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608A -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608A
KR20230139608A KR1020220038154A KR20220038154A KR20230139608A KR 20230139608 A KR20230139608 A KR 20230139608A KR 1020220038154 A KR1020220038154 A KR 1020220038154A KR 20220038154 A KR20220038154 A KR 20220038154A KR 20230139608 A KR20230139608 A KR 20230139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as discharge
cap
outl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대섭
Original Assignee
양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대섭 filed Critical 양대섭
Priority to KR102022003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608A/ko
Publication of KR2023013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65D51/16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formed by a slit or narrow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이 보관되는 용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자동배출할 수 있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 이물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 가스배출이 용이토록 한 것으로, 속마개가 용기함체의 배출구로 일정깊이로 내입되어지는 내입돌부의 저면에 일정압력하에서만 작동되는 밸브를 장착토록 하고, 상기 밸브는 내입돌부의 내입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지고, 상기 속마개의 용기함체의 상단테두리와 밀착되는 후렌지의 상면으로는 일정간격으로 유출라인을 내입되게 전후로 관통되게 구비토록 하여 통기로를 속마개를 용기함체의 배출구에 막아준 상태에서 겉마개를 배출구의 나사산과 맞물림토록 하면 유출라인에 의하여 가스가 나사산을 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container stopper equipped with gas discharge means}
본 발명은 액상이 보관되는 용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자동배출할 수 있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 이물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 가스배출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현재 이러한 용도로 본원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504071호에서는 이를 위하여 용기함체의 토출구를 1차로 막아주는 속마개에 액상은 차단하면서 가스만을 배출할 수 있는 가스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배출수단에 의하여 배출된 가스는 겉마개의 상면 특정위치에 가스배출공을 천공하여 가스가 자동으로 배출가능토록 한 것이고,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일정압력하에서만 열림되어지면서 가스가 배출가능토록 함으로서 액상에서발생되는 가스를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외부로 노출되는 겉마개의 상면에 가스배출공이 천공되어져 이러한 가스배출공으로 이물질이 진입될 경우에는 이러한 가스배출공의 막힘에 의한 문제점이발생되거나 특히 미세한 입자는 이러한 가스배출공을 통하여 속마개로 진입되면서 용기함체에 취식가능한 내용물이 포장될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겉마개를 열었을 경우에 속마개에 이물질이 존재하게 되면서 제품의 하자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이러한 겉마개를 사출성형에 의한 방식으로 제조되어지는 점을 감안하면 가스배출공의 크기를 무한정 작게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도 존재하고, 이로 인하여 이러한 가스배출공으로 미세한 벌레나 곤충이 침투할 경우에는 더욱더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겉마개에 가스배출공을 구비치 아니하면서도 가스배출이 가능토록 하면서 용기함체와의 기밀유지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속마개가 용기함체의 배출구로 일정깊이로 내입되어지는 내입돌부의 저면에 일정압력하에서만 작동되는 밸브를 장착토록 하고, 상기 밸브는 내입돌부의 내입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지고, 상기 속마개의 용기함체의 상단테두리와 밀착되는 후렌지의 상면으로는 일정간격으로 유출라인을 내입되게 전후로 관통되게 구비토록 하여 통기로를 속마개를 용기함체의 배출구에 막아준 상태에서 겉마개를 배출구의 나사산과 맞물림토록 하면 유출라인에 의하여 가스가 나사산을 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유출라인을 후렌지 상면에서 연장되어 내입돌부의 내입부를 형성하는 내벽면에도 연장토록 함으로서 가스의 배출이 더욱더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출라인이 내입부의 내벽으로 연장될 경우에 내입돌부의 외벽면에는 수평의 널링부를 구비토록 하여 용기함체의 배출구에 결합될 경우에 기밀유지가 가능하면서 내벽으로 연장되는 유출라인에 의한 보강기능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렌지의 테두리에 유출라인이 형성된 부분에 일정폭으로 가이드돌출면을 형성토록 하여 속마개가 용기함체의 배출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겉마개로 마감처리할 경우에 속마개와 겉마개의 긴밀할 결합에 의하여 가스배출이 막힘되어지는 것을 차단가능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겉마개에 통기구가 없어 이물질의 진입을 차단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속마개를 제거할 경우에도 제거의 용이성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속마개로 긴밀하게 배출구를 차단한 상태에서도 가스배출이 용이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속마개가 배출구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속마개가 배출구에 널링부에의하여 결합된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속마개에 연장유출라인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후렌지의 테두리에 절개면에 의하여 통기로가 형성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가스배출상태를 도시한 일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가스배출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액상을 포장토록 할 수 잇는 용기함체(100)와 상기 용기함체(100)의 배출구(110)를 개폐토록 하는 속마개(200)와 상기 속마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식으로 탈착되어지는 겉마개(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함체의 배출구(110)는 함체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출구의 외벽면(111)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지고, 상단테두리(112)는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져 속마개(200)가 배출구(110)로 일정깊이 내입되면서 결합될 경우에 속마개(200)의 후렌지(210)의 이면(211)이 일정폭으로 이루어지는 상단테두리(112)를 가압하게 되면서 기밀이 1차 유지되어지고, 그 상태에서 겉마개(300)를 나사식으로 가압하면서 결합할 경우에는 후렌지 이면(211)이 상단테두리(112)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2차 기밀이 유지되면서 액상의 누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속마개(200)가 용기함체의 배출구(110)로 일정깊이로 내입되어지는 내입돌부(220)의 저면에는 일정 압력하에서만 작동되는 밸브(230)를 장착토록 하고, 상기 밸브는 내입돌부의 내입부(221)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돌출되어지고, 상기 돌출부(231)의 정점에는 절개선(232)이 형성되어 일정압력하에서만 절개선(232)이 벌어지면서 가스가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속마개(200)의 용기함체(100)의 상단테두리(112)와 이면(211)이 밀착되는 후렌지(210)의 상면(212)으로는 일정간격으로 유출라인(213)을 내입되게 전후로 관통되게 구비토록 하여 통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즉 속마개(200)를 용기함체(100)의 내입돌부(220)외 외벽면(222)이 배출구(110)의 내벽면(113)과 가압에 의하여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막아준 상태에서 후렌지의 이면(211)이 일정폭의 상단테두리(112)와 밀착된 상태에서 겉마개(300)를 배출구(110)의 나사산(111)과 가압에 의하여 맞물림토록 하면 후렌지 이면(211)이 상단테두리(112)와 밀착된 상태에서 기밀이 유지되어지고, 속마개(200)의 밸브(2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는 후렌지(210)의 상면(212)의 유출라인(213)에 의하여 가스가 나사산(111)을 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유출라인(213)을 후렌지 상면(212)에서 연장되어 내입돌부(220)의 내입부(221)를 형성하는 내벽면(222)으로도 연장토록 함으로서 가스의 배출이 더욱더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출라인(213)이 내입부의 내벽면(222)으로 연장될 경우에 내입돌부의 외벽면(223)에는 수평의 널링부(224)를 구비토록 하여 용기함체의 배출구(110)의 내벽면(113)과 긴밀하게 결합될 경우에 다단의 밀착과 그 사이에 진공이 유지되면서 기밀유지가 가능하면서 내벽면(222)으로 연장되는 연장유출라인(213a)에 의한 살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에 대하여 보강기능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렌지의 테두리에 유출라인(213)이 관통되게 형성된 부분에 일면이 일정폭으로 전방돌출되면서 가이드돌출면(214)에 의한 절개면(215)에 의한 통기로(a)를 형성토록 하여 속마개(200)의 내입돌부가 용기함체의 배출구(110)에 가압결합된 상태에서 겉마개(300)로 배출구의 나사산(111)과 맞물림되면서 가압되어 마감처리할 경우에 속마개(200)와 겉마개(300)의 긴밀할 결합에 의하여 가스배출이 막힘되어지는 것을 이러한 가이드돌출면(214)이 지지하면서 절개면(215)이 통기로(a)를 형성하면서 가스배출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돌출면(214)에 의하여 속마개를 배출구에서 분리할 경우에 분리조작의 용이성도 제공할 수 잇는 것이다.
또한 배브가 내입돌부의 내입면(111)에 상향돌출되어질 경우에 겉마개로 마감처리한 후 용기함체를 다단으로 적층하거나 도는 하중의 하물이 적층될 경우에 겉마개의 눌림에 의하여 밸브(230)의 눌림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밸브를 감싸면서 지지벽(240)을 돌출되게 형성토록 하고, 상기 지지벽(240)에는 개구홀(241)이 형성토록 하여 통기가능성에 의한 가스배출이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0:용기함체
110:배출구 111:나사산
112:상단테두리 113:내벽면
200:속마개
210:후렌지 211:이면
212:상면 213:유출라인
213a:연장유출라인 214:가이드돌출면
215:절개면 220:내입돌부
221:내입부 222:외벽면
223:외벽면 224:널링부
230:밸브 231:돌출부
232:절개선
300:겉마개
a:통기로

Claims (5)

  1. 액상을 포장토록 할 수 잇는 용기함체(100)와 상기 용기함체(100)의 배출구(110)를 개폐토록 하는 속마개(200)와 상기 속마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식으로 탈착되어지는 겉마개(300)와
    상기 용기함체의 배출구(110)는 함체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출구의 외벽면(111)에는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단테두리(112)는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져 속마개(200)가 배출구(110)로 일정깊이 내입되면서 결합될 경우에 속마개(200)의 후렌지(210)의 이면(211)이 일정폭으로 이루어지는 상단테두리(112)를 가압하게 되면서 기밀이 1차 유지되어지고, 그 상태에서 겉마개(300)를 나사식으로 가압하면서 결합할 경우에는 후렌지 이면(211)이 상단테두리(112)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2차 기밀이 유지되면서 액상의 누출이 방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200)가 용기함체의 배출구(110)로 일정깊이로 내입되어지는 내입돌부(220)의 저면에는 일정 압력하에서만 작동되는 밸브(230)를 장착토록 하고,
    상기 밸브는 내입돌부의 내입부(221)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돌출되어지고,
    상기 돌출부(231)의 정점에는 절개선(232)이 형성되어 일정압력하에서만 절개선(232)이 벌어지면서 가스가 배출되어지고,
    상기 속마개(200)의 용기함체(100)의 상단테두리(112)와 이면(211)이 밀착되는 후렌지(210)의 상면(212)으로는 일정간격으로 유출라인(213)을 내입되게 전후로 관통되게 구비토록 하여 통기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라인(213)을 후렌지 상면(212)에서 연장되어 내입돌부(220)의 내입부(221)를 형성하는 내벽면(222)으로도 연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라인(213)이 내입부의 내벽면(222)으로 연장될 경우에 내입돌부의 외벽면(223)에는 수평의 널링부(224)를 구비토록 하여 용기함체의 배출구(110)의 내벽면(113)과 긴밀하게 결합될 경우에 다단의 밀착과 그 사이에 진공이 유지되면서 기밀유지가 가능하면서 내벽면(222)으로 연장되는 연장유출라인(213a)에 의한 살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에 대하여 보강기능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렌지의 테두리에 유출라인(213)이 관통되게 형성된 부분에 일면이 일정폭으로 전방 돌출되면서 가이드돌출면(214)에 의한 절개면(215)에 의한 통기로(a)를 형성토록 하여 속마개(200)의 내입돌부가 용기함체의 배출구(110)에 가압결합된 상태에서 겉마개(300)로 배출구의 나사산(111)과 맞물림되면서 가압되어 마감처리할 경우에 속마개(200)와 겉마개(300)의 긴밀할 결합에 의하여 가스배출이 막힘되어지는 것을 가이드돌출면(214)이 지지하면서 절개면(215)이 통기로(a)를 형성하면서 가스배출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브가 내입돌부의 내입면(111)에 상향돌출되어질 경우에 겉마개로 마감처리한 후 용기함체를 다단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하중의 하물이 적층될 경우에 겉마개의 눌림에 의하여 밸브(230)의 눌림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밸브를 감싸면서 지지벽(240)을 돌출되게 형성토록 하고,
    상기 지지벽(240)에는 개구홀(241)이 형성토록 하여 통기 가능성에 의한 가스배출이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KR1020220038154A 2022-03-28 2022-03-28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KR20230139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154A KR20230139608A (ko) 2022-03-28 2022-03-28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154A KR20230139608A (ko) 2022-03-28 2022-03-28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608A true KR20230139608A (ko) 2023-10-05

Family

ID=8829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154A KR20230139608A (ko) 2022-03-28 2022-03-28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6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5945A (en) Beverage containers
KR200461241Y1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CN108945774B (zh) 密闭容器
RU2007137265A (ru) Многоэлементный запор из пластмассы
KR20230139608A (ko)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용기마개
KR101174388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0830089B1 (ko) 용기용 마개
JP2017214084A (ja) キャップ
KR101415854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2388913B1 (ko) 원터치 캡
KR102332734B1 (ko) 내부마개의 제거 전후에도 기밀성이 확보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68261B1 (ko) 일정 압력을 유지시키는 용기 구조
JP2017081617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20070078675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JP2004026230A (ja) 液体排出補助具及び容器
KR101519305B1 (ko) 밀폐용기용 압착뚜껑
KR20210093635A (ko) 액체 용기용 마개
JP6929600B2 (ja) 注出容器
KR102146008B1 (ko) 용기캡
KR200425778Y1 (ko) 위조방지를 위한 뚜껑용 마개
JP4120963B2 (ja) 液注出容器
JP7402484B2 (ja) キャップ
KR20080086797A (ko) 이종물질 수용용 진공 펌프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