2)에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4)가 형성되고, 배출구(114)에는 상기 스파우트 캡(20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스파우트 캡(200)을 개방한 후에 하우징(110)을 기울이면, 하우징(110) 내의 액체가 스파우트 캡(2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114)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배출구(114)의 단부는 그 배출구(114)의 주변을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말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114)의 단부 주변에는 후술할 내부마개(210)의 제1 후크돌기(211d)와 외부마개(220)의 제2 후크돌기(223a)가 선택적으로 후크 결합될 수 있는 공통 걸림단(114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외부마개가 스파우트 캡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에서 외부마개를 상면측 및 하면측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200)은 내부마개(210) 및 외부마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내부마개(210)는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용기(100)의 수용공간(S)내에서 포개지도록 접히며, 액체용기(100)의 외부로 인출되면 접힘부(214)가 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마개(210)는 고정부(211), 제1 바디부(212), 제2 바디부(213) 및 접힘부(214)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11), 제1 바디부(212), 제2 바디부(213) 및 접힘부(214)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211)는 제1 고정돌기(211a)와 제2 고정돌기(2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고정돌기(211a)와 제2 고정돌기(211b)의 사이에는 액체용기(100)의 공통 걸림단(114a) 상면이 안착되도록 안착면(211c)이 형성된다. 이로써, 제1 고정돌기(211a)와 제2 고정돌기(211b)는 반경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액체용기(100)의 공통걸림단(114a)을 중심으로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제1 고정돌기(211a)는 제2 고정돌기(211b)에 비해 안쪽에 위치하고, 제2 고정돌기(211b)는 제1 고정돌기(211a)에서 연장되어 그 제1 고정돌기(211a)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고정돌기(211a)는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 내주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 고정돌기(211b)는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 외주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211a)와 제2 고정돌기(211b)는 모두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 고정돌기(211a)는 제2 고정돌기(211b)보다 더 큰 탄력을 가지도록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내부마개(210)가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그 배출구(114)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반면, 제2 고정돌기(211b)는 제1 고정돌기(211a)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내부마개(21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내부마개(2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액체용기(100)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내부마개(210)가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211b)는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 외주에 삽입되어 액체용기(100)의 공통 걸림단(114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돌기(211b)의 하단 내측면에는 액체용기(100)의 공통 걸림단(114a)에 후크 결합되도록 제1 후크돌기(211d)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부(212)는 제1 고정돌기(211a)의 내주에서 수용공간(S)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12)는 제1 고정돌기(211a)의 하단보다는 중간에서 연장되는 것이 상기 제1 고정돌기(211a)의 단부가 배출구(114)에 압입될 때 탄력을 가질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부(212)는 사용자가 내부마개(210)를 잡아당겨 인출하거나 밀어넣어 인입할 때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제2 바디부(213)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바디부(213)는 접힘부(214)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접힘에 의하여 수용공간(S)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13)의 내주면에는 절취가능한 내부 캡(215)이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내부 캡(215)이 제거되면, 제거된 부분이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를 형성하게 된다.
제2 바디부(213)의 외주면에는 외부마개(22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나사산(213a)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후술할 외부마개(220)의 제1 캡부(222)에 구비된 제2 나사산을 나사 결합하여 제2 바디부(213)의 배출구멍(210a)을 폐쇄하게 된다.
접힘부(214)는 제1 바디부(212)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제1 바디부(212)와 제2 바디부(213)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힘부(214)는 내부마개(210)의 인입 또는 인출시 접혔다 펴졌다 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힘부(214)는 도 5에서와 같이 유(U)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접힘 동작이 원활하게 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단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외부마개(220)는 내부마개(210)와 착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마개(210)가 제거되면 액체용기(100)와 직접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마개(220)는 내부마개(210)의 배출 구멍을 개폐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내부마개(210)가 제거되면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를 개폐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마개(220)는 내부마개(210)의 개구단을 이루는 배출구멍(210a)을 복개하는 커버부(221)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21)는 그 외경(D1)이 적어도 배출구멍(210a)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지만, 외부마개(220)가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를 개폐할 수 있어야 하므로 배출구멍(210a)의 직경보다 클 뿐만 아니라, 공통 걸림단(114a)의 외경(D2)보다도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커버부(221)의 저면측 중앙에는 내부마개(210)의 배출구멍(210a)을 개폐하는 제1 캡부(222)가 형성되고, 저면측 테두리 부분에는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를 개폐하는 제2 캡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부(222)는 제2 바디부(213)의 단부와 중첩되는 높이를 가지며, 제1 캡부(222)의 내주면에는 제2 바디부(213)의 제1 나사산(213a)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부(222)는 내부마개(210)의 제2 바디부(213)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내부마개(210)를 제거하고 외부마개(220)로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를 직접 개폐할 경우 제1 캡부(222)는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 안쪽에 삽입된다.
제1 캡부(222)의 안쪽에는 그 제1 캡부(222)와 일정간격을 두고 제1 실링돌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돌부(224)는 제1 캡부(222)로부터 제2 바디부(213)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실링효과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실링돌부(224)는 길면 길수록 실링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제1 캡부(222)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가공측면에서 유리하고 내부 캡(215)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제1 실링돌부(224)는 두꺼울수록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나, 제1 캡부(222)와 비교하여 얇거나 같으면 족하다.
제2 캡부(223)는 커버부(221)의 외주에서 일체로 하향 연장되어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캡부(223)의 하단 내주면에는 그 제2 캡부(223)가 액체용기(100)의 공통 걸림단(114a)에 후크 결합되도록 제2 후크돌기(22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크돌기(223a)는 제1 후크돌기(211d)와 마찬가지로 공통 걸림단(114a)에 후크 결합되므로, 제2 후크돌기(223a)와 제1 후크돌기(211d)의 내경(d1,d2) 및 형상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캡부(223)에 후크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공통 걸림단(114a)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통 걸림단(114a)의 주변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제2 캡부(223)는 제1 캡부(222)의 제2 나사산이 제2 바디부(213)의 제1 나사산(213a)과 나사 결합될 때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221)의 중앙부분은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되어, 제2 캡부(223)의 하단이 커버부(221)의 중앙부분보다는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부(221)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도 중앙부분이 낮게 형성되어, 제1 캡부(222)의 높이를 낮게 하면서도 제2 바디부(213)의 단부가 커버부(221)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캡부(222)와 제2 캡부(223) 사이의 경계면(225)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공상 유리하고 커버부(221)의 중앙부분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제2 캡부(223)의 안쪽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향 돌출되어 액체용기(100)의 공통 걸림단(114a)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2 실링돌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마개(220)로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를 밀봉하는 경우에는 그 외부마개(220)의 제2 캡부(223)가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 주변에 형성되는 공통 걸림단(114a)에 끼워져 밀착되는 동시에, 제2 실링돌부(226)가 공통 걸림단(114a)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캡부(223)와 제2 실링돌부(226)가 일종의 래버린스 실을 형성하게 되어, 내부마개(210)를 제거하더라도 내용물이 유출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링돌부(226)는 제1 실링돌부(224)와 마찬가지로 제2 캡부(223)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제2 후크돌기(223a)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외마개(220)에는 스파우트 캡(200)의 조작을 보다 간단하게 하고, 스파우트 캡(200)을 보다 용이하게 개폐시키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외부마개(2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요소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외부마개(220)의 커버부(221)는 내부마개(21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커버부(221)의 외주에는 손잡이(227)와 연결되는 연결돌기(228)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227)는 상기 손잡이(227)와 커버부(221)의 사이에 관통홀(h)이 형성되도록 연결돌기(228)에서 연장되어, 외부마개(22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227)는 외부마개(220)의 커버부(221)로부터 절취되는 구조가 아니라, 외부마개(220)의 커버부(221)와 이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연결돌기(228) 및 손잡이(227)는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돌기들(228)은 평면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복수의 손잡이들(227)은 상기 연결돌기들(228)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손잡이들(227)을 연결돌기들(228)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시킨 후 손잡이들(227)을 잡은 후 외부마개(220)를 돌려서 내부마개(210)로부터 외부마개(220)의 착탈을 조작하게 된다.
손잡이(227)에는 상기 손잡이(227)의 일면에서 리세스되는 절곡홈(227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절곡홈(227a)은 연결돌기(228)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연결돌기(228)와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곡홈(227a)에 의해 상기 손잡이(227)가 연결돌기(228)를 향하는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또, 손잡이(227)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손잡이(227)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돌기(227b)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돌기(227b)는 손잡이(227)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외부마개(220)의 외주에 별도의 부품이 없으므로 손잡이(227)의 외주면에 파지돌기(227b)를 형성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캡 및 이를 구비한 액체용기에서 캡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에서 내부마개를 개방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잡이(227)의 파지돌기를 잡고 양쪽 손잡이(227)를 들어올리면서 오므려 양쪽 손잡이(227)가 모이도록 절곡한다. 이때, 손잡이(227)는 연결돌기(228)에 의하여 외부마개(220)의 원주에 연결되고, 그 연결된 부위에 절곡홈(227a)이 형성됨에 따라 손잡이(227)의 절곡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 사용자는 손잡이(227)를 잡아당겨 내부마개(210)의 제2 바디부(213)를 외부로 인출한다.
다음, 사용자는 내부마개(210)가 인출된 후에 외부마개(220)를 돌려 내부마개(210)로부터 분리하고, 내부마개(210)의 내부 캡(215)을 제거한 후 액체용기(100)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다음, 액체용기(100)의 내용물이 남은 경우 사용자는 내부마개(210)의 제2 바디부(213)에 외부마개(220)의 제2 캡부(223)를 끼운 후 여는 방향과 반대로 돌린다. 그러면 외부마개(220)의 제2 나사산(222a)이 내부마개(210)의 제1 나사산(213a)과 맞물려 결합된다.
다음, 외부마개(220)를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밀면, 내부마개(210)의 제1 바디부(212)가 접히면서 제2 바디부(213)가 밀려 배출구(114)로 삽입된다.
한편, 액체용기(100)로부터 내용물을 모두 배출시킨 후에는 액체용기(100)를 폐유용기로 재활용할 수 있다. 액체용기(100)를 폐유용기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내부마개(210)를 제거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내부마개(210)의 제1 후크돌기(211d)를 액체용기(100)의 공통 걸림단(114a)으로부터 분리한 후, 내부마개(210)를 액체용기(100)로부터 제거한다. 그러면,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가 완전히 개방되어 폐유와 같은 액체를 액체용기(100)의 수용공간(S)에 쉽게 담을 수 있다.
이때, 내부마개(210)는 그 외주에 구비되는 제1 고정돌기(211a)가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 안쪽에 삽입되고 제2 고정돌기(211b)가 배출구(114)의 바깥쪽에 후크 결합되어 안착된 상태이나, 다른 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되지 않아 제1 후크돌기(211d)를 공통 걸림단(114a)으로부터 비교적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내부마개(210)가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마개(220)를 이용하여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를 개폐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서 내부마개가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마개가 액체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내부마개(210)가 제거된 경우에는 외부마개(220)의 제1 캡부(222)는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에 삽입되는 반면, 제2 캡부(223)가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 주변에 돌출된 공통 걸림단(114a)에 삽입된다. 이때, 제2 캡부(223)의 하단에 형성된 제2 후크돌기가 상기 공통 걸림단(114a)에 후크 결합되어 외부마개(220)가 스스로 탈거되지 않을 정도의 결합강도를 보유하게 된다.
여기서, 제2 캡부(223)의 안쪽에 구비된 제2 실링돌부는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 내주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구(114)를 사이에 두고 제2 실링돌부(226)와 제2 캡부(223)가 배출구(114)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접촉됨에 따라 실링력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내부마개(210)를 제거하고도 외부마개(220)를 이용하여 액체용기(100)의 배출구(114)를 긴밀하게 막음으로써, 액체용기(10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0 : 액체용기 110 : 하우징
114 : 배출구 114a : 공통 걸림단
200 : 스파우트 캡 210 : 내부마개
211 : 고정부 211a : 제1 고정돌기
211b : 제2 고정돌기 211d : 제1 후크돌기
212 : 제1 바디부 213 : 제2 바디부
213a : 제1 나사부 214 : 접힘부
215 : 내부 캡 220 : 외부마개
221 : 커버부 222 : 제1 캡부
222a : 제2 나사부 223 : 제2 캡부
223a : 제2 후크돌기 224 : 제1 실링돌부
226 : 제2 실링돌부 227 : 손잡이

Claims (10)

  1.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하우징의 배출구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내에서 포개지도록 접히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면 접힌 부분이 펴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내부마개; 및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마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마개가 제거되면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내부마개와 외부마개에는 상기 배출구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부마개와 외부마개에 구비되는 후크돌기는 상기 배출구의 동일한 부위와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에 형성되는 후크돌기와 상기 외부마개에 형성되는 후크돌기는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포개어지며 상기 외부마개가 장착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연결하며,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접히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출구의 내주에 삽입되는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1 고정돌기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의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돌기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후크 결합되도록 후크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와 대응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마개와 착탈되는 제1 캡부; 및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후크 결합되도록 후크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부의 안쪽에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 내주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제2 실링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스파우트 캡.
  10.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친환경 스파우트 캡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친환경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 주변에는 상기 친환경 스파우트 캡의 내부마개 또는 외부마개가 결합되는 공통 걸림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KR1020150154726A 2015-11-04 2015-11-04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KR101776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26A KR101776595B1 (ko) 2015-11-04 2015-11-04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26A KR101776595B1 (ko) 2015-11-04 2015-11-04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365A KR20170052365A (ko) 2017-05-12
KR101776595B1 true KR101776595B1 (ko) 2017-09-11

Family

ID=5874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726A KR101776595B1 (ko) 2015-11-04 2015-11-04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5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365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3247A (en) Bottle closure-cup assembly
CA3014532C (en) Storage container
US9758281B2 (en) Tamper-evident closure assembly having two tamper-evidencing members, and related methods
KR200461241Y1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RU2365527C1 (ru) Затвор для сосуда
JP6084542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RU2437814C2 (ru) Облегченная литая пластиковая крышка с повышенной прочностью
EP1712480B1 (en) Cap element for a beverage can
KR101775809B1 (ko) 캡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1837400B1 (ko)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RU2493073C2 (ru) Контейнер
JP2007176577A (ja) 注出キャップ
KR101776595B1 (ko)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US5730334A (en) Controlled release bottle closure
KR20130087917A (ko)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US10131498B1 (en) Portable air-tight water-tight reuseable trash receptacle
JPH04118348U (ja) 中 栓
KR200491157Y1 (ko) 포장용 캔 용기
WO2020138262A1 (ja) 水筒用蓋体
JP2007112497A (ja) ワンタッチキャップ
KR20160002482U (ko) 액체 용기용 뚜껑
JP3907901B2 (ja) 液注出容器
KR200398345Y1 (ko) 화장품 용기
JP6290061B2 (ja) 受皿付きポンプ容器
KR200376678Y1 (ko) 분리형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