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08B1 - 용기캡 - Google Patents

용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08B1
KR102146008B1 KR1020200063094A KR20200063094A KR102146008B1 KR 102146008 B1 KR102146008 B1 KR 102146008B1 KR 1020200063094 A KR1020200063094 A KR 1020200063094A KR 20200063094 A KR20200063094 A KR 20200063094A KR 102146008 B1 KR102146008 B1 KR 10214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outlet
sealing tab
ca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식품
Priority to KR102020006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6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4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봉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개봉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우려가 없으며, 개봉 이후 완전 밀폐가 이루어져 내용물이 용기캡 내에 잔존하지 않도록,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형성된 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나올 수 있게끔 유출구가 관통형성된 캡본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캡본체에 결합되는 캡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를 폐쇄하고자 캡본체에 결합된 캡덮개의 전방부는 캡본체의 전방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캡본체의 전방부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에는 캡덮개의 전방부를 둘러싸도록 밀봉탭이 세워진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밀봉탭의 상단을 외측으로 밀어 지지턱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유출구가 개방되게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캡{Bottle cap}
본 발명은 용기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는 개방된 입구에 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용기캡이 구비되며, 용기캡은 최초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끔 밀봉팁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밀봉팁은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는 제품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불순한 의도나 호기심을 가진 사람들로 인해 임의로 개봉되어 내용물이 변질되는 등 내용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간장을 비롯한 여러 액체로 이루어진 소스가 수용되는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캡에 부착된 밀봉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봉편(11), 연결편(12), 개봉링(13)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가 액체용기 캡(1)을 구성하는 마개체(7)를 열고, 개봉링(13)에 손가락을 걸은 후 당겨 개봉링(13)과 연결편(12)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개봉편(11)을 뜯음으로써, 마개체(7)에 액체용기(3)와 연통게끔 개방된 유출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팁이 부착된 용기캡은 마개체(7)를 열어야지만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바 개봉 여부를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우며, 개봉링(13)을 당겨 유출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액체용기(3)를 제대로 파지하지 않을 시 당기는 힘에 의해 유출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액체용기(3)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 일부가 외부로 토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개봉링(13)을 당겨 유출공이 형성되도록 한 후 사용하고 마개체(7)를 닫더라도 마개체(7)에 의한 유출공의 완전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유출공 주변으로 내용물이 묻게 되고, 내용물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마개체(7)를 열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나 의류 등에 내용물이 튄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9644호 '액체용기 캡'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봉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개봉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우려가 없으며, 개봉 이후 완전 밀폐가 이루어져 내용물이 용기캡 내에 잔존하지 않는 용기캡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용기캡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형성된 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나올 수 있게끔 유출구가 관통형성된 캡본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캡본체에 결합되는 캡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를 폐쇄하고자 캡본체에 결합된 캡덮개의 전방부는 캡본체의 전방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캡본체의 전방부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에는 캡덮개의 전방부를 둘러싸도록 밀봉탭이 세워진 상태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밀봉탭은 횡단면이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앙이 높이방향을 따라 끊어지면서 두 조각으로 분리되게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덮개의 전방측 상부는 오목하게 함입된 개봉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탭의 상단은 캡덮개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본체는 환형을 이루면서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유출구를 형성하는 유출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캡덮개는 유출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환형을 이루면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막음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막음돌기는 유출가이드돌기와 맞닿게끔 유출가이드돌기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초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밀봉탭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개봉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밀봉탭의 상단을 외측으로 밀어 지지턱으로부터 밀봉탭을 손쉽게 분리시켜 용기캡을 개봉할 수 있으며, 밀봉탭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도 캡덮개는 캡본체와 결합되어 유출구의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우려가 없다.
또한, 밀봉탭을 분리시킨 후 용기캡이 결합된 용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유출구의 완전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캡덮개를 열더라도 캡본체 또는 캡덮개에 내용물이 묻어있지 않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용기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캡이 용기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캡에 적용된 밀봉탭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캡에 적용된 밀봉탭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캡에 적용된 밀봉탭이 제거된 후 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에서는 개봉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개봉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우려가 없으며, 개봉 이후 완전 밀폐가 이루어져 내용물이 용기캡 내에 잔존하지 않도록,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형성된 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나올 수 있게끔 유출구가 관통형성된 캡본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캡본체에 결합되는 캡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를 폐쇄하고자 캡본체에 결합된 캡덮개의 전방부는 캡본체의 전방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캡본체의 전방부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에는 캡덮개의 전방부를 둘러싸도록 밀봉탭이 세워진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밀봉탭의 상단을 외측으로 밀어 지지턱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유출구가 개방되게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용기캡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용기캡(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체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B)와 결합되어 용기(B)를 밀폐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거나, 용기(B)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용기캡(A)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B)에 형성된 입구에 결합되고 내용물이 외부로 나올 수 있게끔 유출구(110)가 관통형성된 캡본체(100)와, 유출구(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캡본체(100)에 결합되는 캡덮개(200)를 포함한다. 캡본체(100)는 용기(B)의 입구 형태와 용기(B)와의 결합방식을 고려하였을 때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캡덮개(200)는 캡본체(100)의 형태를 비롯한 캡본체(100)와의 결합방식을 고려하였을 때 원통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캡덮개(200)는 캡본체(100)와 결합시 유출구(110)를 폐쇄하고, 캡본체(100)와의 결합 해제시 유출구(110)를 개방시킨다. 또한, 캡덮개(200)는 캡본체(100)와의 결합 해제시 캡본체(100)와 별개로 분리될 수 있음은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본체(100)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캡본체(100)와 캡덮개(2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에 형성된 이음편(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음편(25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게끔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110)를 폐쇄하기 위하여 캡본체(100)에 결합된 캡덮개(200)의 전방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본체(100)의 전방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캡본체(100)의 전방부에 지지턱(120)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캡덮개(200)는 전방부만이 캡본체(100)의 전방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게끔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부를 포함한 전체가 캡본체(100)보다 내측에 위치하게끔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턱(12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덮개(200)의 전방부를 둘러싸도록 밀봉탭(300)이 세워진 상태로 부착된다. 이처럼 밀봉탭(300)은 캡본체(100)에 결합된 캡덮개(200)를 열기 위해 들어올려야 하는 부분을 감싸고 있는바, 이를 제거하여야만 캡덮개(200)를 열 수 있다. 즉, 밀봉탭(300)이 부착된 용기캡(A)은 개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밀봉탭(300)은 캡덮개(200)의 전방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횡단면이 호 형태를 이루게끔 곡면으로 된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봉탭(300)은 세워져 하단 일부 또는 전체가 지지턱(1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탭(300)은 용기캡(A)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개봉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탭(300)의 상단 내측으로 손가락을 위치시킨 후, 밀봉탭(300)의 상단을 외측으로 밀어 지지턱(120)으로부터 밀봉탭(300)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처럼 밀봉탭(300)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컵덮개(200)는 캡본체(100)와 결합되어 유출구(110)의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우려가 없다.
밀봉탭(300)은 하나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외측으로 힘을 가하여 분리하고자 할 시 양 끝단이 부착되어 있으면 많은 힘을 가해야 하거나 다방향으로 힘을 가하여야만 분리가 가능한바, 다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밀봉탭(30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높이방향을 따라 끊어지면서 두 조각으로 분리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밀봉탭(300)의 정중앙 상단을 외측으로 밀게 되면 밀봉탭(300)은 중앙 상단으로부터 중앙 하단까지 벌어지면서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되는 밀봉탭(300)에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면 두 조각으로 분리되면서 지지턱(120)으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진다. 즉, 분리가능하게끔 두 조각으로 이루어진 밀봉탭(300)은 한 번의 동작으로 지지턱(120)으로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밀봉탭(300)이 지지턱(120)으로부터 분리되는데 과도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다.
컵덮개(200)의 전방측 상부, 즉 밀봉탭(300)과 인접한 컵덮개(200)의 상부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함입된 개봉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밀봉탭(300)을 분리시키기 위해 개봉홈(210) 내로 손가락을 집어넣고 외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밀봉탭(300)을 향해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밀봉탭(300)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개봉홈(210)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밀봉탭(300)은 상단을 밀 수 있도록 상단이 캡덮개(200)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밀봉탭(300)이 캡덮개(200)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 본 발명을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캡덮개(200)보다 돌출된 밀봉탭(300) 부분에 의해 걸림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바, 캡덮개(200)에는 상술한 개봉홈(210)이 형성되고, 밀봉탭(300)의 상단은 캡덮개(2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거나, 캡덮개(20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이루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캡덮개(2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밀봉탭(300)이 형성되어 밀봉탭(300)을 제거함에 충분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본체(100)는 환형을 이루면서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유출구(110)를 형성하는 유출가이드돌기(130)가 형성되어, 내용물이 유출가이드돌기(130)를 따라 흘러나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캡덮개(200)는 유출가이드돌기(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환형을 이루면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막음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막음돌기(220)는 그 직경이 유출가이드돌기(1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유출가이드돌기(130)와 맞닿게끔 유출가이드돌기(130)의 내측에 끼워져, 캡본체(100)와 캡덮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용기(B) 내의 내용물이 유출가이드돌기(130)과 막음돌기(220)로 인해 캡본체(100)의 상으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밀봉탭(300)을 분리시킨 후 용기캡(A)이 결합된 용기(B)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유출구(110)의 완전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캡덮개(200)를 열더라도 캡본체(100) 또는 캡덮개(200)에 내용물이 묻어있지 않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캡덮개(200)는 전방부를 포함한 전체가 캡본체(100)보다 내측에 위치하게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캡덮개(200)의 상단 가장자리 중 밀봉캡(300)이 부착되는 부분과 이음편(250)이 연결된 후방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캡덮개(200)가 맞닿는 지점과 인접한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턱(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열린 캡덮개(200)를 가이드턱(150)을 통해 손쉽게 가이드턱(150)의 내측에 위치하게끔 할 수 있는바, 캡본체(100)와 캡덮개(20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캡본체(100)는 가장자리와 유출가이드돌기(130) 사이 부분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출가이드돌기(130), 캡본체(100)의 가장자리와 유출가이드돌기(130) 사이 부분, 캡본체(100)의 가장자리가 순차적으로 점차 낮아지는 단을 이루게끔 형성될 수 있다. 캡본체(100)의 가장자리와 유출가이드돌기(130) 사이 부분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끔 제1 걸림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캡덮개(200)의 측면 내측에서 제1 걸림돌기(140)와 대응되는 지점과 인접한 지점에 제2 걸림돌기(230)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덮개(200)를 덮으면 제2 걸림돌기(230)는 제1 걸림돌기(140)의 하방에서 제1 걸림돌기(140)에 걸리게 되어 캡덮개(200)와 캡본체(100)가 결합된다.
제2 걸림돌기(230)는 캡덮개(200)의 전방에 위치한 측면 내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캡덮개(200)의 전방부 하단에는 나머지 부분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개방단(24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밀봉탭(300)이 제거된 상태에서 캡덮개(200)를 열기 위하여 개방단(240) 부분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제2 걸림돌기(230)와 제1 걸림돌기(140) 간의 걸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개방단(240)의 들어올림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개방단(240)과 대응되는 캡본체(100)의 전방부는 하방과 내측으로 함입된 개방유도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방유도홈(160) 내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개방단(240)을 들어올림으로써 캡본체(100)와 캡덮개(200)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A : 용기캡 B : 용기
100 : 캡본체 110 : 유출구
120 : 지지턱 130 : 유출가이드돌기
140 : 제1 걸림돌기 150 : 가이드턱
160 : 개방유도홈
200 : 캡덮개 210 : 개봉홈
220 : 막음돌기 230 : 제2 걸림돌기
240 : 개방단 250 : 이음편
300 : 밀봉탭

Claims (5)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B)에 형성된 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나올 수 있게끔 유출구(110)가 관통형성된 캡본체(100); 상기 유출구(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캡본체(100)에 결합되는 캡덮개(200);를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110)를 폐쇄하고자 캡본체(100)에 결합된 캡덮개(200)의 전방부는 캡본체(100)의 전방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캡본체(100)의 전방부에 지지턱(12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120)에는 캡덮개(200)의 전방부를 둘러싸도록 밀봉탭(300)이 세워진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밀봉탭(300)의 상단을 외측으로 밀어 지지턱(1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유출구(110)가 개방되게끔 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탭(300)은 횡단면이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앙이 높이방향을 따라 끊어지면서 두 조각으로 분리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덮개(200)의 전방측 상부는 오목하게 함입된 개봉홈(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탭(300)의 상단은 캡덮개(2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용기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100)는 환형을 이루면서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유출구(110)를 형성하는 유출가이드돌기(130)가 형성되고,
    상기 캡덮개(200)는 유출가이드돌기(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환형을 이루면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막음돌기(220)가 형성되되,
    상기 막음돌기(220)는 유출가이드돌기(130)와 맞닿게끔 유출가이드돌기(130)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
  5. 삭제
KR1020200063094A 2020-05-26 2020-05-26 용기캡 KR10214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94A KR102146008B1 (ko) 2020-05-26 2020-05-26 용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94A KR102146008B1 (ko) 2020-05-26 2020-05-26 용기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08B1 true KR102146008B1 (ko) 2020-08-20

Family

ID=7224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094A KR102146008B1 (ko) 2020-05-26 2020-05-26 용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0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9652U (ko) * 1977-03-19 1978-10-14
WO1994004427A1 (en) * 1992-08-11 1994-03-03 Courtaulds Packaging Limited Tamper-evident snap hinged closure
KR200249644Y1 (ko) 2001-06-25 2001-11-16 안영남 액체용기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9652U (ko) * 1977-03-19 1978-10-14
WO1994004427A1 (en) * 1992-08-11 1994-03-03 Courtaulds Packaging Limited Tamper-evident snap hinged closure
KR200249644Y1 (ko) 2001-06-25 2001-11-16 안영남 액체용기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241Y1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US4394922A (en) Rubber stopper with plastic pull ring
JP6602233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120064058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MY131157A (en) Container closure system having a cap removable with less than a 45 degree twist
KR102146008B1 (ko) 용기캡
KR200425667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JP660223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0255615A (ja) 合成樹脂製のキャップ装置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JP7123723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4043712B2 (ja) 合成樹脂製中栓付きの容器
JP3894358B2 (ja) 注出キャップ
JP4349671B2 (ja) 易開栓性中栓及び中栓付容器蓋
JP7190881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アクチュエーター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JP4652591B2 (ja) 複合容器蓋
JP4285822B2 (ja) 易開栓性中栓及び易開栓性中栓付複合容器蓋
KR102657074B1 (ko) 분리 배출이 용이한 안전 캡
KR200173348Y1 (ko) 분리가용이한위조방지용캔마개
KR200244521Y1 (ko) 이중개폐가능한캡
JPS5849951Y2 (ja) 容器蓋
KR200429144Y1 (ko)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JP4815981B2 (ja) 中栓及び中栓付きキャップ
JP45166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