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41Y1 -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41Y1
KR200482041Y1 KR2020150001888U KR20150001888U KR200482041Y1 KR 200482041 Y1 KR200482041 Y1 KR 200482041Y1 KR 2020150001888 U KR2020150001888 U KR 2020150001888U KR 20150001888 U KR20150001888 U KR 20150001888U KR 200482041 Y1 KR200482041 Y1 KR 200482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orage space
contact portion
li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07U (ko
Inventor
민미강
Original Assignee
민미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미강 filed Critical 민미강
Priority to KR2020150001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4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거나 또는 수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납물의 과도한 인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다수개의 수납물을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서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납 케이스{storage case}
본 고안은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슬, 껌, 사탕 등 다양한 수납물을 보관하는 수납 케이스는 PVC, 금속재, 목재, 합성수지, 종이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납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 본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그리고 덮개는 본체에 회동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납 케이스의 덮개는 수납공간 전체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밀폐시키는 구조이므로 수납공간의 노출면적이 매우 넓어 수납 케이스를 바닥에 떨어뜨릴 경우 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수납물 전체가 외부로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에 따른 수납물의 수거가 용이하지 못해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등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1196호(2011.03.03)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거나 또는 수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납물의 과도한 인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다수개의 수납물을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서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 몸통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암 몸통부를 포함하는 장착부, 상기 제2접촉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2고정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막음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외면에 고정부가 형성된 수 몸통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는 암 몸통부를 포함하는 장착부, 상기 제2접촉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제1접촉부 또는 덮개부와 제1접촉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끝단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관통부, 상기 고정돌기에 장착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캡, 상기 제2접촉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막음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수 나선과 고정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 몸통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수 나선과 맞물려 결합되는 암 나선이 형성된 암 몸통부를 포함하는 장착부, 상기 제2접촉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막음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출입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폐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는, 수납공간의 노출면적이 개폐부의 출입공간 만큼 좁아지게 되어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하거나 또는 수납할 수 있으며, 개폐부를 통해 출입공간 및 수납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 수납 케이스를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또는 개폐부가 하부를 향하는 형태로 수납 케이스가 뒤집어 지더라도 많은 양의 수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수납물만 쏟아짐에 따라 수납물을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부 또는 개폐부를 통해 수납공간에 수납되거나 또는 수납공간에서 인출되는 수납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가 덮개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가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가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초음파를 통해 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가 덮개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가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가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초음파를 통해 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1)는 구슬, 껌, 사탕 등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다수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하거나 또는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부(10), 덮개부(20), 개폐부(30a)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후술되는 개폐부(30a)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PVC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는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식 목적을 위해 삼각형 형상, 별 형상,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수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에서 수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단이 상기 본체부(1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되는 부분에는 마디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마디부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20)는 본체부(10)를 향해 회동될 경우 가장자리 부분이 본체부(10)의 가장자리 부분과 맞닿게 되면서 본체부(10)의 수납공간을 밀폐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본체부(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수납공간이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개방된 공간과 덮개부(20)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에 끼움되는 돌출구간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덮개부(20)가 본체부(10)의 수납공간을 안정적으로 밀폐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20)는 상기 본체부(10)와 동일하게 PVC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체부(10)와 덮개부(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며 후술되는 개폐부(30a)가 관통설치될 수 있는 설치홀(10a,20a)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30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설치홀(10a)에 관통설치되거나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0)의 설치홀(20a)에 관통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30a)는 상기 본체부(10)의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에서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다수개의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31a), 장착부(32a), 막음부(33a)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1a)는 다시 제1접촉부(311a), 수 몸통부(312a)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접촉부(311a)는 상기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의 내면과 접촉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이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된다.
상기 수 몸통부(312a)는 상기 제1접촉부(311a)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부(311a)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부분이 상기 설치홀(10a,20a)을 관통하여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수 몸통부(312a)는 상기 제1접촉부(3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31a)의 내부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공간(S)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에서 수납물을 인출하거나 또는 수납공간에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 몸통부(312a)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제1고정부(3121a)와 제2고정부(3122a)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3121a)는 후술되는 장착부(32a)가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4를 중심으로 수 몸통부(312a)의 대략 중앙부분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3121a) 중 장착부(32a)와 마주하는 부분은 장착부(32a)가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3122a)는 후술되는 막음부(33a)가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4를 중심으로 제1고정부(3121a)의 상부에 위치되며 수 몸통부(312a)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3122a) 중 막음부(33a)와 마주하는 부분은 막음부(33a)가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고정부(3121a)와 제2고정부(3122a)는 각각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 몸통부(312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32a)는 다시 제2접촉부(321a), 암 몸통부(322a)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접촉부(321a)는 상기 제1접촉부(311a)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접촉부(321a)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 몸통부(312a)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의 외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접촉부(321a)는 상기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접촉부(311a)와 대칭된다.
상기 암 몸통부(322a)는 상기 제2접촉부(321a)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부(32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암 몸통부(322a)는 상기 제2접촉부(321a)와 함께 수 몸통부(312a)의 외면에 장착되며, 그 상단은 상기 제1고정부(3121a)의 하단과 맞물려 고정됨에 따라, 베이스(31a)와 장착부(32a)가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베이스(31a)의 출입공간(S)에는 밀폐부(40)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밀폐부(40)는 상기 출입공간(S)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출입공간(S)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4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출입공간(S)과 연결되는 점 형태의 연결돌기(41)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기(41)는 상기 밀폐부(40)와 베이스(31a)의 제1접촉부(311a) 또는 수 몸통부(312a)의 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한 힘을 가하면 상기 베이스(31a)의 내면과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즉, 구매자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1)를 구매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연결돌기(41)가 형성된 부분에 순차적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연결돌기(41)가 베이스(31a)에서 분리되도록 하므로서 출입공간(S)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출입공간(S)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서 수납물을 인출하거나 또는 수납공간에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납 케이스(1)를 구매하여 최초 사용시 상기 출입공간(S)이 개방된 상태일지라도 밀폐부(40)에 의해 수납물이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막음부(33a)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끈 형상의 매개부(331a)를 통해 상기 제2접촉부(321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막음부(33a)는 상기 수 몸통부(312a)의 형상과 동일하게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수 몸통부(312a)를 감싸는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막음부(33a)의 끝단 가장자리 부분은 장착공간을 향해 소정길이로 수평절곡되어 제2고정부(3122a)와 맞물리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상기 막음부(33a)는 수 몸통부(312a)를 향해 회동될 경우 장착공간이 수 몸통부(312a)의 외면에 장착되어 출입공간(S) 및 이와 연결되는 수납공간이 밀폐되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수 몸통부(312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수 몸통부(312a)와 분리되어 출입공간(S)(30a) 및 이와 연결되는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1)는 본체부(10)의 수납공간을 덮개부(20) 이외에 개폐부(30a)를 통해 노출시킬 수 있고, 수납공간의 노출면적이 베이스(31a)의 출입공간(S) 만큼 좁아지게 되어, 개폐부(30a)를 통해 출입공간(S) 및 수납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 수납 케이스(1)를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또는 개폐부(30a)가 하부를 향하는 형태로 수납 케이스(1)가 뒤집어 지더라도 많은 양의 수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수납물만 쏟아짐에 따라 수납물을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1)는 상기 덮개부(20) 또는 개폐부(30a)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거나 또는 수납공간에서 인출되는 수납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
즉, 상기 수납공간에서 비교적 많은 양의 수납물을 인출하거나 또는 수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덮개부(20)를 통해 수납공간을 개방시키고, 수납공간에서 비교적 적은 양의 수납물을 인출하거나 또는 수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개폐부(30a)를 통해 수납공간을 개방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31a)의 제1접촉부(311a)와 장착부(32a)의 제2접촉부(321a)는 초음파 접착 등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고정부(3121a)는 생략된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30a)의 베이스(31a), 장착부(32a)를 생략하고 상기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 자체를 성형하여 내부에 출입공간(S)이 형성된 장착부(11,21)를 형성한 다음 상기 장착부(11,21)에 막음부(33a)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한편,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30b)는 베이스(31b), 장착부(32b), 관통부(33b), 고정캡(34b), 막음부(35b)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1b)는 다시 제1접촉부(311b), 수 몸통부(312b)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31b)는 수 몸통부(312b)에 하나의 고정부(3121b)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121b)가 후술되는 막음부(35b)와 맞물려 고정되는 특징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베이스(31a)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막음부(35b)는 전술한 막음부(33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착부(32b)는 다시 제2접촉부(321b), 암 몸통부(322b)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32b)는 암 몸통부(322b)가 후술되는 관통부(33b)와 고정캡(34b)을 통해 베이스(31b)와 본체부(10) 또는 베이스(31b)와 덮개부(20)에 결합되는 특징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장착부(32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관통부(33b)는 상기 제2접촉부(321b) 중 상기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와 마주하는 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와 제1접촉부(311b) 또는 덮개부(20)와 제2접촉부(321b)를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상기 관통부(33b)는 각각 두 개가 한 조를 이루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이며, 끝단에는 대략 직삼각형 형상의 고정돌기(331b)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31b)는 대략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33b)와 함께 상기 본체부(10)와 제1접촉부(311b) 또는 덮개부(20)와 제1접촉부(311b)를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상기 고정캡(34b)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331b)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31b)와 장착부(32b)가 상기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관통부(33b)는 탄성재질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고정캡(34b)이 상기 고정돌기(331b)에 장착되는 과정에서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라진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33b)는 상기 고정캡(34b)이 상기 고정돌기(331b)를 통과한 이후에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에 따라, 상기 고정캡(34b)이 상기 고정돌기(331b)의 끝단과 맞물린 상태가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331b)를 오므린 다음 상기 고정캡(34b)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331b)에서 고정캡(34b)을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개폐부(30b)를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 적용된 개폐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30c)는 베이스(31c), 장착부(32c), 막음부(33c)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1c)는 다시 제1접촉부(311c), 수 몸통부(312c)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31c)는 수 몸통부(312c)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수 나선(3121c)과 고정부(3122c)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122c)가 후술되는 막음부(33c)와 맞물려 고정되는 특징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베이스(31a)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막음부(33c)는 전술한 막음부(33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착부(32c)는 다시 제2접촉부(321c), 암 몸통부(322c)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접촉부(321c)는 전술한 제2접촉부(321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암 몸통부(322c)는 전술한 암 몸통부(322a)의 구성과 동일하되, 내면에 상기 수 몸 통부의 수 나선(3121c)과 맞물려 결합되는 암 나선(3221c)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접촉부(311c)가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수 몸통부(312c)가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돌출된 부분에 암 몸통부(322c)를 나선 결합하므로서, 베이스(31c)와 장착부(32c)를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베이스(31c)와 장착부(32c)의 분리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수납 케이스 10 : 본체부
10a,20a : 설치홀 11,21,32a,32b,32c : 장착부
20 : 덮개부 30a,30b,30c : 개폐부
31a,31b,31c : 베이스 311a,311b,311c : 제1접촉부
312a,312b,312c : 수 몸통부 3121a : 제1고정부
3122a : 제2고정부 321a,321b,321c : 제2접촉부
322a,322b,322c : 암 몸통부 33a,35b,33c : 막음부
331a,351b,331c : 매개부 3121b,3122c : 고정부
33b : 관통부 331b : 고정돌기
34b : 고정캡 3121c : 수 나선
3221c : 암 나선 40 : 밀폐부
41 : 연결돌기

Claims (5)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다수개의 수납물을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서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 몸통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암 몸통부를 포함하는 장착부; 및
    상기 제2접촉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2고정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막음부;를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2. 삭제
  3.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다수개의 수납물을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서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외면에 고정부가 형성된 수 몸통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는 암 몸통부를 포함하는 장착부;
    상기 제2접촉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제1접촉부 또는 덮개부와 제1접촉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끝단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관통부;
    상기 고정돌기에 장착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캡; 및
    상기 제2접촉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막음부;를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4.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다수개의 수납물을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서 다수개의 수납물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수 나선과 고정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 몸통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수 나선과 맞물려 결합되는 암 나선이 형성된 암 몸통부를 포함하는 장착부;
    상기 제2접촉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 몸통부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막음부;를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베이스의 출입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폐부
    를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KR2020150001888U 2015-03-25 2015-03-25 수납 케이스 KR200482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88U KR200482041Y1 (ko) 2015-03-25 2015-03-25 수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88U KR200482041Y1 (ko) 2015-03-25 2015-03-25 수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07U KR20160003407U (ko) 2016-10-06
KR200482041Y1 true KR200482041Y1 (ko) 2016-12-08

Family

ID=5713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888U KR200482041Y1 (ko) 2015-03-25 2015-03-25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4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67Y1 (ko) 2006-06-08 2006-09-19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JP5018959B2 (ja) 2010-12-21 2012-09-05 凸版印刷株式会社 紙箱
JP2014125254A (ja) * 2012-12-27 2014-07-07 Toppan Printing Co Ltd 口栓付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4883A (ja) * 1984-04-18 1985-11-09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繊維構造物の深色化処理法
WO2009022763A1 (en) 2007-08-14 2009-02-19 Seok-Min Hong Storage case
AU2013230780B2 (en) * 2012-03-07 2016-03-17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Pack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67Y1 (ko) 2006-06-08 2006-09-19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JP5018959B2 (ja) 2010-12-21 2012-09-05 凸版印刷株式会社 紙箱
JP2014125254A (ja) * 2012-12-27 2014-07-07 Toppan Printing Co Ltd 口栓付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07U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US6729498B2 (en) Dispenser for wipes
US2852054A (en)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US3732999A (en) Bottle with external compartment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3346099A (en) Moisture-proof container
US3252492A (en) Container and pivoted closure
KR970042114A (ko) 테스트 스트립 저장용기와 이 저장용기의 사용 및 제조방법
KR960004171A (ko) 벤트식 밀봉체
KR101831794B1 (ko)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KR200363704Y1 (ko)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덮개
KR101744491B1 (ko)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200482041Y1 (ko) 수납 케이스
JP6803208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US3381844A (en) Dispenser containers
KR10224198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JP5649339B2 (ja) 機能性付与容器
JPS64810Y2 (ko)
JP2006341905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101381642B1 (ko) 누름 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
KR101733693B1 (ko) 화장품 용기
US3194470A (en) Liquid container seal provided with drinking tube
JP6960021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7400352B2 (ja) 収納容器
KR200491011Y1 (ko) 아이스크림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