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635A - 액체 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635A
KR20210093635A KR1020200007478A KR20200007478A KR20210093635A KR 20210093635 A KR20210093635 A KR 20210093635A KR 1020200007478 A KR1020200007478 A KR 1020200007478A KR 20200007478 A KR20200007478 A KR 20200007478A KR 20210093635 A KR20210093635 A KR 2021009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pper
cover
open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경화
Original Assignee
방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경화 filed Critical 방경화
Priority to KR102020000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635A/ko
Publication of KR2021009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and an overcap, the spout outlet being either pushed into alignment with, or pushed through an opening in the overcap, upon rotation of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용기 마개의 커버부가 양 측면에서 중간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개방된 토출구 및 흡입구와 절취된 커버부가 서로 겹쳐지는 면적은 작고, 토출구 및 흡입구의 면적은 커져 용기 속의 내용물을 더욱 원활하게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커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절취막을 커버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수직의 세워진 형태로 형성하여 커버부의 절취시 저항이 줄어들어 절취가 더욱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용기용 마개{Cap for liquid vessel}
본 발명은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토출 구멍을 밀봉하는 커버부의 절취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 용기 내의 내용물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마개는 용기 속의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용기 입구를 밀봉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뚜껑이나, 캡, 덮개 등을 말한다. 마개는 용기 내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밀봉하는 기능을 하며, 내용물의 변조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히 식품 용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마개의 기능성이 더욱 중요해진다. 따라서, 식품 등을 담는 용기에 사용되는 마개는 절취부분이 형성된 마개를 사용하여 이물질의 유입과 내용물의 변조를 방지한다.
특허문헌 1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내부 마개에 절취 마개가 설치되어 상기 절취 마개에 형성된 절취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개봉되도록 하여 용기 내의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마개에 관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은 절취 손잡이를 잡아당겨 개봉할 때, 잘못 뜯겨지는 경우 손잡이 부분만 뜯겨져 나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과도하게 힘을 주어 절취 마개를 당겨 뜯을 경우 용기 안의 내용물이 밖으로 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2는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특허문헌 1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오픈 부재를 회전시켜 커버 부재를 뜯는 방식으로 액체가 토출 되도록 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2는 커버 부재의 절취부가 바닥 부분에 형성되어 커버부재를 회전시킬 때, 전체면에 대한 저항이 커져 절취부가 잘 뜯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가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취부가 뜯어진 커버 부재와 개방된 토출구 부분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많아 토출구의 구멍이 작아져 용기 안의 액체가 원활하게 토출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667 (2006.08.30) (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496102호 (2015.02.16)
본 발명에서는 절취된 커버부와 토출구 및 흡입구 부분이 겹쳐지는 부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액체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부의 절취시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액체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체류 등이 담기는 용기에 사용되고, 용기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용기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 구멍이 형성되고, 토출 구멍을 밀봉하며, 하부에 얇은 절취막이 형성된 커버부가 설치된 용기 마개와, 용기 마개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커버부를 절취하기 위한 커버 분리부와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오픈 마개로 구성되는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버부는 양 측면에 각각 토출구 및 흡입구를 덮는 토출구 밀봉부와 흡입구 밀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 밀봉부와 흡입구 밀봉부는 각각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중심에는 상기 토출구 밀봉부와 흡입구 밀봉부를 연결하는 이음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는 하부 테두리를 따라 수직의 세워진 형태로 절취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절취막이 뜯어진 커버부와 개방된 토출구 및 흡입구 부분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을 최소화되도록 커버부의 형상을 형성하여 토출구 및 흡입구 구멍의 면적이 커져 꿀렁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기 내의 내용물의 토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의 절취시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절취막이 형성되어 더욱 간편하게 커버부를 절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용 마개에서 용기 마개와 오픈 마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용 마개에서 용기 마개와 오픈 마개가 분리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용 마개에서 용기 마개와 오픈 마개가 분리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용 마개에서 용기 마개와 오픈 마개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용 마개에서 용기 마개와 오픈 마개가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용 마개에서 용기 마개와 오픈 마개가 조립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용 마개에서 커버부가 절취 되기 전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용 마개에서 커버부가 절취 된 후의 평면도.
본 발명은 액체 용기용 마개(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 마개(20)와 오픈 마개(50)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개(10)는 용기(60) 내의 내용물을 보호하는 것으로, 용기 마개(20)와 오픈 마개(50)로 구성된다. 용기 마개(20)는 용기(60)의 상부에 끼워지는 마개로, 하부는 뚫린 형태이다. 공간(22)은 용기(60)의 상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곳으로, 용기 마개(20)의 내부로 형성된다. 걸림부(24)는 용기 마개(20)의 내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돌기 부분으로, 용기(6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토출 구멍(25)은 용기 마개(20) 하부의 내부 중앙에서 상부로 뚫리는 구멍으로, 용기(60) 내의 내용물이 토출 되는 구멍이다. 커버부(26)는 토출 구멍(25)을 덮어 용기(60) 속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26)는 양 측면에서 중간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토출구 밀봉부(27)와 흡입구 밀봉부(28), 이음부(29)로 구성되며, 하부에는 절취막(30)이 형성된다. 먼저, 토출구 밀봉부(27)는 토출구(70)를 밀봉하는 부분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입구 밀봉부(28)는 흡입구(80)를 밀봉하는 부분으로, 상기 토출구 밀봉부(27)와 같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토출구 밀봉부(27)와 흡입구 밀봉부(28)는 각각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서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음부(29)는 상기 토출구 밀봉부(27)와 흡입구 밀봉부(28)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커버부(26)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다. 절취막(30)은 얇은 막으로, 상기 커버부(26)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절취막(30)은 토출 구멍(25)의 개방을 위해 커버부(26)의 회동 시 절취 되는 부분이다.
용기 마개(20)의 상부에는 삽입 공간(32) 및 삽입 홈(38), 걸림 돌기(40)가 형성된다. 먼저, 삽입 공간(32)은 용기 마개(2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며, 오픈 마개(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이다. 삽입 공간(32)의 외곽으로는 테두리부(34)가 돌출 형성된다. 테두리부(34)는 오픈 마개(50)의 커버 분리부(58)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 부분으로, 외주면에는 결합 홈(36)이 형성된다. 삽입 홈(38)은 상기 테두리부(34)의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홈으로, 오픈 마개(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다. 걸림 돌기(40)는 오픈 마개(50)의 회동 시 회동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용기 마개(2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이다. 뚜껑(42)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용기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덮개로, 용기 마개(20)의 외측 테두리에 연결부(44)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44)는 유연하고 잘 구부러져 뚜껑(42)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오픈 마개(50)는 용기(60) 내의 내용물의 배출을 도와주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51)을 형성하면서 상부는 막히고, 하부는 뚫린 형태이다. 오픈 마개(50)의 상부에는 손잡이부(52)가 형성된다. 손잡이부(52)는 오픈 마개(50)의 회동시 사용자가 편리하도록 밸브 형태로 형성된 부분이다. 손잡이부(52)에는 배출구(53)와 공기 유입부(54)가 형성된다. 배출구(53)는 오픈 마개(50)의 전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용기(60)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공기 유입부(54)는 오픈 마개(50)의 후측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곳이다.
오픈 마개(50)의 하부로는 원형의 외측 테두리부(56)와 커버 분리부(58)가 돌출 형성된다. 먼저, 외측 테두리부(56)는 오픈 마개(50) 하부의 가장 바깥쪽에 돌출 형성된 테두리 부분으로, 내주면에는 결합 돌기(57)가 형성된다. 커버 분리부(58)는 토출구(70) 및 흡입구(80)의 개방을 위해 커버부(28)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측 테두리부(56)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용기 마개(20)와 오픈 마개(50)가 분리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취막(30)은 커버부(26)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수직의 세워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절취막(30) 부분이 토출 구멍(25)의 테두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면, 커버부(26)는 토출 구멍(25)의 상부를 덮어 밀봉의 상태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용기 마개(20)와 오픈 마개(50)가 분리된 상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픈 마개(50)는 내부로는 공간(51)이 형성되면서 하부는 뚫린 형태로, 손잡이부(5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출구(53)와 공기 유입부(54)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51)과 배출구(43)와 공기 유입부(54)는 서로 연결된 형태로, 용기 마개(20)에서 토출 된 내용물은 오픈 마개(50)의 공간(51)을 통과하여 배출구(53)를 통해 배출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기 유입부(54)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오픈 마개(50)의 내부 공간(51)을 통해 용기(60) 내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용기 마개(20)와 오픈 마개(50)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저 용기 마개(20) 내부로 형성된 공간(22)에는 용기(6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용기(6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가 용기 마개(10)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걸림부(24)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끼워진 상태가 되면, 용기(60)는 용기 마개(20)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후, 용기 마개(20)의 상부로는 오픈 마개(50)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오픈 마개(5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외측 테두리부(56)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 돌기(57)가 용기 마개(20)의 테두리부(34)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 홈(36)과 끼워져 결합 되면서, 오픈 마개(50)는 용기 마개(20)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픈 마개(50)가 용기 마개(20)의 상부에 끼워지게 되면, 오픈 마개(50)의 외측 테두리부(56)는 용기 마개(20)의 삽입 홈(38)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또한, 오픈 마개(50)의 커버 분리부(58)는 용기 마개(20)의 삽입 공간(32)에 끼워진 상태가 되며, 커버 분리부(58)의 내측으로는 커버부(26)가 끼워진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커버부(26)가 절취 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픈 마개(50)를 용기 마개(20)의 상부로 끼우면, 오픈 마개(50)의 하부에 형성된 커버 분리부(58)에는 커버부(26)가 끼워진 상태가 되며, 오픈 마개(50)의 손잡이부(52)는 용기 마개(5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일측의 걸림 돌기(40)에 걸린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오픈 마개(50)를 90도로 회전하게 되면 커버부(26)는 절취 되고, 용기(60) 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커버부(26)가 절취 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픈 마개(50)를 90도로 회전하게 되면, 오픈 마개(50)의 손잡이부(52)는 타측의 걸림 돌기(40)에 걸린 상태가 되고, 커버부(28)는 절취 된 상태가 된다. 커버부(26)는 오픈 마개(50)의 하부에 형성된 커버 분리부(58)에 끼워진 상태로, 오픈 마개(50)가 회동함에 따라 커버부(26)는 밀리면서 힘을 받게 된다. 커버부(26)가 점차 밀리면서 커버부(26) 하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절취막(30)은 뜯어지고, 토출 구멍(26)은 개봉된다. 이때, 절취막(30)은 커버부(26)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수직의 세워진 형태로 형성되어, 절취막(30)이 뜯겨질 때의 저항이 작아져 더욱 쉽게 커버부(26)를 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26)가 절취 되면, 절취 된 커버부(26)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토출구(70)가 개방되고, 타측에는 흡입구(80)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커버부(26)는 양 측면에서 중간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절취 된 커버부(26)와 개방된 토출구(70) 및 흡입구(80)는 상기 커버부(26)의 중간의 가장 면적이 작은 부분인 이음부(29)가 겹쳐지게 된다. 즉, 절취 된 커버부(26)와 개방된 토출구(70) 및 흡입구(80)의 겹침 부분은 작아지고, 토출구(70) 및 흡입구(80)의 구멍 면적은 커져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해진다.
이후, 사용자가 용기(60)를 살짝 기울이게 되면, 상기 토출구(70)로는 용기(50) 내의 내용물이 토출 구멍(25)을 통과하여 토출구(70)로 토출 되어, 이후, 오픈 마개(5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51)을 지나 배출구(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80)로는 손잡이부(52)의 공기 유입부(54)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오픈 마개(50)의 내부 공간(51)을 통과하여, 개방된 흡입구(80)를 통해 들어가게 되어, 꿀렁임을 줄여 내용물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10 : 마개 20 : 용기 마개
22 : 공간 24 : 걸림부
25 : 토출구멍 26 : 커버부
27 : 토출구 밀봉부 28 : 흡입구 밀봉부
29 : 이음부 30 : 절취막
32 : 삽입 공간 34 : 테두리부
36 : 결합 홈 38 : 삽입홈
40 : 걸림 돌기 42 : 연결부
44 : 뚜껑 50 : 오픈 마개
51 : 공간 52 : 손잡이부
53 : 배출구 54 : 공기 유입부
56 : 외측 테두리부 57 : 결합 돌기
58 : 커버 분리부 60 : 용기
70 : 토출구 80 : 흡입구

Claims (1)

  1. 액체류 등이 담기는 용기(60)에 사용되고, 용기(6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용기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 구멍(26)이 형성되고, 토출 구멍(26)을 밀봉하며, 하부에 얇은 절취막(30)이 형성된 커버부(28)가 설치된 용기 마개(20)와, 용기 마개(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커버부(28)를 절취하기 위한 커버 분리부(58)와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3)가 형성된 오픈 마개(50)로 구성되는 액체 용기용 마개(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6)는 양 측면에 각각 토출구(70) 및 흡입구(80)를 덮는 토출구 밀봉부(27)와 흡입구 밀봉부(28)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 밀봉부(27)와 흡입구 밀봉부(28)는 각각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26)의 중심에는 상기 토출구 밀봉부(27)와 흡입구 밀봉부(28)를 연결하는 이음부(29)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26)의 하부에는 하부 테두리를 따라 수직의 세워진 형태로 절취막(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마개.
KR1020200007478A 2020-01-20 2020-01-20 액체 용기용 마개 KR20210093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478A KR20210093635A (ko) 2020-01-20 2020-01-20 액체 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478A KR20210093635A (ko) 2020-01-20 2020-01-20 액체 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35A true KR20210093635A (ko) 2021-07-28

Family

ID=7712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478A KR20210093635A (ko) 2020-01-20 2020-01-20 액체 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363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67Y1 (ko) 2006-06-08 2006-09-19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101496102B1 (ko) 2014-10-22 2015-03-02 주정우 액체 용기용 마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67Y1 (ko) 2006-06-08 2006-09-19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101496102B1 (ko) 2014-10-22 2015-03-02 주정우 액체 용기용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3850A (en) Dispensing cap
JP4422156B2 (ja) 塗料噴霧器用流体槽
EP1841662B1 (en) Leak resistant drinking cup
US7823802B1 (en) Extensible straw for a disposable collapsible drink mixing container
US7578386B2 (en)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KR101559745B1 (ko) 필터를 구비한 이중 음료용기
KR20210093635A (ko) 액체 용기용 마개
CN111328266A (zh) 便携式饮料容器
JP3298744B2 (ja) 振り出し容器
EP2644528B1 (en) Container lid
JP3929602B2 (ja) 振り混ぜ容器の蓋付き注出栓
CN106927131A (zh) 具有复合盖子的容器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JP4663057B2 (ja) 流出筒を備えた容器蓋
CN218199820U (zh) 任意角度翻转定位式直饮杯盖
JP5477850B2 (ja) 注出容器
JPH066792Y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H0242593Y2 (ko)
JP4322447B2 (ja) 噴出キャップ
KR20230139608A (ko)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KR20210000545U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100556572B1 (ko)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KR200379451Y1 (ko)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JP3534511B2 (ja) 液体収納容器
KR200301585Y1 (ko) 병마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